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786B1 - 방전램프 점등장치 - Google Patents

방전램프 점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786B1
KR940004786B1 KR1019910012728A KR910012728A KR940004786B1 KR 940004786 B1 KR940004786 B1 KR 940004786B1 KR 1019910012728 A KR1019910012728 A KR 1019910012728A KR 910012728 A KR910012728 A KR 910012728A KR 940004786 B1 KR940004786 B1 KR 940004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lamp
power supply
transistor
temperatur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495A (ko
Inventor
미츠토시 가무라
가츠아끼 나까노
요시노부 오노데라
아끼오 이시즈까
요시노리 사토오
Original Assignee
도오시바 라이텍쿠 가부시끼가이샤
쯔루오 쯔도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시바 라이텍쿠 가부시끼가이샤, 쯔루오 쯔도무 filed Critical 도오시바 라이텍쿠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7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7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9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 H05B41/39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 H05B41/3921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 H05B41/3927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by pulse 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9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 H05B41/39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4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high frequency ac, or with separate oscillator frequenc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전램프 점등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방전램프 점등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변 안정화 전원 2 : 인버어터 회로
3 : 방전램프 4 : 온도검지회로
본 발명은 저온시에는 램프 전류의 하한값을 변화시키는 방전램프 점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전램프 점등장치로써는, 예를 들면 밧데리 전원 사용시때 또는 상용 교류전원 사용시의 어느것인가에 의하여, 램프 전류를 변화시킬 수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예를 들면 상용 교류전원 사용시에는 소비 전력은 특별한 마음이 없이, 방전램프의 휘도를 높이고, 밧데리 전원 사용시에는 방전램프의 휘도를 약간 어둡게 하여 소비전력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방전램프의 램프전류를 적게하면, 저온시에 방전램프가 꺼지는 일이 생긴다던지, 반대로 방전램프 전류값을 어느정도 높은 값으로 하면, 소비전력을 충분하게 억제할 수 없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방전램프의 전류값을 낮추어 소비전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저온시에도 방전램프의 꺼짐을 일으키지 않는 방전램프 점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전램프 점등장치는, 방전램프의 램프 전류값을 적어도 2단계 이상 설정 가능한 전원 수단과,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이 온도 검출수단에 온도가 소정이하로 되고, 또한 상기 전원 수단에 의하여 램프 전류값이 소정값 이하로 설정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전원 수단에 의하여 설정되는 램프 전류의 하한값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전램프 점등장치는, 전원 수단에 의하여 설정되는 램프 전류의 하한값의 변화는, 하한값을 높게 변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 수단으로 방전램프 전류값을 2단계 이상으로 가변 설정한다.
그리고, 온도 검출수단으로 온도를 검출하고, 램프 전류값이 전원수단으로 소정값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온도가 소정값 이하로 하면, 램프 전류의 하한값을 변화시키어, 저온시에 저램프 전류에 의하여 방전램프가 꺼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통상시의 램프 전류를 낮게 억제할 수가 있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전램프 점등장치는 램프 전류의 하한값을 높이므로써, 저온시에도 방전램프가 꺼지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방전램프 점등장치의 1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Vcc단자 및 GND 단자 사이에는, 푸우즈(F1)를 개재하여 필터로써의 콘덴서(C1) 및 전해 콘덴서(C2)가 나란하게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해 콘덴서(C2)에는 전원 수단으로서의 가변안정화 전원(1) 및 인버어터회로(2)가 종속 접속되고, 이 인버어터회로(2)에는 방전램프(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변안정화 전원(1)에는, 온도 검출수단으로서의 온도 검지회로(4)가 접속되어 있다.
가변 안정화 전원(1)은, 퓨우즈(F1)에 평활(平滑)용의 인덱터(L1), 정류용 다이오드(D1), 온 오프용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가 접속되고, 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에미터 사이에는 바이어스(R1)가 접속되고, 베이스는 저항(R2)을 통하여 온·오프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인덱터(L1)에는 저항(R3) 및 다이오드(D2)의 직렬회로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퓨우즈(F1) 및 인덕터(L1)의 접속점에는, 트랜지스터(Q2)의 에이터가 접속되고, 이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 베이스 사이에는 바이어스 저항(R4)이 접속되고, 베이스는 저항(R5) 및 저항(R6)을 통하여 온·오프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Q2)의 코렉터, 제너 다이오드(ZD1), 저항(R7), 저항(R8) 및 다이오드(D3)를 통하여 GND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인덱터(L1) 및 다이오드(D1)의 접속점에는, 듀티비를 변화 시키므로써 가변안정화 전원(1)의 출력을 변화시키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3)의 드레인이 접속되고,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3)의 소스는 GND단자에, 소스, 드레인 사이에는 저항(R9)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다이오드(D1)를 통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3)의드레인과, 소스와의 사이에는, 콘덴서(C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Q1)의 코렉터와, GND 단자와의 사이에는 저항(R10), 가변저항(R11) 및 고정저항(R12)의 직렬회로와, 전해 콘덴서(C4)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IC1은 예를 들면 테키사스인 스츠럴멘트사 제품의 TL494형의 IC칩이며, 이 IC칩(IC1)의 단자(1)는 콘덴서(C5)를 통하여 GND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2) 및 단자(3) 사이에는, 저항(R13) 및 콘덴서(C6)가 병렬로 접속되고, 단자(4)는 저항(R7) 및 저항(R8)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단자(5)는 콘덴서(C7)를 통하여, 단자(6)는 저항(R14)를 통하여, 단자(7), 단자(13) 및 단자(16)는 그대로, 각각 GND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단자(8)는 단자(11)와 함께, 저항(R15) 및 콘덴서(C8)의 병렬로 통하여, 단자(12)는 그대로, 각각 트랜지스터(Q2)이 코렉터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단자(14) 및 단자(15)는, 예를 들면 상용교류전원 또는 밧데리 전원의 교체에 따라서 입력 교체용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에 접속되고, 이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 베이스 사이에는, 바이어스 저항(R16)이 접속되고, 베이스는 저항(R17)를 통하여 입력 교체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Q4)의 코렉터에는, 저항(R18)이 접속되고, 이 저항(R18)을 통한 트랜지스터(Q4)의 코렉터 및 에미터 사이에는 , 전해 콘덴서(C9) 및 저항(R19)의 병렬회로가 접속되고, 저항(R18), 전해 콘덴서(C9) 및 저항(R19)의 접속점은 저항(R20)을 통하여 저항(R13) 및 콘덴서(C6)의 접속점에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R21)을 통하여 GND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온도검출회로(4)는 트랜지스터(Q5)를 가지며, 이 트랜지스터(Q5)의 코렉터는 저항(R22)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4)의 코렉터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5)이 에미터는,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 베이스 사이에는, 예를 들면 방전램프(3)의 관벽에 부착된 써어미스터(Th1)가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는, GND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변 안정화 전원(1) 정극으로 되는 전해 콘덴서(C4)의 한쪽끝단과, 부극으로 되는 다른쪽 끝단과의 사이에 접속된 인버어터(2)는, 가변 안정화전원(1)의 정극에, 인덱터(L2)를 통하여, 제1의 트랜스(T1)의 1차권선(T18)의 중간타입(T1at)가 접속되어 있다.
이 1차권선(T1a)에 대하여는 병렬로 콘덴서(C10)가 접속되고, 1차권선(T1a)의 한쪽 끝단은, 트랜지스터(Q6)의 코렉터 에미터를 통하여, 가변안정화 전원(1)의 부극에 접속되고, 1차권선(T1a)의 다른쪽 끝단은, 트랜지스터(Q7)의 코렉터·에미터를 통하여, 가변안정화전원(1)의 부극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들 트랜지스터(Q6), (Q7)의 제어단자로써 베이스는 저항(R24), (R25)을 통하여, 인덕터(L2)와 중간타입(T1at)과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랜스(T1)의 1차권선(T1a) 및 콘덴서(C10)에 대하여 병렬로, 제2의 트랜스(T2)의 1차권선(T2a)이 접속되고, 또한 이 제트랜스(T2)의 제어권선(T2c)은, 각 트랜지스터(Q6), (Q7)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1의 트랜스(T1)의 2차권선(T1b)과, 제2의 트랜스(T2)의 2차권선(T2b)은 직렬접속되고, 콘덴서(C11) 및 콘덴서(C12)를 통하여, 예를 들면 OA기기의 벡라이트용의 냉음극 등의 방전램프(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의 트랜스(T1)의 2차권선(T1b)과 제2의 트랜스(T2)의 2차권선(T2b)과는, 공통접지되어, 직류전원(11)의 부극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용교류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용 교류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경우는, 입력 교체 단자로 부터의 입력이 로오레벨로 되며, 트랜지스터(Q4)를 "온"하여 온도검출횔(4)를 "오프"하고, 또한 IC칩(IC1)의 단자(1), 단자(2) 및 단자(4)에 인가되는 전압을 높이고, 단자(9) 및 단자(10)로부터 출력되는 PWM변조의 펄스폭을 좁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Q3)의 "온" 시간을 짧게 하고, 가변 안정화 전원(1)의 출력을 크게 한다.
또한 이 경우, 온도 검출회로(4)의 써어미스터(Th1)에서 소정이하 예를 들면 대략 15°이하의 온도를 검출하여도, 트랜지스터(Q4)에 의하여, 온도검출회로(4)는 단락되어 있기 때문에, 가변 안정화 전원(1)의 출력은 변화 않는다.
예를 들면,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항(R11)을 가변함으로써, A의 사이의 16.5V로부터 24V까지의 임의의 전압값을, 온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한다.
또한, 가변 안정화 전원(1)의 출력은, 가변 저항(R11)을 피이드백에 의하여 저항값을 변화시키어 일정하게 한다.
다음에, 밧데리 전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밧데리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경우는, 입력 교체 단자로 부터의 입력이 하이레벨로 되며, 트랜지스터(Q4)를 "오프"하고, 또한 IC칩(IC1)의 단자(9) 및 단자(10)에서 출력되는 PWM변조의 펄스폭을 넓히고,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3)의 "온"시간을 길게하고, 가변안정화 전원(1)의 출력을 적게하며, 예를 들면 방전램프(3)의 밝기가 상용 교류전원 사용시의 밝기의 30%정도의 밝기로 되도록 한다.
그리고 온도 검출회로(4)의 써어미스터(Th1)에서, 대략 15°이하의 온도를 검출하면, 써어미스터(Th1)의 저항값의 상승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5)가 "온"하고 IC칩(IC)의 단자(9) 및 단자(10)에서 출력되는 PWM변조의 펄스폭을 약간 좁히고,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Q3)의 "온"시간을 약간 짧게 하며, 가변 안정화 전원(1)의 출력을 예를 들면 방전램프(3)의 밝기가 상용 교류 전원 사용시의 약 45%정도로 되도록 상승시키어, 방전램프(3)의 꺼짐을 방지한다.
또한, 예를 들면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저항(R11)을 가변함으로써 온도가 대략 15℃ 이상일 때 B1또는 B2의 사이의 11V에서 15V까지의 임의의 값을 설정하고, 온도 약 15℃ 이하로 되면, 전압이 상승한다.
그리고, 온도가 대략 15℃이하일때는, 상기 11V에서 15V로 설정한 어느 경우에도, 약 15V의 출력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R19aR19b는 각각 저항값이 다른 저항(R19)을 사용한 경우의 출력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하여 인버어터(2)에서는, 상용 교류전원 또는 밧데리 전원의 어느것을 사용한 경우에도, 가변 안정화 전원(1)에서의 직류를, 인덱터(L2)로 평활하고, 어느것이든 트랜지스터(T1), (T2)를 "온"함으로써 시동한다 .
이후에는, 제어권선(T2c)에 유기되는 제어출력에 따라서, 트랜지스터(Q6), (Q7)가 교호로 "온"된다.
그리고, 한쪽의 트랜지스터(Q6)가 "온"될때에는, 가변 안정화 전원(1), 인덱터(L2), 제1의 트랜스(T1)의 1차권선(T1a)의 절반, 한쪽의 트랜지스터(Q6) 및 가변 안정화 전원(1)의 폐로에서 전류가 흘러, 2차권선(T1b)에 전압이 유기됨과 동시에 콘텐서(C10)에 저장된 전하가 제2의 트랜스(T2)의 2차권선(T2b)에 흘러, 2차권선 (T2b)에 전압이 유기되며, 제1의 트랜스(T1)의 2차권선(T1b)과 제2트랜스(T2)의 2차권선(T2b)과의 전압이 중첩되어, 방전램프(3)로 인가된다.
다음에, 콘덴서(C10)가 충전되어 한쪽의 트랜지스터(Q6)가 "오프"되고, 반대로 트랜지스터(Q7)가 "온"된때에, 가변 안정화 전원(1), 인덱터(L2), 제1의 트랜스(T1)의 1차권선(T1a)의 절반, 제2의 트랜지스터(T2) 및 가변 안정화 전원(1)의 페로에서 전류가 흘러서, 2차권선(T1b)로 전압이 유기되는 동시에, 콘덴서(C10)에 저장된 상기와는 역의 전하가 제2의 트랜스(T2)의 1차권선(T2a)으로 흐르고, 2차권선(T2b)에 상기와는 역방향의 전하가 유기되며, 제1의 트랜스(T1)의 2차권선(T1b)과 제2의 트랜스(T2)의 2차권선 (T2b)과의 전압이 중첩되어, 방전램프(3)로 인가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밧데리 전원 등을 사용할때에, 절전을 위한 방전램프(3)의 출력을 저하시키고 있어도, 온도가 소정값이하로 되면, 방전램프의 출력을 높이기 때문에, 방전램프(3) 꺼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때문에 통상 온도시의 방전램프(3)의 꺼짐만을 고려하여 밧데리 전원 사용시의 출력을 설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방전램프(3)의 출력을 상당히 낮출 수가 있으며, 충분한 절전을 달성할 수 있다.
반대로 상용 교류 전원 사용시에는, 저온으로 되어도 출력을 증대하지 않기 때문에 방전램프(3)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2개의 제1 및 제2트랜스(T1), (T2)의 2차권선(T1b), (T2b)의 유기되는 전압의 중첩함으로써, 방전램프(3)의 전압을 얻음으로써, 각 2차권선(T1b),(T2b)에 유기되는 전압은, 낮게되어 각 제1 및 제2트랜스(T1), (T2)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써어미스터(Th1)는, 방전램프(3)의 관벽에 한정하지 않고, 트랜지스터 방열판, 콘덴서 또는 코일 등에 부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방전램프 점등장치에 의하면, 온도 검출수단으로 온도 소정 이하로 되고, 또한 전원 수단에 의하여 램프 전류값이 소정값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전원수단에 의하여 설정되는 램프 전류의 하한값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방전램프이 전류값을 낮추어 소비 전력을 충분하게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저온시에도 방전램프의 꺼짐을 일으크지 않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전램프 점등장치에 의하면, 하한값을 높게 변화시키기 때문에 저온시에도 방전램프의 꺼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2)

  1. 방전램프(3)의 램프 전류값을 적어도 2단계 이상 설정 가능한 전원수단과,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이 온도 검출수단으로 온도가 소정이하로 되며, 또한 상기 전원 수단에 의하여 램프 전류값이 소정값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전원 수단에 의하여 설정되는 램프 전류의 하한값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방전램프 점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원수단에 의하여 설정되는 램프 전류의 하한값의 변화는, 하한값을 높게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방전램프 점등장치.
KR1019910012728A 1990-09-25 1991-07-24 방전램프 점등장치 KR940004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454290A JP3196206B2 (ja) 1990-09-25 1990-09-25 放電ランプ点灯装置
JP254542 1990-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495A KR920007495A (ko) 1992-04-28
KR940004786B1 true KR940004786B1 (ko) 1994-05-28

Family

ID=1726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728A KR940004786B1 (ko) 1990-09-25 1991-07-24 방전램프 점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477922A1 (ko)
JP (1) JP3196206B2 (ko)
KR (1) KR9400047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476B1 (ko) * 2003-05-02 2011-09-30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가스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7054A1 (en) * 1993-06-21 1994-12-30 Valeo Vision DC converter for supplying an electric load, especially a fluorescent tube
DE4326415B4 (de) * 1993-08-06 2006-04-13 Siemens Ag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Leuchtstofflampe und Anordn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EP0729694A4 (en) * 1993-11-03 1997-02-26 Science Applic Int Corp HIGHLY EFFICIENT UV BACKLIGHTING FOR ELECTRONIC DISPLAYS
JP3606909B2 (ja) * 1994-07-12 2005-01-05 三菱電機株式会社 交流放電灯点灯装置
JPH0944168A (ja) * 1995-08-03 1997-02-14 Taisei Denki Kogyo:Kk 複数階建築物における床衝撃音消音装置
DE19535663A1 (de) * 1995-09-26 1997-03-2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Anordnung zur Leistungssteuerung einer Hochdruck-Gasentladungslampe
AT407461B (de) * 1996-04-24 2001-03-26 Kurz Martin Ansteuerung für entladungslampe
US6081439A (en) * 1996-06-19 2000-06-27 Kijima Co., Ltd. Inverter provided with output regulating mechanism
US5914613A (en) 1996-08-08 1999-06-22 Cascade Microtech, Inc. Membrane probing system with local contact scrub
US6351080B1 (en) 1997-04-24 2002-02-26 Mannesmann Vdo Ag Circuitry for dimming a fluorescent lamp
DE19733939A1 (de) * 1997-08-06 1999-02-11 Mannesmann Vdo Ag Schaltungsanordnung zum dimmbaren Betrieb einer Leuchtstofflampe
US6256882B1 (en) 1998-07-14 2001-07-10 Cascade Microtech, Inc. Membrane probing system
US6914423B2 (en) 2000-09-05 2005-07-05 Cascade Microtech, Inc. Probe station
US6965226B2 (en) 2000-09-05 2005-11-15 Cascade Microtech, Inc. Chuck for holding a device under test
DE10058551A1 (de) * 2000-11-24 2002-06-06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mit einer Gasentladungslampe
DE10143173A1 (de) 2000-12-04 2002-06-06 Cascade Microtech Inc Wafersonde
DE10101275C2 (de) * 2001-01-12 2003-04-17 Vogt Electronic Ag Vorschaltgerät für Kaltkathoden-Fluoreszenzlampen
KR20040081275A (ko) 2003-03-14 2004-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광원 구동 장치 및 그 방법
US7057404B2 (en) 2003-05-23 2006-06-0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hielded probe for testing a device under test
US7250626B2 (en) 2003-10-22 2007-07-31 Cascade Microtech, Inc. Probe testing structure
DE202004021093U1 (de) 2003-12-24 2006-09-28 Cascade Microtech, Inc., Beaverton Aktiver Halbleiterscheibenmessfühler
US7187188B2 (en) 2003-12-24 2007-03-06 Cascade Microtech, Inc. Chuck with integrated wafer support
DE202005021435U1 (de) 2004-09-13 2008-02-28 Cascade Microtech, Inc., Beaverton Doppelseitige Prüfaufbauten
US7656172B2 (en) 2005-01-31 2010-02-02 Cascade Microtech, Inc. System for testing semiconductors
US7535247B2 (en) 2005-01-31 2009-05-19 Cascade Microtech, Inc. Interface for testing semiconductors
US7764072B2 (en) 2006-06-12 2010-07-27 Cascade Microtech, Inc. Differential signal probing system
US7723999B2 (en) 2006-06-12 2010-05-25 Cascade Microtech, Inc. Calibration structures for differential signal probing
US7403028B2 (en) 2006-06-12 2008-07-22 Cascade Microtech, Inc. Test structure and probe for differential signals
US7876114B2 (en) 2007-08-08 2011-01-25 Cascade Microtech, Inc. Differential waveguide probe
US7888957B2 (en) 2008-10-06 2011-02-15 Cascade Microtech, Inc. Probing apparatus with impedance optimized interface
US8410806B2 (en) 2008-11-21 2013-04-02 Cascade Microtech, Inc. Replaceable coupon for a probing apparatus
US8319503B2 (en) 2008-11-24 2012-11-27 Cascade Microtech, Inc. Test apparatus for measuring a characteristic of a device under tes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6296A (en) * 1980-12-19 1983-05-31 General Electric Company Fluorescent light unit with dual light levels
DE3417794A1 (de) * 1984-05-14 1985-11-14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Schaltungsanordnung zur regelung der brennspannung von hochdruckgasentladungslampen
US4931701A (en) * 1988-07-06 1990-06-05 Wide-Lite International Corporation Bi-level ballast circuit for operating HID lamp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476B1 (ko) * 2003-05-02 2011-09-30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가스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495A (ko) 1992-04-28
JPH04133298A (ja) 1992-05-07
JP3196206B2 (ja) 2001-08-06
EP0477922A1 (en) 199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4786B1 (ko) 방전램프 점등장치
US7332871B2 (en) High frequency power source control circuit and protective circuit apparatus
US5500792A (en) Zero-voltage switching type electronic ballast for fluorescent lamp
US5066894A (en) Electronic ballast
US5925985A (en) Electronic ballast circuit for igniting, supplying and dimming a gas discharge lamp
EP0417315B1 (en) Device for lighting a discharge lamp
JPH0636884A (ja) インバータ点灯装置
JPH04145489A (ja) 車両用蛍光表示管のフィラメント駆動回路
US6166922A (en) Current oscillation control resonance circuit and power supply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circuit
KR970000100Y1 (ko)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 회로
KR920007135Y1 (ko) 전원 공급장치의 안정화회로
KR910002675Y1 (ko) 전자식 안정기
JP2721523B2 (ja) インバータ回路
JP2001160496A (ja) 放電灯点灯装置
JP3394851B2 (ja) 電源装置
JP3085023B2 (ja) 放電ランプ点灯装置
KR910001373Y1 (ko) 전자식 형광등용 안정기의 보호회로
JPH0326640Y2 (ko)
KR900008579Y1 (ko) 전자식 형광램프 안정기의 보호회로
JPH02297896A (ja) 放電灯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H05109491A (ja) 高周波点灯装置
JPS62254397A (ja) 蛍光灯点灯回路
JPH04133672A (ja) インバータ装置
JPH0294393A (ja) 点灯装置
KR20030050985A (ko) 냉음극 형광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