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421Y1 - 기 설정된 누름 선단부가 있는 제열쇠로만 개폐되는 안전 실린더록 장치 - Google Patents

기 설정된 누름 선단부가 있는 제열쇠로만 개폐되는 안전 실린더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421Y1
KR870003421Y1 KR2019850007136U KR850007136U KR870003421Y1 KR 870003421 Y1 KR870003421 Y1 KR 870003421Y1 KR 2019850007136 U KR2019850007136 U KR 2019850007136U KR 850007136 U KR850007136 U KR 850007136U KR 870003421 Y1 KR870003421 Y1 KR 8700034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afety
cylinder lock
connector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71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816U (ko
Inventor
노상기
Original Assignee
노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상기 filed Critical 노상기
Priority to KR20198500071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421Y1/ko
Publication of KR870000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8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4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4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03Details
    • E05B27/0017Tumblers or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17Key profiles
    • E05B19/0023Key profiles characterized by variation of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key and the tumbler pins or plat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 설정된 누름 선단부가 있는 제열쇠로만 개폐되는 안전 실린더록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실린더록에 열쇠를 삽입하기전 상태이고, (완전 폐쇄 상태).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실린더록에 열쇠를 삽입시킨 상태이며, (개방가능 상태).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예로한 변형실시예의 단면도.
제7a,b도는 제6도의 요부를 발췌 확대한 작동 상태도.
제8a,b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예로하여 다른 열쇠와 핀등의 도구를 삽입 하였을 때 개방이 안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본 고안은 각종 도어록에 장착되는 실린더록에 있어서, 제 열쇠외의 다른 열쇠로서는 절대 열수 없도록 고안된 기 설정된 누름 선단부가 있는 제 열쇠로만 개폐되는 안전 실린더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 동체와 회전체에 출몰핀 및 작동핀을 다수개씩 장설한 개폐동작부의 설치는 물론이고, 회전체와 백셋트핀 사이에 가동 접속구와 고정 접속구를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한 안전장치부를 구비하는 이중 구성으로 개폐 작동부의 출몰핀과 작동핀들이 수평일치되는 작동과 함께 안전 장치부의 가동 접속구를 고정접속구에 접속시킬 수 있는 누름 선단부가 병설된 제 열쇠를 사용하여야만 실린더록의 개폐 작동이 가능토록 개선시킨 것이다.
즉, 실린더 동체와 회전체에 장설된 개폐 작동부의 각 출몰핀과 작동핀만을 수평상태로 일치시켰을 때에는 회전체를 회동시킬수는 있겠으나, 백셋트핀은 회전시킬 수 없도록 하였음으로 실린더록의 개폐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또 안전 장치부의 가동 접속구만을 고정 접속구에 접속시켰을 때에는 개폐 작동부가 잠긴 상태로 남아있게 되어 회전체를 회동시킬 수 없게 하였음으로 실린더록의 개폐 작동이 전혀 안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실린더록의 개폐 작동부를 수평 일치상태로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 안전 장치부의 가동 접속구를 후퇴 작동시켜 고정접속구에 접속시킬 수 있는 누름선단부가 있는 제 열쇠를 사용해야만 하는 안전성이 배가된 실린더록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어록에 장착되는 실린더록의 제조 기술 단계에 있어서, 특히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실린더록의 제조기술 단계는 고도화된 상태에 이르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열쇠의 복사 기술 또한 매우 높아지고 있는 현 실정을 감안할 때 개폐작동부의 구성을 다수개의 작동핀과 출몰핀(또는 출물자석)을 장설하는 것만으로는 실린더록 장치의 완벽한 안전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 이었으며, 예로서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작동핀과 출몰핀으로 구성된 개폐 작동부를 갖는 종래의 실린더록은 이 분야에 고도의 기술을 터득한 사람(특히 열쇠복사 전문가)들은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하여 만든 2개의 만능핀을 사용하여 종래의 실린더록을 간단하게 개폐 조작할 수 있어서 그 안전성이 상당히 감소되어 왔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제반사항을 감안하여 그 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실린더록에 장설되는 다수개의 출몰핀과 작동핀으로 구성된 개폐 작동부와 가동 접속구와 고정 접속구로 구성된 안전장치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개폐 작동부를 수평 일치시킬 수 있는 노치부(notch部)가 형성되고, 이에 상응(상응(相應)하여 안전 장치부의 가동 접속구를 고정 접속구에 확실하게 밀접 이동시킬 수 있는 누름 선단부가 돌출 형성된 제 열쇠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다른 열쇠로 절대 열수 없도록하여 실린더록의 안전성에 신뢰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각 실시예와 같이 실린더동체(1)의 삽설공(1')에 삽입 설치한 회전체(2)에 각각 장설되는 다수개의 출몰핀(또는 영구자석)(3') 및 작동핀(3")으로 구성된 개폐작동부(3)와 상기 회전체(2)의 후단부에 직접 백셋트핀(4)을 연결 구성하여 노치부(또는 매몰 영구자석)(5')가 형성된 열쇠(5)로서 개폐 되도록한 실린더록에 있어서, 실린더동체(1)의 후측 연장부(1") 쪽인 삽설공(1') 후방에 일측에는 회전체(2) 후단 안내공(6)(6')에 삽치되는 안내봉(7)(7')과 요홈(8)을 타측에는 걸림돌부(9)의 돌봉(9')을 형성한 가동접속구(10)와 구멍(11) 및 피걸림요부(12)와 연결돌편(13)(13')이 양측에 형성되고 탄력핀(14)으로 탄지된 고정 접속구(15)를 스프링(16)으로 탄력설치한 안전장치부(17)를 설치한 구성과 그 안전 장치부(17)의 가동 접속구(10)를 밀어주는 누름 선단부(18)를 선단에 돌설한 열쇠(5)를 구비하여서되는 것과, 제6도 내지 제7도의 도시와 같이 실린더동체(1)의 연장부(1") 하부에 천공된 장공(19)에 풀림작동간(20')과 걸림간(20")이 돌설된 안전판(20)을 핀(21)으로 축착하여 스프링(22)으로 탄력 설치한 것으로, 회전체(2)의 열쇠 삽입홈(2')에 제 열쇠(5)를 삽입하지 않았을 때에는 풀림작동간(20')은 회전체(2)의 열쇠삽입홈(2')의 내부에 선단이 돌출된 상태로 있다가 제 열쇠(5)를 완전히 삽입하였을 때에는 제 열쇠(5)의 선단부에 밀려서 열쇠삽입홈(2')에서 완전히 벗어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이하 미설명부호 14'는 고정접속구(15)의 주면에 요설된 홈, 23과 24는 회전체(2)의 후측 주면에 환설된 환상홈과 이에 끼여지는 고정핀, 25와 26, 26'는 실린더동체(1) 후면에 부착되는 복개판과 체착보울트, 27은 안전장치부(17)의 고정접속구(15)의 돌편(13), (13')에 백셋트핀(4)을 연결하는 연결핀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각 실시예에 따라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동체(1)의 삽설공(1')을 하측으로 편심되게 천공하여 상방측에만 개폐 작동부(3)를 설치하고 열쇠(5)는 일측면에만 노치부(5')를 형성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본고안은 실린더동체(1)의 삽설공(1')에 삽입 설치된 회전체(2)의 환상홈(23)에 고정핀(24)을 탄지시켜서 회전체(2)의 회동이 가능하게 한 구성은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이나 그 후방 즉, 실린더동체(1)의 연장부(1")에 속하는 삽설공(1') 후측에 회전체(2)의 후단 안내공(6)(6')에 안내봉(7)(7')이 이동자재하게 삽지시킨 가동접속구(10)와 백셋트핀(4)을 연결시킨 고정접속구(15)를 스프링(16)을 탄력 설치한 안전장치부(17)를 설치하였음으로서, 제2도에 예시된 것과 같이 회전체(2)의 열쇠 삽입홈(2')내에 열쇠(5)를 삽입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출몰핀(3')이 실린더동체(1)와 회전체(2)의 각 구멍과 구멍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회전체(2)를 회전시킬 수 없음과 동시 스프링(16)의 탄발력에 의해 가동접속구(10)가 고정접속구(15)에서 이격된 상태로서 안전 장치부(17)도 풀린 상태가 되며, 제3도에 예시와 같이 열쇠 삽입홈(2')에 제열쇠(5) 즉, 기 설정된 누름 선단부(18)가 선단에 돌설된 열쇠(5)를 완전히 삽입하였을 경우에는 각 노치부(5')가 여러개의 작동핀(3")을 각각 알맞게 상승시켜서 각 작동핀(3")과 출몰핀(3')들은 회전체(2)와 실린더 동체(1)의 각구멍에 따로따로 위치하도록 분리시킴과 동시 열쇠(5)의 선단에 기 설정된 길이로 돌출된 누름 선단부(18)가 그 선단이 요홈(8)에 일치하여 가동접속구(10)를 후방으로 밀어줌으로 걸림돌부(9)와 피걸림요부(12)가 서로 밀접하게 삽입, 접속되는데, 안전 장치부(17)의 가동접속구(10)가 고정접속구(15)에 접속되었을 때 가동접속구(10)의 안내 돌봉(7)(7')은 회전체(2)의 후단 안내공(6)(6')에서 완전히 빠져나오지 않은 상태에 있게 됨으로서, 열쇠(5)를 회전시켜 회전체(2)를 회동시키게 되면 안내돌봉(7)(7')이 안내공(6)(6')에 걸려 있는 상태임으로서 회전체(2)의 회동에 따라서 안전 장치부(17)가 회동을 하게되어 고정접속구(15)의 연결돌편(13)(13')에 연결된 백셋트핀(4)이 회전을 하면서 록키봉(도시없음)을 출몰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고정접속구(15)를 탄지하는 탄력핀(14)은 고정접속구(15)가 회동을 하게되면 주면홈(14')에서 빠져나와 상승 하였다가 열쇠(5)를 원위치 회동시켰을 때 다시 주면홈(14')에 삽치되어 고정접속구(15)가 자체적으로 위치 이동하는 현상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본 고안의 실린더록에 기 설정된 누름 선단부(18)가 있는 제 열쇠(5)를 사용하지 않고 제8a도에 예시한 것과 같이 개폐작동부(3)만을 복사한 다른 열쇠(K)를 열쇠 삽입홈(2')에 삽입시켜 개폐작동부(3)를 수평상태(회전가능상태)로 일치시켰을 경우에는 회전체(2)는 회동시킬수는 있겠으나 가동접속구(10)가 고정접속구(1)에 접속되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체(2)의 회동과 같이 가동 접속구(10)만 회전하게 되고 고정접속구(15)는 회전을 않게 됨으로 백셋트핀(4)을 회전 조작할 수 없게되며, 이와 반대로 제8b도에 예시한 것과 같이 핀(9)등을 열쇠 삽입홈(2')에 집어 넣어 안전장치부(17)의 가동접속구(10)만을 밀어주어 고정접속구(15)와 접속시켰을 경우에는 개폐작동부(3)가 잠긴 상태가 됨으로서 이 또한 회전체(2)를 회동시킬 수 없기 때문에 백셋트핀(4)을 회전 조작할 수 없게 됨으로서 누름선단부(18)가 설정 길이로 제조된 제 열쇠(5)로서만 본 고안의 실린더록을 개폐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4도와 제5도와 도시된 바와 같이 열쇠(5)의 전, 후면에 노치부(홈)(5')를 형성하고 실린더동체(1) 상, 하부에 개폐작동부(3)를 설치한 제2실시예의 것이나, 열쇠(5)의 양측면에서 영구자석(5')을 매설하고 실린더동체(1) 내부 상, 하부에도 출몰하는 영구자석을 매설한 제3실시예의 것에 있어서도 그들의 실린더동체(1) 연장부(1")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동접속구(10)와 고정접속구(15)를 스프링(16)으로 탄설한 안전장치부(17)를 설치하고 그의 열쇠(5)의 선단부에도 역시 기 설정된 길이의 누름 선단부(18)를 돌출 형성하여 누름 선단부(18)가 가동 접속구(10)를 밀어 고정접속구(15)에 밀접하게 접속시킴과 동시 전후면의 노치부(5') 또는 양측면의 매설 영구자석(5')이 개폐작동부(3)를 수평일치시켜서 풀림상태가 되게 함으로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린더록 역시 안전 장치부(17)를 접속시킬 수 있는 누름 선단부(18)가 있는 제 열쇠(5)로서만 개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실시예를 예로한 제6도와 제7도와 같이 실린더 동체(1)의 연장부(1") 하부측에 장공(19)을 뚫고 핀(21)으로 축착한 안전판(20)을 스프링(21)으로 탄력설치한 것에 있어서는, 제 열쇠(5)를 열쇠 삽입홈(2')에 삽입하지 않았을 때에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판(20)의 풀림작동간(20')의 선단부가 열쇠 삽입홈(2') 후방 내측인 가동접속구(10)의 전방에 약간 튀어나온 상태이고, 걸림간(20")은 가동접속구(10)의 후면을 걸고 있는 상태로 있다가 제7(a)도와 같이 열쇠 삽입홈(2')으로 제 열쇠(5)를 집어넣어 누름선단부(18)가 가동접속구(10)의 전면 요홈(8)에 삽입되었을 경우에는 안전판(20)의 풀림작동간(20')은 제 열쇠(5)의 선단부에 약간 밀린 상태가 되어 안전판(20)이 밀리는 방향쪽으로 약간 회동을 하게되고 이에 따라 걸림간(20")은 가동접속구(10)의 후면에서 이격된 상태(가상선 부분 참조)가 됨으로서 가동 접속구(10)의 후퇴 이동이 원활한 상태가 되며, 제7(b)도와 같이 제 열쇠(5)를 완전히 삽입 시켰을 경우에는 가동접속구(10)의 걸림돌부(9)가 고정접속구(15)의 피걸림요부(12)에 완전히 들어가 안전장치부(17)가 확고하게 접속됨과 동시 개폐 작동부(3)역시 수평 상태로 일치되어 풀림상태가 되어 실린더록의 개폐작동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때 제 열쇠(5) 선단부에 완전히 밀려서 기립상태로 변화된 안전판(20)의 풀림 작동간(20')은 회전체(2)의 열쇠삽입홈(2')에서 완전히 벗어난 상태로 누름 선단부(18)에 의해 밀려난 가동접속구(10)가 처음 위치하고 있던 실린더동체(1)의 삽설공(1') 후측 공간부에 위치하고 있게 됨으로서 회전체(2)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게되는 것이며, 실린더록을 원위치시켜서 열쇠(5)를 열쇠 삽입홈(2')에서 빼내었을 때에는 안전판(20)은 원상태로 복귀하여 풀림작동간(20')은 열쇠 삽입홈(2')내에 튀어 나온 상태가 되고 걸림간(20")은 가동접속구(10)의 후면을 걸고 있게 되는데, 이때에는 제8a도와 같이 복사된 다른 열쇠(K)로서 개폐작동부(3)를 풀림상태로 조작하였다 하더라도 열쇠 삽입홈(2')내로 약간 돌출된 풀림 작동간(20')에 의하여 회전체(2)가 회동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제8(b)도와 같이 핀(P)등의 도구를 열쇠 삽입홈(2')에 집어넣어 가동접속구(10)를 밀어 주더라도 걸림간(20")이 이를 저지하고 있게 됨으로서 가동접속구(10)가 고정접속구(15)에 접속될 수 없게 됨으로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린더록은 제 열쇠(5)가 아니고서는 절대 열을수 없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종래의 실린더록을 연장하여 회전체의 후단 안내공에 삽치되는 안내돌봉과 백셋트핀을 연결하는 연결돌편 및 걸림돌부와 피걸림요부를 상호 대향지게 형성한 가동접속구와 고정접속구를 스프링으로 탄설시킨 안전장치부를 설치하는 이중 구성과 이에 상응하여 기 설정된 길이로 선단에 누름 선단부를 돌설한 열쇠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종래의 실린더록 종류보다 훨씬 많은 종류의 실린더록을 제조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판 구성의 첨가로 거의 유사하지 않은 수많은 종류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린더록은 절대 복사 열쇠 등등의 것으로는 절대 열수 없는 고도의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겸비한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실린더동체(1)의 삽설공(1')에 삽입된 회전체(2)에 개폐작동부(3)를 설치하고, 회전체(2)에 백셋트핀(4)을 직접 연결 구성하여 노치부(또는 영구자석)(5')가 형성된 열쇠(5)로서 개폐되는 실린더록에 있어서, 실린더 동체(1)의 연장부(1")쪽인 삽설공(1') 후방에 회전체(2) 후단 안내공(6)(6')에 삽치되는 안내봉(7)(7') 및 요홈(8)과 걸림돌부(9) 및 돌봉(9')을 양면에 형성한 가동접속구(10)과 구멍(11) 및 피걸림 요부(12)와 연결돌편(13)(13')을 양측에 형성하고 탄력핀(14)으로 탄지시킨 고정접속구(15)를 스프링(16)으로 탄력 설치한 안전장치부(17)를 설치한 구성과 공지의 노치부가 형성되고 가동접속구(10)를 밀어 안전장치부(17)를 접속시킬 수 있는 누름 선단부(18)가 돌설된 열쇠(5)를 구비하여서 된 기 설정된 누름 선단부가 있는 제 열쇠로만 개폐되는 안전 실린더록 장치.
  2. 제1항 기재에 있어서, 회전체(2)와 백셋트핀(4)을 실린더동체(1)의 연장부(1")내에 안내돌봉(7)(7') 및 요홈(8)과 걸림돌부(9)와 돌봉(9')을 양측 대설한 가동접속구(10)의 구성과 탄력핀(14)으로 탄지되고 피걸림요부(12)와 연결돌편(13)(13')을 양측에 내설한 고정 접속구(15)의 구성을 스프링(16)으로 탄설한 안전장치부(17)로 연결시켜서된 기 설정된 누름 선단부가 있는 제 열쇠로만 개폐되는 안전 실린더록 장치.
  3. 제1항, 2항 기재에 있어서, 실린더동체(1)와 그 연장부(1")내에 장설한 공지의 개폐작동부(3)와 안전장치부(17)를 동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노치부가 형성된 통상의 열쇠(5) 선단에 누름 선단부(18)를 돌설하여서된 기 설정된 누름 선단부가 있는 제 열쇠로만 개폐되는 안전 실린더록 장치.
  4. 제1항, 2항 기재에 있어서, 실린더동체(1)의 연장부(1") 하부측에 장공(19)을 천공하고, 이에 풀림작동간(20')과 걸림간(20")이 열쇠 삽입홈(2') 내부와 가동접속구(10) 후면에 각각 돌출, 괘지 하도록 안전판(20)을 탄설하여서 된 기 설정된 누름 선단부가 있는 제 열쇠로만 개폐되는 안전 실린더록 장치.
KR2019850007136U 1985-06-14 1985-06-14 기 설정된 누름 선단부가 있는 제열쇠로만 개폐되는 안전 실린더록 장치 KR8700034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7136U KR870003421Y1 (ko) 1985-06-14 1985-06-14 기 설정된 누름 선단부가 있는 제열쇠로만 개폐되는 안전 실린더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7136U KR870003421Y1 (ko) 1985-06-14 1985-06-14 기 설정된 누름 선단부가 있는 제열쇠로만 개폐되는 안전 실린더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816U KR870000816U (ko) 1987-02-20
KR870003421Y1 true KR870003421Y1 (ko) 1987-10-15

Family

ID=1924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7136U KR870003421Y1 (ko) 1985-06-14 1985-06-14 기 설정된 누름 선단부가 있는 제열쇠로만 개폐되는 안전 실린더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4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816U (ko) 198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65199A (en) Lock anti-pick device
EP0238360A3 (en) Electrically operated lock
US3599455A (en) Tumbler lock
KR0137881B1 (ko) 카드키를 이용한 시건장치
KR100299996B1 (ko) 열쇠및자물쇠시스템
CN1332111C (zh) 用于保险箱的卡扣式锁保持系统
KR870003421Y1 (ko) 기 설정된 누름 선단부가 있는 제열쇠로만 개폐되는 안전 실린더록 장치
KR920008300A (ko) 노치(notch)된 회전막대 자동정렬 단추와 설치 캐치(catch)를 갖는 키이-인(key-in) 문조립체
US6591644B2 (en) Ball bearing cylinder plug and key retention
JP4113714B2 (ja) ロータリーディスクタンブラー錠
KR200239178Y1 (ko) 가구용 자물쇠
KR890000815Y1 (ko) 캐비넷의 자물쇠와 괘정부의 연결장치
KR840001895Y1 (ko) 도어 개폐용 실린더정의 보조록킹 장치
KR200202460Y1 (ko) 도어록의 백세트
CN214835475U (zh) 一种把手面板锁螺旋式反锁结构
KR890005491Y1 (ko) 자물쇠
KR200217302Y1 (ko)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원통형 도어록
KR890002505Y1 (ko) 시건 장치
JP3511603B2 (ja) 自動ドアガード装置
KR200303972Y1 (ko) 도어의 잠금 장치
GB2089875A (en) Lock
KR870002463Y1 (ko) 셔터의 개폐장치
KR200191537Y1 (ko) 자물쇠의 해정 방지구조
KR200260112Y1 (ko)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자물쇠
KR970000663Y1 (ko) 자물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