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919Y1 - 영상 기기의 고화질 써치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기기의 고화질 써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919Y1
KR940003919Y1 KR2019880017968U KR880017968U KR940003919Y1 KR 940003919 Y1 KR940003919 Y1 KR 940003919Y1 KR 2019880017968 U KR2019880017968 U KR 2019880017968U KR 880017968 U KR880017968 U KR 880017968U KR 940003919 Y1 KR940003919 Y1 KR 940003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gate
analog
enve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79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987U (ko
Inventor
전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800179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919Y1/ko
Publication of KR9000089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9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9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22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for reducing distor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24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for 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 기기의 고화질 써치 장치
제1도는 종래의 리드/라이트 모드 결정 방법의 타이밍도.
제2도는 1/3 슬로우시 테이프 패턴을 보인 예시도.
제3도는 종래의 써치 장치의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드/라이트 모드 결정 방법의 타이밍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어 신호 발생부의 회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6배속 써치시 테이프 패턴을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주기 2 : 신호 조합부
3 : 컬러 디코더 4 : 멀티플렉서
5 :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 6 : 메모리 콘트롤러
7 : 필드 메모리 8 : 엔벨로프 디텍터
9 :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 10 : 컬러 엔코더
11,11' : 로우 패스 필터 12 : 클럭 발생부
13 : 가산기 14 : 제어 신호 발생부
DFF : 디플립플롭 N1~N6 : 노아게이트
본 고안은 필드 메모리를 이용한 고화질 써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VTR(Video Tape Recoder)에서 필드 메모리를 이용하여 써치시 노이즈바(bar)를 제거하고 LP(Long Playing) 모드에서의 써치시 왜곡을 제거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영상 기기의 고화질 써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구성은 제3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비데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컬러 디코더(3)와, 상기 비디오 신호중 일정 고역 성분을 제거하는 로우 패스 필터(11)와, 상기 컬러 디코더(3)의 출력 또는 로우 패스 필터(11)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4)와, 이 멀티플렉서(4)의 출력을 디지탈 변환하는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5)와, 고주파 신호(RF)의 포락선을 검출하는 엔벨로프 검출기(8)와, 이 엔벨로프 검출기(8)의 출력과 헤드 스위칭 신호를 논리합하는 오아게이트(OR)와, 재생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필드 메모리(7)와, 클럭을 발생시키는 클럭 발생부(12)와, 이 클럭 발생부(12)의 출력에 동기되어 상기 오아게이트(OR)의 출력에 따라 상기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5)의 출력을 상기 필드 메모리(7)에 저장한 후 저장된 데이타를 읽어 출력하는 메모리 콘트롤러(6)와, 이 메모리 콘트롤러(6)의 출력을 아나로그 변환하는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9)와, 이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9)의 출력중 일정 고역 성분을 제거하는 로우 패스 필터(11')와, 상기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9)의 출력을 엔코딩하는 컬러 엔코더(10)와, 이 컬러 엔코더(10)의 출력과 상기 로우 패스 필터(11')을 합산하는 가산기(13)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종래 기술의 동작 과정을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로우 패스 필터(11)가 비디오 입력 신호중 일정 고역 성분을 제거하여 저역의 영상 신호만을 출력하고 컬러 디코더(3)가 상기 비디오 입력 신호를 복호할 때 멀티플렉서(4)가 상기 컬러 디코더(3)의 출력 또는 로우 패스 필터(11)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면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5)는 상기 멀티플렉서(4)의 아나로그 출력을 디지탈 변환하여 클럭 발생부(12)의 출력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메모리 콘트롤러(6)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변속 모드에 의해 헤드가 제2도와 같이 테이프를 주행함에 의해 제1도(b)와 같은 고주파 출력(RF)이 엔벨로프 검출기(8)에 입력되면 오아게이트(OR)는 양호한 신호가 출력되는 필드를 선정하기 위하여 제1도(c)와 같은 상기 엔벨로프 검출기(8)의 출력(EN)과 제1도(a)와 같은 헤드 앰프에서 입력된 헤드 스위칭 신호(H. SW)를 논리 합하여 제1도(d)와 같은 리드/라이트 제어신호(R/W SW)를 메모리 콘트롤러(6)에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제2도는 1/3 슬로우시 테이프 패턴도이고 리드/라이트 제어 신호(R/W SW)는 저전위일 때 액티브이다.
이에 따라, 메모리 콘트롤러(6)는 오아게이트(OR)의 출력에 따라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5)의 출력을 필드 메모리(7)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타를 읽어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9)에 출력하게 된다.
즉, 메모리 콘트롤러(6)는 오아게이트(OR)의 출력(R/W SW)에 따라 필드 메모리(7)를 리드/라이트하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엔벨로프(Envelope)가 양호한 필드에서는 필드 단위로 라이트하고 엔벨로프가 양호하지 못한 필드에서는 필드 단위로 리드를 하여 변속시 화질을 보정했다.
따라서,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9)가 메모리 콘트롤러(6)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아나로그로 변환하면 컬러 엔코더(10)는 엔코딩을 수행하게 되고 로우 패스 필터(11')에서 상기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9)의 출력중 일정 고역 성분을 제거하며 가산기(13)가 상기 컬러 엔코더(10)의 출력과 로우 패스 필터(11')의 출력을 논리 합함에 의해 영상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보통 써치시에는 1필드 내에서 노이즈바가 나타나게 됨으로 필드 메모리(7)를 이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종래에는 리드/라이트 모드 절환을 필드 단위로 수행하기 때문에 고속 써치시 노이즈바가 생기는 것을 제거하지 못하고 롱 플레잉 써치(Long Playing Search)시는 왜곡이 0.5H로 크게 나와서 화면을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회로는 제3도와 같은 종래의 회로에서 오아게이트(OR)를 제어 신호 발생부(14)로 대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14)는 제5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엔벨로프 검출기(8)의 출력(EN)을 클럭 단자에 입력 받아 반전 출력을 입력(D)으로 한 디플립플롭의 래치에 의해 2분주된 신호(Q)를 출력하는 분주기(1)와, 상기 포락선 신호(EN)와 상기 분주기(1)의 출력(Q) 그리고 롱 플레잉 신호(LP)를 논리 조합하여 리드/라이트 제어신호(R/W SW)를 출력하는 신호 조합부(2)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신호 조합부(2)는 포락선 신호(EN)와 분주기(1)의 출력(Q)을 노아링하는 노아게이트(N1)와, 롱 플레잉 신호(LP)를 반전시키는 노아게이트(N2)와, 상기 노아게이트(N1)(N2)의 출력을 노아링하는 노아게이트(N3)와, 상기 포락선 신호(EN)와 롱 플레잉 신호(LP)를 노아링하는 노아게이트(N4)와, 이 노아게이트(N4)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노아게이트(N5)와, 이 노아게이트(N5)의 출력과 상기 노아게이트(N3)의 출력을 노아링하여 리드/라이트 제어 신호(R/W SW)를 출력하는 노아게이트(N6)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제4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로우 패스 필터(11)가 비디오 입력 신호중 일정 고역 성분을 제거하여 저역의 영상 신호만을 출력하고 컬러 디코더(3)가 상기 비디오 입력 신호를 복호할 때 멀티플렉서(4)가 상기 컬러 디코더(3)의 출력 또는 로우 패스 필터(11)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면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5)는 상기 멀티플렉서(4)의 아나로그 출력을 디지탈 변환하여 클럭 발생부(12)의 출력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메모리 콘트롤러(6)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변속 모드에 의해 헤드가 테이프를 배속 주행함에 의해 제4도(b)와 같은 고주파 출력(RF)이 입력된 엔벨로프 검출기(8)는 포락선을 제4도(c)와 같은 포락선 신호(EN)를 제어 신호 발생부(14)에 출력하게 된다.
제6도는 6배속으로 써치할 때 테이프 패턴을 보인 예시도이다.
여기서, 변속 써치시 재생 영상 신호(RF)가 테이프 주행 속도에 따라 노이즈바가 혼입되어 출력되는데, 테이프 속도가 홀수배이면 노이즈바가 필드마다 동일한 위치에 혼입됨으로 노이즈바가 고정되고, 짝수 배 속도이면 노이즈바와 양호한 신호(RF)가 헤드 스위칭 신호(H. SW)로부터 일정 위상에서 교번적으로 혼입되어진다.
따라서, 포락선 신호(EN)에 따라 출력을 절환함으로써 먼저 필드에서 양호한 화면을 이번 필드에서는 노이즈바가 혼입됨으로 메모리(7)에서 읽어내고 이번 필드에서 양호한 화면은 리얼 타임으로 쓰루 패스(Through Pass)시켜서 다음 필드에서 읽어 사용하면 신호의 왜곡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테이프 패턴의 스탠다드 플레이(standard Play) 모드 기록 패턴은 인접간의 수평 동기 얼라인먼트(alignment)가 1.5H씩 차이가 나도록 되어 있음으로 롱 플레잉 모드(LP mode)는 스탠다드 플레이(SP)의 1/2속임으로 0.75H씩 차이가 나고, 익스텐디드 플레이(EP)는 스탠다드 플레이(SP)의 1/3속임으로 0.5H씩 차이가 난다.
따라서, 동일 헤드로 여러 트랙을 스캔할 경우 방위각(Azimuth)이 맞지 않는 인접 트랙은 출력(RF) 엔벨로프가 최소점에서 스탠다드 플레이(SP)시에는“3H”, 롱 플레이(LP)시에는“1.5H”, 익스텐디드 플레이(EP)시는“1H”의 수평 동기 얼라인먼트 차이가 난다.
그러나, 스탠다드 플레이(SP) 및 익스텐디드 플레이(EP)는 정수배임을 왜곡이 나오지 않지만 롱 플레잉(LP)에서는“1.5H”임으로 왜곡이 크게 나온다.
이러한 신호의 왜곡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4도(c)와 같은 포락선 신호(EN)와 이 신호(EN)를 2분주한 신호(Q) 그리고 롱 플레잉 신호(LP)를 논리 조합하여 리드/라이트 제어신호(R/W SW)를 발생시키면 재생 영상신호(RF)가 양호한 곳을 1회 걸러서 라이트하게 됨에 따라“1.5*2회=3H”가 되어서 수평 동기 얼라인먼트가 맞아 들어가게 된다.
즉, 화면은 3필드 이전 화면부터 현재 화면까지 부분적으로 복합화된 화면을 볼 수 있도록 리드/라이트 제어를 수행하면 변속시 화면상의 왜곡은 없어진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위해 제어 신호 발생부(14)는 제4도(c)와 같은 엔벨로프 검출기(8)의 출력(EN)이 입력됨에 따라 분주기(1)의 디플립플롭(DFF)이 반전 출력을 입력(D)으로 궤환하여 래치시킴으로써 제4도(d)와 같은 2분주된 신호를 신호 조합부(2)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신호 조합부(2)는 노아게이트(N1)에서 엔벨로프 검출기(8)의 출력인 포락선 신호(EN)와 분주기(1)의 출력(Q)을 노아링할 때 노아게이트(N2)에서 롱 플레잉 신호(LP)를 양 입력에 인가받아 반전시키면 노아게이트(N3)가 상기 노아게이트(N1)(N2)의 출력을 노아링하고 노아게이트(N4)가 상기 포락선 신호(EN)와 롱 플레잉 신호(LP)를 노아링하면 이 노아게이트(N4)의 출력을 양 입력에 인가받은 노아게이트(N5)가 반전시키며 노아게이트(N6)는 상기 노아게이트(N3)(N5)의 출력을 노아링하여 저전위에서 액티브인 제4도(e)와 같은 리드/라이트 제어 신호(R/W SW)를 메모리 콘트롤러(6)에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메모리 콘트롤러(6)는 제어 신호 발생부(14)의 출력(R/W SW)에 따라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5)의 출력을 필드 메모리(7)에 저장하고 이 저장된 데이타를 노이즈바가 혼입될 때 읽어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9)에 출력하게 된다.
즉, 메모리 콘트롤러(6)는 제어 신호 발생부(14)의 출력(R/W SW)에 따라 필드 메모리(7)를 리드/라이트하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먼저 필드에서 양호한 화면은 이번 필드에서는 노이즈바가 혼입됨으로 메모리(7)에서 읽어내고 이번 필드에서 양호한 화면은 리얼 타임으로 쓰루 패스(Through Pass)시켜서 다음 필드에서 읽어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9)에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9)가 메모리 콘트롤러(6)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아나로그로 변환하면 컬러 엔코더(10)는 엔코딩을 수행하게 되고 로우 패스 필터(11')에서 상기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9)의 출력중 일정 고역 성분을 제거하며 가산기(13)는 상기 컬러 엔코더(10)의 출력과 로우 패스 필터(11')의 출력을 논리 합함에 의해 왜곡이 없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써치시 재생 영상신호(RF)의 불량 부분에 의한 노이즈바의 혼입을 방지함과 아울러 양호한 화상을 출력시키게 된다.
즉, 스탠다드 플레이(SP)와 익스텐디드 플레이(EP)시는 먼저 필드와 이번 필드를 복합하여 표시하고 롱플레잉(LP)에서는 3필드 전부터 이번 필드까지의 4필드에서 화면이 양호하고 수평 동기 얼라이먼트가 맞는 부분을 복합 편집시켜 표시함으로써 재생시 왜곡이 없으면서 노이즈바의 혼입도 없는 화면을 보여주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4)

  1. 재생 영상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와, 한 화면 이상의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의 출력 영상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선택적으로 라이트한 후 상기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타를 리드하거나 또는 상기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의 출력 데이타의 바이 패스(by pass)를 제어하는 메모리 콘트롤러와, 상기 재생 영상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는 엔벨로프 검출기와, 상기 엔벨로프 검출기에서 검출된 영상 신호의 크기에 따라 롱 플레잉 신호(LP)와 논리 조합하여 상기 메모리 콘트롤러에 리드/라이트 제어 신호(R/W SW)를 출력하는 제어 신호 발생부와, 상기 메모리 콘트롤러에서 출력된 영상 신호를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의 고화질 써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메모리 콘트롤러는 제어 신호 발생부의 출력(R/W SW)에 따라 변속시 현재의 입력 영상신호와 필드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신호중 한 개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롱 플레잉(LP)모드시 상기 필드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신호 또는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의 출력 중 한개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고화질 써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어 신호 발생부는 엔벨로프 검출기의 출력인 포락선 신호(EN)을 분주하는 분주기와, 이 분주기의 출력과 상기 포락선 신호(EN) 그리고 롱 플레잉 신호(LP)를 조합하여 리드/라이트 제어 신호(R/W SW)를 메모리 콘트롤러에 출력하는 신호 조합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의 고화질 써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신호 조합부는 포락선 신호(EN)와 분주기(1)의 출력(Q)을 노아링하는 노아게이트(N1)와, 롱 플레잉 신호(LP)를 반전시키는 노아게이트(N2)와, 상기 노아게이트(N1)(N2)의 출력을 노아링하는 노아게이트(N3)와, 상기 포락선 신호(EN)와 롱 플레잉 신호(LP)를 노아링하는 노아게이트(N4)와, 이 노아게이트(N4)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노아게이트(N5)와, 이 노아게이트(N5)의 출력과 상기 노아게이트(N3)의 출력을 노아링하여 리드/라이트 제어 신호(R/W SW)를 출력하는 노아게이트(N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의 고화질 써치 장치.
KR2019880017968U 1988-10-31 1988-10-31 영상 기기의 고화질 써치 장치 KR940003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7968U KR940003919Y1 (ko) 1988-10-31 1988-10-31 영상 기기의 고화질 써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7968U KR940003919Y1 (ko) 1988-10-31 1988-10-31 영상 기기의 고화질 써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987U KR900008987U (ko) 1990-05-03
KR940003919Y1 true KR940003919Y1 (ko) 1994-06-15

Family

ID=19280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7968U KR940003919Y1 (ko) 1988-10-31 1988-10-31 영상 기기의 고화질 써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9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987U (ko) 199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6345B1 (ko) 수퍼임포즈장치
US4788604A (en) Video system with a special reproduction mode using an image memory
JPS623637B2 (ko)
KR900008454B1 (ko) 영상신호 기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KR940003919Y1 (ko) 영상 기기의 고화질 써치 장치
EP0487182B1 (en) Video signal recording apparatus
KR910003282B1 (ko) 디지탈콤포지트 비데오신호의 기록/재생장치
KR100309358B1 (ko) 역방향재생모드에서텔레비젼프레임을디스플레이하는디바이스
KR100188430B1 (ko) 감시용시스템의 영상신호간헐녹화 및 재생방법
KR930009177B1 (ko) 화상재생장치 및 방법
JPS6074883A (ja) 画像記録再生方式
JPS62247686A (ja) 特殊再生回路
KR900008244Y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화상기록 재생회로
JPH084348B2 (ja) デ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の信号処理方法
JP2602189B2 (ja) 画像表示方法
JP3311560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の高速再生回路
JPH0232834B2 (ko)
JPH0683470B2 (ja) モザイク画像生成回路
JP2533114B2 (ja) 画像再生装置
JPS6333080A (ja) 画像再生装置
JPS6363293A (ja) 特殊再生回路
JPS61283289A (ja) 映像信号の記録再生装置
JPH04215391A (ja) カラー映像信号の記録再生方式
JPH0582117B2 (ko)
JPS638708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