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060Y1 - 재봉기의 웰트작업용 천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웰트작업용 천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060Y1
KR940004060Y1 KR2019900016470U KR900016470U KR940004060Y1 KR 940004060 Y1 KR940004060 Y1 KR 940004060Y1 KR 2019900016470 U KR2019900016470 U KR 2019900016470U KR 900016470 U KR900016470 U KR 900016470U KR 940004060 Y1 KR940004060 Y1 KR 940004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
fastener
shaped
fabric
bas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6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미오 니이
유다까 히라자와
마사요시 도미다
Original Assignee
쥬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오까 다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오까 다데오 filed Critical 쥬끼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0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 D05B35/064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for attaching 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봉기의 웰트작업용 천 지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실시한 천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것중 필수부품을 도시한 사시도.
제3a도 및 3b도는 주머니모양 천이 주머니모양 천조절기에 의해 압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제4도는 천 지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종래 재봉기의 웰트(welt) 작업용 천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주머니모양 천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7도는 각각의 천이 겹쳐지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제8도는 천이 재봉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 : 바탕천 클램프 2a,2b : 절첩판
3 : 프레임 5 : 웰트천 지지대
9 : 패스너 가이드 13a,13b : 주머니모양 천 클램프판
26a,26b : 클램프부 30 : 코일스프링
MT : 재봉기대 G : 가이드홈
W1 : 바탕천 W2 : 웰트천
W3 : 주머니모양 천 Fa,Fb : 패스터 테이프
본 고안은 바탕천, 웰트(welt) 천, 주머니모양 천 뿐만아니라 패스너(fastener)(예를들면, 지퍼(zipper) 같은 천을 서로 겹쳐서 연속적으로 재봉기의 정확한 장소에 놓여지도록 공급하기 위한 천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5도에 종래 재봉기의 웰트작업용 천 지지장치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같이, 도면부호(1a, 1b)는 재봉기의 재봉기대(MT)상에 놓인 바탕천(W1)을 잡아주며, 구동수단(도시안됨)에 의해 천을 누비는 방향으로 곧바로 바탕천 클램프이다. 그래서, 바탕천(W1)은 재봉기(도시안됨)을 향해 재봉기 상에서 미끄러져 이동된다.
일례로, 여기에서 사용된 웰트 작업용 재봉기는 2개의 바늘이 있는 잘 알려진 그 바늘 재봉기로 도시된다. 구동수단(도시 안됨)에 의해 바탕천클램프(1a, 1b)로 부터 들어갈 수 있는 절첩판(2a, 2b)이 바탕천클램프(1a, 1b)와 함께 있다.
도면부호(3)은 수평부재(3a) 및 수직부재(3b)로 이루어진 ㄱ형상의 프레임이다. 프레임(3)은 재봉기프레임(도시안됨)에서 수평부재(3a)의 전단부에 제공된 지지축(4)에 의해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수단이나 작업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지지축(4)에 대해 회전되어서 재봉기대(MT)상에서 상하 수직이동된다.
도면부호(5)는 평판으로 된 웰트천 지지대인데, 그 후단부가 수직부재(3b)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프레임(3)과 연관하여 상하 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웰트천지지대(5)는, 프레임(3)이 내려져 있을때, 한쌍의 바탕천클램프(1a 및 1b) 사이에 위치된다. 웰트천지지대(5)는 프레임(3)의 수평부재(3a)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웰트천지지대(5) 및 바탕천클램프(1a, 1b)는, 프레임(3)이 내려져 있을때, 재봉기대(MT)와 거의 나란하게 있다.
도면부호(6)은 상하로 이동이 되도록 프레임(3)의 수직부재(3b)상의 레일(7)에 의해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이다. 프레임(3)에 고정된 실린더(8)의 실린더로드(8a)는 슬라이드(6)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실린더로드(8a)가 상하 운동때 슬라이드(6)도 이동된다.
도면부호(9)는 한쌍의 패스너테이프(Fa, Fb)를 패스터공급원으로 부터 웰트천지지대(5)의 전단부에 안내하는 패스너가이드이다. 패스너 가이드(9)는 패스너테이프(Fa, Fb)의 치합요소(Fa1, Fb1)를 수용하는 다수의 치집형 패스너가이드(9a, 9b)로 이루어져 있다. 웰트천지지대(5)는 그 후단부가 슬라이드(6)에 지정되어 있어서, 패스너테이프는 슬라이드(6)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웰트천지지대(5)와 함께 나란하게 웰트천지지대(5)상에 올려지고 내려진다.
도면부호(10)은 지지아암(11)에 의해 프레임(3)의 전단부에 고정된 탄성있는 클램프받침이다. 클램프받침(10)은 그 하단부에 압력막대(10a)를 포함하고 있는데, 압력막대(10a)는 프레임(3)이 내려질때 바늘(도시안됨)이 내려지는 위치에 인접하여 천을 아래로 눌러 유지시킨다. 도면부호(12)는 클램프받침(10)의 탄성력을 증가시키도록 작용하는 판스프링이다. 판스프링의 일단부는 지지아암(11)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는 클램프판의 윗면에 접해있다.
도면부호(13a, 13b)는 바탕천클램프(1a, 1b)위에 있는 패스너 가이드(9)상에 배치된 2개의 주머니모양 천의 외측부(W3a, W3b)를 눌러 고정시켜 유지시키는 한쌍의 주머니모양 천 클램프판이다. 이 주머니모양 천 클램프판(13a, 13b)는 실린더(도시안됨)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바탕천클램프(1a, 1b)의 윗면으로 부터 분리된다.
종래의 천 지지장치가 상술한 바와같은 구조로 되어 있어서, 웰트천(W2)뿐만 아니라 바탕천(W1) 같은 여러천들이 재봉기의 재봉장소에 놓여질때, 바탕천클램프(1a, 1b)는 재봉기대(MT) 상에 바탕천(W1)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천을 누비는 방향으로 재봉 장소 앞에 위치된다. 이때, 웰트천(W2)은 바탕천클램프(1a, 1b)위에 놓여지고 상승된 위치에 있는 프레임(3)이 내려진다. 웰트천(W2)의 중앙부는 바탕천(W1)상의 중앙 위치에서 겹쳐져서 웰트천지지대(5)에 의해서 눌러진다.
반면에, 실린더(8)에 의해, 패스너가이드(9)는 웰트천지지대(5)로 부터 위쪽으로 유지된 위치에 있게 된다. 웰트천(W2)이 실린더(8)의 작동으로 접혀질때, 실린더로드(8a)가 돌출되어 패스너가이드(9)를 웰트천지지대(5)에 내려 놓는다. 그래서, 웰트천(W2)의 양측부(W2a, W2b)상에 패스너가이드(9) 안으로 삽입되는 패스너테이프(Fa, Fb)가 놓여지게 된다.
2개의 주머니모양 천의 외측부(W3a, W3b)를 패스너가이드(9)의 중심선(L)에 대칭으로 놓기 때문에, 주머니모양 천의 외측부(W3a, W3b)는 패스너가이드(9)로 부터 바탕천클램프(1a, 1b)에 뻗게되어서, 주머니모양 천의 외측부(W3a, W3b)가 주머니모양 천 클램프판(13a, 13b)에 의해서 고정된다.
여기서, 패스너테이프(Fa, Fb)의 전단부가 작업자에 의해 패스너 가이드(9)로 부터 잡아 당겨져서, 클램프 받침(10)의 압력막대(10a)와 재봉기대(MT) 사이에 삽입된다. 또한, 바탕천클램프(1a, 1b)가 화살표(x)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바탕천(W1) 및 웰트천(W2)을 패스너테이프(Fa, Fb)의 전단부와 재봉기대(MT) 사이에 삽입시킨다.
이때에, 웰트천(W2)은 바탕천(W1)과의 마찰력에 의해 바탕천클램프(1a, 1b)와 함께 이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천들이 재봉기의 재봉 장소에 서로 겹쳐져서 연속적으로 놓여진다. 그후에, 바탕천클램프(1a, 1b)가 바늘의 상하 이동과 동기적으로 화살표(x)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바탕천(W1) 뿐만 아니라 모든 천들이 동시에 재봉된다. 재봉중에, 클램프받침(10)의 압력막대(10a)는 바늘위치 근방에서 주머니모양 천의 외측부(W3a, W3b)를 눌어주어서 바늘의 상하 운동으로 인한 천들의 클팸핑(flapping)을 방지한다.
종래의 천 지지장치에 의하면, 주머니모양 천의 외측부(W3a, W3b)는 주머니모양 천 클램프판(13a, 13b)에 의해 유지되어서 주머니 모양 천(W3a, W3b)이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지 않는 것이 방지되는 반면에, 주머니모양 천의 재봉되는 부분, 즉 내측부(W3a1, W3b1)는 개방상태에 있어서 바늘 및 클램프받침(10)에 저항이 생길때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밖으로 뒤집어 진다. 결국, 주머니모양천(W3a, W3b)은 스티치(S)(stitches)로 부터 벗어나게 된다. 그래서, 2장의 주머니모양 천의 폭을 가지고 있는 1장의 천이 상술한 2개의 주머니모양천(W3a, W3b)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양 측단부가 주머니모양천 클램프판(13a, 13b)에 의해 고정되어서 상술한 어려움이 제거된다. 그러나, 주머니모양 천의 양측 단부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데는 불가피하게 상술한 2장의 주머니모양 천의 사용이 필요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바탕천 및 웰트천에 2장의 주머니를 정밀 재봉할 수 있는, 재봉기의 웰트작업용 천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재봉 장소의 후방 천 유지위치로 부터 전방으로 재봉기 상에 놓여진 바탕천을 이동시키기 한쌍의 바탕천 클램프와, 재봉기대의 ㄱ형 프레임과 함께 재봉기대 상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바탕천 위에 웰트천의 중앙부를 놓기 위해 내려질때 바탕천클램프 사이에 위치되는 평판 형상의 웰트천 지지대와, 주머니모양 천 지지대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 양측부를 안으로 접기 위한 한쌍의 절첩판과, 패스너 공급원으로 부터 공급된 한쌍의 패스너테이프를 웰트천 지지대 위에 안내하기 위한 패스너가이드와, 바탕천클램프 위의 제위치에 패스너가이드 상에 놓인 주머니모양 천을 유지시키기 위한 주머니모양 천 클램프판과, 바탕천 클램프의 바탕천 공급방향과 나란하게 뻗어서 패스너가이드의 위면에 형성된 홈과, 재봉작업과 연관하여 홈으로 부터 이탈 및 삽입 가능한 주머니모양 천 조절기가 제공되어 있어서, 재봉작업시에 패스너 가이드 및 조절기 상에 놓여진 주머니모양 천이 홈안으로 끼워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서, 2개의 주머니모양 천이 패스너가이드 상에 서로 대칭으로 놓여진다. 주머니모양 천의 양 외측부는 주머니모양 천 클램프판에 의해서 한쌍의 바탕천클램프 상의 제위치에 유지된다. 재봉작업의 초기에, 주머니모양 천 조절기는 패스너가이드에 형성된 홈 안으로 주머니모양 천을 끼우도록 하며, 재봉작업이 완료될때 까지 이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그러므로, 주머니모양 천 둘 모두는 홈에 의해서 옆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어서, 누름클램프(21) 및 바늘의 저항을 받을지라도 천들은 뒤집어지지 않으며, 다른 천들과 함께 확실하게 지지되어 직순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제,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특히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할까 한다.
상술한 공지 기술에 사용된 동일부품은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그러므로, 동일부품의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제1도를 참조하면, 전후로 이동하도록 프레임의 상부블록(3a)에 레일에 의해 설치된 제1슬라이드(14)가 도시되어 있다. 제1슬라이드(14)는 프레임(3)의 상부블록(3a)에 고정된 실린더(16)의 실린더로드(16a)에 연결되어 있으며, 실린더로드(16a)의 전후 이동에 의해 레일(15)을 따라 전후로 이동된다. 도면부호(17)은 제1슬라이드에 고정된 지지대로서, 그 한쪽에 제2슬라이드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수직 레일(17a)이 제공되어 있다.
실린더(18)는 누름클램프실린더(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제2슬라이드(19)에 연결된 실린더로드(18a)를 포함하고 있다. 제2슬라이드(19)는 실린더로드(18a)의 상하 운동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된다.
또, 제2슬라이드(19)는 패스너테이프(Fa, Fb)를 안내하는 패스너가이드(9)의 후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한쌍의 판(91, 92)이 패스너가이드(9)의 중심선(L)에 대해 대칭으로 패스너가이드(9) 전단부는 윗면에 나사(91a, 92a)로 고정되어서 가이드 홈(G)을 형성한다.
가이드 홈(G)의 폭은 각각의 슬롯(91b, 92b) 길이 범위 내에서 판(91a, 92a) 옆으로 이동시켜 조정될 수 있다. 이 조정은 사용될 주머니모양 천(W3)의 두께에 따라 이루어진다.
누름클램프실린더(20)는 프레임(3)의 전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실린더로드(20a)를 포함하고 있다. 실린더 로드(20a)는 누름클램프(21)의 전단부에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설치판(22)은 그 전단부, 실린더로드(20a)에 설치된 고정부재(23)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되어서, 누름클램프(21)를 재봉 장소에 유지시킨다. 누름클램프(21)는 설치판(22)의 돌출부(22a) 상에 설치된 핀(25)으로 지지되어 있는 한쌍의 회전아암(24a, 24b) 밑에 부착되어 있다. 끝이 양분된 형태의 판스프링(27)의 일단부는 설치판(22)의 윗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는 회전아암(24a, 24b)의 윗면에 접해있다. 회전아암(24a, 24b)는 판스프링(27)력에 의해 편향되어 아래로 힘을 받으며, 정상시에 설치판(22)에 제공된 정지부재(도시안됨)에 접해있다.
주머니모양 천조절기(28)는 설치판(22)의 돌출부(22a)의 후단부에 나사(29)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삽입 시이트(28a)가 함께 형성되어 있어서 설치판(22)이 내려질때 패스너가이드(9)의 전단부에 있는 가이드홈(G)에 느슨하게 삽입된다. 슬롯(28b)은 나사(29)를 수용하는 주머니 모양 천조절기(28)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슬롯(28b)의 길이범위 내에서 주머니모양 천조절기(28)의 설치위치를 상하로 조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배치된 천 지지장치가 적용되어서, 바탕천클램프(1a, 1b)는 각각의 천이 유지될때 재봉장소 앞에 위치되며, 바탕천(W1) 및 웰트천(W2)은 바탕천클램프(1a, 1b), 웰트천지지대(5), 및 절첩판(2a, 2b)에 의해서 제위치에 유지된다.
다음에, 실린더(18)의 실린더로드(18a)가 하향 작동되어 누름 클램프실린더(20) 및 웰트천지지대(5)가 내려진다. 그리고, 실린더(16)의 실린더로드(16a)가 전진되어 웰트천지지대(5) 및 제1슬라이드(4)를 전진시킨다.
그래서, 패스너가이드(9)를 통과한 패스너테이프(Fa, Fb)가 접혀진 웰트천(W2)의 양측부(W2a, W2b)위에 놓여진다.
다음에 주머니모양 천(W3a, W3b)은 양 내측부(W3a, W3b)가 패스너가이드(9)의 중심선(L)상에서 서로 겹쳐져서 그 중심선(L)에 대해 서로 대칭적으로 패스너가이드(9)상에 놓여진다. 그리고 나서, 주머니모양천(W3a, W3b)의 양 외측부는 바탕천 클램프(1a, 1b)상의 주모니모양 천 클램프판(13a, 13b)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된다. 이어서, 작업자에 의해 패스너테이프(Fa, Fb)의 각각의 전단부가 패스너가이드(9)로 부터 앞으로 당겨져서, 바늘이 내려오는 위치, 즉 재봉 장소에 맞춰 고정된다.
이때, 바탕천클램프(1a, 1b)는 화살표(x) 방향으로 이동되어 바탕천(W1), 웰트천(W2), 및 주머니모양천(W3)을 재봉장소에 위치시킨다.
이렇게 하여, 주머니모양천(W3) 및 웰트천(W2)을 패스너테이프와 재봉기대(MT) 사이에서 패스너테이프(Fa, Fb)의 위쪽으로 각각 이동시킨다.
한편, 누름클램프(21) 뿐아니라 누름클램프실린더(20)의 실린더로드(20a)가 상승위치에 있는 반면에, 패스너테이프등과 같은 천들은 어떤 압력에도 전혀 동요되지 않아서 천들(W1, W2, 및 W3)이 패스너테이프(Fa, Fb)의 길이방향으로 매끄럽게 이동된다.
누름클램프실린더(20)는 실린더로드(20a) 및 작동클램프(21)를 내려놓도록 작동하므로, 누름조립체(22a, 22b)가 재봉작업시에 천의 플램핑을 방지하도록 바늘위치 근방에서 내려져 천을 누른다.
동시에, 주머니모양 천조절기(28)는 주머니모양 천(W3a, W3b)이 옆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가이드홈(G) 상의 주머니모양 천(W3a, W3b)의 접혀진 양내측부(W3a1, W3b1)를 제3a도 및 제3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이드홈(G)안으로 끼워지도록, 나사(29)에 의해 내려진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주머니모양 천(W3a, W3b)는 누름클램프(21) 및 바늘에 의해 생기는 저항에도 불구하고 뒤집어지지 않아서, 다른 천들과 함께 더 좋은 재봉상태(제6도)하에 적절한 스티치(S)를 얻기위해 곧바로 안정적으로 이동된다. 더우기, 이 실시예에서, 누름조립체(22a, 22b)는 핀(25)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회전되어서, 눌러진 천에 어떤 이상도 없이 원활하게 재봉작업이 수행된다. 재봉작업의 종료 후에, 누름클램프(21) 및 실린더로드(20a)가 올려져서 천들에 대한 압력이 제거된다.
주머니모양 천조절기(28)가 주머니모양 천가이드판으로 사용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판형부재에 제한되지 않고, 주머니모양 천이 패스너가이드 내의 홈안으로 끼워질 수만 있으면 다른 어떤 부재도 사용될 수가 있다. 예를들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누름클램프(21)는 양분되어 있어서, 코일스프링(30)이 주머니모양 천조절기로서 작용하도록 맞물려 있는 횡단핀(22b)과 함께 돌출부(22a)가 제공되므로써, 스프링의 단부(30a)에 의해 주머니모양 천이 홈 안으로 삽입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일홈(G)이 패스너가이드(9)의 중심선(L)상에 형성되어 있어서, 홈(G)상에 겹쳐져 놓인 2개의 주머니모양 천(W3a, W3b)의 양 내측부(W3a, W3b1)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지만, 다수의 홈이 주머니모양 천의 갯수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고, 다수의 주머니모양 천조절기가 홈의 갯수에 맞추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주머니모양 천조절기는 누름클램프부재 이외에 다른 상하 운동기구 상에 설치된다.
물론, 홈 및 주머니모양 천의 위치 및 갯수는 경우에 따라서 변화 조정될 수 있다. 이것과 연결하여, 패스너가이드(9)는, 재봉작업 후에 전후 실린더(16) 및 승강실린더(18)의 작동에 의해, 그리고 누름클램프(21)의 상향 이동에 의해서 재봉장소로 부터 이탈되기 위해서 후방 및 하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프레임(3)이 천들을 제거하기 위해 올려질때 올려 놓아지는 패스너가이드(3) 및 패스너테이프(Fa, Fb)는 바늘의 방해를 받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프레임(3)은 상승 행정거리가 크게되어 천들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공지기술에서 상하로만 이동할 수 있는 제한이 있었으나 본 고안의 실시에에서 상기 제한이 없는 패스너가이드(9)에 적용되는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재봉기의 웰트작업용 천 지지장치는, 본 고안에 따라 설계되어서, 한쌍의 패스너테이프를 웰트천 지지대에 상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패스너가이드의 윗면에 천의 공급 방향으로 뻗어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주머니모양 천조절기가 홈에 있는 패스너가이드 상에 놓인 주머니모양 천을 삽입시키기 위해서 재봉작업중에 홈으로 부터 이탈 및 삽입되도록 적용되어서, 각각의 주머니모양 천은 홈에 의해 옆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천들이 뒤집어지는 것이 방지되며 다른 천들과 함께 곧바로 안정성있게 이동되므로써, 더 좋은 재봉상태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재봉기대(MT)상에 놓인 바탕천(W1)을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떨어져서 잡아주고 유지하며, 재봉작업이 수행되는 재봉위치에 상기 바탕천을 이동시키는, 서로 마주하여 배열된 한쌍의 바탕천클램프(1a, 1b) ; 상기 재봉기대에 대해 수직으로 가능한 ㄱ형 프레임 ; 상기 프레임과 함께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며, 내려져 있을때 상기 클램프 사이에 배치되어서 웰트천(W2)의 중앙부가 겹쳐지게 하는 평판 형태의 웰트천지지대(5) ; 상기 웰트천의 양 가장자리 부분을 상기 웰트천 지지대의 양측면을 따라서 안으로 접기 위해서 상기 바탕천클램프상에 쑥 들어갈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접철판(2a, 2b) ; 패스너 공급원으로 부터 상기 웰트천 지지대에 공급되는 한쌍의 패스너테이프를 안내하기 위한 패스너가이드(9) ; 및 상기 패스너가이드 윗쪽에 놓여있는 2개의 주머니모양천(W3)의 양 외측부를 상기 바탕천 클램프에 고정시키기 위한 주머니모양 천 클램프판(13a, 13b)으로 구성된, 웰트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재봉기의 웰트작업용 천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탕천(W1)이 상기 바탕천클램프(1a, 1b)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뻗어서 상기 패스너가이드(9)의 윗면에 형성된 가이드홈(G) 및, 작업중에 상기 패스너가이드 상의 상기 주머니모양천을 상기 가이드홈에 밀어넣기 위해 작동하는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주머니모양 천조절수단(26, 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웰트작업용 천 지지장치.
KR2019900016470U 1989-10-31 1990-10-30 재봉기의 웰트작업용 천 지지장치 KR94000406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813389U JPH0365564U (ko) 1989-10-31 1989-10-31
JP1-128133 1989-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060Y1 true KR940004060Y1 (ko) 1994-06-17

Family

ID=14977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6470U KR940004060Y1 (ko) 1989-10-31 1990-10-30 재봉기의 웰트작업용 천 지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365564U (ko)
KR (1) KR940004060Y1 (ko)
DE (1) DE9014499U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26306C2 (de) * 1979-06-29 1981-11-26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Nähmaschine zum Verbinden zweier sich überlappender Werkstücklagen mit einer Einrichtung zum Führen der Werkstücklagen
WO1986002672A1 (en) * 1984-10-25 1986-05-09 Tokyo Juki Industrial Co., Ltd. Automatic zipper sewing machine
DE3442162A1 (de) * 1984-11-17 1986-05-28 William Prym-Werke GmbH & Co KG, 5190 Stolberg Vorrichtung zum einnaehen von reissverschluess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65564U (ko) 1991-06-26
DE9014499U1 (ko) 1991-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57176A (ja) ベルトループ縫付けミシンにおけるテープ折り曲げ端の 形成維持方法及びその装置
JPH0257434B2 (ko)
US4102281A (en) Workpiece guide device for sewing machines
GB2249322A (en) Fabric holding frame for a sewing machine
JPS6284794A (ja) パイピングテ−プを移送するための装置
KR940004060Y1 (ko) 재봉기의 웰트작업용 천 지지장치
US2715375A (en) Sewing machine attachments
US5249537A (en) Embroidery frame
JPH0210154Y2 (ko)
US4462321A (en) Sewing mechanism comprising a drag clamp assembly for holding fabric ply ends
US4951586A (en) Sewing machine attachment for aligning a reinforcement member in a hem
GB2178452A (en) Formation of fly construction
CA1151956A (en) Apparatus for holding and unfolding belt loop
CN219010632U (zh) 一种双针缝纫设备
US6112683A (en) Set to be applied to an automatic programmable sewing unit so as to allow darts to be semi-automatically sewn
US5080030A (en) Device for forming and sewing folds
JP2546309Y2 (ja) 玉縁形成ミシンのワーク保持装置
JPS6344396B2 (ko)
JPS623109Y2 (ko)
JPH0217562Y2 (ko)
US3683830A (en) Feed control for sewing operation
JPH0727018Y2 (ja) 向布縫製装置
JP2509065Y2 (ja) 縫製装置の布保持装置
JPH0126369Y2 (ko)
JPH064116B2 (ja) ミシンにおける伏せ縫い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