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533B1 -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을 이용한 호출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을 이용한 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533B1
KR940005533B1 KR1019910017522A KR910017522A KR940005533B1 KR 940005533 B1 KR940005533 B1 KR 940005533B1 KR 1019910017522 A KR1019910017522 A KR 1019910017522A KR 910017522 A KR910017522 A KR 910017522A KR 940005533 B1 KR940005533 B1 KR 940005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lephone
call
level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295A (ko
Inventor
이계욱
하재홍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7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533B1/ko
Publication of KR930009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5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을 이용한 호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동일 회선에 접속된 복수대의 전화기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개요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C : 코드신호발생용 집적회로(KT3170)
Q1∼Q4 : 코드신호출력단자 S1~S4 : 딥스위치
G1∼G5 : 익스클루시브 OR게이트(EX-OR)
G6 : NOR게이트 TR1, TR2 : 트랜지스터
BUZ : 부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복수대 접속된 전화기 상호간의 호출 및 인터폰기능이 가능하도록 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교환기를 이용하지 않고 동일 회선에 연결된 복수대의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인터폰기능을 가능하게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일반적으로 전자교환기가 없이 동일 회선에 복수대의 전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착신통화시 전화를 받은 사람이 당사자가 아닌 때에는 당사자에게 직접 가서 전화를 받으라고 이야기하거나 또는 큰 소리로 알려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착신통화시에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을 누름으로써 동일회선에 접속된 다른 전화기에 호출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또 착신대기상태(통화중이 아닌 상태)에서 동일 회선에 접속된 전화기 사이의 인터폰기능이 가능하도록 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전화기로부터의 톤신호를 입력받아 그 신호에 대응되는 코드신호를 출력단자(Q1∼Q4)를 매개하여 출력하도록 된 코드신호발생수단(1)과, 4개의 딥스위치(S1∼S4)로 구성되어 장치의 고유번호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된 고유번호설정수단(2), 4개의 익스클루시브 OR게이트(G1∼G4) 및 NOR게이트(G6)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코드신호발생수단(1)으로부터의 코드신호와 상기 고유번호설정수단(2)으로부터의 고유번호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가 일치할 때 "H"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비교수단(3) 및, 이 비교수단(3)으로부터 "H"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면 호출신호를 발생시키는 호출신호발생수단(4)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작용]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화가 걸려왔을 때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을 누름으로써 동일 회선에 접속된 다른 전화기로 호출신호를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화중이 아닐 때에는 동일 회선에 접속된 다른 전화기를 호출하여 인터폰으로서도 사용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동일 전화회선에 접속된 복수대의 전화기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상기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전화기에 접속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장치(A,B,C,…)는 각각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에 대응되는 고유번호[예컨대, 장치(A)는 3(0011), 장치(B)는 #(1100), 장치(C)는 0(1010),…]가 장치내의 4개의 딥스위치(S1∼S4 : 제2도에 도시)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때, 전화가 걸려와서 예컨대 전화기(a)의 수신자가 전화를 받은 경우에 전화기(a)의 수신자가 당사자가 아닐 때에는 전화기(a)상에서 해당 전화기에 접속된 장치, 예컨대 장치(B)의 고유번호(#)를 누르면, 그 고유번호에 해당되는 장치(B)만이 동작하게 되어 호출신호가 발생되게 된다.
다음으로,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사용되는 코드신호발생수단으로서의 IC는 통상의 전자식 전화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CMOS-IC(KT3170)로서 입력단자(IN)를 매개하여 소정의 톤(TONE)신호가 입력되면 그 신호에 대응되는 디지털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인 바, 다이오드(D1∼D4)로 이루어진 브리지회로를 통해 장치내로 입력된 톤신호(0∼9, #. *)가 콘덴서(C1)에 의해 직류성분이 제거된 후 IC의 입력단자(IN)에 입력되면, 코드신호발생수단인 상기 IC는 입력된 톤신호에 대응되는 디지털데이타(코드신호)를 출력단자(Q1∼Q4)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IC에는 톤신호가 입력되지 않아도 상기 출력단자(Q1~Q4)로부터의 출력이 계속 유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톤신호가 입력될 때(즉, 전화기의 다이어버튼이 눌려져 있을 때)에만 상기 IC로부터 소정의 코드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단자(Q1~Q4)를 인에이블시키는 한편, 톤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즉,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이 눌려져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IC로부터 아무런 신호도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출력단자(Q1~Q4)를 디스에에블시키는 리세트회로(RST)가 IC의 단자(OE)를 매개하여 접속되어 있다.
즉, 상기 리세트회로(RST)는 IC의 단자중 톤신호가 입력될 때 "H"레벨로 되는 단자(DOS)와, "H"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면 출력단자(Q1∼Q)에 인에이블신호를 공급하는 단자(OE)를 이용하고 있는 바, 그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톤신호가 입력되면 단자(DOS)로부터 익스클루시브 OR게이트(G5 : 이하, EX-OR이라 칭함)에 입력되는 신호가 "H"레벨로 되고, 저항(R2)과 다이오드(D5) 및 콘덴서(C2)를 매개하여 상기 EX-OR(G5)에 입력되는 신호도 "H"레벨로 되어, 상기 EX-OR(G5)로부터의 출력이 "L"레벨로 된다. 다음, 이 "L"레벨의 신호가 인버터(NOT)에 의해 "H"레벨로 되어 단자(OE)에 입력되므로, 출력단자(Q1∼Q4)가 인에이블되어 상기 톤신호에 대응되는 디지털데이터(코드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한편, 톤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단자(DOS)로부터의 출력이 "L"레벨로 바뀌고, 저항(R2)과 다이오드(D5) 및 콘덴서(C2)로 구성된 회로로부터는 콘덴서(C2)의 방전에 의해 순간적으로 "H"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 EX-OR(G5)의 출력신호는 "H"레벨로 되므로, 단자(OE)에 입력되는 신호는 "L"레벨로 되고 따라 출력단자(Q1∼Q4)가 디스에이블되어 출력단자(Q1∼Q4)로부터 아무런 신호도 출력되지 않게 된다.
다음, 4개의 익스클루시브 OR게이트(G1∼G4)와 NOR게이트(G6)로 구성된 비교회로(3)에서는 상기 IC의 출력단자(Q1∼Q4)로부터 출력된 코드신호와 4개이 딥스위치(S1∼S4)에 의해 설정된 장치고유번호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H"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L"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비교회로(3)로부터 "H"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면, 트렌지스터(TR2 및 TR1)가 턴온되어 구동전압(V)이 부저 (BUZ)에 인가되므로 호출신호가 발생되게 된다.
한편, 상기 비교회로(3)에서의 비교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NOR게이트(G6)의 출력단으로부터 "L"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므로, 트랜지스터(TR2 및 TR1)가 오프상태로 되어 호출신호는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착신통화시의 호출기능에 대해 설명하였는 바, 착신대기상태(즉, 동일 회선에 접속된 복수대의 전화기가 모두 통화중이 아닐 때)에서는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을 이용하여 동일 회선에 접속된 다른 전화기를 호출한 후 인터폰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실시예가 가능한 바,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호출신호발생장치로서 부저를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그 대신 램프나 발광다이오드 등과 같은 발광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착신통화시 동일 회선에 복수대 접속된 상호간의 다이얼버튼을 이용한 호출이 가능하고, 또 착신대기상태에서는 복수대 접속된 전화기 상호간의 인터폰기능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3)

  1. 전화기로부터의 톤신호를 입력받아 그 신호에 대응되는 코드신호를 출력단자(Q1∼Q4)를 매개하여 출력하도록 된 코드신호발생수단(1)과, 다수개의 딥스위치(S1∼S4)로 구성되어 장치의 고유번호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된 고유번호설정수단(2), 다수개의 익스클루시브 OR게이트(G1∼G4) 및 NOR게이트(G6)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코드신호발생수단(1)으로부터의 코드신호와 상기 고유번호설정수단(2)으로부터의 고유번호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가 일치할 때 "H"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비교수단(3) 및, 이 비교수단(3)으로부터 "H"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면 호출신호를 발생시키는 호출신호발생수단(4)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을 이용한 호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신호발생수단(1)이 저항(R2)과 다이오드(D5), 콘덴서(C2), 익스클루시브OR게이트(G5) 및 인버터(NOT)로 구성된 리세트수단(RST)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을 이용한 호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트수단(RST)은 전화기로부터 톤신호가 입력될 때에는 "H"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출력단자(Q1∼Q4)를 인에이블시키는 한편, 톤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에는 "L"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출력단자(Q1∼Q4)를 디스에이블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을 이용한 호출장치.
KR1019910017522A 1991-10-07 1991-10-07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을 이용한 호출장치 KR940005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7522A KR940005533B1 (ko) 1991-10-07 1991-10-07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을 이용한 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7522A KR940005533B1 (ko) 1991-10-07 1991-10-07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을 이용한 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295A KR930009295A (ko) 1993-05-22
KR940005533B1 true KR940005533B1 (ko) 1994-06-20

Family

ID=1932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522A KR940005533B1 (ko) 1991-10-07 1991-10-07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을 이용한 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53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295A (ko) 199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3040A (en) Telephone feature assignment circuit
JPS5830783B2 (ja) デンワ ニ カンスル カイリヨウ
US4538029A (en) Apparatus for use with key telephone system with wireless telephone device
US4538028A (en) Apparatus for use with key telephone system with wireless telephone device
US5220601A (en) Keypad status reporting system
US4382163A (en) Microcomputer controlled key telephone line circuit
KR940005533B1 (ko)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을 이용한 호출장치
US5285495A (en) Push-button telephone dialing device with telephone hold function circuit
KR0133866B1 (ko) 전화용 반도체 집적 회로
KR930009851B1 (ko) 단축 다이알 기능을 갖는 전화기
KR920004613Y1 (ko) 게이트를 이용한 톤 링거회로
KR940007127Y1 (ko) 음성인식 자동 다이얼링 전화기의 인터페이스 회로
CA1145496A (en) Microcomputer controlled key telephone line circuit
SU141878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информации
SE513874C2 (sv) Biltelefon med en kortnummeranordning
KR950013298A (ko) 단일의 전화라인에 접속하는 브렌치 전화 장치 및 브렌치 전화기의 개별 호출 방법
KR960008564Y1 (ko) 사설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혼용회로
KR860000883B1 (ko) 키폰(Key Phone)의 회의 기능 회로
KR860002227Y1 (ko) 홈 키폰(Home Keyphone)의 대기음악 송출회로
KR0163874B1 (ko) 뮤트방지용 전화기
KR980013183A (ko) 전화기의 자동 호출 선로 설정방법
KR850002016Y1 (ko) 비데오 전화기의 잡음신호 제거회로
KR920006147B1 (ko) 전화로 타이머예약 기능을 갖는 텔레콘트롤 방법
KR860000116Y1 (ko) 전자식 간이 교환장치의 비상시 국선 전환장치
JPS6473947A (en) Telephon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