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935Y1 - 끈 편직기 - Google Patents

끈 편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935Y1
KR940004935Y1 KR92015159U KR920015159U KR940004935Y1 KR 940004935 Y1 KR940004935 Y1 KR 940004935Y1 KR 92015159 U KR92015159 U KR 92015159U KR 920015159 U KR920015159 U KR 920015159U KR 940004935 Y1 KR940004935 Y1 KR 9400049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yarn
rod
guide hole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5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667U (ko
Inventor
이상성
Original Assignee
이상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성 filed Critical 이상성
Priority to KR92015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935Y1/ko
Publication of KR9400056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6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9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9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5/00Twist or bobbin-net lace-making machines
    • D04C5/26Auxiliary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5/00Twist or bobbin-net lace-making machines
    • D04C5/24Driving-gear; Starting or stopp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끈 편직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측면을 나타낸 편직 설명도.
제4도는 제2도 및 제3도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해 편직 상태를 나타낸 끈 편직 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종래의 끈 편직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7도는 끈 부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절체 2 : 안내봉
4 : 가이드 5 : 회전체
6,6-1,6-2 : 직사각안내공 7 : 후
8 : 지주봉 9 : 안내구
11 : 고정봉 12 : 만곡요부
30 : 원사
본 고안은 통상의 끈 편직기(일명 팔사기)를 개량하여 끈 부재의 앞. 뒤면이 일정한 면에 위치되고 편직상태가 매우 정결한 편직을 이루도록한 끈 편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끈편직은 일명 팔사기(본원 제1도의 상태. 본 고안 요부가 없는 상태)에 의해 편직되어 왔다.
여기서 편직되는 끈은 파이프형 끈으로서 좀더 상세히 볼때 끈 내면에 봉체가 형성되고 이 봉체의 외주면을 입히도록 하는 것 또는 상기 내부가 중공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편직되어오다가 근자에 와서 이를 개량시켜 소망의 끈 편직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끈부재는 제6도 내지 제7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3개의 부재끈을 서로 교차시켜 엮어서 편직되는 것이며 특히 여성의 머리꼬임형으로 편직되는 것이다.
상기의 끈부재는 근자에 와서 여성용 핸즈백끈 또는 남성구두장식용 끈등으로서 장식용에 극히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서 작업자가 수공의 방법으로 제6도 도시의 끈을 제작하여 왔으나 상기의 끈은 끈부재 즉, 엷은 가죽 또는 레저를 3등분하여 이면에 접합부를 가지는 접합부가 일면에 위치되도록 하는 공정과 간결한 정렬을 많은 작업시간이 요구되고 있어 작업능률이 극히 저조하여 왔다.
따라서 이를 자동화기계로서 편직하고자 하여공지의 팔사기를 이용한바 있다. 이와 같은 기계는 통상의 팔사기를 거의 그대로 모방함으로 제7도에서와 같은 끈을 편직하게 되었다.
상기 제7도 도시의 끈은 도면에 잘 표현된 바와같이 이면의 접합부 표시가 끈의 앞.뒤면에 교차되어지고 있어 장식용 끈으로서의 가치 하락을 초례하고 그 상품의 질을 하락시키는 요인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코저하여서 안출된 것으로서 통상의 팔사기를 극히 제한적으로 개량함으로서 제작이 편리하고 끈부재의 접합부가 끈 뒷면에 위치되는 반면 전면에는 접합부의 표시가 돌출되지 않아 끈의 미려함으로 상품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그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착.탈클러치(20)을 구성한 구동부(21)에 의해 "∞"자형 안내공(22)을 뚫은 안내판(23)상에 끈부재 원사(30), 공급부(24)을 연동하고 또한 구동부(21)의 구동축(25)으로 당김장치부(26)을 연동시키며 일측에 수동장치부(27)을 구성하여서 되는 통상의 팔사기에 있어 상기 원사(30), 안내봉(2)과 보빈(3) 가이드(4)를 일체로 형성한 회전체(5)의 안내봉(2)에 사각안내공(6)을 형성 보빈(3)의 원사(30)가 이 사각안내공(6)을 통과하여 삼각봉의 안내봉(2) 유착된 추(7)의 하중을 받아 안내봉(2) 상부의 또다른 안내공(6-1)으로 상부로 연결되게 하고 안내판(23)의 안내공(22) 중심부에 절곡지주봉(8)을 돌설시켜 끝단에 구형의 안내구(9)을 고정하며 기체(10)에 체결된 고정봉(11)에 의해 고정되는 꼬임방지조절체(1)는 저면측에 만곡 요부(12)와 안내공(6-2)을 형성시켜 상기 구형의 안내구(9)와 끈부재의 원사(30) 폭보다 작은 간격으로 형성시켜서 구성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31은 편조된 장식용끈이며 32는 원사의 접합연결부, 33은 클럿치손잡이, 34는 수동손잡이, 35는 보빈지지체를 표현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지와 같이 보빈(3)에 원사(30)를 감아 공급부(24)의 가이드(4)에 힌지구성하고 공급원사(30)을 가이드(4)와 같이 구성된 안내봉(2)에 천공된 직사각 안내공(6)을 관통 안내봉(2)의 상단 안내공(6-1)으로 인출하되 슬립요부를 형성한 추(7)를 상기 안내봉(2)에 슬라이드되게 유착시켜 제2도에서와 같이 상기 추(7)가 원사(30a)(30b)(30c)를 하향으로 탄력이 유지되게 각 회전체(5)를 구성하며 상기 회전체(5)에서 인출된 원사(30a)(30b)(30c)가 기체(10)에 체결된 고정봉(11)에 의해 고정된 꼬임방지조절체(1)의 저면 만곡요부(12)을 통과 중심안내공(6-2)을 관통 당김장치부(25)에 의해 당겨지도록 하여 본 고안의 팔사기를 가동하게 되면 구동모우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21)에 의해 클럿치(20)을 "온"하면 공지와 같이 안내판(23)의 "∞"자형 안내공(22)에 구성된 상기 끈부재원사공급부(24)의 회전체(5)는 제3도 및 제4도의 화살표방향으로 각 회전체(5)가 회전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공급원사(30a)는 제2도에서와 같이 제2원사(30b)가 안내구(9)로 슬라이드되면서 상향이동되어 상향과 원사(30b)의 꼬임을 방지 이동되고 제3공급원사(30c)는 상기 제1원사(30a)의 밑으로 이동되면서 제3원사(30c) 안내구(9)에서 하향되며 제1원사는 제2원사(30b)의 상향으로 제2 제3원사(30b)(30c)밑을 지나 제3원사(30c)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서 제1원사가 안내구(9)에 의해 상향시 제1원사 밑으로 제2원사의 위치로 이동되며 제2원사는 제1원사와 제3원사의 위치로 순차적 이동한다. 이상의 작동은 공지의 구성에 의하므로서 더욱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도에서는 안내봉(2)과 원사(30a)(30b)(30c)의 공급 및 꼬임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원사(30a)(30b)(30c)는 보빈(3)에서 안내봉(2)의 직사각안내공(6)을 거치면 전, 후면이 안정되고 안내봉(2) 슬라이드 추(7)는 상기 원사(3)가 항상 일정무게로 당겨진다.
이와 같은 원사(30a)(30b)(30c)은 꼬임부에서 원사(30a)(30b)(30c)가 앞.뒤 바뀌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안내구(9)와 조절체(1)의 만곡요부(12)의 간격(A)는 꼬임부에서 원사(30)가 전후 뒤집힘을 방지한다.
즉, 추(7)에 의해 탄력을 가진 원사(30)는 안내구(9) 상부와 만곡요부(12)의 간격(A)에서 소망의 전,후면으로 이동되면서 저면으로 이동되는 원사(30a)(제1원사)의 지지를 받으면서 측면 절두되어 원사(30a)가 전,후면이 그대로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끈 부재에 접합부가 일정면에 위치됨으로서 그 이면은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하여 상품의 질을 높여 여러용도의 부재로 활용될 수 있는 고가치의 원자재를 공급할 수 있으며 종래의 수가공을 자동화한 기계인 것이다.

Claims (1)

  1. 착.탈클러치(20)을 구성한 구동부(21)에 의해 "∞"자형 안내공(22)을 뚫은 안내판(23)상에 끈부재 원사(30), 공급부(24)을 연동하고 또한 구동부(21)의 구동축(25)으로 당김장치부(26)을 연동시키며 일측에 수동장치부(27)을 구성하여서 되는 통상의 팔사기에 있어 상기 원사(30), 안내봉(2)과 보빈(3) 가이드(4)를 일체로 형성한 회전체(5)의 안내봉(2)에 사각안내공(6)을 형성 보빈(3)의 원사(30)가 이 사각안내공(6)을 통과하여 삼각봉의 안내봉(2)에 유착된 추(7)의 하중을 받아 안내봉(2) 상부의 또다른 안내공(6-1)으로 상부로 연결되게 하고 안내판(23)의 안내공(22) 중심부에 절곡지주봉(8)을 돌설시켜 끝단에 구형의 안내구(9)을 고정하며 기체(10)에 체결된 고정봉(11)에 의해 고정되는 꼬임방지조절체(1)는 저면측에 만곡 요부(12)와 안내공(6-2)을 형성시켜서 상기 구형의 안내구(9)와 끈부재의 원사(30) 폭보다 작은 간격으로 형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끈편직기.
KR92015159U 1992-08-12 1992-08-12 끈 편직기 KR9400049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159U KR940004935Y1 (ko) 1992-08-12 1992-08-12 끈 편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159U KR940004935Y1 (ko) 1992-08-12 1992-08-12 끈 편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667U KR940005667U (ko) 1994-03-18
KR940004935Y1 true KR940004935Y1 (ko) 1994-07-23

Family

ID=19338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5159U KR940004935Y1 (ko) 1992-08-12 1992-08-12 끈 편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9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667U (ko) 199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173343A (ja) 円形編み機用の複合針集合体
JPH09256247A (ja) 輪 針
US10100443B2 (en) Loom and method for creating an article
KR100933949B1 (ko) 스텐트-그래프트의 제조방법
US2150187A (en) Hand driven weaving loom for home work
JPH01321956A (ja) 丸経編複合コード
KR940004935Y1 (ko) 끈 편직기
CN106835479B (zh) 一种输纱器的张力器
KR920004241B1 (ko) 팬티스타킹등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US3354672A (en) Connecting means
US4344307A (en) Thread control means in a textile machine
CN204370136U (zh) 一种经编小样机
EP0794277A1 (en) Double-thread chain-stitch sewing machine
US4866953A (en) Support for knitting needles
CN1049387A (zh) 生产紧身裤或连袜裤类全成型针织产品的针织机
US2996903A (en) Four yarn cross color overplaid knitting machine and method of knitting
US4064610A (en) Method of and means for forming floral puffs
JPS63501727A (ja) 刺繍縫い機用装具
US2075213A (en) Article covering machine
CN208685189U (zh) 一种缝纫机润滑压脚杆结构
US5542268A (en) Hand knitting apparatus and method
CN207452417U (zh) 一种缝纫机布料夹持装置
KR940008523Y1 (ko) 관형끈 편직기
JPH02277862A (ja) 編み機の針を選択し制御するための機構、編み機のための針、および編み機
CN218596677U (zh) 一种多角度出线的绕线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