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016Y1 - 비데오 전화기의 잡음신호 제거회로 - Google Patents

비데오 전화기의 잡음신호 제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016Y1
KR850002016Y1 KR2019830009973U KR830009973U KR850002016Y1 KR 850002016 Y1 KR850002016 Y1 KR 850002016Y1 KR 2019830009973 U KR2019830009973 U KR 2019830009973U KR 830009973 U KR830009973 U KR 830009973U KR 850002016 Y1 KR850002016 Y1 KR 850002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circuit
signal
inverter
vide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9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533U (ko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30009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016Y1/ko
Publication of KR8500045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5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0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데오 전화기의 잡음신호 제거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적분회로 2 : 제1인버터
3 : 제2인버터 A : 론디코더
B : 1-1버퍼(Buffer)
본 고안은 비데오 전화기의 잡음신호 제거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호출자가 통화하기 위해서 번호판의 숫자를 눌렀을때에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시키기 위한 잡음신호 제거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비데오 전화기로 상대방을 호출하기 위해서 수화기를 들면 전면판에 설치된 카메라와 소형 TV가 온(ON)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호출자가 번호판의 숫자(전화번호)를 눌렀을 경우에 릴레이의 스프링 구조회로의 전압조건이 좋지 않을때 송수화기를 들어 올리거나 내릴때 턴온·턴오프에 의해 후크스위치의 접점이 폐회로 상태로 되기전에 여러번 미세한 개폐운동을 반복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접점의 수명을 단축시키기고 하고 부호의 신호파동을 일으키는 채터링 현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이때 호출자가 번화판에서 전화번호 첫째자리 숫자를 누르는 경우(2-1)과 같은 짧은 파장의 잡음신호와 긴파장의 정상신호가 채터링현상에 의해 동시에 발생되므로 제어 회로부에서 짧은 파장의 잡음신호에 의해서 전화 회선을 잘못 선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비데오 전화기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호출자가 문자판의 숫자를 눌렀을 경우 긴 파장과 그보다 더 짧은 파장의 펄스가 제어회로를 매개하여 톤디코더 회로에 입력되고, 톤 디코더회로에서 신호의 조합을 나타내는 1개의 신호로 출력되어 적분회로에 입력되므로 적분회로에서 시정수에 의해서 적분되며, 적분된 신호는 제1, 제2인버터를 통해서 파장이긴 정상신호보다 더 짧은 파장의 잡음신호를 제거하여 오동작을 방지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통상적인 톤 디코더회로(A)에 저항(R1)과 콘덴서(C1)로 구성되는 적분회로(1)를 연결하고, 상기 적분회로(1)에 저항(R2)과 트랜지스터(TR1) 및 다이오드(D1∼D4)로 구성되는 제1인버터(2)를 연결하며, 상기 제1인버터(2) 출력측에 저항(R3)(R4)과 트랜지스터(TR2)로 구성되는 제2인버터(3)를 결합시킨 구조로 되어있다.
미설명부호 B는 1 : 1 버퍼(Buffer)를 나타낸다.
제1도는 상기한 구조로 되어있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써, 비데오 전화기에서 호출자가 번호판의 상대방 전화번호의 첫째자리 숫자를 누르면(2-1)과 같은 신호가 전화회선을 통하여 제어회로부에 입력되는데 이때 제2도의(2-1)과 같은 신호는 디코더회로(A)에 의해서 신호의 조합을 나타내는 하나의 신호로 출력되므로 제2도의(2-2)와 같이 변경되어 적분 회로(1)에 입력된다.
(2-2)의 신호는 호출자가 번호판의 숫자를 누르는 경우보다 더 짧은 파장의 잡음신호와 번화판을 눌를때의 정상신호인 긴 파장의 펄스로 구분되고, 이러한 펄스는 저항(R1)과 콘덴서(C1)로 구성되는 적분회로(1)를 통해서(2-3)의 신호와 같이 미리정해진 시정수(R1C1)에 의해 적분된다. 이 때 시정수(R1C1)는 트랜지스터(TR1)의 턴온 전압 이하로 조정한다. (약 3V)
먼저, 호출자가 번호판의 숫자를 누르는 경우 채터링 현상에 의해서 발생한 파장의 펄스가 적분회로(1)에 입력되었을 경우 적분회로 내에서는 미리 정해 놓은 시정수(R1C1)에 의해 적분된 3V 미만의 파장이 짧은(2-3)과 같은 신호로써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입력되면 트랜지스터(TR1)의 동작전압이 VAE+다이오드 4개=0.6+(4×0.6)=3V이므로 미리 콘덴서(C1)와 저항(R1)의 시정수를 조정하여 3V미만으로 해 놓았으므로 트랜지스터(TR1)가 턴오프 상태로 되고, 즉 짧은 파장의 펄스가 저항(R2)과 트랜지스터(TR1) 및 다이오드( D1∼D4)로 구성된 제1인버터(2)에서(2-4)와 같은 하이상태로 반전되어 제2인버터(3)에 있는 PNP 형인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 되므로써 PNP형인 트랜지스터(TR2)는 턴오프되고 콜렉터 출력단에 다시(2-5)와 같이 로우상태로 반전되는데, 이는 번호판의 숫자를 누르는 경우보다 더짧은 파장, 즉 오동작의 원인인 잡음신호가 제거되어 1 : 1 버퍼(B)로 송출되어, 잡음이 없는 신호로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플립플롭으로 입력되어 전화번호를 선택하는데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호출자가 번호판의 숫자를 누르는 경우에 (2-2)의 긴 파장의 펄스가 발생하였을때 미리 정해진 적분회로(1)의 시정수(R1C1)에 의해 적분된 정상신호는(2-3)과 같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입력되면 정상신호의 전압이 트랜지스터의 동작전압 3V보다 높으므로 트랜지스터(TR1)가턴 온상태로 되고, 즉 긴파장의 펄스가 제1인버터(2)에 있는 다이오드(D1∼D4)의 전압과 트랜지스터(TR1)의 톤은 전압을 합한(3.0V)전압이상으로 제1인버터(2)의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 단자에는(2-4)와 같은 로우상태로 나타낸다.
이러한 로우상태는 제2인버터(3)에 있는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써 PNP형 트랜지스터(TR2)는 턴온되고,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 단자에는(2-5)와 같이 충분한 하이 상태로 변환되고, 이는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입력되는 충분한 하이상태만이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를 통해서 충분한 하이상태로 나타난다.
따라서, 호출자가 번호판의 숫자를 누르는 경우보다 더 짧은 파장의 잡음은 적분회로(1)와 제1, 제2인버터(2)(3)를 통해서 제거되고, 이와 달리 긴파장의 정상신호는 제1, 제2인버터(2)(3)를 통해서 충분한 하이상태로써 변경되어 1 : 1 버퍼(B)를 통해서 안정된 하이상태의 펄스가 송출되어, 플립플롭회로를 통해 호출자가 선택한 첫번째 전화번호가 선택된다.
나머지 자리의 숫자도 상기한 방법과 같이 동작되므로 호출자가 누르는 전화번호를 잡음신호에 의한 오동작없이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데오 전화기에서 호출자가 번호판을 누르는 긴파장의 정상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하고, 번호판을 누르는 경우보다 짧은 잡음이 적분회로(1)와 제1, 제2인버터(2)(3)를 통해서 제거되므로 교환기인 제어회로부에서 잡음신호에 의해서 전화 회선을 잘못 선택함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다.

Claims (1)

  1. 통상적인 톤 디코더회로(A)의 저항(R1)과 콘덴서(C1)로 구성되는 적분회로(1)를 연결하고, 상기 적분회로(1)에 저항(R2)과 트랜지스터(TR1) 및 다이오드(D1∼D4)로 구성되는 제1인버터(2)를 연결하며, 상기 제1인버터(2)출력측에 저항(R3)(R4)과 트랜지스터(TR2)로 구성되는 제2인버터(3)를 결합시켜서된 비데오 전화기의 잡음신호 제어회로.
KR2019830009973U 1983-11-25 1983-11-25 비데오 전화기의 잡음신호 제거회로 KR850002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9973U KR850002016Y1 (ko) 1983-11-25 1983-11-25 비데오 전화기의 잡음신호 제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9973U KR850002016Y1 (ko) 1983-11-25 1983-11-25 비데오 전화기의 잡음신호 제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533U KR850004533U (ko) 1985-07-22
KR850002016Y1 true KR850002016Y1 (ko) 1985-09-17

Family

ID=7015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9973U KR850002016Y1 (ko) 1983-11-25 1983-11-25 비데오 전화기의 잡음신호 제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0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533U (ko) 198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3547A (en) Loop-start/ground-start line interface circuit
CA1311270C (en) Power mosfet gate driver circuit
US3956596A (en) Circuit arrangements in telephone apparatus
US4321429A (en) Apparatus for selecting terminal equipment in telephone lines
EP0756409A1 (en) Spurious ting suppression device particularly for auxiliary ringers in socket telephone systems
KR850002016Y1 (ko) 비데오 전화기의 잡음신호 제거회로
US3881069A (en) Telephone call loudspeaker monitoring and relay control circuit
US3969591A (en) Circuit for preventing impulse generation by operating a hook switch in a telephone set
GB2076264A (en) A voice switch for hands free communication apparatus
US4313037A (en) Telephone station set with improved flash signalling
US3426159A (en) Pulse corrector
US3612773A (en) Electronic frequency switching circuit for multifrequency signal generator
US5317634A (en) Telephone subset arrangement
KR930007929Y1 (ko) 전화기의 재다이얼링회로
KR940007127Y1 (ko) 음성인식 자동 다이얼링 전화기의 인터페이스 회로
US3484558A (en) Pulse corrector circuit for single frequency signaling system
US5157720A (en) Dialler chip mode signal
KR940005533B1 (ko)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을 이용한 호출장치
KR920000354Y1 (ko) 비디오 신호용 클램프 회로
JP2667814B2 (ja) 呼出信号送出回路
US4001708A (en) Code-controlled ringer attachment for telephones including a-peak-to-peak gain controlled amplifier
JPS6211099Y2 (ko)
KR860000882B1 (ko) 직통식 시외전화 도용방지장치
JP2506658B2 (ja) ボタン電話装置
KR940008202Y1 (ko) 전화기에서의 자동 재다이얼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6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