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485Y1 - 도어 록(door lock) - Google Patents

도어 록(door 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485Y1
KR940006485Y1 KR92013162U KR920013162U KR940006485Y1 KR 940006485 Y1 KR940006485 Y1 KR 940006485Y1 KR 92013162 U KR92013162 U KR 92013162U KR 920013162 U KR920013162 U KR 920013162U KR 940006485 Y1 KR940006485 Y1 KR 940006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door
locking
rotary connecto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3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637U (ko
Inventor
김수장
Original Assignee
김수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장 filed Critical 김수장
Priority to KR92013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485Y1/ko
Publication of KR9400036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6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4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어 록(DOOR LOCK)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a도는 도어 록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고 b도는 a도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a도는 도어 록이 잠긴 산태의 사시도이고 b도는 a도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물쇠 2 : 회전통
3 : 스프링 4 : 자물쇠고정구
5 : 회전연결구 6 : 로크박스
7 : 내측손잡이 11 : 스프링
12 : 걸림봉 13 : 열쇠공
14 : 열쇠 15 : 회전판
16 : 걸림핀 17,18 : 구멍
19 : 자물쇠고정봉 21 : 손잡이
22 : 반원형연장부 51 : 걸림턱
52 : +자축 63 : 걸림봉
61 : 걸리봉동작구 62 : 걸림턱
64 : 고정핀 65 : 자물쇠결합공
본 고안은 문짝에 설치하여 문을 열거나 잠글때 사용하는 도어 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쇠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도어를 잠글 수 있도록 된 도어 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짝에 설치하여 문을 열거나 잠글때 사용하는 도어 록은 잠겨 있는 문을 열때도 열쇠를 사용하여 열고 또한 이와 반대로 문을 잠글때도 반드시 열쇠가 있어야만 문을 잠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 록은 문을 잠들때도 반드시 열쇠가 필요하기 때문에 예를들어 열쇠를 휴대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문을 잠글 수가 없게 되는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열쇠가 없어도 문을 잠글 수 있도록 된 도어는 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자물쇠와 자물쇠고정구, 로크상자 및 내측손잡이로 구성되는 통상의 도어 록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의 외부둘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손잡이와 반원형연장부를 가지고 있는 회전통과, 상기 회전통이 소정된 위치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걸림핀과, 걸림턱과 +축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회전통의 일방회전에 연동할 수 있도록 된 회전연결구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통과 이와 연동되는 회전연결구의 회전에 의하여 로크상자의 걸림봉작동구를 회전시켜 걸림봉이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을 제공하므로서 달성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물쇠(1)와, 상기 자물쇠(1)의 외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통(2)과, 상기 자물쇠(1)를 스프링(3)에 의하여 도어에 탄력있게 고정시키기 위한 자물쇠고정구(4)와, 상기 회전통(2)의 회전에 연동하는 회전연결구(5)와, 로크박스 (6) 및 내측 손잡이(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물쇠(1)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내부에는 다수의 스프링(11)과 걸림봉 (12)이 구비되어 있고 열쇠공(13)에 열쇠(14)를 삽입하여 걸림봉(12)의 위치를 일치시키므로서 회전판(15)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후측 수직벽의 비교적 상부에는 이 자물쇠(1)를 후술하는 로크박스(6)에 고정핀(64)에 의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17)과 회전통(2)이 소정된 위치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판(16)을 고정할 수 있도록된 구멍(18)이 뚫려있는 자물쇠고정봉(19)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통(2)은 상기 자물쇠(1)의 외부둘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비교적 전방의 외부에는 손잡이(21)가 돌출되어 있고 후방에는 반원형의 연장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자물쇠(1)는 스프링(3)과 자물쇠고정구(4)에 의하여 문짝에 탄력있게 설치되어 진다.
상기 회전연결구(5)의 외부둘레의 소정된 위치에는 상기 회전통(2)이 회전할때 이 회전통(2)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반원형의 연장부(22)에 걸려서 회전연결구(5)가 회전할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51)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에는 후술하는 로크박스(6)의 걸림봉작동구(61)에 결합되는 +자축(52)이 구비되어 있다.
문짝의 측면 내벽에 설치되는 상기 로크박스(6)는 통상의 것으로서, 일측벽에는 자물쇠결합공(65)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봉작동구(61)가 회전하면 이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걸림턱(62)이 회전하면서 걸림봉(63)을 출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은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내측손잡이(7)는 문짝의 안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 손잡이(7)를 돌리면 이에 고정된 +자축(71)이 상기한 로크박스(6)의 걸림봉작동구(61)를 회전시켜 걸림봉(63)을 출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8은 문짝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문짝에 설치할때는 제2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먼저 문짝(8)의 내부에 로크박스(6)를 삽입하여 고정시킨후 문짝(8)의 안쪽에는 내측손잡이(7)에 있는 +자축(71)을 로크박스(6)의 걸림봉동작구(61)에 일치시켜 내측손잡이(7)를 문짝에 고정시킨다.
그후 문짝(85)의 외측에서 걸림봉작동구(61)의 회전연결구(5)의 +자축(52)을 일치시켜 삽입하는 한편, 자물쇠(1)의 외부에 회전통(2)을 결합하고 이 회전통(2)의 외부둘레에 스프링(3)과 자물쇠고정구(4)를 결합하여 상기한 자물쇠(1)의 자물쇠고정봉(19)을 로크박스(6)의 자물쇠결합공(65)에 결합하여 로크박스(6)의 내측으로부터 고정핀(64)을 자물쇠고정봉(19)의 구멍(17)에 삽입하여 자물쇠(1)를 로크박스(6)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통(2)의 반원형연장부(22)에 회전연결구(5)의 걸림턱(51)이 걸릴 수 있도록 위치시킨 후 걸림핀(16)을 자물쇠고정봉(19)의 구멍(18)에 삽입하므로서 이 걸림핀(16)에 회전통(2)의 반원형연장부(22)가 걸려서 회전통(2)의 역회전 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작동도인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 및 제4도에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작동에 연관이 없는 자물쇠(1)의 자물쇠고정구(4), 스프링(3) 및 내측손잡이(7)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3도는 걸림봉(63)이 로크박스(6)의 내부로 몰입된 상태, 즉, 문이 열려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a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b도는 상기 a도의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문이 열려 있는 상태 (걸림봉(63)이 로크박스(6)의 내부로 몰입된 상태)에서는 회전연결구(5)의 +자축(52)은 로크박스(6)의 걸림봉작동구(61)에 삽입되어 있는 한편 상기 회전연결구(5)의 걸림턱(51)은 회전통(2)의 반원형의 연장부(22)에 걸려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문을 잠그고자 할때는 제4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21)를 잡고 회전통(2)을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통(2)의 반원형의 연장부(22)에 회전연결구(5)의 걸림턱(51)이 걸려 있으므로 상기 회전통(2)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연결구(5)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회전연결구(5)는 로크박스(6)의 걸림봉작동구(61)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걸림봉작동구(61)와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62)이 걸림봉(63)을 밀어서 걸림봉(63)이 로크박스(6)의 외부로 돌출되어 문이 잠길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통(2)을 역회전 시키더라도 걸림핀 (16)이 상기 회전통(2)의 반원형연장부(22)에 걸려 있으므로 회전통(2)은 제3도에 도시된 위치 이상으로는 회전할 수가 없게 되어 걸림봉(63)이 다시 로크박스(6)의 내부로 몰입되어 문이 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문을 열고자 할때는 종래의 방법 즉, 자물쇠(1)의 열쇠삽입공 (13)에 열쇠(14)를 삽입하여 열쇠(14)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와 연동하는 회전판(15)이 회전연결구(5)를 회전시키고 이에따라 회전연결구(5)가 걸림봉작동구(61)를 회전시켜 걸림봉(63)을 로크박스(6)의 내부로 몰입시켜 문을 열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문을 잠그는 동작을 회전통의 회전에 의하여 할 수 있으므로 열쇠가 없이도 문을 잠글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물쇠와 자물쇠고정구, 로크상자 및 내측손잡이로 구성되는 통상의 도어 록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1)의 외부둘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손잡이(21)와 반원형연장부(22)를 가지고 있는 회전통(2)과, 상기 회전통(2)이 소정된 위치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걸림핀(16)과, 걸림턱(51)과 +자축(52)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회전통(2)의 일방 회전에 연동할 수 있도록 된 회전연결구(5)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통(2)과 이와 연동되는 회전연결구(5)의 회전에 의하여 로크상자(6)의 걸림봉작동구(61)를 회전시켜 걸림봉(63)이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KR92013162U 1992-07-16 1992-07-16 도어 록(door lock) KR940006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162U KR940006485Y1 (ko) 1992-07-16 1992-07-16 도어 록(door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162U KR940006485Y1 (ko) 1992-07-16 1992-07-16 도어 록(door 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637U KR940003637U (ko) 1994-02-21
KR940006485Y1 true KR940006485Y1 (ko) 1994-09-24

Family

ID=19336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3162U KR940006485Y1 (ko) 1992-07-16 1992-07-16 도어 록(door 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4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637U (ko) 199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44405A (ja) コンテナ用ドア閉鎖ロッドの施錠装置
ES2154101A1 (es) Tirador.
ES2137797A1 (es) Conjunto de pomo.
RU2001100669A (ru) Затв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выборочным запиранием
KR940006485Y1 (ko) 도어 록(door lock)
KR950013225A (ko) 도어 개폐장치
KR940006486Y1 (ko) 도어 록(door lock)
US6484542B1 (en) Door handle lock
KR100421692B1 (ko)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KR102472379B1 (ko) 사물함 잠금장치
KR20110005319U (ko)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전기기기박스용 도어핸들구조
KR920005009Y1 (ko) 카드키 장치
KR19980065803A (ko) 록킹부의 방향 교환이 용이한 도어의 언록킹 장치
KR200185329Y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JPH061683Y2 (ja) コネクタ蓋の開閉機構
KR870003421Y1 (ko) 기 설정된 누름 선단부가 있는 제열쇠로만 개폐되는 안전 실린더록 장치
JPS5920533Y2 (ja) 文字合せ錠
KR200241031Y1 (ko)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KR100246427B1 (ko)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 및 방법
KR950007588Y1 (ko) 배달물 투입구의 덮개 잠금장치
KR100314258B1 (ko) 도어용 보조키의 해정 방지장치
JPH083625Y2 (ja) 扉用錠
JP2003278424A (ja) 錠付ドアガード
JP2514060Y2 (ja) 自動販売機
JP2001073599A (ja) ロータリー式シリンダー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