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905Y1 - 블라인드(blind) - Google Patents

블라인드(bli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905Y1
KR940004905Y1 KR92002129U KR920002129U KR940004905Y1 KR 940004905 Y1 KR940004905 Y1 KR 940004905Y1 KR 92002129 U KR92002129 U KR 92002129U KR 920002129 U KR920002129 U KR 920002129U KR 940004905 Y1 KR940004905 Y1 KR 9400049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blocking plate
outside
micropores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2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963U (ko
Inventor
조형래
Original Assignee
조형래
주식회사 일신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래, 주식회사 일신전기 filed Critical 조형래
Priority to KR92002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905Y1/ko
Publication of KR9300199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9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9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03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블라인드(blind)
제 1 도는 본고안의 사용상태 발췌 사시도이다.
제 2 도는 제 1a 도부를 확대시킨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라인드 2 : 차단판
3 : 미세공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직사광선을 차양하기 위한 블라인드(blind)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차단판에 미세한 구멍을 일정간격으로 다량 형성 분포시켜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직사광선을 차단판상에서 차단시켜 실내로 직사광선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하되 보다 실내를 환하게 할 수 있는 블라인드(blind)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생활용품 또한 급속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빛을 차양해주는 블라인드에 있어서도 여러가지 특징을 갖는 블라인드가 많이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종래에는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블라인드를 설치하고 블라인드에 형성된 차단판을 수평과 일정한 각도로 하향하게 설치하고 블라인드 전체를 올려서 사용하여 왔지만,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블라인드를 설치한 후 창문을 열게될 경우 바람이 불게 되면 블라인드 차단판에 바람이 차단되게 되므로 블라인드 자체가 요동하게 되어 많은 소음이 발생함에 따라 실내에 있는 사람들이 신경을 쓰게 되어 업무의 방해요인이 되었고,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해 차단판을 하향 조정할 경우 실내가 어둡게 되므로 낮에도 조명을 하게 되어 경제적 이지 못하였다. 뿐만아니라 차단판을 하향 조절할 경우 실내에서 외부가 보이지 않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더욱 무덥고 무료한 느낌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에서 외부 관찰시 별도의 조작없이 외부를 쉽게 볼수 있고 직사광선을 차단하되 실내의 조도를 향상시켜 절전의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창문을 열었을때 바람에 의한 요동 및 소음 없는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발췌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제 1 도의 a부를 확대시켜 나타낸 평면도이다.
먼저,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체에 미세공(3)을 일정간격으로 다량 형성 분포하여 차단판(2)을 제조한 다음, 통상의 블라인드 제조방법으로 블라인드(1)를 제조하였다. 미세공(3)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할 수 있으며, 미세공(3)의 크기는 단위평방센티미터당 총 0.08~0.20㎟이 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직사광선이 투과되지 않으면서 가능한한 큰 것일수록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미세공(3)의 형상이 원형일 경우에는 20~50개/㎠의 갯수로, 단위 미세공(3)의 크기는 지름이 0.5~1mm인 것이 효과적이다. 차단판(2)의 재질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과 같이 본원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차단판(2)을 이용하여 제조한 블라인드(1)를 창틀에 설치한 후, 차단판(2)을 수평과 일정 각도가 되도록 하향시키게 되면 직사광선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은 차단판(2)의 미세공(3)에서 난산란현상이 발생하여 직접 투과하지 못하고 산란된 빛이 미세공(3)을 통해 실내로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블라인드(1)는 미세공(3)을 통하여 산란된 빛이 실내로 투과되므로 실내의 조도가 높아지게 되어 평상시에도 조명을 해야만 하는 종래의 블라인드 사용시 문제점을 해결하여 항상 밝은 상태의 실내가 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경제적이고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또한, 내부에서 외부를 보고자 할때에는 차단판(2)을 별도로 조작할 필요 없이 차단판(2)에 다량 형성 분포된 미세공(3)을 통하여 외부를 관찰할 수 있게 되며 외부에서는 차단판(2)이 하향되어 있고 미세공(3)이 외부로부터 관찰될 수 없기 때문에 전혀 보이지 않게 되어 외부로부터 시선을 막을 수 있으며, 창문을 열어놓았을때 불어오는 바람이 미세공(3)을 통과하게 되므로 블라인드(1)의 유동이 없고 실내는 시원한 통풍효과 또한 높일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체에 미세공(3)을 일정 간격으로 다량 형성시켜 제조한 다수개의 차단판(2)을 조립,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blind).
  2. 제 1 항에 있어서, 미세공(3)은 지름이 0.5~1mm인 원형이며 평방센티터미터당 20~50개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blind).
KR92002129U 1992-02-14 1992-02-14 블라인드(blind) KR9400049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2129U KR940004905Y1 (ko) 1992-02-14 1992-02-14 블라인드(bli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2129U KR940004905Y1 (ko) 1992-02-14 1992-02-14 블라인드(bli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963U KR930019963U (ko) 1993-09-24
KR940004905Y1 true KR940004905Y1 (ko) 1994-07-22

Family

ID=19328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2129U KR940004905Y1 (ko) 1992-02-14 1992-02-14 블라인드(bli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9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963U (ko) 199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82087B (zh) 一种自动调节通风量的通风装置
US6550937B2 (en) Louvered screen to control light
EP0020296A1 (de) Verfahren und Mittel zur Steuerung der Strahlungsenergie im gesamten spektralen Bereich in Räumen
Alawadhi Double solar screens for window to control sunlight in Kuwait
KR940004905Y1 (ko) 블라인드(blind)
JP2001027080A (ja) 直接光遮蔽装置
US6176289B1 (en) Blind system for windows
JP2011006854A (ja) 目隠しルーバー
KR20200012661A (ko) 차단성이 강화된 우드 블라인드
JP2000154688A (ja) ルーバー
KR20090047414A (ko)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
CN209837583U (zh) 一种新型地下室玻璃采光井
KR200428531Y1 (ko) 커튼이 부설되는 버티칼 블라인드
JP2016223249A (ja) 目隠しルーバー
KR200417841Y1 (ko) 창문용 빗물 차단장치
US2053220A (en) Slat for venetian blinds
JP3098637U (ja) ルーバー装置とこれに用いるルーバー。
KR101668746B1 (ko) 채광용 블라인드
KR100791556B1 (ko) 커튼이 부설되는 버티칼 블라인드
Coch et al. The Mediterranean blind: Less light, better vision
DE102011078079A1 (de) Tageslichtrolladen V
JP2005290688A (ja) 雨の降り込まない網戸用通風雨具
KR200329042Y1 (ko) 휘날리지 않는 암막 블라인드
Mardaljevic et al. Neutral daylight illumination with electrochromic glazing: Simulation of ‘light mixing’
KR20240009669A (ko) 경관 기능이 있는 버티컬 블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