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380Y1 - 카세트의 헤드로크 해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의 헤드로크 해제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380Y1
KR940004380Y1 KR92006051U KR920006051U KR940004380Y1 KR 940004380 Y1 KR940004380 Y1 KR 940004380Y1 KR 92006051 U KR92006051 U KR 92006051U KR 920006051 U KR920006051 U KR 920006051U KR 940004380 Y1 KR940004380 Y1 KR 940004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head
lock
gea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6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256U (ko
Inventor
이두현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92006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380Y1/ko
Publication of KR9300242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2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3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세트의 헤드로크 해제방지장치
제1도는 종래 카세트의 헤드로크장치 구성도.
제2도는 종래 카세트의 헤드로크장치의 요부 작동상태도로서, a도는 플레이 오프상태도, b도는 플레이상태도, c도는 충격에 의하여 로크가 해제된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도로서, a도는 플레이 오프상태도, b도는 플레이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캠기어 2a : 간헐기어
2b : 스타트캠 2c : 헤드캠
2d : 로크편 3 : 캠플로어
3a : 안내핀 3b : 로크핀
4 : 로크암 4a : 걸림턱
6 : 솔레노이드 8 : 캠드라이브
9 : 캠스톱파
본 고안은 카세트의 헤드로크 해제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헤드를 전진시키는 캠에 로크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플레이 동작시 헤드를 테이프에 밀착시킨후 이중로크시킴으로써 충격 등으로 로크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카세트의 헤드로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터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드라이브기어(1)와, 상기 드라이브기어(1)에 치합되어 180°씩 회동하도록 간헐기어(2a)를 구성하고, 상기 간헐기어(2a)와 일체로 스타트캠(2b)과 헤드캠(2c)을 형성한 캠기어(2)와, 상기 캠기어(2)의 헤드캠(2c)에 안내핀(3a)이 안내되며 일측에 헤드가 착설되는 캠플로어(3)와, 상기 캠플로어(3)에 착설된 로크핀(3b)이 걸리는 걸림턱(4a)을 형성한 로크암(4)과, 상기 로크암(4)에 결합된 아이들로크(5)와, 상기 아이들로크(5)를 동작시켜 로크암(4)을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6)와, 상기 솔레노이드(6)에 결합되며 스프링(7)에 탄지되어 캠기어(2)의 스타트 캠(2b)을 밀어주도록 설치된 캠드라이브(8)와, 상기 캠드라이브(8)의 축핀(8a)에 유설되며 스프링(7)에 탄지되어 스타트캠(2b)의 스톱홈(2b′)에 결합되는 캠스톱파(9)로 구성하였다.
이와같은 종래의 카세트 헤드로크장치는 헤드캠(2c)이 첨부도면 제2a도와 같이 되어있는 상태에서 플레이모드로 전환시키면, 솔레노이드(6)가 온되면서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캠드라이브(8)가 동작되어 캠드라이브(8)의 선단이 캠기어(2)의 스타트캠(2b)을 밀어서 간헐기어(2a)를 드라이브기어(1)에 치합시킨다. 이때 드라이브기어(1)는 회동되고 있는 상태이며 캠스톱파(9)는 캠홈에서 이탈된다.
이와같이 간헐기어(2a)가 드라이브기어(1)에 치합되면 캠기어(2)에 형성된 헤드캠(2c)이 회동되어 캠플로어(3)에 착설된 안내핀(3a)을 밀어서 캠플로어(3)를 아래방향으로 전진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캠플로어(3)가 아래방향으로 전진하여 헤드가 테이프에 밀착되면 상기 캠플로어(3)에 착설된 로크핀(3b)이 로크암(4)의 걸림턱(4a)에 걸려서 첨부도면 제2b도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카세트에 충격을 가하면 충격을 받은 아이들로크(5)가 요동되면서 로크암(4)이 시계방향으로 요동되어 로크핀(3b)이 걸림턱(4a)으로 부터 이탈되어 첨부도면 제2c도와 같이 되므로써 캠플로어(3)가 윗방향으로 후퇴되어 헤드가 테이프로 부터 이격되게 된다.
상기한 상태는 카세트의 충격을 상하로 받을 때보다 좌우, 즉 솔레노이드 작동방향으로 충격을 받았을때 더욱 심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의 헤드로크 장치는 적은 충격량에도 헤드가 이탈되어 재생되지 않는 등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예가 허다하였던 것이 현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재결함을 감안하여 헤드캠의 선단에 로크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캠플로어를 이중으로 로크시킴으로써 플레이동작시 충격 등으로 헤드가 테이프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 제3도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드라이브기어(1)와, 상기 드라이브기어(1)에 치합되어 180°씩 회동되도록 형성한 간혈기어(2a)에 스타트캠(2b)과 헤드캠(2c)을 일체로 구비한 캠기어(2)와, 상기 캠기어(2)의 헤드캠(2c)에 안내핀(3a)이 안내되며 헤드가 착설된 캠플로어(3)와, 상기 캠플로어(3)에 착설된 로크핀(3b)이 걸림턱(4a)에 걸리도록 설치된 로크암(4)과, 상기 로크암(4)에 결합된 아이들로크(5)에 결합되어 이들을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6)와, 상기 솔레노이드(6)에 결합되어 스프링(7)의 탄성력으로 동작되어 스타트캠(2b)을 밀어주는 캠드라이브(8)와, 상기 캠드라이브(8)의 축핀(8a)에 유설되고 스프링(7)에 탄지되어 스타트캠(2b)의 스톱홈(2b′)에 결합되는 캠스톱파(9)와, 상기 캠기어(2)의 헤드캠(2c)에 일체로 형성되어 캠플로어(3)에 착설된 안내핀(3a)을 로크시키는 로크편(2d)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첨부도면 제4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레이 대기상태에서 플레이모드로 전환시키면 솔레노이드(6)가 온되면서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캠드라이브(8)가 동작되어 캠드라이브(8)의 선단이 캠기어(2)의 스타트캠(2b)을 밀면 상기 스타트캠(2b)과 일체로 구성된 간헐기어(2a)가 드라이브기어(1)에 치합되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캠기어(2)가 구동된다.
이와같이 캠기어(2)가 구동되면 이와 일체로 형성된 헤드캠(2c)이 회동되어 헤드가 설치된 캠플로어(3)에 착설된 안내핀(3a)을 밀어서 캠플로어(3)를 하강시켜 헤드를 테이프에 밀착시키게 된다.
상기한 동작이 완료되면 첨부도면 제4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캠플로어(3)에 착설한 로크핀(3b)이 로크암(4)의 걸림턱(4a)에 걸림과 동시에 헤드캠(2c) 선단에 형성된 로크편(2d)이 캠플로어(3)의 안내핀(3a)을 받쳐서 로크암(4)과 함께 이중으로 로크시키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테이프를 재생하게 되는데 이때 카세트가 외부로 부터 충격을 받더라도 캠플로어(3)가 이중으로 로크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가 테이프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게 된다.
이와같이 안정된 상태에서 재생이 끝나고 플레이 오프시키고자 플레이모드를 오프모드로 전환시키면 솔레노이드(6)가 동작되어 스프링(7)에 탄설된 캠드라이브(8)가 스타트캠(2b)을 밀어서 간헐기어(2a)를 드라이브기어(1)에 치합시킴과 동시에 캠스톱파(9)가 스타트캠(2b)의 스톱홈(2b′)으로 부터 이탈되고, 로크암(4)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로크핀(3b)이 로크암(4)의 걸림턱(4a)에서 해지되며 캠기어(2)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동된다.
상기한 상태로 캠기어(2)가 회동하면 헤드캠(2c)의 로크편(2d)이 캠플로어(3)의 안내핀(3a)을 벗어나게 되어 캠플로어(3)는 최초의 위치로 상승되어 헤드가 테이프로 부터 이탈된다.
여기서 캠플로어(3)는 항상 상승하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헤드가 설치되는 캠플로어를 로크암과 헤드캠에 일체로 설치된 로크편으로 이중 로크시킴으로써 플레이모드시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캠플로어가 복귀되어 헤드가 테이프로 부터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는 신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드라이브기어에 치합되어 180°씩 회동되도록 형성한 간헐기어에 스타트캠과 헤드캠을 일체로 구비한 캠기어와, 상기 캠기어의 헤드캠에 의해 안내핀이 안내되어 직선운동을 하도록 된 캠플로어와, 상기 캠플로어에 착설된 로크핀이 걸림턱에 걸리도록 설치된 로크암을 구비한 카세트 헤드로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캠의 끝단에 캠플로어의 안내핀을 로크시키기 위한 로크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의 헤드로크 해제방지장치.
KR92006051U 1992-04-13 1992-04-13 카세트의 헤드로크 해제방지장치 KR940004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051U KR940004380Y1 (ko) 1992-04-13 1992-04-13 카세트의 헤드로크 해제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051U KR940004380Y1 (ko) 1992-04-13 1992-04-13 카세트의 헤드로크 해제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256U KR930024256U (ko) 1993-11-27
KR940004380Y1 true KR940004380Y1 (ko) 1994-06-25

Family

ID=19331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6051U KR940004380Y1 (ko) 1992-04-13 1992-04-13 카세트의 헤드로크 해제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3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256U (ko) 199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0353A (en) Safety switch
US6539756B2 (en) Steering wheel lock
KR940004380Y1 (ko) 카세트의 헤드로크 해제방지장치
KR940003455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플레이레버 복귀장치
KR100244357B1 (ko) 카세트 장착 장치
KR0139878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리뷰아암 구동장치
JPH0443340B2 (ko)
KR940004784Y1 (ko) Vcr의 브레이크장치
KR940004377Y1 (ko) 테이프레코더의 자동 정지장치
JPS6367386A (ja) 錠装置
JP2759419B2 (ja) 自動開放機能付き電磁ロック装置
JP2005053336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S57212643A (en) Transmission device of cam mechanism
KR890000512Y1 (ko) 하우징 록킹 장치
US4746999A (en) Eject mechanism for cassette player
KR950011884B1 (ko) 캠코더의 카셋트 테이프 이젝트장치
JP3865824B2 (ja) 作動装置
JPS6144271Y2 (ko)
JPS59273Y2 (ja) 車両操作装置用ロツク装置
JP2559246B2 (ja) カセットテーププレーヤ
KR940002137Y1 (ko) 브이씨알의 카세트 홀더 잠금장치
JPH11148260A (ja) 錠止装置
KR940007007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자동반전장치
KR900007820Y1 (ko) Vtr카세트 하우징의 이물 삽입 방지장치
JP2588853Y2 (ja) ドアオートクローザ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