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043Y1 - 용기의 저부에 내용물 취출 장치를 갖춘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의 저부에 내용물 취출 장치를 갖춘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043Y1
KR940004043Y1 KR92014189U KR920014189U KR940004043Y1 KR 940004043 Y1 KR940004043 Y1 KR 940004043Y1 KR 92014189 U KR92014189 U KR 92014189U KR 920014189 U KR920014189 U KR 920014189U KR 940004043 Y1 KR940004043 Y1 KR 9400040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hole
connecting pip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41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549U (ko
Inventor
김지한
Original Assignee
김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한 filed Critical 김지한
Priority to KR920141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043Y1/ko
Publication of KR9400025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5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0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0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9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specifically formed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기의 저부에 내용물 취출 장치를 갖춘 화장품 용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킨로숀 용기의 사시도.
제2도는 용기 본체를 누르지 않은 상태의 상기 용기의 수직단면도.
제3도는 용기 본체를 완전히 내리 누른 상태의 상기 용기의 수직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2 : 용기 본체
3 : 제1연결관 4 : 제2연결관
5 : 받침대 6 : 압축배출요소
7 : 스프링 11 : 제1플랜지
12 : 제2플랜지 15 : 관통구멍
본 고안은 개량된 취출구장치를 갖춘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알코올 등의 휘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스킨 로숀 등의 내용물이 용기의 저부에 설치된 취출구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뚜껑 개폐식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는 스킨로숀 등의 내용물을 꺼내기 위하여 뚜껑을 열면 용기 상부에 모여 있던 알코올 등의 기화된 휘발성 성분이 공기 중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스킨로숀의 사용이 반복될수록 용기 내부의 알코올 함량 등이 줄어들게 되어 결국 스킨로숀을 피부에 바르더라도 알코올의 휘발에 따른 상쾌감 등을 줄 수가 없게 되고 알코올에 의한 소독 작용 등도 제대로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밀폐 용기의 상부를 내리누르면 용기 내부가 가압되어 로숀 등의 내용물이 위로 끌어올려져 외부로 배출되는 방식의 용기를 사용할 수도 있겠으나, 이러한 용기는 용기 상부를 눌러 가압을 할 때 용기 상부에 형성된 공기 배출관을 통하여 기화된 알코올이 밖으로 빠져 나가게 되므로 용기의 사용에 따라서 알코올 함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는 스킨로숀 등의 내용물에 대한 가압 및 배출 작용, 그리고 공기의 흡입 및 배기작용이 용기의 저면에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는 저면에 소정 크기의 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용기 본체 ; 상단부가 용기 본체의 하단부에 계합되고 하단부에는 반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고리형 제2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제1연결관 ; 상기 제2플랜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단면에는 반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리형 제2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서 그 길이의 일부가 제1연결관과 밀폐용기 저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공간 내부에 위치하며 제1연결관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결합되어 있는 제2연결관 ; 제2연결관의 하단에 계합되어 있는 받침대 ; 받침대의 중앙부 상단면에 의하여 지지되고 받침대, 제1 및 제2연결관 그리고 용기 본체 저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공간 내에서 용기 본체 저면을 윗쪽으로 누르는 스프링 부재 ; 그리고 상부는 상기 밀폐용기의 하단면 원형 구멍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하부는 받침대에 계합되어 있는 압축배출요소로써 구성된다.
압축배출요소는 상면이 막혀 있는 원통형 관으로서 그 상면에 인접한 원통면에는 하나 이상의 작은 관통구멍이 뚫려 있다. 용기 본체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압축배출요소의 상단면은 용기 본체 저면과 거의 동일 평면상에 놓인다. 용기 본체 저면의 원형 구멍과 압축배출요소 사이의 밀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원형구멍 외주에는 합성고무제 시일 등의 공지의 밀봉 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구성을 하므로써 스킨로숀 등의 내용물을 용기 하부를 통하여 취출할 수 있게 되어 용기 내측 상부에 기화 상태로 모여 있는 알코올 등의 휘발성 성분의 손실이 방지된다.
이하에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스킨로숀 용기(1)는 원통형 용기 본체(2), 제1연결관(3), 제2연결관(4), 받침대(5), 압축배출요소(6), 스프링(7) 그리고 용기 덮개(8)로써 구성되어 있다.
스킨로숀 용기 본체(2)의 저면에는 소정 크기의 지름을 가지는 원형 구멍(9)이 뚫려 있다.
제1연결관(3)은 그 상단면 내측에 형성된 나선(10)을 통하여 용기 본체 하부에 계합된다. 제1연결관(3)은 그 하단면으로 부터 반지름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고리형 제2플랜지(11)를 포함한다. 제2연결관(4)은 제2플랜지(11)의 내경 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가지며, 그 상단에는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제1연결관 내경 보다 약간 작은 외경으로 연장되는 고리형 제2플랜지(12)를 갖추고 있다. 제2플랜지(12)는 제1연결관(3)과 용기 본체(2)의 저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공간에 위치하며 따라서 제2연결관은 상기 공간 내부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받침대(5)는 나선(13)에 의하여 제2연결관(4)과 계합한다. 받침대(5)의 상면 중앙부에는 스프링(7)이 설치되어 받침대(5)와 용기 본체(2)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밀어서 받침대(5)의 상면 중앙부와 용기 본체(2)의 저면 사이의 거리가 H로 된다. 받침대 중앙부에는 나선(14)이 형성되어 있는 구멍이 뚫려 있어서 원통형 압축배출요소(6)가 나선(14)을 통하여 받침대(5)에 계합된다.
받침대(5)의 상면 중앙부와 용기 본체(2)의 저면 사이의 거리가 H인 상태에서 압축배출요소(6)의 상면은 용기 본체(2)의 저면 내부면과 거의 동일 평면 상에 놓인다. 압축배출요소(6)의 상면에 인접한 원주면에는 관통 구멍(15)이 뚫려 있다.
제2도와 같이 받침대(5)의 상면 중앙부와 용기 본체(2)의 저면 사이의 거리가 H인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2)의 내부가 외부로 부터 밀폐되어 있다. 그러나, 제3도와 같이 용기 본체(2)를 내리 눌러 받침대(5)의 상면 중앙부와 용기 본체(2)의 저면 사이의 거리가 H′로 되면, 압축배출요소(6)의 상부가 용기 본체(2)의 내부로 들어오게 되어 용기 본체 내부는 관통 구멍(15)을 통하여 용기 외부와 통하게 된다.
즉, 용기 본체(2)를 내리 누르면 압축배출요소(6)가 용기 본체(2)의 내부로 상승하게 되어 용기 본체(2) 내부의 스킨로숀을 가압하게 되고 따라서 스킨로숀은 관통 구멍(1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용기 본체를 내리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하여 용기 본체(2)의 저면이 상승하고 압축배출요소(6)가 용기 본체(2)로 부터 빠져 나가기 시작하여 용기 본체(2)의 내부용적이 증가한다. 이때, 관통 구멍(15)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용기 본체(2)의 내부로 유입된다. 압축배출요소(6)의 상면이 용기 본체(2)의 내측 저면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면 용기 본체는 다시 밀폐 상태로 된다.
용기 본체 저면의 원형 구멍(9)과 압축배출요소(6) 사이에는 합성 고무제 시일 링(16) 등의 공지의 밀봉 수단을 사용하여 밀봉을 확실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본체(2)는 원형 구멍(9)만을 구비한 밀폐 용기이거나 또는 그 상부에 스킨 로숀 재충전용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는 재충전식 용기일 수도 있다. 재충전식 용기의 경우에는 용기 덮개(8)를 사용하여 용기 본체를 밀봉한다.
이러한 기술적 구성을 하므로써, 용기 본체(2)를 내리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압축배출요소(6)의 관통 구멍(15)은 용기 내부와 통하여 있지 않으므로 스킨로숀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용기 본체(2)를 내리 누르면 압축배출요소(6)이 용기 내부로 상승하여 용기 내부의 체적을 감소시키므로써 스킨로숀에 압력을 가하고, 가압된 스킨로숀은 관통 구멍(15)을 통하여 용기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알코올 등의 기화된 휘발 성분은 용기 본체(2)의 상부에 모여 있으므로 관통 구멍(15)을 통한 외부 유출은 일어나지 않는다. 용기에 가한 압축력을 해제하며 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하여 용기 본체(2)가 상승하면서 용기 본체의 체적이 증가하고 그만큼 압축배출요소(6)의 관통 구멍(15)을 통해서 외부공기가 용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다. 받침대(5)의 상면 중앙부와 용기 본체(2)의 저면 사이의 거리가 H로 되면 흡기과정이 종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스킨로숀 용기를 사용하면 장기간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알코올 등의 휘발 성분의 지나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밖에도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는데, 예컨대 내용물 취출구가 용기 저부에 있으므로 용기의 형태를 축구공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가 있고, 스프링을 코일스프링이 아닌 판스프링 등으로 할 수도 있다.

Claims (5)

  1. 알코올 등의 휘발성 성분을 함유한 화장품을 저장하는 용기에 있어서, 저면에 소정 크기의 원형 구멍(9)가 뚫려 있는 용기 본체(2)와, 하단부로부터 반지름 방향 내측으로 고리형 제2플랜지(11)이 연장되고 상단부는 용기 본체(2)의 하단부에 계합되는 제1연결관(3)과, 외경이 제2플랜지(11)의 내경 보다 작고 상단부로 부터 반지름 방향 외측으로 제2플랜지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의 고리형 제2플랜지(12)가 연장되는 제2연결관(4)와, 제2연결관(4)의 하단부에 계합되는 받침대(5)와, 받침대(5)의 중앙부 상단면에 의하여 지지되어 용기 본체 저면을 윗쪽으로 누르는 스프링(7)과, 상부는 상기 밀폐용기의 하단면 원형구멍(9)에 끼워 맞춰지고 하단부는 받침대에 계합되어 있는 압축배출요소(6)으로써 구성되며, 제2플랜지(12)가 제1연결관(3)과 용기 본체(2)에 의하여 한정되는 공간 내부에 위치하여 제2연결관(4)가 상기 공간 내부에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고, 압축배출요소(6)이 상면이 막혀 있는 원통형 관으로서 그 상면에 인접한 원통면에는 하나 이상의 작은 관통 구멍(15)가 뚫려 있으며, 관통 구멍(15)가 용기 본체(2)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2)의 내부 저면 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적어도 용기 본체(2)를 최대로 누른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2)의 내부 저면 보다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저부에 내용물 취출 장치를 갖춘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 저면의 원형 구멍(9)에는 시일 링(16)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저부에 내용물 취출 장치를 갖춘 화장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2)의 상부에는 재충전 구멍(1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화장품 용기가 재충전 구멍 밀봉 뚜껑(8)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저부에 내용물 취출 장치를 갖춘 화장품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2)가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저부에 내용물 취출 장치를 갖춘 화장품 용기.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2)가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저부에 내용물 취출 장치를 갖춘 화장품 용기.
KR92014189U 1992-07-30 1992-07-30 용기의 저부에 내용물 취출 장치를 갖춘 화장품 용기 KR9400040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4189U KR940004043Y1 (ko) 1992-07-30 1992-07-30 용기의 저부에 내용물 취출 장치를 갖춘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4189U KR940004043Y1 (ko) 1992-07-30 1992-07-30 용기의 저부에 내용물 취출 장치를 갖춘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549U KR940002549U (ko) 1994-02-15
KR940004043Y1 true KR940004043Y1 (ko) 1994-06-17

Family

ID=19337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4189U KR940004043Y1 (ko) 1992-07-30 1992-07-30 용기의 저부에 내용물 취출 장치를 갖춘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04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752A1 (ko) * 2014-10-11 2016-04-14 이순탁 냉장 화장품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549U (ko) 199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3808A (en) Refillable dispensing device having wiper seal
CA1302367C (en) Container closure cap with metering appliance
US20080019762A1 (en) Cosmetics case
US9532634B2 (en) Nail polish bottle
US6779690B2 (en) Double-acting pump for ejecting a product from a container
US4579153A (en) Drop dispenser
JP4099327B2 (ja) 物質分配ポンプ
US6422425B1 (en) Liquid discharging apparatus
KR20040053054A (ko)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KR940004043Y1 (ko) 용기의 저부에 내용물 취출 장치를 갖춘 화장품 용기
US4146182A (en) Spraying device
US7150376B2 (en) Double-layered fluid container
US6283335B1 (en) Oil sprayer with hand operated air pump
KR102306691B1 (ko)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0486015B1 (ko) 디스펜서
JP2506318Y2 (ja) クリ―ム状物注出容器
US11490709B2 (en) Cosmetic container
KR200303419Y1 (ko) 디스펜서
JP2500828Y2 (ja) 吸上げポンプ付き容器
JP3243685U (ja) パウダースプレー装置
KR102062002B1 (ko) 펌프 용기
KR200312636Y1 (ko) 자체 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디스펜서
CN109809047B (zh) 用于排出液体的容器
JP3701479B2 (ja) 二重シリンダ型プランジャポンプ
JPS5839646Y2 (ja) ポンプ注液式液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