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195B1 - 성형 제품용 캐리어 및 캐리어의 이용 방법 - Google Patents

성형 제품용 캐리어 및 캐리어의 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195B1
KR940004195B1 KR1019880008913A KR880008913A KR940004195B1 KR 940004195 B1 KR940004195 B1 KR 940004195B1 KR 1019880008913 A KR1019880008913 A KR 1019880008913A KR 880008913 A KR880008913 A KR 880008913A KR 940004195 B1 KR940004195 B1 KR 940004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clip
latch
extending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066A (ko
Inventor
드셸레뜨 헬렌
퐁떼노 크리스띠앙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루이스 에이.해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루이스 에이.해츠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90003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 Y10T29/49217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by elastic jo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 Y10T29/49222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forming array of contacts or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61Means to align and advance work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성형 제품용 캐리어 및 캐리어의 이용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carrier)의 일부분의 사시도.
제2도는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클립(clips)들을 나타내는 제1도의 캐리어의 일부분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3-3에 따른 제2도의 캐리어의 측면도.
제4도는 모듈라(modular) 전화 잭(jack)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위치에 있는 접속 모듈(module)이 함께 도시되어 있는, 제1도의 캐리어가 사용될 수 있는 모듈라 전화 잭의 사시도.
제5도는 접속 모듈이 잭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제4도의 모듈라 전화 잭의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모듈라 전화 잭의 밑면도.
제7도는 접속 모듈의 삽입 전에 클립들 중 하나에 장착된 제4도의 모듈라 전화 잭 및 접속 모듈이 모듈라 전화 잭 하우징 내에 설치된 후의 클립들 중 다른 하나의 클립 상의 또다른 모듈라 전화 잭이 도시된 제1도의 캐리어.
제8도는 제7도의 선 7-7에 따른 단면도.
제9도는 제7도의 조립된 모듈라 전화 잭의 밑면도.
제10도는 제4도 내지 6도에 도시된 형식의 모듈라 전화 잭에 제1도의 캐리어를 인쇄 회로 기판 상에서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캐리어 22 : 캐리어 스트립
24, 26, 28, 30 : 클립 32 : 모듈라 전화 잭
34, 36, 38 : 파일로트 구멍 40, 42, 44 : 돌출부
46, 48, 50 : 넥다운 부착 부분 52 : 만곡부(베이스)
54, 56 : 측벽면(다리) 58, 60, 62, 64 : 마찰 스프링
66 : 스프링 래치 68 : 래치 아암
70, 124 : 캠 표면 71 : 자유 단부
72 : 하우징 74 : 바닥 벽면
76, 78 : 장착 기둥 80 : 인쇄 회로 기판
82, 84 : 대향된 측벽면 86 : 상부 벽면
88 : 후부 벽면 90 : 대응 벽면
92 : 수납 공동 94 : 수납 개구부
96, 100 : 슬로트 98 : 접속 모듈
100, 102 : 접점 104 : 스프링 접점 부분
106 : 테일 부분 112 : 래치 수납 슬로트
114, 116 : 래치 돌출부 118, 120 : 경사진 표면
본 발명은 성형 제품들과 함께 사용되는 캐리어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 상부에 모듈라 전화 리셉터클(receptacle)들 또는 잭들과 같은 소형 성형 제품들이 해재 가능하게 장착되게 되는 신규하고 개선된 재사용 가능한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제품들이 해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캐리어를 이용하여 소형 성형 제품들을 제조, 취급 및/또는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인데, 상기와 같은 제품들의 제조, 취급 또는 설치는 자동화로될 수 있고 로보트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소형 성형 제품의 일 형식으로는 일반적으로 모듈라 전화 리셉터클 또는 잭으로 공지된 모듈라 전기 접속시가 있다. 모듈라 잭들은 전기 통신 산업에 있어서 전화 요소들을 연결시키는데에 및 전화 기기를 전화 케이블들에 상호 연결시키는 벽면 리셉터클로서 사용되어 왔다. 상기 잭들은 또한 전화 기기를 전화 네트윅(network)에 연결시키는데에 또는 주변 기기와의 연통을 위한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interface)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모듈라 잭들은 통상적인 모듈라 플러그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플러그는 통상 다수의 절연된 도체들을 보유하는 케이블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도체들을 감싸고 있는 절연부를 관통하여 각각의 도체들을 개개의 접속으로 결합시키는 접점(contacts)들을 포함한다. 모듈라 전화 잭이 모듈라 플러그를 수납하기 위해서, 잭은 하우징의 일단부에서 플러그 수납 개구부로 성형되어 있는데, 상기 개구부는 하우징 내에 형성된 플러그 수납 공동 내로 연통되어 있다.
직각의 모듈라 전화 잭으로 공지된 경우에 있어서, 잭은 자체의 전방 단부에 자체의 플러그 수납 개구부를 가지며 전방 단부 또는 플러스 수납 개구부로부터 배면 또는 후부 벽면까지 연장되는 대향된 측벽면들에 의해 결합된 대향된 상부 및 바닥 벽면들을 갖는다. 스템프되고, 금속 연신된 다수의 도체들이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도체는 일단부에 플러그 수납 공동 내로 연장되는 접점 또는 스프링 접점 부분, 타단부에 모듈라 잭 하우징의 바닥 벽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리이드(lead) 또는 테일(tail) 부분 및 접점과 리이드 부분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중간 부분을 포함한다. 리이드 또는 테일 부분은, 잭의 바닥 벽면이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어 있을때, 테일 부분이 인쇄 회로 기판 내의 구멍들을 통해 연장되어 리셉터클 접점들이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전기 회로들과 결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플러그가 리셉터클 하우징의 플러그 수납 공동 내로 삽입되어 있을때, 플러그 접점들은 리셉터클 접점들의 스프링 접속 부분들과 함께 활주 결합되어 플러그 및 리셉터클을 플러그에 부착된 케이블 내의 절연체들과 인쇄 회로 기판상의 회로들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판금재로부터 금속 도체들을 성형하는 것은 장점이 된다. 상기 방법으로, 1회에 다수의 도체들을 스템프 할 수 있다. 평스탬프된 금속 도체들을 이용한 모듈라 전화 잭의 2가지 예가 미합중국 특허 제4,292,736호 및 제4,315,644호에 기재되어 있다. 모듈라 전화 잭들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접점들의 사용이 본 발명의 기록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또다른 특허인 미합중국 특허 제4,618,207호에 기재되어 있다. 금속 도체들을 하우징에 조립하기 위해, 하우징은 반송되어 조립 기계의 작업 지역에 위치된다. 다음에, 조립된 잭들은 상기와 같은 잭들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로 수송된다. 과거에는, 잭들의 수송은 조립된 잭들을 트레이(tray) 상에 또는 수송관들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수행되었다.
미합중국 특허 제4,541,174호에서, 리셉터클 하우징들은 도체들이 인접 하우징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플래스틱 스페이서(spacers)들에 의해 리셉터클 하우징으로 조립되는 동안 서로 적합한 공간을 두고 유지되게 된다. 도체들이 하우징 내에 설치된 후에, 스페이서들은 파괴되어 잭들을 개개의 요소들로 분리시켜야 한다. 상기 절차는 도체들이 설치된 후에 스페이서들이 파괴되어야 하는 것뿐만 아니라, 하우징들의 집단들이 스페이서들에 의해 결합되기 위해 함께 성형되어야 하는 것을 요구한다. 다른 형식의 제품들의 제조시에는, 조립 작업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체로 성형된 플래스틱 스트립들이 사용된다. 예컨대, 미합중국 특허 제3,431,548호 및 제4,149,768호에는 플래스틱 캐리어 스트립에 대한 성형 하우징들이 기재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541,174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일체로 성형된 스페이서의 사용, 또는 미합중국 특허 제3,431,548호 및 제4,149,768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일체로 성형된 캐리어 스트립의 사용은, 스페이서 또는 캐리어 스트립이 제품과 함께 성형되어야 하는 것을 요구하며 부가해서, 제품이 수송 또는 사용되기 전에 제품으로부터 스페이서 또는캐리어 스트립을 파괴 또는 절단(severing) 해야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나아가서, 스페이서 또는 캐리어 스트립은 파괴되어야 하므로, 스페이서 또는 캐리어 스트립은 재사용될 수 없고 제품은 로보트들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없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취급 및 제품의 설치를 로보트로 용이하게 하는 소형 성형 제품들과 함께 사용되며, 재사용 가능하고 소형 성형 제품의 공동 내에해제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되어 있으며, U-형 클립을 소형 성형 제품의 공동 내에 해제 가능하게 보유시키기 위해 측면 마찰 스프링들 및 스프링 래치(latch)와 함께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연장되는 대체로 U-형 클립을 가지며, 힘을 제품에 공급함으로써 제품이 클립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소형 성형 제품을 캐리어의 클립 부분 상에 해제 가능하게 보유시키는 스프링 래치를 가지며, 연속 스템핑 다이에 의해 금속 스트립(strip)으로부터 제조된 소형 성형 제품들에 대해 사용되며, 캐리어를 조립체 또는 설치 작업 지역에 대해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돌출부들을 불쑥 내밀고(struck out) 캐리어를 인덱싱(indexing) 도는 이동시키기 위한 파일로트 구멍들을 갖는 신규하고 개선된 캐리어를 제공하고, 모듈라 전화 잭들의 조립체에 사용되고 잭들의 사용자에게 상기 잭들을 수송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잭들을 로보트 또는 그와 같은 것을 사용하여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설치하는데에 사용되는 신규하고 개선된 재사용 가능한 캐리어를 제공하며, 제품을 연신된 캐리어 스트립 상에 해제 가능하게 보유시키는 단일 캐리어를 이용함으로써 성형 제품들을 제조, 취급 및 설치하는 신규하고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들 및 다른 많은 목적들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스탭프된 캐리어로 구성되며 연신된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현수 클립들을 가져, 모듈라 전화 잭들은 적당한 공간으로 해제 가능하게 보유될 수 있게 된다. 캐리어 스트립은 캐리어 스트립을 작업 지역에 대해 이동 및 인덱싱하기 위한 일련의 파일로트 구멍들을 갖는 대체로 평탄한 금속 부재이고, 캐리어 스트립의 평면으로 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는 하방으로 굴곡된 위치 결정 돌출부들을 불쑥 내밀므로 캐리어는 작업 지역에 대해 능동적으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연장되는 현수 클립을 형성하는 대체로 U-형인 돌출부는 각각의 파일로트 구멍들과 함께 정렬되어 있고 모듈라 전화 잭의 플러그 수납 공동과 같은 소형 성형 전화 잭의 하우징 공동 내에 해제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되어있다. U-형 클립은 넥다운(neckdown)돌출부에 의해 캐리어 스트립에 부착된 만곡부(bight) 또는 베이스 부분을 포함하는데, 상기베이스는 캐리어 스트립의 평면에서 횡간하여 연장된다. 클립이 플러그 수납 공동 내로 삽입될때 플러그 수납 공동의 측면 내부 벽면들을 마찰식으로 계합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측벽면들은 측벽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1조의 반대로 굴곡된 마찰 스프링들을 갖는다.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격설된 클립의 측벽면들의 모서리들은 경사져있으므로 클립은 플러그 수납 공동 내로 더욱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클립을 플러그 수납 공동 내에 더욱 능동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 외팔보식 스프링 래치 아암이 만곡부 분분으로부터 형성되어 있고 모듈라 전화 잭의 래치를 해제 가능하게 계합시키기 위해서 자체의 자유단부에 캠 표면을 포함한다. 캠 표면은 클립이 플러그 수납 공동 내로 삽입될때 스프링 래치를 모듈라 전화 잭의 래치에 계합시킬 뿐만 아니라, 모듈라 전화 잭의 하우징상에 후퇴력(withdrawal force)이 인가될때 스프링 래치를 잭 래치로부터 계합을 해제시킨다. 따라서, 잭은 스프링 래치에 직접 힘을 인가하지 않고서도 또는 캐리어의 어떠한 부분도 파괴함이 없이도 클립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형식의 캐리어를 이용함으로써 모듈라 전화 잭들의 신규하고 개선된 제조, 취급 및/또는 설치 방법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모듈라 전화 잭 하우징을 클립 상에 장착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하므로 잭 하우징은 측면 마찰 스프링과 플러그 수납 공동의 내부 측벽면들과의 마찰 계합 및 스프링래치와 모듈라 전화 잭의 래치와의 계합으로 인해 클립 상에 보유되게 된다. 캐리어는 파일로트 구멍들에 의해 인덱스되므로 클립 상에 장착된 모듈라 전화 잭은 접속 모듈들이 모듈라 전화 잭 내로 설치되게 되는 조립 기계 내의 작업 지역에 위치된다. 일단 모듈라 전화 잭이 완전히 조립되게 되면, 모듈라 전화 잭들의 리일(reel)이 캐리어 스트립을 리일 내로 권취함으로써 캐리어로부터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모듈라 전화 잭들이 리일은 개개의 잭들을 트레이들 상으로 또는 수송관 내로 반송하지 않고서도 잭들이 사용자에게 수송될 수 있다. 잭들의 리일을 수납시, 사용자는 로보트들 또는 그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각각의 모듈라 전화 잭들에 후퇴력을 인가하여 하우징을 캐리어의 클립 부분들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각각의 모듈라 전화 잭들을 인쇄 회로 기판 또는 그와 같은것 상에 설치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캐리어 스트립은 다른 모듈라 전화 잭들의 제조에도 재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모듈라 전화 잭들을 제조, 취급 또는 설치하는 동안에 캐리어 스트립의 부분이 파괴 또는 변경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이제 제1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도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20)을 도시한다. 캐리어는 캐리어 스트립(22) 및 캐리어 스트립(22)로부터 횡간방향으로 대체로 U-형인 다수의 클립(clip)(24)들로 구성된다. 제1도에서, 캐리어(20)은 클립들(26),(28) 및 (30)이 캐리어 스트립(22)로부터 연장되는 상태로 도시한다. 캐리어 스트립(22)는 충분한 수의 클립(24)들이 캐리어(20) 내에 포함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될 수 있다. 각각의 클립(24)들 상에는, 예컨대, 제4도 내지 6도에 도시한 모듈라 전화 잭(32)와 같은, 모듈라 전화 잭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캐리어(20)은 연속 스탭핑 다이 또는 그와 같은 것에 의해 대체로 평탄한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성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성형된 캐리어 스트립(22)는 대체로 연신된, 평탄한 장방형 금속 부재이다. 파일로트 구멍은 캐리어 스트립(22) 상에 각각의 클립(24)들의 중심축을 따라 정렬되어 있다. 제1도에서, 파일로트 구멍(34,36 및 38)들은 클립(26,28 및 30)들에 각각 인접되어 배설되어 있다. 파일로트 구멍(34,36 및 38)들은 캐리어(20)을 작업 지역 또는 그와 같은 것에 대해 이동시키는데에 사용된다. 캐리어 스트립(22)는 또한 하방으로 굴곡된 다수의 위치 결정 돌출부들을 갖는데, 이들 각각은 각각의 파일로트 구멍들 사이의 중간에 배설되어 있다. 제1도에, 상기와 같은 3개의 돌출부(40,42 및 44)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돌출부(40)은 인접 파일로트 구멍(34) 및 (36)들 사이의 중간에 위치되어 있고 돌출부(42)는 다음의 1조의 인접 파일로트 구멍(36) 및 (38)들 사이의 중간에 위치되어 있다. 돌출부(40,42 및 44)들은 캐리어(20)이 모듈라 전화 잭(32)들을 조립 또는 설치하는데에 사용될때 캐리어(20)을 작업 지역 또는 그와 같은 곳에 능동적으로 위치시키는데에 사용된다.
각각의 클립(24)들은 넥다운 부착 부분에 의해 캐리어 스트립(22)에 결합되어 있다. 클립(26,28 및 30)의 경우에 있어서, 넥다운 부착 부분(46,48 및 50)들은 클립(26,28 및 30)들을 캐리어(22)에 각각 결합시킨다. 클립(26)에 관련하여 설명하면, 넥다운 부분(46)은 캐리어 스트립(22)로부터 횡간 방향으로 연장되고 대체로 U-형인 클립(26)의 베이스 또는 만곡부(52)와 함께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U-형 클립(26)의 잔존 벽면들, 즉 대향된 측벽면들 또는 다리(54) 및 (56)들은, 클립(26)을 성형하는 금속을 만곡 부분(52)의 평면에 대해 대체로 직각으로 밴딩함으로써 성형되어 있다.
측벽면(54)는 대향하여 연장되는 1조의 굴곡된 탄성 돌출부 또는 마찰 스프링(58) 및 (60)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측벽면(56)은 대향하여 연장되는 1조의 굴곡된 탄성 돌출부 또는 마찰 스프링(62) 및 (64)들을 갖는다. 스프링(58,60,62 및 64)들은 모듈라 전화 잭(32)를 클립(26) 상에 보유시키는데 사용된다. 모듈라 전화 잭(32)는 또한 만곡 부분(5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래치(66)에 의해 클립(26) 상에 보유된다(제1도 내지 3도 및 8도 참조). 스프링 래치(66)은 자체의 격설 또는 자유 단부(71) 부근에서 캠 표면(70)을 갖는 외팔보식 래치 아암(68)을 포함한다. 아래에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래치(66)은 모듈라 전화 잭(32)를 클립(26) 상에 보유시키는 것을 도우나, 후퇴력이 모듈라 전화 잭(32)에 인가될때마다 모듈라 전화 잭(32)가 클립(26)으로부터 제거되게 한다.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각각의 클립(24)들은 모듈라 전화 잭(32)와 마찬가지로 모듈라 전화 잭을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내측 공동을 갖는 임의의 형식의 소형 성형 제품을 클립(24)들 상에 장착할 수 있다. 제4도 내지 6도에서 잘 볼 수 있듯이, 모듈라 전화 잭(32)는 바닥 벽면(74)로부터 연장되는 장착 기둥(76) 및 (78)을 갖는 바닥 벽면(74)가 구비된 유전성 하우징(72)을 포함한다. 장착 기둥(76) 및 (78)들은 제10도의 일부분에 도시된 인쇄 회로 기판(80)과 같은 인쇄 회로 기판 내의 대응 구멍들을 통해 연장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장착 기둥(76) 및 (78)이 상기와 같이 위치되어 있을때, 모듈라 전화 잭(32)의 바닥 벽면(74)는 인쇄 회로 기판(80)상에 착좌되게 된다. 따라서, 잭(32)는 종종 직각 잭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캐리어(20)은 상부 진입 또는 바닥 진입 잭들과 같은 다른 형식의 잭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잭(32)는 바닥 벽면(74)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대향된 측벽면(82) 및 (84)들을 갖는다. 상부 벽면(86), 후방 벽면(88) 및 전방 또는 대응 벽면(90)은 하우징(72)의 다른 벽면들을 형성하며 측벽면(82) 및 (84)들 사이로 연장된다. 하우징(72)의 벽면(74,82,84,86,88 및 90)들은 전방 벽면(90)내에 형성된 플러그 수납개구부(94)와 연통되어 있는 플러그 수납 공동(92)를 형성한다. 플러그 수납 공동(92)는 모듈라 전화 플러그(도시되지 않음)를 수납하도록 되어있다.
슬로트(96)은 상부 벽면(86)을 통해 후방 벽면(88)의 내측을 따라 연장된다. 슬로트(96)은 다수의 접점(100)들을 갖는 접속 모듈(98)(제4도)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접점(102)와 관련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접점(100)들은 스프링 접점 부분(104) 및 테일 부분(106)을 갖는다. 중간 부분(108)은 스프링 접점부분(104)를테일 부분(106)에 상호 연결시키며 접속 모듈(98) 내에 성형되어 있다. 접속 모듈(98)은 상부 벽면(86)내의 개구부를 통해 슬로트(96)내로 삽입되어 있다. 접속 모듈(98)이 슬로트(96)내에 적당하게 위치되면, 스프링 접점(104)들은 상부 벽면(86)으로부터 플러그 수납 공동(92) 내로 연장되는 위치 슬로트(110)들 내에 배설되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 접점 부분들은 스프링 접점(104)와 마찬가지로, 후방 벽면(88)로부터 플러그 수납 공동(92) 내로 대각선으로 연장되고(제8도 참조) 플러그가 플러그 수납 공동(92)내로 삽입될때 모듈라 전화 플러그의 접점들과 함께 활주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한편, 테일 부분(106)과 같은 테일 부분들은 바닥 벽면(74)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잭(32)가 인쇄 회로 기판(80) 상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테일 부분들은 인쇄 회로 기판(80) 내의 구멍들을 통해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모듈라 전화 잭(32)의 바닥 벽면(74)는 대응 단부(90)으로부터 연장되는 래치 수납 슬로트(112)를 갖는다. 대향된 래치 돌출부(114) 및 (116)은 슬로트(112)내로 연장되며 플러그가 플러그 수납 공동(92) 내로 삽입될때 표준 모듈라 전화 플러그의 래치 아암과 결합하도록 되어있다. 부가해서, 래치 돌출부(114) 및 (116)들은 모듈라 전화 잭(32)와 같은 모듈라 전화 잭이 클립(24)들 중 하나에 위치되어 있을때 클립(24)들의 만곡 부분(52)로부터 연장되는 스프링 래치(66)과 결합하도록 되어있다.
제7도의 클립(28)과 관련하여 설명하면, 모듈라 전화 잭(32')는 접속 모듈(98)이 하우징(72) 내에 설치되기 이전에 클립(28)과 같은 클립(24)들 중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하우징(72)를 클립(24)들 상에 용이하게 장착시키기 위해서, 측벽면(54) 및 (56)들의 단부들은 경사져서 기울어진 또는 경사진 표면(118) 및 (120)들을 형성한다. 하우징(72)와 같은 하우징들이 일단 클립(24) 들 상에 위치되게 되면, 캐리어 스트립(22)는 파일로트 구멍(34,36 및 38)들과 계합하는 스프로킷 또는 그와 같은 것에 의해 조립 기계(도시되지 않음) 내의 작업 지역들에 대해 이동된다. 하우징(72)가 특정 작업 지역에 위치되어 있을때, 접속 모듈(98)은 슬로트(96)내로 삽입되어 있다. 클립(28)은 클립(28)과 잭(32')의 후방 벽면(88) 사이에 충분한 간격을 허여하기에 충분히 작으므로 클립(28)은 슬로트(96) 내로 연장되지 않으며 접속 모듈(98)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접속 모듈(98)이 상기와 같이 슬로트(96)내에 위치된 후에, 캐리어 스트립(22)는 다시 전진하여 또다른 접속 모듈(28)이 또 다른 하우징(72)내에 설치되게 되어 또다른 조립된 모듈라 전화 잭(32)를 형성한다.
접속 모듈(98)이 슬로트(96)내로 삽입되는 동안에 모듈라 전화 잭(32')는 클립(28) 상에 확실하게 장착되어 있어야 하며, 다음에 캐리어(20)을 취급 및/또는 수송하는동안에 모듈라 전화 잭(32)들은 클립(24) 상에 확실하게 장착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클립(26)상에 위치된 모듈라 전화 잭(32)를 참조로 제8도에서 잘 볼수 있듯이 잭(32)들을 클립(24)들 상에 보유시키기 위해서, 다리(54) 및 (56)들 사이의 클립(26)의 폭은 측벽면(82) 및 (84)들의 내부 표면들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작게되어 있으므로 스프링(58) 및 (60)들은 측벽면(84)의 내측 표면에 대해 마찰식으로 계합 또는 지탱하고 마찰 스프링(62) 및 (64)들은 측벽면(82)의 내측 표면에 대해 마찰식으로 계합 또는 지탱한다. 부가해서, 모듈라 전화 잭(32)가 클립(26) 상에 위치될때, 래치 아암(68)은 래치 돌출부(114) 상의 경사진 또는 캠 표면(122) 및 래치 돌출부(116) 상의 경사진 또는 캠 표면(124)를 따라 활주하게 된다. 모듈라 전화 잭(32)가 클립(26) 상으로 완전히 삽입될때, 래치 아암(68)의 격설 단부(71) 부근의 캠 표면(70)은 래치 돌출부(114) 및 (116)들의 각각의 후방향 표면(126) 및 (128)들에 대해 장입(lodged)된다(제8도 참조).
따라서, 래치(66)은 모듈라 전화 잭(32)를 클립(26) 상에 걸게된다. 그러나, 잭(32)는 래치(66)에 직접 임의의 힘을 인가함이 없이도 클립(26)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후퇴력이 하우징(72)에 인가될때, 래치(66)은 만곡 부분(52)를 향해 탄성적으로 굴곡되므로 캠 표면(70)은 표면(126) 및 (128)로부터 계합이 해제되게되고 도출부(114) 및 (116) 상불 활주되어 모듈라 전화 잭(32)의 클립(26)으로부터의 제거를 허여한다.
따라서, 예컨대 하우징이 바닥 벽면(74)를 통해 연장되는 래치 수납 슬로트(112)를 갖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래치(66)이 하우징(72)의 외측으로부터 쉽게 출입할 수 없더라도 하우징(72)를 클립(26)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로보트들 또는 그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래치(66)이 형성될때 베이스(52) 내에 발생하게 되는 래치 아암(68)의 개구부(130) 내로의 과도 굴곡(overflexing)을 방지하기 위해서, 래치 아암(68)의 격설 단부(71)은 확대되어(제1도 내지 2도) 래치 아암(68)의 잔여부가 개구부(130)내에 장입되기 전에 확대된 단부(71)은 클립(26)의 베이스(52)와 계합하게 된다. 이는 래치(66)이 과도 응력을 받지 않고 약화됨이 없이 수회 작동, 즉 굴곡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캐리어(20)은 수회 재사용될 수 있다.
모듈라 전화 잭(32)들이 캐리어(20) 상에 완전히 조립되어 있을때, 캐리어 스트립(22)는 리일로 권취되어 대량의 상기 모듈라 전화 잭(32)들이 캐리어(20) 상에 보유될 수 있고 모듈라 전화 잭(32)들의 사용자에게 수송될 수 있다. 유익하게, 모듈라 전화 잭(32)들이 잭(32)들의 사용자에게 수송될때 모듈라 전화 잭(32)를 조립하는데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캐리어(20)이 사용될 수 있다.
동일 캐리어(20) 및 캐리어 상의 모듈라 전화 잭(32)가 모듈라 전화 잭(32)들을 인쇄 회로 기판(80)과 같은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설치하는데에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제10도를 참조로 하면, 모듈라 전화 잭(32)들을 인쇄 회로 기판(80) 상으로 설치하는 것과 관련하여 캐리어(20)의 하나의 사용 가능성이 나타나 있다. 캐리어(20)은 위치 결정 슬로트(134)내에 배설된 위치 돌출부(40)과 같은 위치 돌출부들과 함께 장치(132)상에 위치되어 있다. 이는 캐리어(20) 상의 모듈라 전화 잭(32)들이 캐리어 스트립(22)를 따르는 방향으로 및 모듈라 전화 잭(32)를 설치하는데에 사용되는 로보트 또는 그와 같은 것(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횡간 방향으로 적당하게 위치되게 한다. 작업 지역에 일단 적당하게 위치되면, 로보트 또는 그와 같은 것이 제10도의 화살표(136)의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힘이 모듈라 전화 잭(32)에 인가될때, 전화 잭(32)는 캐리지(20)으로부터 장입이 해제되고 인쇄 회로 기판(8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에, 로보트 또는 그와 같은 것이 모듈라 전화 잭(32)를 제10도의 화살표(138)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전화 잭(32)는 장착 기둥(76) 및 (78) 및 인쇄 회로 기판(80)을 통해 연장되는 접점(102)들의 테일 부분(106)들과 함께 인쇄 회로 기판(80) 상에 적당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잭(32)를 조립하는데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캐리어(20)이 잭(32)들을 사용자에게 수송하는데에 뿐만 아니라, 잭들을 인쇄 회로 기판 또는 그와 같은것 상에 설치하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서, 캐리어(20)은 상기 작동들 중 어느 하나의 작동 중에 임의의 방법으로 변형되지 않으므로, 캐리어(20)은 부가적인 전화 잭(32)들을 조립, 수송 및/또는 설치하는데에 재사용될 수 있다.
제4도, 6도 내지 10도에 도시된 전화 잭(32)는 4개의 접점(100)들을 보유하는 모듈라 전화 잭이다. 유사한 형식의 전화 잭들을 캐리어(20) 상에 장착할 수 있는데 상기 모듈라 전화 잭들은 상이한 수들의 접점(100)들을 장착할 수 있다. 예컨대, 전화 잭은 6 또는 8개의 접점(100)과 같은 접점들을 보유할 수 있다. 많은 수의 접점들을 전화 잭 내에 장착시키기 위해서, 플러그 수납 공동(92)의 폭이 증대되어 있다. 따라서, 클립(24)들의 폭은 측벽면(54) 및 (56)들 사이의 거리를 대응하여 증가시킴으로써 잭(32)와 조화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마찰 스프링(58) 및 (60)들은 하우징의 내측 측벽면(84)에 대해 접촉되게 되며 마찰 스프링(62) 및 (64)들은 하우징(72)의 내측 측벽면(82)와 함께 접촉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경우들에 있어서, 인접 파일로트 구멍들 사이의 거리는 각각의 클립(24)들의 폭이 변경될 때에라도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전화 잭(32)들은, 인쇄 회로 기판(80) 내의 구멍들을 통해 연장되는 접점(100)들의 테일부분(106)들을 갖음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80)상에 장착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캐리어(20)은 다른 형식의 모듈라 전화 잭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접점(100)들의 리이드 또는 테일 부분(106)들은 크림핑 또는 절연 변위에 의해 전선에 전기식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테일 부분(106)들은 전화 잭(32)들이 표면 장착 기술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80) 상에 장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부가해서, 캐리어(20)은 내측 공동을 갖는 임의의 다른 형식의 소형 성형 제품을 제조 및/또는 설치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술하였으나, 상기 설명들은 본 발명을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규정된 범위로 국한하기 위함이 아니다.

Claims (23)

  1. 내부 벽면들이 구비된 내부 공동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다수의 전기 접속기들을 해제 가능하게 보유하는 캐리어에 있어서, 연신된 캐리어 스트립, 다수의 벽면들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클립들, 및 상기 전기 접속기들 중 하나가 상기 클립들 중 하나 상에 위치되어 있을때 상기 클립의 상기 벽면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부 벽면들을 해제 가능하게 계합시키는 계합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장치가 상기 클립의 상기 벽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에 마찰 스프링 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내부 공동의 내부 벽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지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치가 상기 클립의 상기 벽면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대향하여 연장되는 만곡된 스프링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기 접속기들이 래치를 포함하며 상기 계합 장치가 상기 래치를 해제 가능하게 계합시키는, 상기 클립의 상기 벽면들 중 하나로부터 형성된 래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의 상기 벽면들이 베이스 부분 및 상기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1조의 벽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 장치가 상기 래치와 계합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외팔보식 아암의 자유단부 상에 형성된 캠 표면을 갖는, 상기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형성된 외팔보식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외팔보식 아암의 상기 자유 단부는 상기 외팔보식 아암의 잔여 부분보다 넓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식 아암의 상기 자유 단부가 상기 외팔보식 아암이 상기 베이스 부분을 향해 굴곡될때 상기 베이스 부분과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스트립이 각각의 상기 클립들에 인접하여 위치된 파일로트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구멍들 사이의 중간으로 연장되는 위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스트립이 리일로 권취될 수 있는 대체로 평탄한 금속 스트립으로 스탬프되고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9.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클램프들이 넥다운 연결 부분에 의해 상기 캐리어 스트립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의 상기 벽면들이 베이스 부분 및 상기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횡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향된 직립 벽면들을 형성하는 1조의 벽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속기의 내부 벽면들이 적어도 1조의 대향된 측벽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대향된 측벽면들 사이의 거리가 상기 클립의 상기 대향된 직립 벽면들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분 및 상기 클립의 상기 1조의 벽면들이 대체로 U-형 클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12. 1조의 대향된 측벽면들이 구비된 내부 공동을 갖는 다수의 전기 접속기들 및 상기 공동의 또다른 벽면과 관련된 래치를 보유하는 캐리어에 있어서, 연신된 캐리어 스트립,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평면 내의 만곡 부분 및 상기 만곡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1조의 다리들을 가지며 상기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횡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U-형 클립, 상기 클립이 상기 공동 내에 위치될때 상기 대향된 측벽면들에 대해 지탱하며 각각의 상기 다리들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마찰 스프링들, 및 상기 클립이 상기 공동 내에 위치될때 상기 전기 접속기의 상기 래치를 해제 가능하게 계합시키는 자체의 자유 단부 부근에 캠 표면을 가지며 상기 만곡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팔보식 래치 아암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기의 상기 래치가 래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 아암의 상기 캠 표면이 상기 래치 돌출부와 계합하여 상기 클립을 상기 전기 접속기의 상기 공동 내에 보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기의 상기 래치가 상기 클립이 상기 공동 내에 위치될때 상기 래치 아암의 상기 캠 표면이 그 상부에서 활주하게 되는 경사진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격설되어 후퇴력이 상기 전기 접속기로 인가될때 상기 래치 아암의 상기 자유 단부가 상기 만곡 부분을 향해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16. 적어도 대향된 내측 측벽면들로 형성되어 있는 수납 공동 및 접속기 래치를 각각 갖는 다수의 모듈라 접속기들을 보유하는 금속 캐리어에 있어서, 인덱싱 및 위치 결정 장치를 갖는 대체로 평탄하고 연신된 캐리어 스트립, 만곡 부분 및 상기 만곡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1조의 다리들을 가지며 그의 연부로부터 상기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횡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U-형 클립, 상기 클립이 상기 공동 내에 위치될때 상기 내측 측벽면들에 대해 지탱하며 각각의 상기 다리들로부터 대향하여 연장되는 1조의 마찰 스프링들, 및 상기 접속기 래치와 해제 가능하게 계합하도록 되어있는 자유 단부를 가지며 상기 만곡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외팔보식 클립 래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기 래치가 경사진 표면을 갖는 래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기가 상기 대향된 측벽면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 벽면을 가지며, 상기 연결 벽면은 상기 래치 돌출부가 그 내부로 연장하게 되는 슬로트를 가지며 상기 클립 래치의 상기 자유 단부가 상기 클립이 상기 수납 공동 내에 위치될때 상기 래치 돌출부의 상기 경사진 표면 상으로 활주하는 캠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18. 내부 공동을 각각 갖는 다수의 전기 접속기들이 구비된 캐리어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전기 접속기를 상기 캐리어의 캐리어스트립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클립들 중 적어도 몇개의 클립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기 접속기를 상기 클립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전기 접속기의 상기 내부 공동의 내부 벽면들과 해제 가능하게 계합하는 계합 장치에 의해 상기 클립 상에 보유시키는 단계, 상기 캐리어 스트립 부분을 작업 지역에 대해 이동시켜 상기 전기 접속기를 요소들을 상기 전기 접속기 내로 조립하기 위한 상기 작업 지역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캐리어를 상기 전기 접속기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기 접속기를 상기 클립으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전기 접속기에 후퇴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기 접속기를 설치하는 단계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기가 상기 전기 접속기의 내부 벽면들과 마찰식으로 계합하는 상기 클립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프링 장치에 의해 상기 클립 상에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기가 상기 전기 접속기 상의 래치와 해제 가능하게 계합하는 상기 클립으로부터 연장되는 래치 아암에 의해 상기 클립 상에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캐리어 스트립 부분을 상기 캐리어를 상기 전기 접속기를 설치하기 위해서 상기 장치에 대해 위치시키기 전에 리일로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스트립 부분이 각각의 상기 클립들에 인접된 상기 캐리어 스트립 부분상에 위치된 인덱싱 구멍들에 의해 상기 작업 지역에 대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상기 캐리어 스트립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 결정 장치에 의해 상기 전기 접속기를 설치하기 위한 상기 장치에 대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80008913A 1987-07-17 1988-07-16 성형 제품용 캐리어 및 캐리어의 이용 방법 KR940004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4,647 1987-07-17
US07/074,647 US4807358A (en) 1987-07-17 1987-07-17 Carrier for molded articles and method of using the carrier
US074647 1987-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066A KR890003066A (ko) 1989-04-12
KR940004195B1 true KR940004195B1 (ko) 1994-05-16

Family

ID=2212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913A KR940004195B1 (ko) 1987-07-17 1988-07-16 성형 제품용 캐리어 및 캐리어의 이용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07358A (ko)
EP (1) EP0299610B1 (ko)
JP (1) JPH01163984A (ko)
KR (1) KR940004195B1 (ko)
BR (1) BR8803574A (ko)
DE (1) DE388469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19100T2 (de) * 1988-03-17 1995-03-09 Tdk Corp Piezoelektrischer Summe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FR2677178A1 (fr) * 1991-05-29 1992-12-04 Cit Alcatel Connecteur.
DE4223745A1 (de) * 1992-07-18 1994-01-20 Sel Alcatel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nschlußfahnen an Hybridgehäusen
US5307562A (en) * 1992-11-06 1994-05-03 The Whitaker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contact
US5462457A (en) * 1994-09-22 1995-10-31 The Whitaker Corporation Overmold strain relief and snag prevention feature
JP3166824B2 (ja) * 1996-06-27 2001-05-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圧用可変抵抗器
US6071141A (en) * 1998-05-14 2000-06-06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latches
JP2000173689A (ja) * 1998-12-07 2000-06-23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用接続端子金具の製造方法
KR100475444B1 (ko) * 2002-02-25 2005-03-10 주식회사 자생바이오 균사체 액체배양에 의해 생산된 표고버섯유래세포외다당체의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및 그 분리방법
US20100018891A1 (en) * 2008-07-24 2010-01-28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Package assembly enclos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connector jacks and method of use
DE102011082806A1 (de) * 2011-09-16 2013-03-21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iagnose von Fehlern in Bauteilen von Fahrwerksystemen von Kraftfahrzeugen
TWM468814U (zh) * 2013-08-28 2013-12-21 Bellwether Electronic Corp 連接器料帶及其連接器模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5644C (ko) * 1964-02-27
US4149768A (en) * 1977-06-15 1979-04-17 Amp Incorporated Composite strip of thermoplastic articl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4292736A (en) * 1978-09-08 1981-10-06 Amp Incorporated Method for making jack type receptacles
US4231628A (en) * 1978-12-14 1980-11-04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s
GB8315211D0 (en) * 1983-06-03 1983-07-06 Molex Europ Management Ltd Manufacturing moulded articles
US4541174A (en) * 1984-06-04 1985-09-17 Allied Corporation Process of making a jack-type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99610A2 (en) 1989-01-18
BR8803574A (pt) 1989-02-08
EP0299610A3 (en) 1990-06-20
JPH0542120B2 (ko) 1993-06-25
EP0299610B1 (en) 1993-10-06
JPH01163984A (ja) 1989-06-28
DE3884695D1 (de) 1993-11-11
DE3884695T2 (de) 1994-04-28
US4807358A (en) 1989-02-28
KR890003066A (ko) 1989-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0122B1 (ko) 다중 전도체 전기 접속기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스탬프 형성 접촉부
KR940004195B1 (ko) 성형 제품용 캐리어 및 캐리어의 이용 방법
US5498167A (en) Board to board electrical connectors
US3596235A (en) Electrical contact element and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contact element
US4159158A (en) Displation connector having improved terminal supporting means
US4936783A (en) Electronic socket for IC quad pack
US4145103A (en) Connector with low profile latch
US4753608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its termination method
US5945635A (en) Wire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wires
US4354718A (en) Dual-in-line package carrier and socket assembly
EP0866528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ool engagement arm
WO1980000513A1 (en) Electrical socket connector construction
US5921785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s
JPS607027Y2 (ja) 電気端子用絶縁担持ハウジング
US5547391A (en) Commoning electrical connector
US4508410A (en) Electrical termination system and connector member
US4127935A (en) Method for assembly of electrical connectors
US5622515A (en) Grounding electrical leads
US469734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arrier assembly
EP0476355B1 (en) Transportation protection and insertion device for multiconductor cables
US6158111A (en) Wire harness connector installation clip
JPH0529040A (ja) 連結可能なハウジング
JPS61227380A (ja) 電気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5017164A (en) Surface mount I.C. pin array system
US4653828A (en) Pin shroud with universal latch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