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164B1 - 방충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방충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164B1
KR940004164B1 KR1019890020380A KR890020380A KR940004164B1 KR 940004164 B1 KR940004164 B1 KR 940004164B1 KR 1019890020380 A KR1019890020380 A KR 1019890020380A KR 890020380 A KR890020380 A KR 890020380A KR 940004164 B1 KR940004164 B1 KR 940004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repellent
cis
coating
paint
alph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20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2112A (ko
Inventor
권성진
조기환
김영권
박희용
박영호
유철희
Original Assignee
고려화학 주식회사
김충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화학 주식회사, 김충세 filed Critical 고려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20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164B1/ko
Publication of KR910012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2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방충도료 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방충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료수지에 방충물질을 결합시켜 놓음으로써, 도료로서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는 동시에 도료도장 후 위생해충 방제에 유효한 일정농도의 유효성분이 도막표면에 유지됨으로써 건조도막에 접촉한 곤충들이 지속적으로 방제되며 인축에는 안전한 방충도료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살충물질을 도료에 혼입하여 곤충이 기피하도록 하거나 도막에 접촉한 파리, 모기, 바퀴, 개미등의 위생곤충에 대하여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방충도료가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예로서, 미국특허 제3,877,951호에는 살충유효성분으로서 유기염소계,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물질을 배합한 방충성 바니쉬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유기염소계 살충제는 화학적으로 지나치게 안정되어 있어 토양과 수질등의 환경이 오염되고 생물체내에 일부 축적된다는 사실이 밝혀져 그 사용이 제한되었고, 곤충의 저항성에 대하여도 보고되고 있어, 방충도료에 배합되는 유효성분으로는 부적당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의 살충제는 그 효과가 속효성이며 지속적이고 상온에서 안정하다는 이유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살충도료들은 대부분 유기인계 살충제인 크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와 디크로르보스(Dichlorvos)를 유효성분으로 배합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소 63-108086호에도 아크릴 니트릴과 메타크릴로니트릴 공중합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유기인계 살충제를 0.1∼10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성 수지도막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유기인계 살충물질은 인체독성이 비교적 높고 잔효성이 길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우기 대표적 가주성(家住性) 위생해충인 바퀴에 대한 살충효과도 우수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소 62-99301호에는 아미노알키드수지에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인 사이퍼메스린(Cypermethirn)을 배합한 해충기피 조성물에 관하여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사이퍼 메스런을 포함하는 피레스로이계 살충제들은 일반적으로 인축에는 저독성인 반면에 강력한 살충력을 지니고 있어 이상적인 살충제인 반면에, 효과의 지속성이 부족하여 방충도료 조성물로 사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충도료 조성물들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막의 살충효과가 속효성이고 지속적일 뿐아니라 인축에는 저독성이며 위생해충 특히, 일반가정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바퀴에 대하여 살충력이 탁월한 방충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방충제가 배합되어 있는 방충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방충물질로서 합성피레스로이드계 화합물인 다음 구조식(Ⅰ)로 표시되는 알파-시아노-3- 페녹시벤질-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싸이클로프로판 카르복실레이트의 (1R시스)S와 (1S시스)R 비거울상 이성질체(이하 "알파메스린"이라칭함)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Figure kpo00001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도장용 도료에 방충물질을 배합시킨 방충도료 조성물로서, 특히 방충물질로서 상기 구조식(Ⅰ)의 알파메스린을 배합시킨 것에 그 특징이 있는 바, 이때 상기 알파메스린(alphamethrin)은 방충도료 조성물 전체에 대해 0.1∼3.0중량%로 함유된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5∼2.0중량%로 함유되어 있는 경우가 좋다.
만일, 상기 알파메스린이 0.1중량% 보다 적게 함유되어 있으면 방충효과가 낮아지게 되어 방충도료로서 효과가 부족하게 되며, 3.0중량%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으면 방충물질이 기존의 도료와 상용성이 떨어져서 분산되지 못하고 응집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본 발명의 방충도료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효과시험을 실시하였다.
[살충효과시험]
우수 방충물질의 선정은 바퀴류 중에서 전국에 가장 높은 밀도로 분포하고 있는 독일바퀴를 공시곤충으로 하여 살충효과를 비교 확인함으로서 선정되었다.
살충효과의 확인을 위하여 사용한 살충물질은 기존 방충도료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기인제 살충제인 크로르피리포스와 디크로르보스, 그리고 근래에 합성되어 살충효과가 우수하리라고 예상되었던 합성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인 싸이퍼메스린과 알파메스린 등 총 4종의 살충성분을 95% 이상의 순도로 함유하는 살충원제 표준품에 대하여 효과를 확인하였다.
효과적인 방법은 극미량 적하법(Metealf, 1958)을 이용하여 각 살충원제들을 아세톤으로 희석하여 각 농도별로 2μl씩 독일바퀴(Blattela gemanica) 성충의 흉부복판에 점적시킨후 24시간 후의 치사율을 기록하였다.
치사율은 대수회귀식에 대입하여 중앙치사농도를 산출하고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살충효과 확인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살충물질별 효과]
Figure kpo00002
* +++ : LD50 0.2 마이크로그램 이하
++ : LD50 0.2∼0.5 마이크로그램
+ : LD50 0.5 마이크로그램 이상
(LD50 : 공시곤충 50%을 치사시키는 살충제양)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살충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던 살충물질인 알파메스린을 도료에 적용하여 위생해충인 바퀴에 대하여 우수한 살충효과를 지니는 방충기능성 도료의 조성물을 제공하게 된 것이다.
합성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인 알파메스린은 곤충의 중추신경계를 공격하여 그 살충력을 발휘하며, 그 화학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알파-시아노-3-페녹시벤질-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싸이클로프로판 카르복실레이트의 (lR시스)S와 (lS시스)R 비거울상 이성질체[(lR cis)S and (lS cis)R enantiomer isomer pairs of alpha-cyano-3-phenoxybenzyl-3-(2,2-dichlorovinyl)-2,2-dimethylcyclopropane carboxylate]이고, 구조식은 상기 구조식(Ⅰ)과 같으며 평균분자량은 416.3이다.
이때, 사용된 공시도료는 다음 표 2와 같은 조성비를 갖는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예시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이 다음의 공시도료의 조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 2]
[공시도료의 조성]
Figure kpo00003
상기와 같은 공시도료의 제조방법은 기본적인 수성도의 제법과 동일하며 이를 밀베이스(Mill Base)에서 분산시킨후에 안정화시키게 되면 살충도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가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조성된 방충도료는 일반가정, 병원, 식품회사, 제약회사, 화장품회사, 식당 기숙사등과 같이, 특히 위생적환경 유지가 요구되는 장소에 바퀴, 파리, 모기, 이, 벼룩, 빈대, 개미등 위생곤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방충기능 도료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바퀴에 대한 살충효과가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방충물질로서 알파메스린 0.1% 배합된 상기 표 2의 공시도료를 제조하여 시편(6 15cm)에 1회 도장한후, 사육상자(20W 25L 13H cm)내에 도막시편을 2개씩 위치시키고 공시곤충인 독일바퀴의 성충을 40마리씩 사입하고 급수, 급식을 하면서 48시간동안 경과시간별 도막면에 접촉하여 치사하는 곤충의 치사율을 기록하였다. 3반복 실험하여 평균치를 직선 회귀식에 대입하고 중앙치사 시간을 산출하여 도막의 살충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알파메스린이 0.5% 배합된 상기 표 2의 공시도료를 제조하여 시편에 도장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알파메스린이 1.0% 배합된 상기 표 2의 공시도료를 제조하여 시편에 도장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알파메스린이 2.0% 배합된 상기 표 2의 공시도료를 제조하여 시편에 도장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알파메스린이 3.0% 배합된 상기 표 2의 공시도료를 제조하여 시편에 도장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6]
방충도료의 방충효과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알파메스린이 2.0% 배합된 상기 표 2의 공시도료를 제조하여 그의 도막시편을 촉진내후성시험(Weather-O-Meter ; WOM)으로 200시간 처리하여 치사율을 측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때 WOM 200시간 처리는 약 1년간의 내후조건에 해당된다.
[비교예 1]
싸이퍼메스린을 공시도료에 대하여 중량비 2.0%로 배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크로로피리포스를 공시도료에 대하여 중량비 2.0%로 배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디크로르보스를 공시도료에 대하여 중량비 2.0%로 배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 1∼6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도료를 시편에 도장하고, 이에대해 경과시간별 공시곤충(바퀴)의 치사율을 측정하여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경과시간별 공시곤충의 치사율]
Figure kpo00004
또한,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3에 따른 치사율을 회귀식에 대입하고 중앙치사시간을 산출하여 살충효과를 비교한 것을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도료조성에 따른 살충효과 비교]
Figure kpo00005
* LD50 : 공시곤충의 50%가 치사하는 시간
LT95 : 공시곤충의 95%가 치사하는 시간
++ : LT50 24시간 이내
+ : LT50 24시간 이상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알파메스린이 배합된 도료는 다른 살충물질이 배합된 도료에 비하여 그 살충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6의 결과로 알수 있듯이 그 살충효과가 내구성을 지니고 지속적으로 발휘되었다.

Claims (2)

  1. 방충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방충유효성분으로서 합성피레스로이드계 화합물인 다음 구조식(Ⅰ)로 표시되는 알파-시아노-3-페녹시벤질-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싸이클로프로판 카르복실레이트의 (lR시스)S와 (lS시스)R 비거울상 이성질체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방충도료 조성물.
    Figure kpo00006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시아노-3-페녹시벤질-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싸이클로프로판 카르복실레이트의 (1R시스)S와 (1S시스)R 비거울상 이성질체 전체 방충도료 조성물에 대해 0.1∼3.0중량% 만큼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도료조성물.
KR1019890020380A 1989-12-30 1989-12-30 방충도료 조성물 KR940004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20380A KR940004164B1 (ko) 1989-12-30 1989-12-30 방충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20380A KR940004164B1 (ko) 1989-12-30 1989-12-30 방충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112A KR910012112A (ko) 1991-08-07
KR940004164B1 true KR940004164B1 (ko) 1994-05-16

Family

ID=19294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20380A KR940004164B1 (ko) 1989-12-30 1989-12-30 방충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1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112A (ko) 1991-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5534A (en) Miticid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ider mite populations
US4668666A (en) Long-acting pyrethrum/pyrethroid based pesticides with silicone stabilizers
JP5260876B2 (ja) 一般家庭害虫の駆除のためのビフェントリン/アセタミプリド組成物
KR19990066935A (ko) 마이크로캡슐화된 살충제 및 이들의 제조 방법
JP2007518735A5 (ko)
EP0829203B1 (en) Insecticidal composition
JP2925081B2 (ja) 木材害虫防除剤
JPH03264504A (ja) 殺ダニまたはダニ忌避剤
KR940004164B1 (ko) 방충도료 조성물
JPH0463841B2 (ko)
WO2017036863A1 (en) Insect repellent
JP2993729B2 (ja) 殺ダニまたはダニ忌避剤
CN106689187A (zh) 一种含有残杀威的卫生杀虫组合物及其应用
JP4280499B2 (ja) ビシナルジオールに基づく殺虫剤
KR950006942B1 (ko) 고형수성 방충도료 조성물
HU188391B (en) Insecticide composition containing salicylic acid derivatives as activators
US20230232831A1 (en) Monoterpenoid and phenylpropanoid carbonate esters and methods of their making and use as repellents
JPH0610125B2 (ja) 衛生害虫防除組成物
KR100584846B1 (ko) 코리앤더오일 및 그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살충제
JPH01242508A (ja) ダニ駆除組成物
JPH0517312A (ja) カルボン酸エステル誘導体を含有する常温揮散性殺虫、防虫、忌避剤、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殺虫、防虫、忌避方法
JPH05246809A (ja) アリ防除剤
CN110663694A (zh) 溴氰虫酰胺和灭蝇胺的复配杀虫剂
JP2003026507A (ja) 有害腹足類の殺滅剤及び殺滅方法
JPH05229909A (ja) 殺チリダニ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