KR940006654B1 - 화장판 및 열경화성 수지를 표판으로 하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 - Google Patents

화장판 및 열경화성 수지를 표판으로 하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654B1
KR940006654B1 KR1019880009151A KR880009151A KR940006654B1 KR 940006654 B1 KR940006654 B1 KR 940006654B1 KR 1019880009151 A KR1019880009151 A KR 1019880009151A KR 880009151 A KR880009151 A KR 880009151A KR 940006654 B1 KR940006654 B1 KR 940006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resin
mentioned
amino
ply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709A (ko
Inventor
겐지 미나미
히데따까 야따가이
요시노리 사노
Original Assignee
닛뽕쇼꾸바이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나까지마 미쓰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쇼꾸바이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나까지마 미쓰루 filed Critical 닛뽕쇼꾸바이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1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board or ven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4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impregnant, bonding, or embedding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specially treated, e.g. surfaced, parchmenti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2/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G12/0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 C08G12/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G12/3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substituted 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L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4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47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 D21H17/49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bound to nitrogen
    • D21H17/51Triazines, e.g. melam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Next to cellulos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42Of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 Y10T428/31949Next to cellulos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42Of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 Y10T428/31949Next to cellulosic
    • Y10T428/31957Wo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42Of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 Y10T428/31949Next to cellulosic
    • Y10T428/31964Pa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henolic Resins Or Amino Resi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장판 및 열경화성 수지를 표판으로 하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
제 1 도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전형적인 화장판(Decorative laminated sheet)으로부터 수득된 가열시간과 거울판 온도와의 관계로써 나타낸 최적 경화 대역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제 2 도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전형적인 화장용 오버레이드(overlaid) 합판으로부터 수득된 가열시간과 거울판 온도와의 관계로써 나타낸 최적 경화 대역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높은 표면 경도를 가지며 또한 광택, 유연성, 내광성, 내청성, 내수성, 내화학약품성 및 내균열성에 있어서 뛰어난 화장판, 및 표면경도, 광택, 내광성, 내청성, 내수성, 내화학약품성 및 내균열성이 뛰어난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당업계에 알려진 화장판 및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으로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필름 또는 폴리에스테르필름에 무늬를 인쇄 또는 착색하고 이들 필름을 합판 및 경질섬유판상에 패스트화(pasting)하여 수득되는 열가소성수지 화장판 및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을 들 수 있다. 착색 또는 무늬 인쇄된 종이또는 직물의 시이트를 멜라민수지, 벤조구아나민수지, 페놀수지 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등으로 수차례 함침시키거나, 동시에 이들 수지의 공중 축합 생성물로 수차례 함침시키고 이어서 함침 시이트를 경화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방법으로 제조된 열경화성수지 화장판, 및 이와 동일한 종이 또는 직물의 함침 시이트를 제조하고 이어서 이들 시이트를 기질과 일체식으로 경화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열경화성수지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을 위해서 언급한 통상의 화장판 및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으로서 들수 있다. 이들 화장판 및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을 매우 바람직한 유연성을 가지며 또한 가공이 더욱 자유롭기는 하지만, 이것은 표면 경도, 내열성 및 내화학약품성이 결핍되어 있다. 열경화성 화장판 및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은 높은 표면 경도를 가지며 내열성 및 내화학약품성에 있어서 뛰어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유연성이 결핍되어 있으며, 수송 또는 가공중에 균열 또근 파괴를 받기 쉽다. 또한, 이들은 온도 및 습도와 같은 환경조건에서의 변화로 인한 균열이 생기는 경향이 있다고하는 단점을 가지며 빈약한 내광성을 나타낸다.
멜라민수지를 사용하는 화장판 및 화장용 오버래이드 합판은 이들을 발포 과정중에 사용된 조건하에서 경화시켰을때 광택, 내수성 및 내화학약품성에 있어서 개선을 나타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경화가더 진행됨에 따라서 내균열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갖는다. 당업계에 공지된 화장판 및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중 그 어느것도 위와같은 물성 모두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시클로헥산카로보구아나민 또는 노르보르난카르보구아나민의 멜라민과의 공중 축합물 및 이들 공중 축합물의 성형재료로서의 용도는 미합중국 특허 제3,379,661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성형재료로부터 수득된 성형품은 내광성 및 내청성에 있어서 탁월하다는 사실이 공지되어 있다. 위에서 언급한 미합중국 특허는 이러한 공중 축합물의 화장판 또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에의 용도에 관하여는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그 방법은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재료로서 공중 축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으므로, 동일한 공중 축합물을 사용하는 화장판 및 화장용 오버래이드 합판의 제조에 반드시 적용가능하다고 판단할 수는 없다. 더우기, 선행기술로부터 화장판 또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의 제조에 적합한 형태의 전술된 공중 축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창안하는 것은 곤란하다. 위에서 언급한 미합중국 특허는 공중축합물의 유연성 및 내균열성에 대하여 결코 언급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화장판 및 화장용 오버레이드합판이 구비해야하는 다양한 특성들을 발휘하는 공중 축합물의 가능성을 선행공보로부터 발견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화장판 및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표면 경도를 가지며 동시에 유연성, 광택, 내광성, 내청성, 내수성, 내화학약품성 및 내균열성이 뛰어난 화장판, 및 기질과 일체화된 수지-함침 시이트층을 가지며 표면 경도, 광택,내광성, 내청성, 내수성, 내화학약품성 및 내균열성이 뛰어난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목적은 필수성분으로서 하기식 I로 나타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카르보구아나민(a)를 함유하는 아미노화합물(A)와 포름알데히드와의 반응에 의하여 제조된 아미노수지(I)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시이트상 재료를 함침시키고 이어서 함침된 시이트상 재료를 경화시켜 수득된 수지-함침 시이트층을 표판으로하는 열경화성 수지 화장판에 의하여 성취된다.
Figure kpo00001
(I)
식중, X는 CH2이고, n은 0 또는 1이다.
이들 목적은 필수성분으로서 상기 식(I)로 나타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카르보구아나민(a)를 함유하는 아미노화합물(A)와 포름알데히드와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아미노수지(I)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시이트상 재료를 함침시키고 위에서 함침된 시이트상 재료를 경화시켜 수득된 수지-함침 시이트층이 기질과 일체화된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에 의하여 성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화장판"은 종이 또는 직물과 같은 시이트상 재료를 아미노수지-함유수지 조성물로 함침시키고 이어서 함침된 시이트상 재료를 경화시켜 수득된 수지-함침 시이트층을 표판으로 하는 시이트를 의미한다.
용어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은 수지-함침 시이트층을 기질과 함켸 경화된 형태로 함침시켜 수득된 복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수지 조성물은 식(I)로 나타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카르보구아나민을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하는아미노화합물(A)와 포름알데히드와의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아미노수지(I)을 함유한다. 식(I)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보구아나민(a)의 전형적인 예는 하기식(II)의 시클로헥산카르보구아나민 및 하기식(III)의 노르보르단카르보구아나민이다. 아미노화합물(A)는 바람직한 부위에서 전술한 카르보구아나민중 일반또는 모두를 함유한다.
Figure kpo00002
(II)
Figure kpo00003
(III)
본 발명에서 카르보구아나민(a)의 아미노화합물(A)로서의 사용은 표면경도, 광택, 내청성, 내수성 및 내화학약품성등의 특성들뿐만 아니라 통상의 화장판 또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에 고유한 양호한 외관을 손상시킴이 없이, 제조된 화장판 또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에 매우 바람직한 유연성, 내균열성 및 내광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화장판 또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의 제조과정중의 작업성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의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아미노수지(I)은 그의 제조를 위해 채용한 특정 방법에 따라서 그의 한가지 특성으로서 유기용매중에서의 용해성 또는 수용해성을 획득한다. 따라서, 시이트상 재료를 구체적으로 후술되는 수지로 함침시키는 공정에서 아미노수지(I)은 유기용매중 용액의 형태 또는 수용액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에 가용성인 아미노수지(I)은 통상적으로 수용액중에서 열을 가하여 아미노화합물(A)를 포름알데히드와 반응시키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처리하여 물과 미전환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한 다음 처리 잔류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켜 아미노수지(I)을 고체형태로 만듬으로써 수득한다. 이 경우 포름알데히드의 사용량은 아미노화합물(A) 단위 몰당 1.2 내지 10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몰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양이 10몰을 초과하는 경우, 이 화합물의 반응에 대한 영향은 충분히 획득되지 못한다. 그 양의 1.2몰 미만인 경우, 반응은 충분히 진행되지 않는다. 처리 용이성의 견지에서, 반응에 사용되는 포름알데히드로서 파라포름알데히드 또는 시판되는 포르말린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에 사용된 아미노화합물 (A)는 멜라민, 벤조구아나면 및 아제토구아나민과 같은 트리아진류 또는 우레아, 디사안디아이드 및 페놀류를 아미노수지(I)의 유기용매중 용해도를 손상시킬수 없는 배합량으로 함유할 수 있다. 카르보구아나민(a)의 사용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내균열성 및 내수성 등의 특성은 카르보구아나민(a)의 아미노화합물(A)중 함량이 중가하는 비율만큼 증진된다. 그러므로 카르보구아나민(a)의 아미노화합물(A)중 함량은 60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중량%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용매에 가용성인 아이노수지(I)의 메탄올 혼화도 M1은1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0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탄올 혼화도 M1이 1미만인 경우, 아미노수지(I)의 축합도가 그의 유기용매중 용해도를 낮출정도로 매우 높다. 역으로 200을 초과하는 경우, 축합도는 매우 낮아서 성형을 곤란하게 만든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메탄올 혼화도 M1"은 유기용매에 가용성인 어느 주어진 아미노수지(I) 2g을 메탄올 5ml에 용해시키고 불투명한 형태의 현탁액이 생성될때까지 25℃에서 생성용액에 물을 적가하고 현탁액의 출현시까지 적가된 물의 양(W1)(g)을 하기 식에 대입하여 계산함으로써 얻은 등급을 의미한다.
메탄올 혼화도 M1=(W1/2)×100
유기용매에 가용성인 아미노수지(I )을 필요하다면 벤주구아나민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알키드수지 및 페놀수지와 같은 열경화성수지와 배합 사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어서 시이트상 재료를 수득된 수지 조성물로 함침시킴으로써 화장판또는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을 유기용매에 가용성인 아미노수지(I)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이들 첨가 열경화성수지는 카르보구아나민(a)의 특성을 손상시킬 수 없는 배합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이 배합량은 아미노수지(I) 100중량부를 기준으로10 내지 1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중량부의 범위내이다. 위에서 언급한 다른 첨가 열경화성수지중에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및/또는 알키드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들 첨가수지를 혼입하는 수지 조성물로 함침된 시이트상 재료를 건조시킬 경우, 발포 또는 수지분리와 같은 악현상이전혀 관찰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들 특정한 첨가 열경화성수지는 작업성의 중진에 기여한다.
위에서 언급한 수지 조성물을 유기용매에 용해시키고, 시이트상 재료를 생성용액으로 함침 건조시킨 다음, 함침된 시이트상 재료를 경화시킴으로써 화장판 또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을 위에서 언급한 수지 조성물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된 유기용매의 예로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및 시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틸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류, 및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탈올과 같은 지방족 포화 알콜과 헥산, 시클로헥산 및 석유 에테르와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류 및/또는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탄화수소류와의 혼합용매를 들 수 있다. 착색 또는 인쇄된 종이 및/또는 직물을 함침용 시이트 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용매로서 케톤 또는 에스테르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시이트상 재료의 변색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피하기 위하여는 지방족 포화 알콜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및/또는 방향족 탄화수소류와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수용성 아미노수지(I)은 멜라민 및/또는 우레아를 함유하는 아미노화합물(A)를 포름알데히드와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수득한다. 화장판 또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의 성질에 비추어 여기서 사용된 아미노화합물(A)는 카르보구아나민(a) 및 멜라민을 함유하는 것이 소망스럽다. 좀더 구체적으로, 수용성 아미노수지(I)의 제조는 카르보구아나민(a) 및 멜라민을 수용액중에서 열을 가하면서 포름알데히드와 반응하도록 하고 이어서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결과로써 수득된 반응용액을 아미노수지(I)의 수용액으로서 사용한다. 이 경우, 용액을 균질하고 안정한 형태로 수득하기 의해서는 반응말기에서의 반응용액중 고체함량이 40 내지 70중량%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반응용액으로부터 화장판 또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반응용액으로부터 소망하는 농도의 수지용액을 제조하고, 필요시 물 및/또는 수용성 용메를 가한 다음, 시이트상 재료를 수득된 수지용액으로 함침시켜 수득된다. 수용성용매로서 사용되는 용매로서 적당한 것은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을 및 아세톤이다.
아미노화합물(A)중에 함유된 멜라민의 양은 아미노수지(I)의 충분한 수용해도를 나타내고 카로보구아나민(a)를 특성화하는 유연성 및 내균열성 등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을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그 양은 2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중량%의 범위내이다. 아미노화합물(A)중에 함유된 카르보구아나민(a)의 양은 2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중량%의 범위내이다. 아미노화합물(A)는 아제토구아나민, 벤조구아나민 및 우레아등의 카르보구아나민(a) 및 멜라민 이외의 아미노화합물을 적당한 양,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포름알데히드의 사용양은 아미노화합물(A) 단위몰당 1.2 내지 10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몰의 범위내인것이 바람직하다. 그 양이 1.2몰 이상인 경우, 반응은 충분하게 진행되지 않는다. 역으로 그 양이 10몰을 초과하는 경우, 그 과잉량은 하등 유익한 효과를 내지 못하며, 낭비일뿐이다 수용성 아미노수지(I)의 사용에 의한 화장판 또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의 제조를 위하여, 아미노수지(I)은 균질하고 안정한 용액인 것이 소망스럽다. 그러므로 아미노수지(1)은 적당한 축합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합도의 척도로서는 반응 생성물인 아미노수지(I)의 수용액의 메탄올 혼화도 M2를 측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아미노수지(I)의 수용액의 메탄올 혼화도 M2는, 어느 주어진 아미노화합물(A)를 수용액중에서 포름알데히드와 반응하도록하고 생성된 반응용액 5g을 메탄올 5ml에 용해시키고 불투명한 현탁액이 생성될때까지25℃에서 생성 메탄올 용액에 물을 적가하고, 그 적가에 소모된 물의 양(W2)(g)을 하기 식에 대입·계산하여 측정한다.
메탄올 혼화도 M2=(W2/5)×100
수용성 아미노수지(I)의 메탄올 혼화도 M2는 3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200의 범위내이다. 혼화도가 30에 미달하거나 200을 초과하는 경우, 아미노수지(I)의 용액은 용해도가 결핍되어서 매우 바람직한 품질의 화장판 또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을 수득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아미노수지(I)의 용액은 화장판 또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의 제조에 사용하기전에, 멜라민수지를 위한 통상의 개질제,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콜 또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를 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주지되는 아미노수지(I)를 함유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화장판 또는 화장용 오버레이드합판의 제조는 시이트상 재료를 수지 조성물로 함침시킨 다음 건조하여 함침된 시이트상 재료를 경화시킴으로써 획득된다.
시이트상 재료를 함침시키는 아미노수지(I)의 양은 시이트상 재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수지 고체로서, 70 내지 150중량%,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30중량%의 범위이다.
시이트상 재료를 수지 조성물로 함침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수지 조성물을 적합한 유기용매 및/또는 물로 용액을 만들어, 생성된 용액을 시이트상 재료에 적용시키거나 시이트상 재료를 용액에 침지시킨 후, 실온 또는 열을 가하면서 함침된 시이트상 재료를 건조시켜 최대 가능한 정도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수행된다.
시이트상 재료가 완전히 액체 조성물로 함침될 수 있어야 한다는 한가지 요구만을 제외하고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시이트상 재료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종이, 직물 및 베니어는 상업적으로 용이하게 입수가 가능하며, 질적으로 탁월하고, 화장판 또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의 완전 제조가 가능하다는 면에서 바람직한 시이트상 물질이다.
함침된 시이트상 재료의 경화는 필요하다면, 경화성 촉매를 첨가하여 가속시킬 수 있다. 이 경화 촉매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파라톨루엔술폰산 및 암모늄클로라이드와 같은 열경화성수지를 위한 통상적인 경화성 수지중에서 아미노수지(I)를 만드는 조성물에 맞추어 적합하게 선택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수지 화장판은 시이트상 재료를 아미노수지(I)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함침시킨후 건조하여 함침된 시이트상 재료를 경화시킴을 포함하는 전술된 공정에 의하여 수득된 수지-함침 시이트층으로 표판시킨다. 이 제조는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다. 그 예는 하기와 같다.
(1-a) 압력을 가하면서 수지 조성물로 함침된 시이트상 재료를 열경화시킴을 포함하는 방법.
(2-a) 수지 조성물로 함침된 2종 이상의 시이트상 재료를 포개어 압력을 가하면서 포개진 시이트상 재료를 열경화시킴을 포함하는 방법.
(3-a) 수지 조성물로 함침된 1종 이상의 시이트상 재료, 아미노수지(I) 이외에 다른 열경화성수지(II)로 조성된 조성물로 함침된 시이트상 재료 및/또는 열가소성수지로 조성된 조성물로 함침된 1종 이상의 시이트상 재료를 포개어 압력을 가하면서 포개진 시이트상 재료를 열경화시킴을 포함하는 방법.
(4-a) 수지 조성물로 함침된 1종 이상의 시이트상 재료를 압력을 가하면서 열경화시켜 수지-함침 시이트층을 제조한 후 이 수지-함침 시이트층을 열경화성수지(II)로 조성된 조성물로 함침되고 경화된 1종 이상의 시이트상 재료 및/또는 열경화성수지로 함침된 1종 이상의 시이트상 재료로 적합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시킴을 포함하는 방법.
상기 방법에서, 압력을 가하기 위해 거울판을 사용하는 것은 제조된 화장판 높은 광택 및 양호한 외관의 표면을 갖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으로 증명된다. 상기된 특정 방법중에서,(3-a) 및 (4-a)의 방법은 다른방법보다 좀더 비용이 많이 들지라도, 화장판에 있어서 중요한 표면 특성인 경도성, 내광성, 광택, 내청성,내균열성, 내수성, 내화학약품성과 같은 특성은 물론 유연성 및 내균열성이 탁월한 화장판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은 기제로 통합된 전술된 수지-함침 시이트층을 갖는다. 천연기관과 인공기관 둘 모두 및 무기성과 유기성 둘 모두의 다양한 기제는 상기 통합의 목적을 위해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베니어합판, 경질-섬유판, 입자판은 유리하게 사용된다. 기제로 수지-함침 시이트층의 통합은 하기되는 방벙중 어느 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 예는 하기와 같다.
(1-b) 수지 조성물로 함침된 1종 이상의 시이트상 재료를 기제에 적용한 후 압력을 가하면서 함침된 시이트상 재료를 열경화시킴을 포함하는 방법.
(2-b) 수지 조성물로 함침된 1종 이상의 시이트상 재료, 아미노수지(I) 이외의 다른 열경화성수지(II)로 조성된 조성물로 함침된 시이트상 제료 및/또는 열가소성수지로 조성된 조성물로 함침된 1종 이상의 시이트상 재료를 포갠후 압력을 가하면서 이 포개진 시이트상 재료를 열경화시킴을 포함하는 방법.
본 발명의 화장판 또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의 제조에 있어서, 경화온도는 80 내지 300℃ 범위에서 적합하게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25℃의 범위이다. 적합하게, 경화시간은 상기 언급된 경화온도 범위에서 일반적으로 1 내지 60분의 범위이다. 경화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압력은 3kg/cm2이상이다. 압력이 3kg/cm2이하일때, 제조된 화장판 또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이 실질적으로 완전히 매끄럽고 평탄한 표면을 획득하기란 용이하지 않다.
방법 (3-a),(4-a) 및 (2-b)에서 아미노수지(I) 대신 유리하게 사용되는 열경화성수지(II)의 예로는 알키드수지, 페놀수지, 크실렌수지, 톨루엔수지, 아미노알데히드수지, 불포화된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수지의 예로는 비닐클로라이드, 비닐아제테이트 및 중합체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수지 화장은 필수성분으로서 고유 구조를 갖는 카르보구아나민(a)를 함유한 아미노화합물(A)로부터 수득된 아미노수지(I )를 사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표면경도성, 광택, 내청성, 내수성,내광성 및 내화학약품성에 있어서 탁월하다. 또한 내균열성 및 유연성에 있어서도 탁월하다. 따라서 적합한접착체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다양한 모양의 가구, 테이블 및 벽에 빠르고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제품의 표면을 오랫동안 보호한다.
본 발명의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은 경도성, 광택, 내청성, 내수성, 내화학성 및 내균열성에 있어서 탁월하다. 따라서, 제조 또는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동안, 견고한 물질과의 충격으로 인해서 찰상 또는 균열되지 않으며, 강재가공이 쉽게 수행되고, 옥내 및 옥의조건하에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은, 예를 들어 벽면, 책상, 테이블 및 실험실 벤치용 표면물질로서 및 콘크리트판넬, 천장면 및 간막이면으로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미노수지(II)는 그것의 제조에 채택된 방법에 따라서, 유기용매중에서의 가용성 또는 물중에서의 가용성을 부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시이트상 재료의 함침 조작은 유기용매 또는 수용액을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유기용매에 아미노수지(I)를 용해시킨 용액 또는 아미노수지(I)의 수용액은 균질하고 안정하여 시이트상 재료를 함침시킬때 질이 탁월한 화장판 또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을 제조할때 유리하게 사용된다. 특히,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아미노수지(I)를 유기용매중의 용액으로 사용할때, 그 용액은 극히 오랜기간동안 안정성을 유지한다.
화장판 또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을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아미노수지(I)를 사용하여 제조할때, 용이하게 성형되고, 가공되는 범위에 부합되는 조건하에서 효율적으로 경화되며, 다소의 휘어짐도 없이 높은 효율의 핫-핫(hot-hot) 기술에 의해서도 제조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제한되는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부 및 퍼센트(%)는 다른 설명이 없는 한 항상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제조예 1]
교반기, 환류 응축기, 및 온도계가 장치된 반응용기내에 100부의 시클로헥산카르보구아나민,127부의37% 포름알데히드수용액, 및 0.33부의 10% 소듐카르보네이트수용액을 넣고 교반하여 2시간동안 90℃에서 반응시킨다. 이어서 반응용액을 4시간동안 100℃로 가열시켜 중축합 및 증류에 의한 물과 변화하지 않은 포름알데히드dml 제거를 위한 증류를 유발시킨다. 또한, 120℃로 가열시켜 잔류된 물과 변화하지 않은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여 고체아미노수지(I-1)를 수득한다. 이 아미노수지(I-1)의 메탄올 혼화도 M1는 7이다.
[제조예 2∼4]
아미노수지(I -2) 내지 (I -4)는, 원료물질의 조성을 제외한 제조예 1의 공정에 따라 수득되며 반응 조건은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한다. 상기 아미노수지(I-1) 내지 (I-4)의 메탄올 혼화도 M1은 표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
Figure kpo00004
[제조예 5]
제조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 반응 용기내에서, 70부의 시클로헥산카르보구아나민,30부의 멜라민, 및 156부의 73% 포름알데히드 수용액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5%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pH 8.0로 조정한다. 반응 용액을 교반한후 40분간 95℃에서 반응시킨다. 실온까지 냉각하여, 아미노수지(I -5) 수용액을 제조한다. 이 아미노수지 수용액(I-5)의 농도, 그 메탄올 혼화도, M2및 그의 안정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같다.
[제조예 6∼9]
아미노수지 수용액(I -6) 내지 (I -9)는 원료물질의 조성 및 반응시간이 표 2에 나타낸 것같이 바뀐것을 제외한, 제조예 5의 과정에 따라서 수득된다. 아미노수지 수용액(1-6) 내지(l-9)의 농도, 그의 메탄올 혼화도, M2및 그의 안정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같다.
[표 2]
Figure kpo00005
*30℃에 방치하여 불투명이 나타난 날.
표 3에 나타낸 수지 조성물 용액(I) 내지 (X)은 아미노 수지(I-1) 내지 (I-9)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하기 실시예에 사용된다.
[표 3]
Figure kpo00006
AD-24 :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니뽕 쇼꾸바이가가꾸고오교 주식회사 제품)
퍼부틸 Z : 부틸 퍼옥시 벤조에이트((Nippon OiIs &Fats) 주식회사 제품)
[실시예 1]
두께 0.12mm 및 중량 81g/m2이고 나무 무늬 양식이 인쇄된 화장용 종이를 수지 조성물 용애(I)에 침지시킨다. 이어서 함침된 종이를 실온에서 통풍 건조시키고 10분간 100℃에서 열풍 건조시킨다. 따라서, 최초 종이의 중량을 기준으로 120%의 비율로 함침된 수지를 함유한 화장용 종이를 수득한다.
수지로 함침된 화장용 종이 1장을 각각 두께 0.3mm 및 중량 242g/cm2인 페놀 수지-함침 크래프트지에 포개어,140℃,15kg/cm2압력하에서 스테인레스 강의 거울판으로 15분 동안 열경화시킨다. 결과, 높은 광택을 함유하는 흘륭한 화장판(1)을 수득한다.
화장판(1)은 곡률 반경 40mm를 갖는 가구 제품에 네오 프렌형 흡착제를 적용할때, 본래의 훌륭한 조건을 보유한다. 이 화장판(1)의 성질은 표 4에 나타낸다.
수지 조성물 용액(I)은, 실온에서 한달이상 방치해도, 고체 침전 유도없이 안정한 구조를 보유한다.
[실시예 2]
두께 0.2mm 및 중량 120g/m2이고, 대리석 무늬가 프린트된 화장용 종이를 수지조성물 용액(II)에 침지시킨다. 함침된 종이를 실온에서 통풍 건조시키고 열풍으로 12분 동안 100℃에서 건조시킨다. 결과적으로, 최초 종이의 중량을 기준으로 123% 비율의 수지로 함침된 포장용 종이를 수득한다.
수지로 함침된 상기 화장용 종이, 두께 0.3mm 및 중량 242g/m2를 갖는, 페놀 수지로 함침된 크래프트지 1장 및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로 함침된 백색 넓은 천(실번호 80) 1장을 포개어,150℃, 압력 25kg/cm2하에서 10분동안 크롬-레이트 거울판으로 열경화시킨다. 결과적으로, 높은 광택의 훌륭한 화장판(2)를 수득한다. 이 화장판(2)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구 제품에 적용할때, 이상표시를 나타내지 않는다.이 화장판(2)의 성질을 표 4에 나타낸다.
수지 조성물 용액(II)은, 실온에서 한달간 방치한후에도, 고체 침전 유도없이 안정구조를 보유한다.
[실시예 3]
높은 광택을 갖는 훌륭한 화장판(3)은 수지 조성물 용액(III)을 수지 조성물 용액(I) 대신 사용하는 것을 제외한 실시예 1과정을 반복하여 수득한다. 이 화장판(3)의 성질은 표 4에서 나타낸다.
이 화장판(3)을 실시에 1과 동열한 방법으로 가구 제품에 적용할 경우, 이상 표시를 나타내지 않는다,
수지 조성물 용액(III)은, 실온에서 한달이상 방치한 후라도, 고체 침전 유도없이 안정한 구조를 함유한다.
[실시예 4]
중량 80g/m2인 백색의 평탄한 면 린터 종이를 수지 조성물 용액(I)에 침지시키고, 통풍 건조 시킨 후,열풍으로 100℃에서 10분간 건조시켜 최초 종이의 중량을 기준으로 110% 비율로 수지로 함침된 면 린터 종이를 수득한다. 다음으로, 수지로 함침된 면린터 종이 6장 포개어,150℃,30kg/cm2압력하에서 스텐이레스 강의 거울판으로 10분 동안 열 경화시킨다. 결과로, 높은 광택의 훌륭한 화장판(4)를 수득한다. 이 화장판(4)의 성질은 표 4에 나타낸다.
JIS K-6911 방법으로, 상기 화장판(4)가 휨강도 430kgf/cm2을 가짐이 판명된다.
[실시예 5]
두께 0.12mm 및 중량 100g/m2인 백색의 평탄한 TiO2-충전 종이를 수지 조성물 용액(I)에 침지시킨다. 함침된 TiO2-충전 종이를 실온에서 통풍 건조시킨 후 20분동안 100℃에서 열풍으로 건조시키다. 결과적으로, 최초 종이의 중량을 기준으로,110% 비율의 수지로 항침된 TiO2-충전 종이를 수득한다. 이TiO2-충전 종이와 페놀 수지로 함침된 0.3mm 두께 및 242g/m2중량인 크래프트지를 포개어 150℃,15kg/cm2압력하에서 10분동안 스테인레스 강의 거울판으로 열경화시킨다. 결과적으로 높은 광택의 홀륭한 화장판(5)가 수득된다. 이 화장판(5)의 성질은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6 내지 12]
높은 광택의 훌륭한 화장판(6) 내지 (12)를 수지 조성물 용액, 함침된 TiO2-충전 종이의 열-풍 건조조건 및 화장판 제조에 열가소 조건이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된 것을 제외한, 실시예 5 과정을 반복하여 수득한다. 상기 화장판(6) 내지 (12)의 성질은 표 4에 나타낸다.
열풍 건조 후 실시예 6에서 수득된 TiO2-충전 종이는 전혀 거품 또는 수지 분리되지 않으므로 다루기쉽다.
[대조예 1]
비교용 수지 조성물 용액(I')을 50부의 벤조구아나민 수지(니뽕 쇼꾸바이 가가꾸고오교 주식회사 제품으로 상품명 "DBG") 1.0부의 p-톨루엔 술폰산,0.75부의 라우르산,40부의 메탄올 및 10부의 톨루엔을 배합하여 제조한다. 비교용 화장판(1)은 비교용 수지조성물 용액(I')을 수지 조성물 용액(I) 대신 사용하는것을 제외한, 실시예 4 과정을 반복하여 수득한다. 비교용 화장판(1)의 성질은 표 4에 나타낸다.
[대조예 2]
제조예 1에서 사용한 것과 유사한 용기내에서 126부의 멜라민 및 243부의 37% 포름알데히드 수용액을 혼합하여, 생성된 혼합물을 5% 탄산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pH 8.0으로 맞춘다. 이렇게 수득된 반응 용액을 교반하여 65℃까지 가열한다. 교반을 65℃에서 15분간 계속한다. 이 반응후, 반응 용액을 냉각시키고 메탄올로 희석하고 50%의 비휘발성 함유량을 갖는 비교용 아미노 수지 용액(I')을 제조한다.
비교용 200부의 아미노수지용액(I')을 교반하여 수득한 비교용 수지조성물 용액(II')에, 0.1부의 염화암모늄, 1.5부의 라우트산, 두께 0.12mm 및 중량 100g/m2인 백색의 평탄한 TiO2-충전 종이를 침지시킨다. 생성 함침된 TiO2-충전 종이를 실온에서 통풍 건조시킨다. 이 TiO2-충전 종이를 15분간 80℃에서 열풍으로 건조시킨다. 이 TiO2-충전 종이와 두께 0.3mm 및 중량 242g/m2인, 페놀 수지로 함침된 크래프트지 1장을 포개어, 15kg/cm2압력하 130℃에서 10분동안 스테인레스강의 거울판으로 열경화시킨다. 결과적으로, 비교용 화장판(2)가 수득하다. 이 대조용 화장판(2)의 성질을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kpo00007
*는 대조용을 뜻한다.
표 4는 실시예 1∼12의 화장판(1)∼(12) 및 대조예 1,2의 비교용 화장판(l),(2)의 제조 조건, 및 이들 화장판에 대해 수행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시험에 포함된 성질은 하기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괄호안의 J가 붙은 시험 항목은 일본국 공업표준 (JIS) K 6902(1977)에 상술한 방법에 의해 수행된 것이다.
표면경도-이 성질은 JAS(Japanese Agricultural standard)에 상술된 찰상 경도를 위한 시험 A를 특수합판에 수행하고, 그 결과를 양자 택일로, ○는 기준 통과, ×는 기준 미달로 평가함으로써 결정된다.
내광성-이 성질은 시험 견본을 퇴색 시험계(fade tester)안에 200시간 동안 방치해두고, 방치 끝에 변색(황변)의 정도를 △b(Lab) 값으로 측정하고, 결과를 상자 택일로, 즉 ○는 0.5미만, △는 0.5이상 3미만, ×는 3이상으로 평가함으로써 결정된다.
내수성(J)-이 성질은 시험 견본에 비등에 대한 내성 시험을 실시하고, 결과를 양자택일로, 즉 ○는 층간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것이며 ×는 층간분리가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함으로써 결정된다.
내청성(J)-이 성질은 시험 견본에 내청성 시험을 실시하고 결과를 삼자택일로, 즉 ○는 변화없음, △는 용매 또는 마른 헝겊으로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오염이 존재하거나 용매또는 마른 헝겊으로 처리한 후 약간의 변화된 흔적을 남기는 것, ×는 심산 오염이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함으로써 결정된다.
내균열성-이 성질은 시험 견본을 펀치(punch)하고, 펀치 후 시험 견본의 외관을 관찰하여, 결과를 삼자택일로, 즉 ○는 변화 없음, △는 펀치로 인해 구멍의 가장자리를 따라 거스러미(burr)가 나타남, ×는 구멍을 따라 파손, 균일 또는 분리가 나타남으로 평가함으로써 결정된다.
내화학약품성-이 성질은 시험 견본에, 특수 합판에 대한 JAS에 상술된 방법에 따라 알칼리에 대한 내성시험 및 산에 대한 내성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양자택일로, 즉 ○는 변화없음, ×는 변화있음으로 평가함으로써 결정된다.
[실시예13]
수지 조성물 용액(I)에, 두께 0.12mm, 중량 100g/m2인 평탄한 백색 TiO2-충전 종이를 침지한다. 함침된 TiO2-충전 종이를 실온에서 통풍중 건조시킨다. 이어서, TiO2-충전 종이를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같이 시간을 변화시키면서 100℃의 열풍으로 건조시킨다. 이와같은 TiO2-충전 종이 및 페놀 수지로 함침된 두께 0.3mm, 중량 242g/m2인 크래프트지를 포개어 놓고, 스텐레스 강 거울판으로 150℃에서 15kg/cm2의 압력하에서 10분 동안 열 경화시켜, 제조된 화장판에서 얻어진 건조시간 및 경화 정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다.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하기 표 5로 부터 높은 광택을 가지며 적절한 경화 정도를 나타내는 훌륭한 화장판이 넓은 범위의 건조 시간내에서 수득됨이 주지된다.
별도로,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함침되고 통풍 건조된 동일한 TiO2-충전 종이를 100℃에서 20분간열풍으로 건조시킨다. 이 TiO2-충전 종이 및 페놀 수지로 함침된 두께 0.3mm, 중량 242g/m2인 크레프트지를 포개어 놓고, 15kg/cm2의 압력하에서 제 1 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온도 및 시간을 변화시키면서 거울판으로 열경화시켜, 제조된 화장판에서 얻어진 경화시간 및 온도와 경화 정도와의 관계를 조사한다. 결과를 제 1 도에 나타낸다. 제 1 도로 부터, 높은 광택을 가지며 적절한 경화 정도를 나타내는 홀륭한 화장판이 넓은 범위의 거울판 온도 및 경화시간 내에서 수득됨을 알 수 있다.
경화 정도는 수득된 화장판에 각각 JIS K 6902(1977)에 상술된 방법에 따라 내청성 시험 및 비등에 대한 내성시험을 실시함으로써 결정한다. 그 결과는 삼자택일로 평가되며, 이때 "미경화"는 내청성 시험 과정에서 기인한 변화 및 비등에 대한 내성 시험 과정에서 기인한 층간 분리가 존재함을, "과경화"는 비등에 대한내성 시험 과정에서 기인한 충간 분리가 존재함을, "적경화"는 내오염성 시험 또는 비등에 대한 내성 시험과정에서 변화가 없음을 나타낸다.
[표 5]
Figure kpo00008
경화 정도는 주어진 화장판에 내청성 시험 및 비등에 대한 내성 시험을 각각 JIS K 6902(1977)에 상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함으로써 결정된다. 결과는 양자택일로 평가되며, 이때 ○는 두가지 기준에 모두 통과되는것이고 ×는 둘중의 하나 또는 두가지 기준에 모두 미달됨을 뜻한다.
통과기준 : 내청성-변화없음
비등에 대한 내성-층간 분리가 없음
[실시예 14]
페놀 수지-침지 크래프트지 대신 4mm 두께의 베니어 합판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한, 실시예 5의 방법을 반복함으로써 높은 광택을 가진 훌륭한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1)을 수득한다. 이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1)의 성질을 하기 표 6에 나타낸다.
[실시예 15∼23]
수지 조성물 용액, 수지 용액으로 침지후 TiO2-충전 종이의 열풍 건조 조전, 및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의 제조 과정 동안의 경화 조건을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같이 변화시키는 것을 제외한, 실시예 14의 과정을 반복하여 높은 광택을 지닌 흘륭한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2) 내지 (10)을 수득한다. 이들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2) 내지(l0)의 성질을 표 6에 나타낸다.
[대조예 3]
수지 조성물 용액(I) 대신 비교를 위한 수지 조성물 용액(I')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한, 실시예 14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비교를 위한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1)을 수득한다. 비교를 위한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1)의 성질을 표 6에 나타낸다.
[대조예 4]
페놀 수지-침지 크라프트지 대신 4mm 두께의 베니어 합판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한, 대조예 2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비교를 위한 파장용 오버레이드 합판(2)을 수득한다. 비교를 위한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2)의 성질을 하기 표 6예 나타낸다.
[표 6]
Figure kpo00009
* "비교를 위한" 것을 뜻함.
표 6은 실시예 14 내지 23의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1) 내지 (10) 및 대조예 3 및 4의 비교용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1) 및 (2)의 제조조건, 및 이들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에 대해 수행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시험에 포함된 성질은 하기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괄호안의 J가 붙은 시험 항목은 JIS K 6902(l977)에 상술된 방법에 의해 수행된 것이다,
표면 경도-이 성질은 JAS로 상술된 찰상 경도를 위한 시험 A를 특수 합판에 수행하고, 그 결과를 양자택일로, 즉 ○는 기준 통과, ×는 기준 미달로 평가함으로써 결정된다.
내광성-이 성질은 시험 견본을 퇴색 시험계안에 200시간동안 방치해두고, 방치 끝에 변색(황변)의 정도를 △b(Lab)값으로 측정하고, 결과를 삼자택일로, 즉 ○는 0.5미만, △는 0.5이상 3미만, ×는 3이상으로 평가함으로써 결정된다.
내수성-이 성질은 시험 견본에, 특수합판에 대한 JAS에서 상술된 침지와 구분하기 위해 분류 1의 시험을 실시하고, 결과를 양자택일로, 즉 ○는 기준 통과이고, ×는 기준 미달로 평가함으로써 결정된다.
내청성(J)-이 성질은 시험 견본에 내청성 시험을 실시하고 결과를 삼자택일로, 즉 ○는 변화없음, △는 용매 또는 마른 헝겊으로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오염이 존재하거나 용매 또는 마른 헝겊으로 처리한 후 약간의 변화된 흔적을 남기는 것, ×는 심한 오염이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함으로써 결정된다.
내균열성-이 성질은 시험 견본에 특수 합판에 대한 JAS에서 상술된 냉-열 반복 시험 A를 실시하여 시험 견본이 균열 또는 팽출될때까지의 냉-열처리 횟수를 계수함으로써 결정된다.
내화학약품성-이 성질은 시험견본에, 특수합판에 대한 JAS에서 상술된 방법에 따라서 알칼리에 대한 내성 시험 및 산에 대한 내성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양자택일로, 즉 ○는 변화 없음, ×는 변화 있음으로 평가함으로써 결정된다.
[실시예 24]
수지 조성물 용액(I)에, 두께 0.12mm, 중량 100g/m2인 평탄한 백색 TiO2-충전 종이를 침지시킨다. 함침된 TiO2-충전 종이를 실온에서 통풍 건조시킨다. 이어서, TiO2-충전 종이를 하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을 변화시키면서 100℃의 열풍으로 건조시킨다. 이 TiO2-충전 종이와 두께 4mm인 베니어 합판 1장을 포개어 놓고, 스텐레스 강 거울판으로 150℃,15kg/cm2의 압력하에서 10분간 열 경화시켜, 제조된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에서 수득된, 건조시간 및 경화정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다. 그 결과를 하기표 7에 나타낸다.
하기 표로 부터 높은 광택을 가지며, 적절한 경화 정도를 나타내는 훌륭한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이 넓은 범위의 건조 시간내에서 수득됨을 알 수 있다.
별도로,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침지되고 통풍 건조된 동일한 TiO2-충전 종이를 100℃에서 20분간 열풍으로 건조시킨다. 이 TiO2-충전 종이 및 두께 4mm인 베니어 합판 1장을 포개어 놓고,15kg/cm2압력하에 제 2 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온도 및 시간을 변화시키면서 거울판으로 열 경화하여, 제조된 화장용오버레이드 합판에서 얻어진 경화 온도 및 시간과 경화 정도와의 관계를 조사한다. 결과를 제 2 도에 나타낸다. 제 2 도로부터 높은 광택을 가지며 적절한 경화 정도를 나타내는 홀륭한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이 넓은 범위의 거울판 온도 및 경화시간내에서 수득됨을 알 수 있다.
경화 정도는, 수득된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에, 특수 합판에 대한 JAS에서 상술된 침지와 구분하기 위해 분류 1의 시험을 실시함으로써 결정된다. 적당한 경도를 나타내는 시험 견본은 적합으로, 미경화 또는 과경화를 나타내는 시험전본은 부적합으로 평가한다.
[표 7]
Figure kpo00010
경화 정도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에, 특수 합판에 대한 JAS에서 상술된 침지와 구분하기 위한 분류 1의 시험 및 JIS K 6902(1977)에 상술된 내청성 시험을 실시함으로써 결정된다. 결과는 양자택일로 평가되며, 이때 ○는 두가지 기준에 모두 통과되는 것이고 ×는 둘중의 하나 또는 두가지 기준에 모두 미달됨을 뜻한다.
통과기준 : 침지의 분리-특수 합판에 대한 JAS에 상술된 기준과 동일함.
내청성 - 변화없음.

Claims (28)

  1. 필수성분으로서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르보구아나민(a)를 함유한 아미노 화합물(A)와 포름 알데히드와의 반응으로 제조된 아미노수지(I)를 함유한 수지 조성물로 시이트상 재료를 함침시키고, 이 함침된 시이트상 재료를 경화시킴으로써 수득되는 수지-함침 시이트층을 표판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 화장판.
    Figure kpo00011
    (I)
    식중, X는 CH2이고, n은 0 또는 1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언급된 시이드상 재료가 종이, 직물 및 베니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장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언급된 아미노수지(I)가 유기용매에 가용성인 화장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언급된 아미노 화합물(A)중 카르보구아나민(a) 함량이 60 내지 100중량%의 범위내인 화장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언급된 아미노 화장품(A) 중 카르보구아나민(a) 함량이 95 내지 100중량%의 범위내인 화장판.
  6. 제 3 항에 있어서, 언급된 아미노수지(1)의 메탄올 혼화도 M1이 1 내지 200의 범위내인 화장판.
  7. 제 3 항에 있어서, 언급된 수지 조성물이 불포화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알키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를 또한 함유하는 화장판.
  8. 제 7 항에 있어서, 불포화된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알키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가 언급된 아미노수지(I)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50중량부 범위의 비율로 함유된 화장판.
  9. 제 1 항에 있어서, 아미노수지(I)가 물에 가용성인 화장판.
  10. 제 9 항에 있어서, 언급된 아미노 화합물(A)가 멜라민을 80 내지 20 중량% 함유한 화장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언급된 아미노화합물(A)가 멜라민을 40 내지 20중량% 함유한 화장판.
  12. 제10 또는 11항에 있어서, 언급된 아미노수지(I)의 메탄올 혼화도 M2가 30 내지 200의 범위내인 화장판.
  13. 제12항에 있어서, 언급된 아미노수지(I)의 메탄올 혼화도 M2가 90 내지 200의 범위내인 화장판.
  14. 제 1 항에 있어서, 언급된 포름알데히드가 언급된 아미노 화합물(A) 1몰을 기준으로,1,2 내지 10몰 범위의 비율로 사용되는 화장판.
  15. 필수성분으로서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르보구아나민(a)를 함유하는 아미노화합물(A)와 포름알데히드와의 반응으로 제조되는 아미노 수지(I)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시이트상 재료를 함침시키고, 이 함침된 시이트상 재료를 경화시킴으로써 수득된 수지-함침 시이트층이 기질과 일제화된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
    Figure kpo00012
    (I)
    식중, X는 CH2이고, n은 0 또는 1이다.
  16. 제15항에 있어서, 언급된 시이트상 재료가 종이, 직물 및 베니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
  17. 제15항에 있어서, 언급된 아니노 수지(I)가 유기용매에 기용성인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
  18. 제17항에 있어서, 언급된 아미노 화합물(A)중 카르보구아나민(a)함량이 60 내지 100중량%의 범위내인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
  19. 제18항에 있어서, 언급된 아미노 화합물(A)중 카르보구아나민(a)함량이 95 내지 100중량%의 범위내인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
  20. 제17항에 있어서, 언급된 아미노수지(I)의 메탄올 혼화도 M1이 1 내지 200의 범위내인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
  21. 제17항에 있어서, 언급된수지 조성물이 불포화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알키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를 또한 함유한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
  22. 제21항에 있어서, 불포화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알키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l종 이상의 수지가 언급된 아미노수지(I) 100중량부를 기준으로,10 내지 150중량부 범위의 비율로 함유된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
  23. 제15항에 있어서, 언급된 아미노수지(I)이 물에 가용성인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
  24. 제23항에 있어서, 언급된 아미노 화합물(A)가 멜라민을 80 내지 20중량% 함유한 화장용 오버레이드합판.
  25. 제24항에 있어서, 언급된 아미노 화합물(A)가 멜라민을 40 내지 20중량% 함유한 화장용 오버레이드합판.
  26. 제24 또는 25항에 있어서, 언급된 아미노수지(I)의 메탄올 혼화도 M2가 30 내지 200의 범위내인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
  27. 제26항에 있어서, 언급된 아미노수지(I)의 메탄올 혼화도 M2가 90 내지 200의 범위내인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
  28. 제15항에 있어서, 언급된 포름알데히드가 언급된 아미노 화합물(A) 1몰을 기준으로,1.2 내지 10몰 범위의 비율로 사용되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
KR1019880009151A 1987-07-21 1988-07-21 화장판 및 열경화성 수지를 표판으로 하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 KR940006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995387 1987-07-21
JP62-179953 1987-07-21
JP179,953/87 1987-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709A KR890001709A (ko) 1989-03-28
KR940006654B1 true KR940006654B1 (ko) 1994-07-25

Family

ID=16074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151A KR940006654B1 (ko) 1987-07-21 1988-07-21 화장판 및 열경화성 수지를 표판으로 하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98788A (ko)
EP (1) EP0300787A1 (ko)
KR (1) KR940006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9348A (en) * 1989-07-03 1992-02-18 Louderback Lauren G Precured laminate overlay
EP0436393A3 (en) * 1989-12-28 1993-03-10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Methods for manufacture of methylolated cyclohexanecarboguanamine and alkyletherification product thereof and laminated sheet using the products
US5536795A (en) * 1993-01-27 1996-07-16 Mitsui Toatsu Chemicals, Inc. Diguanamines and preparation process, derivatives and use thereof
EP0612797A3 (en) * 1993-02-24 1995-04-05 Mitsui Toatsu Chemicals Resin modification process.
EP0612777A3 (en) * 1993-02-24 1995-04-05 Mitsui Toatsu Chemicals Thermosetting foamable compositions.
US5648446A (en) * 1993-02-24 1997-07-15 Mitsui Toatsu Chemicals, Inc. Diguanamines and preparation process, derivatives and use thereof
US5360631A (en) * 1993-07-26 1994-11-01 Strauss Robert E Flexible wood article and method of its preparation
US5925211A (en) * 1997-04-21 1999-07-20 International Paper Company Low pressure melamine/veneer pan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887583B1 (en) 1997-04-21 2005-05-03 Nevamar Corporation, Llp Low pressure melamine/veneer panel
FR2771759B1 (fr) * 1997-12-02 1999-12-31 Arjo Wiggins Sa Feuille papetiere decorative et stratifie decoratif la comportant
US6461743B1 (en) 2000-08-17 2002-10-08 Louisiana-Pacific Corp. Smooth-sided integral composite engineered panel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JP4093425B2 (ja) 2005-04-26 2008-06-04 Tdk株式会社 積層基板の製造方法
FI20095493A (fi) * 2009-04-30 2010-10-31 Laminating Papers Oy Digitaalipainettu tuote sekä sen valmistusmenetelmä ja käyttö
RU2541003C1 (ru) * 2014-01-31 2015-02-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Тамб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ПО ТГТУ Декоративная плита на основе фанеры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1779A (en) * 1952-04-29 1956-09-04 American Cyanamid Co Method of making pulp pre-forms and products thereof
US2859188A (en) * 1956-11-26 1958-11-04 Monsanto Chemicals Hexahydrobenzoguanamine oil modified alkyd coating compositions
US3379661A (en) * 1965-10-21 1968-04-23 Plastics Mfg Company Molding composition containing a saturated alicyclic guanamine and cured articles ofimproved stain resistance and light resistance thereof
US3551272A (en) * 1967-05-09 1970-12-29 Monsanto Co Paper overlays and laminated materials
JPS5567460A (en) * 1978-11-16 1980-05-21 Osaka Soda Co Ltd Preparation of smoothly planed board
JPH0996086A (ja) * 1995-10-04 1997-04-08 Tohoku Munekata Kk 畳下敷き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98788A (en) 1990-02-06
EP0300787A1 (en) 1989-01-25
KR890001709A (ko) 198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6654B1 (ko) 화장판 및 열경화성 수지를 표판으로 하는 화장용 오버레이드 합판
DE69813887T2 (de) Cyclisches harnstoff-formaldehyd prepolymer zur verwendung in bindemitteln basierend auf phenol-formaldehyd- und melamin-formaldehyd-harzen
US4424261A (en) Hydroxyisopropylmelamine modified melamine-formaldehyde resin
US4264671A (en) Phenol formaldehyde resoles and laminates
JPS5956447A (ja) 芳香族スルホン酸・オキサ−アザシクロペンタン付加物によるアミノ樹脂の硬化
DE4139961A1 (de) Traenkharzloesung zum impraegnieren von papierbahnen
US3392082A (en) Modified melamine-formaldehyde resins modified with tris (2-hydroxyalkyl)isocyanurates and laminates made therewith
US4369286A (en) Modified aminoplast resins containing methylolmelamine etherified with a monoalcohol as modifier
US2773788A (en) Laminate and resinous composition
US4163835A (en) Preparation of electrolyte-free aminoplast resins
Shishlov et al. Synthesis of cardanol-containing resols for producing phenolic films: protective coatings for wood composites
US4543290A (en) Chemical resistant decorative laminates
GB1575667A (en) Rapid curing melamine-formaldehyde resin composition
US4043984A (en) Aminoplasts elasticized with benzoic acid esters
FI90250B (fi) Koostumus mineraalikuitujen liimaamista varten ja sen valmistusmenetelmä
US4076662A (en) Modified aminoplast compositions
Pizzi et al. Aminos
US3859243A (en) Melamine-formaldehyde resin containing 2-(2-aminoethoxy) ethanol
US4141872A (en) Rapid curing melamine-formaldehyde resin composition
US3369056A (en) Flame retardant phenolic resin compositions
US2665260A (en) Preparation of infusible resins of superior toughness and flexibility from a ketodiguanamine and formaldehyde
US5346937A (en) Modifying agents for thermosetting resins and thermosetting resins prepared using these agents
US4043954A (en) Compositions and laminates made therefrom
EP0003798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modifizierter Aminoplastharze
US2286228A (en) Modified dicyandiamide condensation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