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925B1 - 브레이크 보조 진공 서어보모터와 서어보모터를 조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보조 진공 서어보모터와 서어보모터를 조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925B1
KR940003925B1 KR1019860008780A KR860008780A KR940003925B1 KR 940003925 B1 KR940003925 B1 KR 940003925B1 KR 1019860008780 A KR1019860008780 A KR 1019860008780A KR 860008780 A KR860008780 A KR 860008780A KR 940003925 B1 KR940003925 B1 KR 940003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ervomotor
valve
actuating rod
sto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558A (ko
Inventor
피에르 구띠에 쟝
Original Assignee
벤딕스 프랑스 (쏘시에떼 아노님)
임마누엘 뽀아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딕스 프랑스 (쏘시에떼 아노님), 임마누엘 뽀아다 filed Critical 벤딕스 프랑스 (쏘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870004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레이크 보조 진공 서어보모터와 서어보모터를 조정하는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보조 진공 서어보모터 후방부분의 부분 종단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멈춤링과 그 링을 작동로드에 고착하는 방법과 관련된 변화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후방 셀의 중심부 2 : 전실, 진공실
3 : 후실, 작동실 4 : 피스톤구조
5 : 허브 6 : 밸브분배장치
7 : 보강판 9 : 피스톤 리턴스프링
10 : 밸브부재 11 : 제1밸브시트
12 : 제2밸브시트 13 : 밸브 플런져
14 : 작동로드 15 : 밸브 스프링
16 : 로드 리턴스프링 18 : 관식 멈춤부재
20 : 지지면(공간리브) 21 : 링부재(제1멈춤부재)
22 : 제24관련 멈춤부재 23 : 관식 멈춤부재
30 : 멈춤키이 32 : 쇼울더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용 브레이크를 보조하는 진공 서어보모터에 관한 것이며 후방부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가 피스톤 스프링에 의해 케이스 후방부 방향으로 편실된 피스톤구조에 의해 작동로드전실 또는 진공실과 후실 또는 작동실로 나누어져 있는 하나의 케이스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케이스가 허브내에 형성되어지며 제1밸브시트 및 상기 제1밸브시트와 공축이고 허브내에서 미끄럼운동을 하는 밸브 플런져의 끝에 형성되는 제2밸브시트로 구성되고, 서어보모터의 작동로드에 연결되어지는 밸브분배장치, 허브내에 장착되어 있고 로드 리턴스프링과 작동하도록 밸브 스프링에 의해 축방향에서 제1밸브시트와 제2밸브시트 쪽으로 편심된 밸브부재, 작동로드와 공축이고 허브와 작동로드상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관식 멈춤부재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작동 리턴스프링, 로드 리턴스프링에 떨어져 있으며 상기 로드 리턴스프링상에 제1멈춤과 작동되는 제 1 및 제2베어링 지지면, 적어도 관련위치를 가진 제2멈춤 또는 관련 멈춤으로 구성된 형태의 진공 서어보모터에 관한 것이다.
이런 형태의 서어보모터는 유럽 특허명세서 EP-A-0,158,552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내용을 참고로 여기에 기술한다.
상기 특허명세서의 서어보모터의 배열로 인하여 제로 사점 노정(zero dead travel)을 얻을 수 있으며 피스톤구조와 밸브 플런져가 자동적으로 자기적응 상대 안정위치(self-adaptive relative rest position)를 적용할 수 있다. 자기적응의 범위를 얻기 위하여 서어보모터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케이스의 후반부로부터 완전히는 제어할 수 없는 만큼 오프셋(offset)된 피스톤구조의 최후 안전위치로써, 제작시 로드상에 배열된 림 또는 쇼울더로 구성된 로드상의 제1멈춤은 밸브장치의 제어부재 허용범위를 고려하기 위하여 내부적으로 후방으로 오프셋되어야 한다. 또한 피스톤구조와 밸브 플런져의 전방으로 전진하는 결과가 되는 피스톤구조와 밸브 플런져의 자기적응 상대 안정위치는 브레이크 램프 접촉점이 서어보모터의 작동로드에 연결된 브레이크 페달과 연결이 이루어질 때 브레이크 램프 접촉점의 조절에 관한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스톤구조 및 밸브 플런져의 자기적응의 범위를 감소하면서 제로 사점 노정이 유지되고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된 브레이크 램프 접촉점의 문제점이 해결되는 개량된 서어보모터를 공급함에 있다. 이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 구조는 로드상의 제1멈춤이 로드에 끼워지는 링부재로 구성되고 특수위치에서 로드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피스톤 스프링의 영향아래 케이스 후반에 지지되는 피스톤구조와 로드 리턴스프링의 영향아래 제2멈춤 또는 관련멈춤에 대향한 제2지지면에 지지되는 관부 멈춤부재로 조립되는 서어보모터를 특징으로 하고, 그 구성이 제2밸브시트를 밸브부재와 완전히 접촉하도록 하기 위하여 흡착력을 작동로드로 가하며, 제2밸브부재를 관부 멈춤부재의 제1지지면과 접촉하도록 하기 위하여 작동로드상의 링부재를 이동시키며, 얻어진 위치내에서 작동로드에 링부재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계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어보모터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런 방법으로 피스톤구조와 밸브 플런져는 장치되어지고 진공실이 진공원과 연결될 때 서어보모터의 사용조건내에 적합한 자기적응 상대 안정위치에 근접한 위치에 초기부터 위치되어 있어(공장에서 제작시) 이미리 조정된 위치에 대한 로드 또는 플런져 조립체의 상대 운동이 매우 적으며 브레이크 램프 접촉점의 초기조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보조 진공 서어보모터는 후방 셀(1)의 중심부로 되어 있는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는 일반적으로 환상의 다이아프램 조립체와 피스톤 허브(5)에 부착된 보강판으로 구성된 피스톤구조(4)에 의해 전실 또는 진공실(2)과 후실 또는 작동실(3)로 나누어져 있으며, 상기 피스톤 허브는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으며 하기에 기술된 밸브분배장치(6)를 에워쌓고 있다. 피스톤구조(4)는 편심되어 있어서 피스톤 리턴스프링(9)에 의해 케이스의 후반부, 전형적으로 내부 보강판(7)을 지지하고 있다. 상기 내부 보강판은 후방 셀(1)에 고착되어 있으며 자동차에 고정되도록 케이스에 고착시키는 장치(8)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 리턴스프링은 진공실(2)에 위치하여 있으며 케이스의 전방 셀(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되어 있다. 허브(5)의 후방 관부에 있어서 환상의 탄성 밸브부재(10)가 배열되어 있으며 전방면이 제1환상 밸브시트(11)와 제2밸브시트(12)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환상 밸브시트(11)는 허브(5)내에 원주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환상 밸브시트(12)는 밸브 플런져(13)의 후방 끝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플런져(13)는 허브(5)의 중심경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서어보모터의 작동로드(14)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밸브부재(10)의 전방면이 축방향에서 제1밸브시트(11) 및 제2밸브시트(12) 방향으로 밸브 스프링(15)에 의해 편심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 스프링(15)은 작동로드(14)와 동축이고 로드 리턴스프링(16)이 지지점을 형성하는 밸브부재(10)의 지지부재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로드 리턴스프링(16)은 작동로드(14)와 동축이고 그 다른 한 끝에서 관식 멈춤부재(18)의 관식 스리브(17)의 전방 끝을 지지하며, 관식 멈춤부재(18)는 작동로드(14)의 실린더형 샹크(shank)부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관식 멈춤부재(18)의 후방 끝은 직경이 확대된 플랜지부(19)를 형성하도록 넓혀져 있으며, 후방면에서 제1지지면과 제2지지면으로 형성된 공간리브(rib)(20)로 구성되어진다. 제1지지면은 로드상에서 제1멈춤(21)과 연결되어지며 제2지지면은 서어보모터의 후방부에 지지되는 관식 멈춤부재 또는 관식 덮개(23)의 원주방향으로 내부로 뻗어있는 플랜지(22)의 내부 전방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2멈춤부재 또는 관련 멈춤부재와 연결되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에 있어서, 관식 멈춤부재(18)는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으며 후방 공간리브(20)는 밸브 플런져(13)가 작동되는 작동로드(14)의 보올(24)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반구체의 윤곽을 가지며, 캡 또는 관식 멈춤부재의 칼라(23)의 전방내면도 역시 반구체이며 직경이 동일하다. 실시예에 있어서 캡 또는 판식멈춤부재(23)의 전방 끝이 원주방향으로 내부로 뻗어있는 페그(peg)(25)로 되어 있으며, 상기 페그는 외면 홈내에 그리고 안내링(26)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링(26)은 후방 셀(1)의 후방 네크(neck)(27)에 장착되어 있으며 허브(5)를 안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로드(14)상의 제1멈춤부재(21)는 스리브부재 또는 링부재로 되어 있으며 작동로드(14)의 직경이 확대된 부위(28)에 느슨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아래에 기술한 방법으로 조정한 후에는 작동로드(14)에 견고하게 부착되어진다.
케이스의 후방부, 전형적으로 보강판(7)을 피스톤 스프링(9)의 영향으로 지지하는 피스톤구조(4), 리턴스프링(16)의 영향으로 공간리브(20)로 형성된 제2지지면에 의해 관식 멈춤부재(23)로 형성된 제2멈춤부재(22)를 지지하는 관식 멈춤부재(18), 견고하지는 않으나 작동로드(14)의 직경이 확대된 부위(28)에 고착된 링부재(21)에 의하여 서어보모터는 완전히 조립되어진다. 관식 멈춤부재(17)가 작동로드(14)상에 자유로이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있기 때문에 작동로드(14)와 밸브 플런져(13)는 결정된 범위내에서 서어브모터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상대적으로 자유로이 축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조립체를 형성한다. 밸브부재(10)의 전방면이 제1밸브시트(11)(밸브스프링(15)력이 전형적으로 1 daN보다 크다)로부터 들어올려짐이 없이 밸브부재(10)의 전방면과 전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제2밸브시트(12)를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0.9 daN 이하의 흡착력(제1도에서 우방향)이 작동로드(14)에 가해진다. 작동로드(14)가 이러한 위치에서 유지되면서 링부재(21)는 그 전방면이 관식 멈춤부재(18)의 공간리브(20)에 의해 형성된 제1중앙 멈춤면과 접촉되어 연결되도록 작동로드(14)의 직경이 확대된 부위(28)에 상대적으로 이동되어진다(후자는 멈춤부재(22)를 지지하는 제2외부 지지면에 의해 접촉이 되어지며 로드 리턴스프링(16)력은 전형적으로 8 daN보다 크다). 링부재(21)의 접촉방법에 있어서 링부재는 강철로 이루어지고 작동로드(14)의 직경이 확대된 부위(28)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예를 들면 직경이 확대된 부위(28)에 형성되어 있는 외주면의 노치부(29)상에 원주방향으로 변형시켜 단단하게 결합 접촉시킴으로써 견고하게 부착된다. 이 장착방법의 특징으로써 밸브부재(10)의 전방면이 두 개의 실질적으로 공평면상의 밸브시트(11,12)와 동시에 인접되도록 되어 있다. 서어보모터가 설치되고 진공실(2)이 진공원에 연결되어지면 피스톤구조(4)는 피스톤구조와 밸브 플런져가 밸브부재(10)의 전방면이 2개의 밸브시트(11,12)와 접촉되어 유지되는 상대적 위치를 자동적으로 차지하기 전에 케이스의 후방부상의 멈춤으로부터 약간 들어올려질 것이다. 이때 실(2,3)의 압력유지가 고려된다. 즉 작동로드(14)의 바깥 끝에 부착된 페달이 필히 이런 미동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페달과 관련된 브레이크 램프 접점에 행하여진 조정은 변경되지 않을 것이다.
때때로 이 브레이크 램프 접점의 조정으로 큰 흡착력 또는 "끌어내는" 힘이 서어보모터의 작동로드(14)에 가해지므로 서어보모터는 멈춤키(30)를 보유하고 있으며 상기 멈춤키(30)는 허브(5)내에 형성된 원주방향 공기통로(31) 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밸브 플런져(13)의 미끄럼 구경과 후방 작동실(3) 사이의 연결을 이루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멈춤키는 상기 구경내에 뻗어 있어서 밸브 플런져(13)상의 원주면에 각홈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후방으로 뻗은 쇼울더(32)와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각홈의 축방향 크기로 인하여 밸브 분배장치(6)가 알려진 방법으로 복귀할 때 넓게 열려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방법으로 작동로드(14)에 큰 흡착력이 가해짐으로써 이 흡착력이 관식 멈춤부재(18)와 캡(23)의 고정 멈춤부재(22)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이 힘은 밸브 플런져(13)로부터 허브(5)로 멈춤키(30)에 의해 전달되어지며 허브(5)는 보강판(7)에 인접되게 복귀하며 이 때문에 양부재 즉 관식 멈춤부재(18)와 고정 멈춤부재(22)는 양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2도에 나타난 실시예에 있어서 알루미늄 또는 강철로 만들어진 링부재(21)는 작동로드(14)와 직경이 확대된 부분(28)에 형성된 외주면의 각형의 홈(33)내에서 크림핑(crimping) 또는 자력판 등에 의해 소망위치로 작동로드(14)에견고하게부착된다. 제3도에 나타난 실시예에 있어서 링부재(21)는 조정하는 동안 직경이 확대된 부분(28)상에 열림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분할형 링이며 이 분할형 링으로 인해 직경이 확대된 부분에 소망위치로 견고하게 클램프(clamp)될 수 있다.

Claims (8)

  1. 후방부(1,7)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가 피스톤 스프링(9)에 의해 케이스 후방부 방향으로 편심된 피스톤구조(4)에 의해 진공실(2)과 작동실(3)로 나누어져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가 허브(5)내에 형성되며 제1밸브시트(11) 및 상기 제1밸브시트(11)와 공축이고 허브내에서 미끄럼운동을 하는 밸브 플런져(13)의 끝에 형성되는 제2밸브시트(12)로 구성되며 서어보모터의 작동로드(14)에 연결되어지는 밸브분배장치(6), 상기 허브내에 장치되어 있고 로드 리턴스프링(16)과 작동하도록 밸브 스프링(15)에 의해 축방향에서 상기 제1밸브시트(11)와 상기 제2밸브시트(12)쪽으로 편심된 밸브부재(10), 상기 작동로드(14)와 공축이고 상기 허브와 상기 작동로드상에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관식 멈춤부재(18)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로드 리턴스프링(16), 상기 로드 리턴스프링(16)에 떨어져 있으며, 상기 로드 리턴스프링상에 제1멈춤부재(21)와 작동되는 제 1 및 제 2 베어링 지지면(20), 제2관련 멈춤부재(22)로 구성되어 있는 브레이크 보조진공 서어보모터에 있어서, 상기 제1멈춤부재가 상기 작동로드(14)에 장착되어 있는 링부재(21)로 구성되고 상기 로드(14)를 서어보모터에 조립하는 동안에 소정의 운동후 얻어진 제위치에서 작동로드(14)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보조진공 서어보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련 멈춤부재(22)는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관식 멈춤부재(23)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어보모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식 멈춤부재(18)는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어보모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5)내에 장착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밸브 플런져의 외주면 쇼울더(32)와 작동하게 되는 멈춤키이(3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어보모터.
  5. 제1항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식 멈춤부재(18)는 상기 작동로드의 실린더형 부위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링부재(21)는 상기 작동로드(14)의 직경이 확대된 부위(28)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어보모터.
  6. 전항중 어느 하나에 다른 서어보모터의 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어보모터가 조립되어지고, 또한 상기 피스톤구조(4)는 상기 피스톤 스프링(9)의 영향아래 상기 케이스의 후반부에 지지되며, 상기 관식 멈춤부재(18)는 제2지지면에 의해 상기 로드 리턴스프링(16)의 영향아래 상기 제2관련 멈춤부재(22)에 지지되어 있고, 이것은 상기 제2밸브부재(12)를 상기 밸브부재(10)와 완전히 접촉하도록 하기 위하여
    흡착력을 작동로드에 가하는 단계, 상기 관식 멈춤부재(18)의 제1지지면과 접촉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로드(14)에 링부재(21)를 이동시키는 단계, 얻어진 위치내에서 작동로드에 링부재(21)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어보모터 조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21)는 상기 작동로드(14)에 크림핑(crimping)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21)는 상기 작동로드에 크램핑(cramping)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60008780A 1985-10-22 1986-10-20 브레이크 보조 진공 서어보모터와 서어보모터를 조정하는 방법 KR940003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5/15678 1985-10-22
FR8515678A FR2588814B1 (fr) 1985-10-22 1985-10-22 Servomoteur a depression d'assistance au freinage et procede de reglage d'un tel servomo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558A KR870004558A (ko) 1987-05-11
KR940003925B1 true KR940003925B1 (ko) 1994-05-09

Family

ID=9324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780A KR940003925B1 (ko) 1985-10-22 1986-10-20 브레이크 보조 진공 서어보모터와 서어보모터를 조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817500A (ko)
EP (1) EP0220987B1 (ko)
JP (1) JPH075073B2 (ko)
KR (1) KR940003925B1 (ko)
AU (1) AU577488B2 (ko)
DE (1) DE3663914D1 (ko)
ES (1) ES2008855B3 (ko)
FR (1) FR2588814B1 (ko)
IN (1) IN168106B (ko)
TR (1) TR23049A (ko)
YU (1) YU465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0006A (ja) * 1984-11-05 1986-05-28 Fanuc Ltd 位置検出方法
FR2617451B1 (fr) * 1987-06-30 1989-10-27 Bendix France Procede de reglage de la course morte d'un servomoteur d'assistance au freinage
FR2647741B1 (fr) * 1989-05-31 1991-08-23 Bendix France Procede de reglage de la valeur du saut d'un servomoteur d'assistance au freinage
FR2666552B1 (fr) * 1990-09-07 1995-06-16 Bendix Europ Services Tech Procede de reglage de la valeur du saut d'un servomoteur pneumatique d'assistance au freinage et servomoteur pour la mise en óoeuvre de ce procede.
FR2673410B1 (fr) * 1991-02-28 1993-04-30 Bendix Europ Services Tech Servomoteur d'assistance au freinage a saut reglable et procede de reglage du saut.
JP2894423B2 (ja) * 1994-01-28 1999-05-24 自動車機器株式会社 倍力装置のシール部材抜出し防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5426A (en) * 1973-03-30 1974-03-05 Bendix Corp Actuation means responsive to a sensed braking condition for activating a servomotor
JPS5760984B2 (ko) * 1975-02-18 1982-12-22 Nisshin Kogyo Kk
JPS5498984U (ko) * 1977-12-24 1979-07-12
JPS5945537B2 (ja) * 1978-10-31 1984-11-07 日信工業株式会社 負圧式倍力装置
JPS5842057B2 (ja) * 1979-09-27 1983-09-16 日信工業株式会社 負圧式倍力装置
JPS5751556A (en) * 1980-09-10 1982-03-26 Nissin Kogyo Kk Negative pressure type doubler device
JPS5758548A (en) * 1980-09-26 1982-04-08 Nissin Kogyo Kk Pneumatic pressure type doubler device
FR2561599B1 (fr) * 1984-03-21 1986-08-22 Dba Servomoteur a depression d'assistance au frein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558A (ko) 1987-05-11
DE3663914D1 (en) 1989-07-20
JPH075073B2 (ja) 1995-01-25
AU6415486A (en) 1987-04-30
FR2588814A1 (fr) 1987-04-24
YU175586A (en) 1989-02-28
IN168106B (ko) 1991-02-02
YU46527B (sh) 1993-11-16
TR23049A (tr) 1989-02-14
JPS6299257A (ja) 1987-05-08
EP0220987A1 (fr) 1987-05-06
FR2588814B1 (fr) 1988-05-27
EP0220987B1 (fr) 1989-06-14
ES2008855B3 (es) 1989-08-16
US4817500A (en) 1989-04-04
AU577488B2 (en) 1988-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0845A (en) Pneumatic servo booster
KR940003925B1 (ko) 브레이크 보조 진공 서어보모터와 서어보모터를 조정하는 방법
EP0110740A1 (en) Brake actuation assembly
US6070514A (en) Pneumatic brake booster
KR20020089565A (ko) 브레이크 부스터를 위한 반동 장치
US4885910A (en) Tandem master cylinder for a hydraulic dual-circuit brake system of a road vehicle
US4984506A (en) Brake booster with adjustable jump
JPH0558950B2 (ko)
US5016520A (en) Process for adjusting the value of the jump of a brake booster
RU2025343C1 (ru) Сервомотор слежения за торможением
US4909477A (en) Vacuum dump valve
US4577548A (en) Servomotor for braking assistance
US5279203A (en) Pneumatic brake booster with air guide surfaces
US5249651A (en) Pneumatic brake booster with improved response time
US5680807A (en) Vacuum brake booster for motor vehicles
US5249504A (en) Pneumatic booster
US5167180A (en) Process for adjusting the value of the jump of a pneumatic brake-booster and booster for carrying out this process
US5233904A (en) Pneumatic brake booster with adjustable jump
US6067891A (en) Braking assistance pneumatic servomotor with improved valve
JP2006512242A (ja) 制動装置のマスターシリンダ−空気式ブースターアッセンブリのデッドトラベルを調節するための方法
US4622882A (en) Valve device for vacuum brake boosters
US4819544A (en) Two-stage reaction device for vacuum brake booster valves
JPH0421744Y2 (ko)
US2931179A (en) Automobile power brakes for manual or pedal operation
US5074191A (en) Brake booster housing with a hub structure containing a valve mechanism arranged inside the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