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117Y1 - 전기ㆍ전자제품의 케이스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전기ㆍ전자제품의 케이스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117Y1
KR940004117Y1 KR2019910016374U KR910016374U KR940004117Y1 KR 940004117 Y1 KR940004117 Y1 KR 940004117Y1 KR 2019910016374 U KR2019910016374 U KR 2019910016374U KR 910016374 U KR910016374 U KR 910016374U KR 940004117 Y1 KR940004117 Y1 KR 940004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ain body
electric
fasten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6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084U (ko
Inventor
김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10016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117Y1/ko
Publication of KR9300100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0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1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ㆍ전자제품의 케이스 체결장치
제1도는 종래의 본체와 덮개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3a, b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본체와 덮개의 체결 전ㆍ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12 : 고정공
3 : 탄성부재 4 : 고정캡
5 : 안착공 6 : 걸림편
7 : 스프링 8 : 고정편
9 : 체결부재 10 : 고정부
11 : 덮개 13 : 삽입공
본 고안은 전기ㆍ전자제품의 케이스 체결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ㆍ전자제품등의 본체와 덮개를 체결시 체결부재를 누르기만 하면 되고 반대로 분리시에는 드라이버나 손톱등을 이용하여 체결부재를 90°회전시켜주기만 하면 본체와 덮개가 분리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ㆍ전자제품의 케이스 본체와 덮개를 체결할때에는 통상적으로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체(1a)상부에 고정홈(2a)을 형성시키고, 덮개(11a)에 상기 고정홈(2a)과 대응하는 체결공(3a)을 형성시켜서 체결부재(9a)로서 상기 본체(1a)와 덮개(11a)를 체결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나사형 체결방식은 결합시킬때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체결부재(9a)를 시계방향으로 약 20회 이상 회전시켜서 고정해야 하고, 마찬가지로 결합상태를 해제할때에도 체결부재(9a)를 반시계방향으로 20회 이상 돌려야 하므로 전기ㆍ전자제품등의 본체(1a)와 덮개(11a)를 체결시키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기ㆍ전자제품등의 본체와 덮개를 원터치방식에 의해 간편히 체결하거나 분리시킬수 있고 이에따라 체결시간이 대폭경감될수 있는 전기ㆍ전자제품의 케이스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고안은 본체의 고정공에 고정되며 상부에 고정캡을 삽입하는 안착공이 형성되고 양측에 본체와 지지되는 걸림편이 형성된 탄성부재와, 상기 고정캡의 삽입공이 삽입되며 덮개에 형성된 고정공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끝단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끝단에 고정편이 형성되어 스프링이 삽입되서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에서 체결되는 체결부재로 구성된 전기ㆍ전자제품의 케이스 체결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2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3a, b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본체와 덮개의 체결 전ㆍ후의 단면도로서, 전기ㆍ전자제품의 본체(1)상부에 고정공(2)을 형성시키고, 상기 고정공(2)에 삽입되는 탄성부재(3)의 상부에 고정캡(4)을 삽입하는 안착공(5)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3)의 양측에는 걸림편(6)이 형성되어 탄성부재(3)가 본체(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스프링(7)이 삽입되어 끝단에 고정편(8)이 형성된 체결부재(9)를 고정부(10)에 삽입시켜서 덮개(11)에 형성된 고정공(12)을 관통하여 고정캡(4)의 삽입공(13)에 고정시켜 상기 체결부재(9)가 탄성부재(3) 끝단에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기ㆍ전자제품의 본체(1)와 덮개(11)를 고정시킬때에 제3a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체결부재(9)의 머리부를 누르면 누르는 힘에 상기 체결부재(9)가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상기 체결부재(9) 끝단에 형성된 고정편(8)이 탄성부재(3) 끝단을 통과하게 되어 걸리게되므로 덮개(11)를 본체(1)에 고정시킬수 있게 된다.
이와반대로,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고자 할때에는 제3b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드라이버나 손톱등으로 체결부재(9)의 머리부를 약 90°정도 회전시키면, 상기 체결부재(9)의 끝단의 고정편(8)과 탄성부재(3)의 끝단이 일치하게 되어 상기 탄성부재(3)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체결부재(9)가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어 결합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전기ㆍ전자제품의 본체(1)와 덮개(11)를 체결할 때에는, 체결부재(9)를 누르면 되고 반대로 상기 체결부재(9)의 머리부를 약 90°정도 회전시키면 용이하게 본체(1)와 덮개(11)를 분리시킬수 있으므로 케이스본체와 덮개의 체결 및 분리작업이 용이해지고 체결 및 분리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생선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체(1)의 고정공(2)에 고정되며 상부에 고정캡(4)을 삽입하는 안착공(5)이 형성되고 양측에 본체(1)와 지지되는 걸림편(6)이 형성된 탄성부재(3)와, 상기 고정캡(4)의 삽입공(13)에 삽입되며 덮개(11)에 형성된 고정공(12)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끝단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끝단에 고정편(8)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3)의 끝단으로 체결되는 채결부재(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ㆍ전자제품의 케이스 체결장치.
KR2019910016374U 1991-10-05 1991-10-05 전기ㆍ전자제품의 케이스 체결장치 KR940004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6374U KR940004117Y1 (ko) 1991-10-05 1991-10-05 전기ㆍ전자제품의 케이스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6374U KR940004117Y1 (ko) 1991-10-05 1991-10-05 전기ㆍ전자제품의 케이스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084U KR930010084U (ko) 1993-05-26
KR940004117Y1 true KR940004117Y1 (ko) 1994-06-20

Family

ID=19320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6374U KR940004117Y1 (ko) 1991-10-05 1991-10-05 전기ㆍ전자제품의 케이스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11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084U (ko) 199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5463A (en) Screw mounting means
JPS5942548Y2 (ja) 電線クランプ
FR2730353A1 (fr) Dispositif de deverrouillage pour une fixation a enclenchement, en particulier pour des appareils electriques, sur des rails de support
JPH0622606U (ja) 家具等における部材の連結装置
KR940004117Y1 (ko) 전기ㆍ전자제품의 케이스 체결장치
US4188854A (en) Screw mounting means
JPH09116277A (ja) 電気接続箱
JPS60227367A (ja) ジヨイントボツクス
JP2001355624A (ja) 取付ナット
KR850001771Y1 (ko) 푸쉬 스위치의 덮개 고정장치
GB2067365A (en) Electric plugs
KR940000914Y1 (ko) 루우프 안테나 고정장치
JPH0334930Y2 (ko)
KR930005677Y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기판 고정장치
JP3211178B2 (ja) 額縁の裏板ホルダー
KR200247690Y1 (ko) 압정 압착기
KR900000129Y1 (ko) 신문철
KR950003467Y1 (ko) 전자기기용 퓨우즈 홀더
JPS597009Y2 (ja) 部品着脱具
KR790001652Y1 (ko) 탄성체결구를 가진 플러그
KR910007542Y1 (ko) 전기 콘센트용 접속단자
KR960008415Y1 (ko) 어스 (earth)용 나사
JPS5827484Y2 (ja) 端子装置
JPH0737239Y2 (ja) ピックアップ式組込み形端子ねじ用カバー
JPH0729583Y2 (ja) 端子台の電線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