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444B1 - 균사체 액체배양에 의해 생산된 표고버섯유래세포외다당체의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및 그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균사체 액체배양에 의해 생산된 표고버섯유래세포외다당체의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및 그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444B1
KR100475444B1 KR10-2002-0009982A KR20020009982A KR100475444B1 KR 100475444 B1 KR100475444 B1 KR 100475444B1 KR 20020009982 A KR20020009982 A KR 20020009982A KR 100475444 B1 KR100475444 B1 KR 100475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shiitake
extracellular
culture
shiitake mus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0440A (ko
Inventor
송치현
양병근
김동현
신준식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생바이오
송치현
신준식
양병근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생바이오, 송치현, 신준식, 양병근, 김동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생바이오
Priority to KR10-2002-0009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444B1/ko
Publication of KR20030070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4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4Polysaccharides, i.e.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bond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고버섯유래의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스트렙토조토신 유도성 당뇨쥐를 이용하여 표고버섯의 균사체 액체배양으로부터 생산된 세포외다당체는 대조군에 비해 혈장 포도당의 레벨을 21.5% 정도로 감소시키고 혈장 인슐린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을 각각 25.1과 44.5%로 낮추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따라서, 표고버섯유래의 세포외다당체는 혈당강하 효과가 있으므로 상기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하는 우수한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어 의약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균사체 액체배양에 의해 생산된 표고버섯유래 세포외다당체의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및 그 분리방법{The therapeutical composion for diabetes from Lentinus edodes exo-polymer produced from submerged mycelial culture and method for isolation thereof}
본 발명은 표고버섯유래의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균사체 액체배양을 통해 생산된 표고버섯유래의 세포외다당체의 혈당강하 효과를 이용한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hihara 등이 표고버섯의 항암활성을 최초로 보고한 이래, 여러 종류의 다른 질병에 대한 표고버섯의 효험이 증명되었으며, 오랫동안 영약(엘릭서제)으로 이용되어왔다. Kim 등은 표고버섯이 쥐의 혈청에서 혈중 포도당과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을 낮추는 혈당강하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다른 종류의 버섯종들 역시 혈당강하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혈당강하 효과는 대부분 자실체 혹은 균사체에서 나타났다. 또한, 최근에는 배양배지로부터 비교적 간단하게 분리되기 때문에, 표고버섯의 배양 침전물로부터 분리한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들에 대한 많은 보고들이 있다. 그러나, 버섯의 균사체 액체배양을 통하여 생산된 생리활성이 있는 세포외다당체의 혈당강하 활성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균사체 액체배양을 통해 배양된 표고버섯으로부터분리한 혈당강하 활성을 갖는 수용성 세포외다당체 및 그 분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혈당강하 활성을 갖는 수용성 세포외다당체의 구성성분을 분석하고,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표고버섯을 균사체 액체배양하고 상기 배양액으로부터 세포외다당체를 얻고 0.2M NaCl로 평형화시킨 세팔로우즈 CL-6B 컬럼상에서 젤 여과를 실시한 다음 세포외다당체의 구성성분 및 분자량을 확인하고 스트렙토조토신 유도 당뇨쥐를 이용하여 상기 세포외다당체를 경구투여하여 사육시킨 후 실험쥐로부터 혈액을 얻고 상기 혈액을 분석하여 포도당, 인슐린, 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을 조사하여 표고버섯유래의 세포외다당체의 당뇨병 치료 효과를 조사하고 상기 세포외다당체의 혈당강하 활성의 실체를 알아보기 위해 아미노산과 당 성분을 분석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표고버섯을 균사체 액체배양하고 상기 배양액으로부터 세포외다당체를 얻는 단계; 스트렙토조토신 유도 당뇨쥐를 이용하여 상기 세포외다당체를 경구투여하여 사육시킨 후 실험쥐로부터 혈액을 얻는 단계; 상기 혈액으로부터 포도당, 인슐린, 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세포외다당체의 혈당강하 활성의 실체를 알아보기 위해 아미노산과 당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표고버섯유래의 혈당강하 활성을 갖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의 치료용 조성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혼합하여 약학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활택제, 항미제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경구투여용 제제 또는 비경구투여용 제제와 같은 단위 투여형 또는 수회 투여형 약제학적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비경구투여하거나 경구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체중 1kg당 표고버섯유래의 세포외다당체는 0.05g 내지 0.2g을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g을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사용될 특정 화합물, 체중, 환자의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표고버섯으로부터 세포외다당체의 분리
표고버섯유래의 세포외다당체의 배양 및 분리
본원발명의 표고버섯유래의 세포외다당체 분리를 위해 사용된 표고버섯을 감자/덱스트로우즈 배지에 넣고 120rpm, 25℃의 회전진탕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10일 후, 표고버섯 배양배지 50ml을 무균상태에서 분쇄하고나서 상기 분쇄물을 다음의 조성물(g/L)을 포함한 배양배지에 1%(v/v)으로 접종하였다: 감자/덱스트로우즈 배지, 24; 엿기름 추출물, 10; 펩톤, 1; pH는 멸균하기전에 5로 맞추었다. 상기 분쇄물을 포함한 배양액 200ml을 넣은 500ml용 플라스크를 회전진탕기에 놓고 120rpm, 25℃에서 24일동안 균사체 액체배양하였다. 액체배양후 표고버섯으로부터 세포외다당체를 분리하는 과정은 도 1에 나타내었다.
젤 여과
표고버섯의 액체배양 배지로부터 얻은 세포외다당체를 2M NaCl에 녹이고, 튜브당 5 ml 부피의 유속에서 0.2M NaCl로 평형화시킨 세팔로우즈 CL-6B 컬럼상에서 젤 여과를 실시하였다. 상기 결과는 도 2에 나타냈으며, 각 분획의 부피는 5ml이며, 용출액은 당에 대해서는 페놀-황산법을 실시한 후 490nm에서 흡광도를, 그리고 단백질에 대해서는 Lowry 방법을 실시한 후 2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한 표고버섯의 균사체 액체배양으로부터 생산된 세포외다당체의 분자량을 측정하였으며, 각 분획의 부피는 5ml이며, 상기 용출액은 당에 대해서는 페놀-황산법을 실시한 후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표준 분자량은 시그마사에서 시판되는 덱스트란(MW 2,000, 500, 70, 40 및 10 kDa)을 사용하였다. T-2000은 덱스트란의 분자량 2,000,000: T-500은 분자량 500,000; T-70은 분자량 70,000: T-40은 분자량 40,000: T-10은 분자량 10,000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균사체 배양 배지로부터 얻은 세포외다당체를 세팔로우즈 CL-6B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결과, 단지 한 개의 피크만을 나타냈으며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분자량은 53kDa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2: 표고버섯유래의 세포외다당체의 혈당강하 효과
실험동물 및 사육조건
본 발명의 표고버섯유래의 세포외다당체의 혈당강하 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사용된 Sprague-Dawley 쥐는 5주된 수컷으로서 한국 화학 기술 연구소로부터 얻었다. 상기 실험용쥐는 22℃의 온도, 55%의 습도 및 12시간마다 명암이 조절되는 사육실내 스테인리스 강철장에서 개별적으로 사육되었다. 실험기간동안, 시판되는 사료(삼양사 제품, 한국)를 상기 실험쥐에게 먹였다.
당뇨유도 및 세포외다당체의 경구투여
상기의 조건에서 실험용쥐를 7-10일동안 키운 후, 스트렙토조토신(시그마사 제품, 50 mg/kg BW, pH4.5의 시트레이트 완충액에 용해됨)을 근육내 주사하기 전 12시간동안 단식시켰다. 스트렙토조토신을 처리하고 2일 후, 절식시키지 않았을 때의 혈중 포도당 농도가 300mg/dl보다 높을 때 이를 당뇨병을 갖게된 것으로 결정하였으며, 또한 당뇨상태는 오줌에서 포도당에 대한 양성반응으로써 확인하였다(실험 스트립; 독일 글루코테스트사제품을 사용). 그후, 상기 동물들을 인슐린-의존성 당뇨병(IDDM) 모델로 이용하였다. 각 실험군은 셀라인(saline)과 세포외다당체 50-200mg/kg을 7일 동안 매일 오전 8-10시 사이에 구강존대를 사용하여 경구투여 하였다. 상기 경구투여의 마지막에는 실험용 동물들을 9시간동안 절식시키고나서 에테르 마취하고, 즉시 도살하여 복부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얻었다. 먹이 섭취 및 체중은 각각 매일 그리고 매주 기록하였다.
생화학적 분석
상기에서 얻은 혈액샘플을 헤파린화된 튜브에 모았으며, 혈장은 1,100×g로 10분동안 원심분리하여 분리하였다. 혈장내 포도당과 인슐린 함량은 각각 글루코우즈 옥시데이즈 키트(글루코우즈B-테스트, 일본의 와코 퓨어 케미칼사 제품)와 125I 방사면역측정법(코트-A-카운트 인슐린 키트, 미국 DPC사 제품)으로 측정하였다. 혈장의 TC, TG, ALT 및 AST 함량은 효소 실험 키트(한국 아산제약회사제품)로 평가하였다.
14일동안, 스트렙토조토신 유도 당뇨쥐의 먹이 섭취 및 체중에 대한 표고버섯 세포외다당체의 효과.
그룹(세포외다당체, mg/kg/day) 사료 섭취(g/day) 체중 습득(g/week)
대조군 (셀라인 투여) 25.2 ±6.5 19.0 ±6.5
50 23.3 ±5.7 21.5 ±7.8
100 19.3 ±5.7 22.7 ±6.5
150 20.9 ±5.6 24.7 ±8.4
200 20.4 ±5.4 22.5 ±7.4
각 수치는 평균±표준오차(n=8)로 나타내었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스트렙토조토신 유도성 당뇨쥐에서 체중이 낮았으며, 실험동물이 혈당저하 상태에 놓이게 되면 회복되었다. 그러나, 세포외다당체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실험동물들의 체중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간 높긴해도 유효한 차이는 없었다. 게다가, 실험동물의 사료 섭취 역시 별 차이가 없었다. 세포외다당체를 경구투여한 경우, 실험동물의 전반적인 행동에 있어 별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실험동안 실험동물들의 치사는 발견된 바 없었다. 결과적으로, 세포외다당체를 경구투여함으로 인한 실험쥐에 대한 독성효과의 가능성을 배제시킬 수 있었다.
7일동안, 스트렙토조토신 유도 당뇨쥐에서 혈장 포도당 및 인슐린 함량에 대한 표고버섯 세포외다당체의 효과
그룹 (세포외다당체, mg/kg/day) 포도당 (mg/dl) 인슐린 (mIU/ml)
대조군 (셀라인 투여) 146 ±1 c 0.87 ±0.04 a
50 123 ±2 b 1.12 ±0.05 ab
100 120 ±3 ab 1.21 ±0.08 ab
150 119 ±1 ab 1.44 ±0.03 b
200 115 ±1 a 1.71 ±0.06 c
각 수치는 평균 ±표준오차 (n=8)로 나타내었다.
a,b,c, 수치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p<0.05).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당뇨쥐에서 혈장 포도당 보유 및 인슐린 합성에 대한 표고버섯 세포외다당체의 투여결과를 보면, 혈장 포도당 함량은 50 mg/kg BW 정도의 낮은 세포외다당체 양에서조차 떨어졌으며, 게다가 투여량을 높여도 역시 떨어졌다. 200 mg/kg BW 의 세포외다당체를 투여한 결과, 혈장 포도당 함량이 21% 정도 감소되었다. 또한, 세포외다당체는 혈장 인슐린 함량을 22% 정도 상승시켰다. 스트렙토조토신은 이자섬에서 β-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함으로써 췌장에서의 인슐린 분비를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표고버섯의 세포외다당체는 아마도 췌장의 β-세포의 손상을 어느 정도 회복시키고 인슐린 합성을 촉진하여 혈장의 포도당 함량을 낮추는 것 같다.
7일동안, 스트렙토조토신 유도 당뇨쥐에서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에 대한 표고버섯의 세포외다당체의 효과
그룹 (세포외다당체, mg/kg/day) 트리글리세라이드(mg/dl) 총 콜레스테롤 (mg/dl)
대조군(셀라인 투여) 105.8 ±4.0 d 100.1 ±4.6 c
50 91.1 ±7.1 c 80.9 ±3.9 ab
100 74.0 ±3.8 b 86.1 ±3.2 bc
150 73.3 ±3.5 b 82.7 ±4.8 ab
200 58.7 ±2.9 a 75.0 ±4.7 a
각 수치는 평균 ±표준오차 (n=8)로 나타내었다.
a,b,c, 수치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p<0.05).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균사체 액체배양으로부터 생산된 표고버섯유래의 세포외다당체를 스트렙토조토신 유도 당뇨쥐에 투여한 결과 트리글리세라이드와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감소됨을 볼 수 있었다. 즉, 200 mg/kg BW 농도의 세포외다당체를 투여한 결과, 혈장의 트리글리세라이드와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 44.5와 25.1%으로 저하되었다. 세포외다당체의 농도를 200 mg/kg/5 ml으로 높인 경우에는, 제한된 부피의 용매상에서 세포외다당체의 점도가 높아져 투여할 수 없다.
혈청의 트리글리세라이드와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인슐린-의존성 당뇨병(IDDM) 모델의 실험쥐에서 당뇨조절도에 달려있다. 지단백 리파아제 활성의 감소로 인한 유리 지방산의 동원 증가 및 제거율의 감소는 결과적으로 혈장의 트리글리세라이드와 초저밀도의 지단백(VLDL)의 함량을 높인다. 인슐린은 간에서 초저밀도의 지단백을 혈장으로 분비하는 것과 내피성 지단백 리파아제의 작용에 따라 말초조직에서 초저밀도의 지단백의 제거하는 것을 둘 다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의 보고로 부터, 스트렙토조토신이 투여된 당뇨쥐에서 낮은 인슐린 함량은 지단백 리파아제의 기능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을 높이리라 생각된다. 인슐린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세포외다당체는 혈장의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감소시키도록 지단백 리파아제를 유도했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혈장의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을 감소시킴에 따라, 세포외다당체체는 또한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일반적으로 독극물 투여, 간경변, 간염 및 간암과 같은 간의 대사적 변화로 인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알라닌 트랜스아미나아제(ALT)와 아스파레이트 트랜스아미나아제(AST)는 이들의 함량에 따라 간 손상 정도를 결정하는데 있어 마커로써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결과, 혈장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와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높은 것은 혈장의 포도당 함량을 높임으로써 직·간접적으로 스트렙토조토신에 의한 손상으로 유발되는 비정상적인 간 기능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7일동안, 스트렙토조토신 유도 당뇨쥐에서 혈장내 알라닌 트랜스아미나아제(ALT)와 아스파레이트 트랜스아미나아제(AST) 함량에 대한 표고버섯 세포외다당체의 효과
그룹(세포외다당체, g/kg/day) ALT(IU/L) AST(IU/L)
대조군 (셀라인 투여) 212 ±4 b 269 ±4 c
50 195 ±4 ab 262 ±2 bc
100 188 ±3 a 240 ±5 a
150 190 ±3 ab 252 ±4 ab
200 196 ±3 ab 263 ±2 bc
각 수치는 평균 ±표준오차 (n=8)로 나타내었다.
a,b,c, 수치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p<0.05).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른 세포외다당체 투여군에 대한 혈장내 AST와 ALT의 수치는 세포외다당체를 투여함에 따라 둘 다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100 mg/kg농도의 세포외다당체를 투여한 경우 상기 수치들은 최대로 감소되었다. 농도가 높을수록 그들의 활성은 증가되었으며,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전반적인 상기 활성들의 감소는 포도당 저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어떤 의미에서는 세포외다당체가 간 기능을 바로잡는 역할을 담당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상기 사실은 당뇨쥐의 혈장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와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어느 정도는 담당하리라 추측케 한다. 비록 표고버섯의 세포외다당체가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내는 정확한 메카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여러 메커니즘들이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리라 사료된다.
실시예 3: 저혈당 활성이 있는 표고버섯유래의세포외다당체의 성분분석
표고버섯유래의 세포외다당체의 당과 아미노산 성분분석
본원발명의 혈당강하 활성이 있는 표고버섯유래의 세포외다당체의 구성성분을 분석하기위하여, 세포외다당체의 총단백질 함량은 표준물질로서 보바인 씨럼 알부민 (bovine serum albumin)을 사용하여 Lowry 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아미노산 구성성분은 단백질 가수분해 후 소듐-타입 컬럼으로 바이오크롬 20 아미노산 자가분석기(Biochrom 20 amino acid auto-analyzer, 파마시아 바이오테크사 제품)에서 분석하였다. 표고버섯 세포외다당체의 총당 함량은 표준물질로서 만노우즈와 갈락토우즈 혼합액(1:1)을 사용하여 페놀-황산법으로 측정하였다. 당 구성성분은 Jones 과 Albersheim의 가수분해 및 아세틸화 방법에 따라 GC 3600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각 데이터의 값은 평균 ± 표준오차로 나타내었다. 그룹 평균값은 일원분산분석과 Duncan의 배열 시험으로 비교하였다. 통계차는 p<0.05에서 유효한 것으로 고려하였다.
화학적으로,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분리된 세포외다당체는 당단백질인 것 같으며, 83.5%의 탄수화물과 16.5%의 단백질을 포함하며 산성당은 검출되지 않았다. 세포외다당체에 대한 자세한 화학적 분석은 표 5에 나타내었다. 8 종류의 당은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있고, 주 구성당은 만노우즈(55.1%), 갈락토우즈(21.8%) 및 글루코우즈(10.6%)였다. 표 5에 따르면, 단백질의 주 구성아미노산은 아스파르트산(14.4%), 세린(12.4%), 글루탐산(11.9%) 및 글리신(10.1%)이었다. 표고버섯 세포외다당체에 대한 여러 보고들을 보자면, 상기 세포외다당체를 "다당류가 결합된 단백질"로 혹은 "수용성 리그닌" 혹은 "자일로우즈가 풍부한 프로테오글리칸" 으로 용어화하였지만 자세한 화학적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표고버섯 세포외다당체에 대한 생리활성 특징들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면역활성 및 항바이러스, 항암 효과 및 분열 활성 등의 특징들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표고버섯 세포외다당체의 화학적 특징들에 대한 다양한 보고들은 균사체의 배양조건이 달랐기 때문인데, Kiho 등은 세포외다당체의 혈당강하 효과에 대한 보고에서, 사상균유래의 외다당류의 혈당강하 효과는 몰 비율이 1:9인 갈락토우즈와 만노우즈로 구성된 가지를 갖는 갈락토만난 때문임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의 표고버섯유래의 세포외다당체는 만노우즈, 갈락토우즈 및 글루코우즈가 우세한 8 종류의 다른 당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더욱이, 다른 종류에서 얻은 저혈당성 생중합체 역시 화학적으로 서로 달랐으므로, 혈당강하 활성은 생중합체의 특이한 화학적 조성에 달려있기보다는 오히려, 복잡한 화학 구조때문일 가능성이 짙다. 동시에, 버섯유래의 생중합체가 모두 저혈당성을 갖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정도로 혈당강하 활성을 나타냄에 있어 "어떤 구조적 특이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표고버섯의 균사체 액침배양으로부터 생산된 세포외다당체의 아미노산 및 당 성분
조성물 (%)1 아미노산 조성물 (%)2
람노우즈 0.3 아스파르트산 14.4
퓨코우즈 5.2 트레오닌 9.8
리보오스 0.1 세린 12.4
아라비노우즈 2.7 글루탐산 11.9
자일로우즈 4.4 프롤린 0.3
만노우즈 55.1 글리신 10.1
갈락토우즈 21.8 알라닌 6.6
글루코우즈 10.6 시스테인 1.4
발린 5.7
메티오닌 0.6
이소루이신 3.4
루이신 4.4
티로신 1.7
페닐알라닌 8.2
히스티딘 2.5
라이신 5.4
아르기닌 1.3
총 당 함량 83.5 총 아미노산 함량 16.5
1 퍼센트는 총당당 함량으로 계산하였다.
2 퍼센트는 총 아미노산당 함량으로 계산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표고버섯의 균사체 액체배양으로부터 생산된 세포외다당체는 스트렙토조토신 유도성 당뇨쥐에서 포도당의 레벨을 21.5% 정도로 감소시키고 혈장 인슐린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을 각각 25.1과 44.5%로 낮추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따라서, 표고버섯유래의 세포외다당체는 혈당강하 효과가 있으므로 상기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하는 우수한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어 의약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표고버섯의 균사체 액체배양으로부터 세포외다당체를 분리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세팔로우즈 CL-6B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고버섯의 균사체 액체배양으로부터 생산된 세포외다당체의 용출을 도표한 것이다.
도 3은 세팔로우즈 CL-6B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고버섯의 균사체 액체배양으로부터 생산된 세포외다당체(EP)의 분자량을 측정한 것이다.

Claims (4)

  1. 가) 표고버섯을 감자/덱스트로우즈 배지에 넣고 120rpm, 25℃ 조건의 회전진탕기에서 배양하고,
    나) 상기 배양 10일 후 표고버섯 배양배지를 무균상태에서 분쇄하고나서, 상기 분쇄물을 감자/덱스트로우즈 배지(24g/L), 엿기름 추출물(10g/L) 및 펩톤(1g/L)으로 구성되며 pH 5로 맞춘 배양배지에 1%(v/v)으로 접종하고,
    다) 상기 분쇄물을 포함한 배양액을 120rpm, 25℃ 조건의 회전진탕기에서 24일 동안 균사체 액체배양하고,
    라) 상기 균사체 액체배양액을 10,447 x g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을 에탄올 침전시켜 원심분리하고,
    마) 상기에서 얻은 침전물을 동결건조한 후 증류수로 현탁하고, 세팔로우즈(sepharose) CL-6B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고버섯유래의 세포외다당체 분리방법.
  2. 삭제
  3. 제 1항의 분리방법으로부터 분리되며, 83.5%의 탄수화물과 16.5%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당단백질이며, 주 구성당은 만노우즈, 갈락토우즈 및 글루코우즈로 이루어지며, 주 구성아미노산은 아스파르트산, 세린, 글루탐산 및 글리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 활성이 있는 표고버섯유래의 세포외다당체.
  4. 제 3항의 표고버섯 유래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KR10-2002-0009982A 2002-02-25 2002-02-25 균사체 액체배양에 의해 생산된 표고버섯유래세포외다당체의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및 그 분리방법 KR100475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982A KR100475444B1 (ko) 2002-02-25 2002-02-25 균사체 액체배양에 의해 생산된 표고버섯유래세포외다당체의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및 그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982A KR100475444B1 (ko) 2002-02-25 2002-02-25 균사체 액체배양에 의해 생산된 표고버섯유래세포외다당체의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및 그 분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440A KR20030070440A (ko) 2003-08-30
KR100475444B1 true KR100475444B1 (ko) 2005-03-10

Family

ID=32222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982A KR100475444B1 (ko) 2002-02-25 2002-02-25 균사체 액체배양에 의해 생산된 표고버섯유래세포외다당체의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및 그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073B1 (ko) * 2004-07-23 2006-05-25 (주)에프지에프알앤비 잔나비걸상버섯의 균사체 액체배양액으로부터 얻은 동결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066A (ko) * 1987-07-17 1989-04-12 루이스 에이. 해츠 성형 제품용 캐리어 및 캐리어의 이용방법
KR960010873A (ko) * 1994-09-29 1996-04-20 김준웅 단백 다당체의 제조방법
KR20010106150A (ko) * 2001-01-29 2001-11-29 송치현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액으로부터 균체외 고분자 물질의생산방법 및 그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066A (ko) * 1987-07-17 1989-04-12 루이스 에이. 해츠 성형 제품용 캐리어 및 캐리어의 이용방법
KR960010873A (ko) * 1994-09-29 1996-04-20 김준웅 단백 다당체의 제조방법
KR20010106150A (ko) * 2001-01-29 2001-11-29 송치현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액으로부터 균체외 고분자 물질의생산방법 및 그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mmunopharmacology 24(1): 57-63 (1992. 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440A (ko) 200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Hypoglycemic effect of a Lentinus edodes exo-polymer producedfrom a submerged mycelial culture
KR101031605B1 (ko) 당뇨병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 추출물
US6383799B1 (en) Process for producing, methods and compositions of glucuronoxylomannan as nutriceutical agent from higher basidiomycetes mushroom
JP5658479B2 (ja) 脂肪減少等の活性を示す組成物
JPS6234396B2 (ko)
CN101044161A (zh) 纯化的阿拉伯半乳聚糖-蛋白(agp)组合物
Yang et al. Hypoglycemic effects of exo-biopolymers produced by five different medicinal mushroom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KR101869792B1 (ko) 호박벌 여왕벌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지방축적억제 용도
KR100475444B1 (ko) 균사체 액체배양에 의해 생산된 표고버섯유래세포외다당체의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및 그 분리방법
JP4233029B2 (ja) マイタケ由来の抽出物およびグリコプロテイン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408101B1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표고버섯 균사체 흑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US20080242621A1 (en) Yeast hydrolysate containing cyclo-his-pro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2380296B1 (ko) 기계충버섯(Irpex lacteus) 균사체 배양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80664B1 (ko) 저지혈증 효과를 갖는 목이버섯 자실체 유래의 다당체 및그 제조 방법
KR100963511B1 (ko) 제2형 당뇨치료 효과가 있는 상황 버섯 균사체 유래의항당뇨 활성 세포외다당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79962A (ko) 흰목이 버섯 균사체 유래의 항당뇨 활성 세포외다당체 및그 제조방법
KR100583073B1 (ko) 잔나비걸상버섯의 균사체 액체배양액으로부터 얻은 동결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KR100852479B1 (ko) 혈당강하 효과를 갖는 운지버섯 유래 다당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79034A (ko) 밀버섯 균사체 액체배양에 의해 생산된 혈당강하 활성을갖는 세포외다당체, 그 분리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KR20040066344A (ko) 저지혈증 효과를 갖는 노루궁뎅이버섯 유래의세포외다당체, 그 분리방법 및 용도
KR100729213B1 (ko) 면역 증강 활성을 갖는 잎새 버섯의 액체배양물로부터분리한 세포외 생체고분자
KR20080070417A (ko) 저지혈증 효과를 갖는 목이버섯의 균사체와 자실체 및 그생산 방법
KR102297056B1 (ko) 포로스테레움속 신균주 Porostereum sp.(KCTC18837P) 균사체 배양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468648B1 (ko) 저지혈증 효과를 갖는 영지버섯 유래의 세포외다당체와 세포내다당체 및 그 용도
KR102353869B1 (ko)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