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194B1 - 이중 목적의 카드 모서리 콘넥터 - Google Patents

이중 목적의 카드 모서리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194B1
KR940004194B1 KR1019890008053A KR890008053A KR940004194B1 KR 940004194 B1 KR940004194 B1 KR 940004194B1 KR 1019890008053 A KR1019890008053 A KR 1019890008053A KR 890008053 A KR890008053 A KR 890008053A KR 940004194 B1 KR940004194 B1 KR 940004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ntact
groove
groove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8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726A (ko
Inventor
제이알. 하워드 월러스 앤드류스
Original Assignee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제이 엘. 세이트 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339,910 external-priority patent/US4869672A/en
Application filed by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제이 엘. 세이트 칙 filed Critical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00008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중 목적의 카드 모서리 콘넥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한 실시예로서 제작된 전기 콘넥터의 투시도이며, 도한 전도체 패드가 다른 중심선 간격으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콘넥터에 삽입하여 전기 접촉을 이루게 할 수 있는 두개의 인쇄 회로 카드를 나타내고 있다.
제2도는 내부의 콘넥터 소자에 관한 상세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제3도 및 제4도는 공동과 그 안에 배치된 콘넥터 소자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부 횡단면도이다.
제5도는 일부 단면을 노출시킨 콘넥터와 그 안에 삽입될 수 있는 두가지 회로 카드 중의 하나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제6도는 두가지 회로 카드중 하나가 삽입되어 있는 콘넥터의 끝에서 본 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5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콘넥터의 측면도이며, 그안에 삽입될 수 있는 두가지 회로 카드중 다른 종류의 카드를 함께 나타내고 있다.
제8도는 다른 종류의 회로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콘넥터의 끝에서 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제2인쇄회로카드 14 ; 제2전도체패드
16 : 제1인쇄회로카드 18 : 제1전도체패드
22 : 카드모서리수용홈 24 : 제1콘텍트 소자
26 : 제2콘텍트 소자 34 : 위치 결정 수단
48 : 제1접촉부분 66 : 제2접촉부분
여기에 개시한 발명은 인쇄 회로 카드의 회로를 인쇄회로판 즉 배면에 있는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카드 모서리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카드 모서리 콘넥터 즉 미합중국 특허 제4,636,021호는 전도체의 트레이스 즉 패드(pad)를 가지고 있고 그 패드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 거리 즉 0.050인치로 되어 있는 회로 카드를 수용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그리하여 패드 사이의 간격이 다른 카드는 그속에 끼워 넣을 수 없게 되어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만일 패드 사이의 간격이 다른 새로운 회로 카드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먼저 처음의 카드 모서리 콘넥터를 제거하고(이는 어렵고도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임), 새로운 카드에 맞는 다른 콘넥터를 설치해야 함을 뜻한다. 그래서 이제 전도체 패드의 간격이 다른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카드 모서리 콘넥터를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이중 목적 카드 모서리 콘넥터가 전도체 패드의 중심선 간격이 다른 두가지의 인쇄 회로 카드중 어느것이나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콘넥터는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가진 한개의 절연체로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고, 전도체의 콘텍트소자들이 교대로 상층선과 하층선에서 홈안으로 튀어 나오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홈 안에 위치 결정 멤버가 있어 어떤 종류의 카드는 상층에 있는 접점들만이 그 전도체 패드와 접촉하도록 위치하게 하고, 또 다른 종류의 회로 카드는 상하층 모두에 있는 접점들이 그 전도체 패드와 접촉하도록 위치를 잡게한다.
제1도에 있어서, 카드 모서리 콘넥터(10)은 본 발명에 의거 제작된 것으로서, 좁은 간격의 전도체 패드(14)즉 중심선 간격이 0.050인치로 되어 있는 패드(14)를 가진 인쇄회로 카드(12)이나, 혹은 덜 밀집된 간격 즉 0.100인치 간격으로 된 패드(18)을 가진 카드(16)중 어느것이나 수용할 수 있다.
콘넥터(10)은 제2도에 더욱 자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길다란 절연체의 하우징(20)을 포함하고 있으며, 카드모서리를 수용하는 홈(22)와 복수개의 전도체 콘넥트소자(24,26)을 가지고 있다. 콘택트 소자(24,26)은 각각 공동(28,30)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공동들은 되도록 홈(22)의 양쪽 모두에 있어 홈과 통하게 만든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공동(28)과 공동(30)은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홈(22)의 바닥(32)을 따라 적절한 간격을 두고 위치 결정 멤버(34)가 위쪽으로 뻗어 있다(제2도에는 한개만 나타냄). 또한 홈(22)에는 횡 방향으로 키 역할하는 벽(36)(제1도 및 제5도)이 있어 카드(12 및 16)이 적절한 방향으로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보장한다.
제3도에 있어서, 공동(28)은 정상부 가까이에서 공동을 가로지른 예비장전 바아(38)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통로(40)은 하우징(20)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하우징을 관통하고 공동(28) 및 하우징의 바닥 표면(42)로 통한다. 콘택트(24)는 공동(28)안에 자리잡고, 그의 자유단(44)은 바아(38)에 기대고, 도선(46)은 하우징(20)의 표면(42)을 통하여 밖으로 뻗어 있다. 또한 탄력성의 빔(50)의 접촉부분(48)은 하우징(20)의 윗면(52)근방에서 홈(22)안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4도에 있어서, 공동(30)은 홈(22)의 하반부에서만 홈과 통하고 벽(54)가 상반부로의 접근을 막고 있다. 통로(56)은 측벽(58)옆에 있고 하우징(20)을 관통하여 공동(30)과 밑바닥표면(42)와 통하고 있다. 콘택트(26)은 공동(30)안에 자리 잡고, 반대방향으로 구부린 탄력성 빔(62)의 윗부분(60)은 벽(54)의 자유단(64)에 의해서 미리 장전(눌러서 스프링 작용을 하게 함)되고, 빔(62)의 자유단(68)가까이에 있는 접촉부분(66)은 홈(22)의 하반부 즉 벽(54)아랫쪽에서 홈안으로 튀어나와 있다. 도선(70)은 하우징(20)의 표면(42)에서 통로(56)을 지나 밖으로 뻗어 있다.
이상의 설명과 제2도 내지 4도로부터, 소자(24)의 접촉부분(48)과 소자(26)의 접촉부분(66)이 번갈아서 홈(22)의 상반부와 하반부에 튀어나와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콘택트 소자(24,26)은 모두 적절한 전도체의 재로 즉 베리륨-동 또는 인청동으로 찍어 내어 성형된다.
제5도는, 카드(12)가 콘넥터(10)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패드(14)들은 카드의 모서리 가까이 있는 패드(14a)와 모서리(72)에서 안쪽에 들어와 위치하고 있는 패드(14b)를 포함하고 있다. 더 큰 간격을 두고 홈(22)안에 있는 위치 결정 멤버(34)의 간격과 맞춰 모서리(72)에 놋취(74)가 만들어져 있다. 키 놋취(76)이 키 작용하는 벽(36)과 협력하기 위하여 만들어져 있다. 카드(12)가 홈(22)안에 삽입될때 놋취(74)들은 위치 결정 멤버(34)들을 수용하여 카드의 모서리(72)가 홈의 바닥(32)와 맞닿게 된다. 따라서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자(24)의 접촉부분(48)이 패드(14b)들과 닿고, 접촉부분(66)은 카드 모서리(72)가까이에 있는 패드(14a)와 홈(22)의 하반부에서 닿는다.
제7도는 카드(16)이 콘넥터(10)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패드(18)은 카드의 모서리(78)가까이에 있다. 키 놋취(76)이 홈(22)안에 있는 키작용 벽(36)과 협력하기 위하여 모서리78)에 만들어져 있다. 카드(16)이 홈(22)에 삽입될때, 모서리(78)은 위치 결정 멤버(34)와 맞닿아서 카드(16)은 상반부에 머물게 된다. 따라서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택트 소자(24)의 접촉부분(48)만이 카드(16)의 패드(18)과 닿는다.
여기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결정 멤버(34)는 홈의 바닥(32)에서 위로 뻗는 횡벽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그에 해당하는 위치 결정 멤버는 다른 형태를 취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적절한 높이에서 홈(22)을 가로지르는 핀과 같은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홈(22)의 모양도 상이한 두께의 상이한 카드를 수용하도록 만들어, 가령 얇은 카드는 바닥에 닿게 하고 두꺼운 카드는 위에서 멈추게 할 수 있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가지 종류의 중심선 간격의 전도체 패드를 가진 인쇄 회로 카드와 또 다른 종류의 다른 중심선 간격의 전도체 패드를 가진 회로 카드를 수정함이 없이 수용할 수 있는 카드 모서리 콘넥터를 개시 하였다. 그 콘넥터는 카드 모서리 수용 홈을 따라 자리잡고 있는 전도체의 콘택트소자를 가지고 있는데, 그 접촉부분은 상하층에서 번갈아 홈 안으로 튀어 나와 있다. 또한 홈 안에 있는 위치 결정 멤버는 카드와 협력하여, 모서리를 따라 놋취(베어낸자리)를 가진 카드는 위치 결정 멤버를 지나서 들어가게 하여 그의 패드가 상하양층의 접촉 부분 모두와 접촉하게 하고, 한편 놋취가 없는 카드는 위치 결정 멤버에 의하여 방해를 받아 홈 안에 너무 깊이 들어가지 못하게 되어 있어, 그의 전도체 패드들은 상층부에 있는 접촉부분하고만 닿게 되어 있다.
*

Claims (8)

  1. 길다란 절연체의 하우징(20)이 한 개의 길고 바깥쪽으로 열린 카드 모서리 수용홈(22)과, 한개 이상의 상기 홈 안에 있는 위치 결정 수단(34)을 가지고, 그 위치 결정수단(34)은 제1회로 카드(16)를 상기 홈(22)의 상층에 위치케 하고, 제2회로 카드(12)는 상기 홈(22)의 하층에 위치케 하며 ; 및 전도체 콘택트소자(24,26)들이 상기 하우징안에 상기 홈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그 접촉 부분(48,66)들이 홈의 상하층에서 교대로 튀어나와 있어서, 상기 상층에 있는 접촉부분(48)은, 상기홈(22)안에 삽입되는 제1 또는 제2의 회로카드(16,12)에 있는 전도체의 패드(14,18)와 닿고, 상기 하층에 있는 상기 접촉부분(66)은 상기 홈(22)안에 삽입되는 제2회로 카드(12)에 있는 전도체의 패드(14)와 닿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는, 한 종류의 중심선 간격의 전도체 패드는 가진 제1인쇄 회로 카드(16)와, 다른 종류의 중심선 간격의 전도체 패드를 가진 제2인쇄 회로 카드(12)중 어느것과도 같이 사용할 수 있는 이중 목적 카드 모서리 콘넥터(10).
  2. 제1항에 있어서, 제2인쇄 회로 카드(12)가 한모서리에 놋취(74)를 가지고 있고, 상기 위치 결정 수단(34)이 상기 홈(22)안에서 윗쪽으로 뻗친 횡벽(34)을 포함하고 있어서, 이것들이 협력하여 제2인쇄 회로 카드(12)로 하여금 하층에 위치하도록 허용하는 콘넥터(10).
  3. 제2항에 있어서, 횡벽(34)의 바깥을 향하는 면이 상하층 중간에 위치하여, 제1인쇄 회로(16)가 홈(22)안에 삽입될 때 맞닿게 되는 콘넥터.
  4. 길다란 하우징(20)이 제1카드 및 제2카드 모두를 필요에 따라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만든 카드 모서리 수용 홈(22)을 갖고 있고 ; 복수개의 제1콘택트 소자(24)들이 하우징(20)안에 배치되어 홈(22)을 따라 뻗쳐 있고, 제1전도체 패드(18)와 홈(22)의 선택된 수준보다 위에서 접촉하기 위하여 홈(22)안으로 튀어나와 있는 제1접촉부분(48)을 가지고 있고 ; 복수개의 제2콘택트 소자(26)들이 하우징(20)안에 배치되어 홈(22)을 따라 뻗쳐 있고, 제2전도체 패드(14)의 각각과 홈의 선택된 수준 이하에서 접촉하기 위하여 홈(22)안으로 튀어나와 있는 제2접촉 부분(66)을 가지고 있고 ; 및 하우징(20)내의 수단(34)이 제1카드(16)를 하우징(20)의 상층에 자리잡게 하여 제1접촉부분(48)이 제1전도체 패드(18)와 접촉하는 동시에 제2접촉부분(66)은 카드(16)와 떨어져서 고립되게 하고, 제2카드(12)를 하우징의 하층에 자리잡게 하여 제2접촉부분(66)이 제2전도체 패드(14)들과 접촉케 하는 것을 구성되는, 제1간격 패턴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1전도체 패드(18)를 가진 제1카드(16)와 제1간격패턴과는 다른 제2간격 패턴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2전도체 패드(14)를 가진 제2카드(12) 모두와 짝 맞춤할 수 있도록 모양이 만들어져 있는 2중 목적 카드 모서리 콘넥터(10).
  5. 제4항에 있어서, 제2카드(12)가 복수개의 제3전도체 패드(4)들을 갖고 있어 그것들이 제1간격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2카드(12)가 홈(22)안에서 하층에 자리잡을때, 제1접촉부분(48)이 제3전도체 패드(14)와 접촉하는 콘넥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접촉부분(48,66)이 홈(22)을 따라 서로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콘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위치 결정 수단(34)이 한개 이상의 위치 결정 멤버(34)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것들이 홈(22)을 일부 또는 전부를 가로 질러 뻗어 있는 콘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제2카드에 한개 이상의 오목부(74)가 있어 그것들이 각각 위치 결정 멤버(34)를 하나씩 수용하고, 제1카드는 각 위치 결정 멤버(34)를 수용함이 없이 맞닿도록 형상을 이룬 콘넥터.
KR1019890008053A 1988-11-04 1989-06-12 이중 목적의 카드 모서리 콘넥터 KR940004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719988A 1988-11-04 1988-11-04
US07/267,199 1988-11-04
US267,199 1988-11-18
US339,910 1989-04-17
US07/339,910 1989-04-17
US07/339,910 US4869672A (en) 1989-04-17 1989-04-17 Dual purpose card edge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726A KR900008726A (ko) 1990-06-04
KR940004194B1 true KR940004194B1 (ko) 1994-05-16

Family

ID=2695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053A KR940004194B1 (ko) 1988-11-04 1989-06-12 이중 목적의 카드 모서리 콘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367373B1 (ko)
JP (1) JPH0748393B2 (ko)
KR (1) KR940004194B1 (ko)
DE (1) DE68924126T2 (ko)
ES (1) ES207620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4961A (en) * 1988-12-21 1990-06-19 Burndy Corporation Bi-level card edge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013264A (en) * 1989-09-25 1991-05-07 Robinson Nugent, Inc. Edge card connector having preloaded contacts
US5163847A (en) * 1991-08-05 1992-11-17 Molex Incorporated Card edge connector assembly
JPH0660082U (ja) * 1993-01-26 1994-08-1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配線基板接続構造
DE9313402U1 (de) * 1993-09-06 1995-01-12 Wieland Elektrische Industrie Leiterplatte
GB2414347A (en) * 2004-05-20 2005-11-23 Agilent Technologies Inc Connector for receiving two different counterparts
US9458349B2 (en) 2007-05-11 2016-10-04 Georgia-Pacific Chemicals Llc Phenol-formaldehyde novolac resin having low concentration of free phenol
JP2009178367A (ja) * 2008-01-31 2009-08-13 Sumitomo Electric Ind Ltd バイオセンサ測定装置
JP2011142046A (ja) * 2010-01-08 2011-07-21 D D K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4714A (en) * 1969-11-21 1971-10-19 Rca Corp Edge connector with polarizing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48393B2 (ja) 1995-05-24
JPH02199784A (ja) 1990-08-08
ES2076209T3 (es) 1995-11-01
EP0367373B1 (en) 1995-09-06
DE68924126D1 (de) 1995-10-12
DE68924126T2 (de) 1996-05-09
EP0367373A1 (en) 1990-05-09
KR900008726A (ko) 199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9672A (en) Dual purpose card edge connector
US4095866A (en) High density printed circuit board and edge connector assembly
US5256074A (en) Connector having improved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US4909742A (en) IC card and mating socket
US4497526A (en) Circuit board housing having self-contained modular jack
EP0590429B1 (en) Electrical edge connector
KR950002125A (ko) 커넥터 조립체
KR0121794Y1 (ko) 분로식 전기 커넥터
KR0143950B1 (ko) 부표면 입력/출력 패드를 갖는 인쇄 회로 카드
KR930005295A (ko) 카드 연부 콘넥터 어셈블리
US3448345A (en) Interconnection system
KR960039502A (ko) 고성능 카드 에지 커넥터
US4021091A (en) Zero force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KR930018350A (ko) 연부 카드 접속기
EP1536526A2 (en) Electrical connector
KR940004194B1 (ko) 이중 목적의 카드 모서리 콘넥터
KR970704329A (ko) 레일 조립체
KR970700383A (ko) 절연변위형의 전기 접속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메모리 카드용 전기 접속기(electrical connector for an electronic memory card, including electrical connection means of the insulation-displacement type)
US5236368A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outrigger edg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6369336B1 (en) Printed circuit board
US6461178B1 (en) Electric connector and adapter arrangement
US6431898B1 (en) Card connector
EP0836244A3 (en) Electrical connector for mounting on the sur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US5037320A (en) Modular jack with integral shunting means
KR850003995A (ko) 전기 접속자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2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