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793B1 - 연료집합체 내에 제사용 로킹관 - Google Patents

연료집합체 내에 제사용 로킹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793B1
KR940003793B1 KR1019860002507A KR860002507A KR940003793B1 KR 940003793 B1 KR940003793 B1 KR 940003793B1 KR 1019860002507 A KR1019860002507 A KR 1019860002507A KR 860002507 A KR860002507 A KR 860002507A KR 940003793 B1 KR940003793 B1 KR 940003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ocking tube
socket
inner socket
bul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2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564A (ko
Inventor
밀톤 쉘렌버거 존
조우지프 펄란 스티번
Original Assignee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모리스 씨 · 싸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모리스 씨 · 싸디 filed Critical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60008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34Assembling, maintenance or repair of the bu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21Snap-f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료집합체 내에 제사용 로킹관
제1도는 연료집합체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절단된 단면 부분을 가지는 측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로킹관과 안내딤블 및 상부노즐과 연결된 부착 구조물의 부품 전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3-3을 따른 상부 평면도.
제4도는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로킹관의 측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선5-5를 따른 상부 평면도.
제6도는 로킹관의 상단부 인접한 외부에 플레어된 제2도의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로킹관을 예시하는 확대 부분도.
제7도는 부품의 조립된 상태내에서 제2도의 부착 구조물의 부품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 집합체 12 : 하부노즐
14 : 안내딤블 16 : 그리드
18 : 연료봉 20 : 계기관
22 : 상부노즐 24 : 펠릿
26,28 : 단부플러그 40 : 어댑터판
48 : 로킹관 50 : 외부소켓
54 : 내부소켓 62 : 상부 안지름
64 : 하부 안지름 66 : 선반
70 : 관형동체 72 : 딤플
78 : 외부팁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원자로에 대한 연료집합체에 관한 것이고, 특히, 연료집합체의 제어-봉 안내딤블의 상부부분에 위치한 위의 집합체의 상부노즐을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한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로킹관에 관한 것이다.
대개 원자로에 있어서, 노심은 다수의 연장 연료집합체로 구성되며, 각 연료집합체는 다수의 연료봉과 연료집합체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갖고 제어봉 제7딤블에 부착된 그리드 장치에 의해서 조직화된 배열으로 유지된 제어봉 안내딤블과, 연료봉 상하에 다소 뻗은 안내딤블의 대항하는 단부부분에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노즐을 포함한다. 연료집합체의 상단부에서, 안내딤블을 상부노즐의 어댑터판내에 형성된 통로내에 뻗으며 안내딤블은 어댑터판에 대하여 부착된다. 각 안내딤블은 상부노즐에 부착하기 위하여 상부 슬리이브관을 포함할 수 있다.
원자로내에 연료집합체의 동작중에, 어떤 연료봉은 내부 스트레스로 인하여 균열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그런 경우에 있어서 원자로의 동작중에 1차 냉각지내에 새는 방사성 분열 생산의 위험이 있고, 연료재충전중에 담수 원자로 공동내에 방출되고 사용된 연료집합체가 저장된 푸울을 통하여 순환되는 냉각지내에 방출되는 방사성 분열 생산의 위험이 있다. 이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서, 손상된 연료봉을 검출하고 제거하고,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만일 관련된 연료집합체가 상부 및 하부노즐에 용접된 연료집합체의 안내딤블을 제7다면 어렵게 되며, 그것에 의해서 노심으로부터 연료집합체의 제거와 연료봉을 접근하기 위해서 용접의 절단은 필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당한 이익은 이동성 상부노즐에 그것들을 제공함으로서 개선할 수 있는 연료집합체에서 기인하였다. 1985년 5월 8일 발표된 유럽특허 공보 제0140588호에서 서술되고 예시된 하나의 위와 같은 개선할 수 있는 연료집합체는 제어-봉 안내딤블의 상단부위에 상부노즐을 이동할 수 있게 설치하기 위한 부착 구조물을 설명한다. 부착 구조물은 상부노즐이 어댑터판내에 한정되는 다수의 외부소켓, 각 안내딤블의 상단부 부분에 형성되는 다수의 내부소켓, 외부소켓과 로킹 맞물림으로 그것들을 유지하기 위해서 내부소켓내에 삽입된 다수의 이동성 로킹관을 포함한다. 각 외부소켓은 소켓의 벽내에 형성된 환상 그루우브를 가지는 어댑터판을 통한 통로의 형태이다. 각 내부소켓은 안내딤블 단부 부분이 어댑터판 통로내에 삽입될 때 환상 그루우브 내에 설치되는 환상 벌지를 가지는 안내딤블의 공동 상단부 부분의 형태이다. 안내딤블 상단부 부분은 벌지가 어댑터판의 통로내에 환상 원주 그루우브로부터 유리되고 환상 원주 그루우브와 맞물리도록 슬롯된 부분의 내부탄성 붕괴를 허용하기 휘해서 안내딤블 상단부 부분내에 형성된 연장 축 슬롯을 가진다.
위의 방법으로, 안내딤블의 내부소켓은 삽입되고 외부소켓과 로킹 맞물림으로부터 회수된다. 로킹관은 내부소켓을 형성하는 안내딤블의 공동 상단부 부분의 로킹 위치내에 상부노즐 위에서부터 삽입된다. 로킹관의 로킹 위치내에 삽입될 때, 로킹관은 환산 그루우브와 로킹제7 확장로킹 맞물림으로 내부소켓의 벌지를 유지하고 내부소켓이 압축된 방출 위치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고 내부소켓은 외부소켓으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로킹관은 외부소켓과 로킹 맞물림으로 내부소켓을 유지하고, 그것에 의해서 안내딤블의 상단부에 상부노즐을 부착한다. 진동 및 그와 유사한 것으로 인해 부주의한 이탈을 막기 위해서, 내부소켓 내에 로킹관의 로킹 위치에 로킹관의 삽입후에, 로킹관의 그것이 로킹위치내에 고정되는 것은 안내딤블의 상단부부분내에 원주형 벌지에 벌지 피트를 각 로킹관의 상부부분내에 형성되고 원주형 벌지와 죔쇠 끼워 맞춤을 제공하기 위해서 각 로킹관의 상부부분을 변형함에 의해서 지금까지 행해졌다.
안내딤블의 상단부내에 로킹관의 로킹위치에 로킹관을 설치하기 위한 다른 장치는 프랑스 특허 제2,529,704호에 설명되고, 다수의 크림프는 로킹링 또는 관 상부부분과 끝부분 또는 어댑터판을 통해 안지름의 벽사이에 형성된다. 각 크림프는 로킹링 또는 관의벽 및 플랫 지점과 상호작용하고 맞부딪치게 위치된 환상 그루우브 위에 "플랫지점"으로 구성된다. 환상 그루우브는 끝부분 또는 어댑터판을 통해 안지름의 벽내에 형성된다. 크림프는 원주형 확장 슬롯된 안내딤블의 상단부 부분을 수용하는 어댑터판 통로내에 다른 더 큰 오목 환상 그루우브 위에 위치된다. 크림프는 로킹관이 끝부분 또는 어댑터판 내에 로킹 위치에 삽입된 후 로킹관 벽의 가소성 변형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연료집합체의 개선이 착수될 때, 이 로킹관은 죔쇠 끼워 맞춤을 극복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축 힘에 의해서 우선 회수되어야 한다. 이것은 가소성 변형에 의해서 이미 형성된 "플랫지점"과 로킹관 벌지를 부분적으로 붕괴하며, 그 때 로킹관은 안내딤블 상단부 부분과 어댑터판 통로에서 이동된다. 손상된 연료봉이 제거되고 다시 배치되고 상부노즐의 재설치를 이행한 후에, 통상적 방법은 부분적으로 붕괴된 벌지와 "플랫지점"을 가지는 구식의 로킹관을 제거하고 안내딤블 상단부에 새로운 로킹관을 설치하고 가소성 변형에 의해서 로킹관을 설치해야 한다.
위의 방식은 많은 단점을 가진다.
첫째, 많은 재고의 로킹관이 유지되어야 한다. 둘째, 설비는 제거되고 방사성이 조사된 로킹관을 배치하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셋째, 각 로킹관이 삽입된 후에, 변형동작은 각 관내에 벌지를 제작하기 위해서 원격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넷째, 벌지의 검사는 벌지가 정확한 크기로 제작되었는지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원격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이 단점을 제거하는 것이고, 따라서 본 발명은 안내딤블의 상단부 부분에 대하여 연료집합체의 상부노즐을 안전하게 부착하기 위한 장치에 있으며, 상기 장치는 상부노즐의 어댑터판을 통해 뻗고 외부소켓내에 원주형으로 형성된 환상 그루우브와 제7은 벽을 가지는 외부소켓과 안내딤블의 상기 상단부 부분에 의해서 한정되고 상기 외부소켓내에 공축으로 수용된 관형 내부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관형 내부소켓은 내부소켓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환상 그루우브내에 공정된 원주형 벌지를 가지고, 상기 관형 내부소켓이 붕괴되고 그것에 의해서 그루우브로부터 벌지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기 벌지를 통해서 안내딤블 제7의 상단부로부터 종축으로 뻗는 최소한 하나의 연장 슬롯을 가지고 그루우브로부터 벌지의 이동에 대하여 벌지를 로크하도록 상기 관형 내부소켓내에 로킹 위치에 삽입할 수 있는 로킹관을 가지며, 상기 벌지는 관형 내부소켓의 내부에 환상 요면을 한정하고, 상기 로킹관은 그것의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관의 부제7축 변위를 막도록 상기 요면과 공동작용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관은 관형동체가 상기 내부소켓내에 미끄러지듯이 수용될 수 있는 외부 직경을 가지는 관형동체와, 로킹관이 로킹관의 로킹 위치내에 있을 때 상기 요면내에 뻗어서 그것에 의해서 로킹관의 상기 부주의한 축 변위를 막도록 상기 관형동체의 외부표면에 정반대로 대항되는 위치에서 돌출되는 최소한 두개 딤플을 포함하는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로킹관이며, 상기 딤플은 상기 내부소켓내에 로킹관의 처음 삽입하기 전에 미리 형성된 딤플을 미리 형성되고, 딤플의 물체가 상기 내부소켓으로부터 로킹관의 회수와 상기 내부소켓내에 로킹관의 삽입중에 굽음 및 크기상 변화를 막을 수 있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배치된다.
위에서 한정한 것과 같은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로킹관의 사용은 몇 개의 방법으로 동작을 향상시킨다. 첫째, 그것은 상부노즐을 다시 설치한 후에 전에 반드시 필요한 동작을 변형하는 로킹관을 제거하고, 극소의 변형 또는 벌지를 검사할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연료집합체를 개선하기 위해서 필요로 되는 시간을 감소시킨다. 둘째, 로킹관이 다시 사용되므로, 어떤 설비도 교체되고 조사된 로킹관의 배치를 위하여 제작될 필요가 없다. 셋째, 로킹-관 변형도구, 벌지검사장치, 대체 로킹관의 재고, 혹은 사용된 로킹관을 다룰 때 필요로 되는 연결된 도구 및 캐니스터가 또한 소용이 없다. 넷째, 제작중에, 조립시간은 벌지 크기검사를 삭제함으로서 삽입후에 변형되는 로킹관의 제거로 인하여 감소될 수 있다. 다섯째, 제작 위치에서 더 적은 로킹관의 재고는 지금 원래 삽입된 로킹관을 이용할 수 있는 설치후에 상부노즐이 경우에 따라서 제거되어야 하므로 역시 가능할 수 있다.
요약컨데, 본 발명에 의해서 고려되는 로킹관 개념상에 있어서 단순한 디자인 변화에 의해, 연료집합체 제작 과정은 단순화되고 더 용이하고, 보다 불편한 것을 제거하고 보수중에 상부노즐의 설치는 대체로 개선동작은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성 있게 미리 형성될 수 있는 결과로서 획득된다.
본 발명의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로킹관은 존재하는 개선할 수 있는 연료집합체에 관하여 백피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부수도면과 관련된 보기에 의해서 서술될 것이다.
다음 서술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 기호는 몇 개 도면을 통하여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품을 지시하고, "앞", "뒤", "왼쪽", "오른쪽", "위쪽", "아래쪽"과 같은 용어 및 그와 유사한 것은 제한된 용어로서 해석되지 않는 편리한 단어로서 사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특히 제1도에서 번호 10으로 일반적으로 표시되고 수직적으로 단축된 형태의 개선할 수 있는 원자로 연료집합체는 노심(도시되지 않음)내에 하부노심판(도시되지 않음)에 집합체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노즐(또는 하단부 구조)(12), 하부노즐(12)로부터 위쪽으로 뻗는 몇 개의 딤블(도는 제어봉 안내관)(14), 그리드(16)에 의해서 지지되고 횡축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연료봉(18)의 조직화된 배열, 계기관(20)과 안내딤블(14)의 상단부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게 부착된 상부노즐(또는 상단부 구조)(22)를 포함한다.
각 연료봉(18)은 핵연료펠릿(24)을 포함하고 단부 플러그(26,28)에 의해서 밀폐된 봉의 반대단부를 가진다. 상단부 플러그(26) 및 펠릿(24) 사이에 배치된 플리넘스프링(30)은 단단하게 쌓인 펠릿을 유지한다.
상부노즐(22)은 제어-봉 클러스터 제어 메커니즘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고 안내딤블내에 뻗고 핵분열 과정을 제어하기 위해서 안내딤블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제어봉(32)을 가지는 아암(또는 플루우크)(38)을 가지는 내부나선형 원통부재(36)제7어 제어-봉 클러스터 제어 메커니즘(34)을 포함한다.
제1도에서 예시된 것처럼, 상부노즐(22)은 판을 통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제어-봉 통로(42)(단지 하나가 도시된다)와 각 통로(42)내에 위치되는 안내딤블(14)의 상단부분(44)과 더불어 하부 어댑터판(40)을 가진다. 연료봉(18)을 접근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상부노즐(22)은 일반적으로 46으로 표시된 부착 구조물에 의해서 안내딤블(14)의 상단부 부분(44)에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된다.
제2도에서 제7도를 참고하면, 각 안내딤블(14)과 연결된 상부노즐 부착 구조물(46)은 통로(42)의 벽내에 원주로 형성된 환상 그루우브(52)를 가지는 연결된 통로(42)에 의해서 상부노즐 어댑터판(40) 내에 한정되는 외부소켓(50), 각 안내딤블(14)의 상단부 부분(44)에 형성된 내부소켓(54), 외부소켓(50)과 로킹 맞물림으로 로킹관(48)을 유지하기 위해서 내부소켓(54)내에 삽입된 이동성 로킹관(48)을 포함한다.
각 내부소켓(54)은 안내딤블의 단부부분의 상부 에이지(58) 아래에서 다소 떨어진 거리의 안내딤블(14)의 공동 상단부 부분(44)위에 원주로 형성된 환상 버지(56)에 의해서 한정된다. 4개의 연장 축방향 슬롯(60)은 안내딤블의 공동 상단부 부분(44)위에 원주형 벌지(56)가 환상 그루우브(52)와 맞물림 및 맞물리지 않게 하는 슬롯된 단부부분의 압축 또는 탄성 내부 붕괴를 허용하기 위해서 안내딤블(14)의 상단부 부분(44)내에 형성된다.
외부소켓(50)을 한정하는 어댑터판(40)내에 각 통로(42)는 상부 안지름(62)제7 안지름으로 구성된다. 하부 안지름(64)은 상부 안지름(62)보다 더 큰 축 길이를 가지고 상부 및 하부 안지름(62,64) 사이에 선반(66) 아래의 다소 떨어진 거리에서 벽내에 형성된 환상 그루우브(52)를 가진다. 하부 안지름(64)은 선반(66)이 아래방향으로 향하도록 상부 안지름(62)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다. 선반(66)은 내부소켓(54) 위에 벌지에 제7도로부터 예시된 것처럼 외부소켓(50)내에 환상 그루우브(52)와 등록될 때 안내-딤블 단부부분(44)의 상단부(58)를 맞물리는 스톱으로서 작용한다.
일단 상부노즐(22)이 안내딤블 단부부분(44)에 설치되고 내부소켓(54)위에 벌지(56)가 외부소켓(50)의 환상 그루우브(52)내에 설치된다면, 제7도에 예시된 것과 유사하게 그루우브(52)로부터 내부소켓(54)의 분리에 대해서 벌지(56)를 로크하고 그래서 외부소켓(50)으로부터 내부소켓(54)의 회수에 대해서 내부소켓(54)을 로크하도록 상부노즐 위에서부터 각 로킹관(48)은 각 내부소켓(54)내에 삽입된다.
내부소켓내에 관의 로킹 위치로부터 우연한 이탈에 대하여 삽입된 로킹관을 설치하기 위해서 사용된 한 방법은 제6도에 도시된 것처럼, 바깥쪽으로 플레이된 상단부에 처음에 관을 제공해야 한다. 내부소켓내에 위와 같은 로킹관을 삽입하는 것에 대하여, 로킹관의 바깥쪽으로 제7된 내부는 내부소켓의 벽에 갖추어진 단단한 마찰을 형성할 것이고 그것에 의해서 내부소켓에 관하여 로킹관의 축 변위를 막을 것이다.
확실함으로, 우연한 이탈에 대하여 삽입된 로킹관을 설치하는 것에 관한 지금까지의 양호한 또 다른 방법은, 연결된 내부소켓(54)위에 부주의한 이탈에 대해서 삽입된 로킹관을 설치하는 것에 관한 지금까지 양호한 또다른 방법을 하나의 내부소켓내에 로킹관을 삽입한 후에 연결된 내부소켓(54)에 관한 환상 벌지(56)의 내부에 환상 요면내에 벌지의 원주형 부분을 벌지하도록 각 로킹관을 가소성으로 변형해야 한다. 이것은 관이 느슨한 동작을 막고 진동 또는 충격하에서 로킹관의 로킹 위치로부터 변위되는 것을 막는 로킹관의 확실한 안전성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내부소켓에 대하여 로킹관을 벌지-피트하는 것은 상부노즐을 제거하고 계속하여 내부소켓내에서 로킹관의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관을 제거할 필요가 있을때마다 로킹관 자체에 결점을 가진다. 로킹관의 위와 같은 제거는 로킹관의 벌지-아웃 부분이 내부소켓의 내부에 환상 요면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필요하고, 로킹관에 대하여 필요한 힘의량을 가함으로서 벌지-아웃 부분을 제거하는 것은 만일 제거되지 않는다면, 로킹관이 재사용으로 적당하지 않은 벌지-아웃 부분의 영구적 변형을 가진다; 위와 같이 영구적으로 변형된 로킹관은 제거되고 다시 교체되어야 한다.
제2도와 제4도에서 제7도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로킹관(48)을 제공함으로써 지금까지 언급된 단점을 약화시킨다. 로킹관(48)은 제작중에, 즉, 로킹 위치에 대하여 로킹관(48)을 삽입하기 전에 로킹관 위에 미리 형성된 최소한 두개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딤플(72)을 가지는 연장 관형 금속동체(70)를 포함한다. 딤플(72)은 다이-형성 또는 압인 가공과 같은 어떤 적당한 방법에 의해서 미리 형성되고, 딤플(72)은 관형동체(70)가 그것의 로킹 위치로부터 회수되고 그것의 로킹 위치로 이동되는 방법에 관계없이 딤플을 형성하는 금속이 굽음 및 크기상 변화를 실제로 저지하는 것과 같이 일반적으로 원뿔형으로 가진다. 혹은, 딤플(72)은 스폿-용접에 의해서 관에 물질을 덧붙임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런 경우에 있어서 추가된 물질의 진한 농도에 의해서 딤플이 변형-생산력에 대한 굽음을 저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므로, 로킹관의 삽입후에 형성된 로킹 벌지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미리 형성된 딤플(72)은 그것의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관(48)의 제거중에 발생되는 변형력으로 구부러지지 않는다; 대신에, 로킹관(48)의 전체 관형동체(70)는 순간적으로 구부러지고 다시 관형동체의 원래 형태로 튀어오르며, 관형동체는 그렇게 하기에 충분히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관형동체를 가로질러서 서로로부터 정반대로 변위되는 관형동체(70)의 외부표면위에 딤플(72)은 내부소켓(54)의 내경과 어댑터-판 통로(42)의 하부 및 외부 안지름(62,64) 사이에 한정되는 선반(66)의 내경보다 더 큰 거리를 다소 유지하는 딤플의 외부 팁(78)을 가진다.
그러므로, 로킹관(48)이 제7도에 예시된 것처럼 로킹관의 로킹 위치내에 있을 때, 관형동체의 외부표면위에 딤플(72)은 내부소켓(54)과 죔쇠 끼워 맞춤을 형성하기 위해서 내부소켓(54)의 원주형 벌지(56) 내부에 환상 요면내에 뻗을 것이고, 또는, 만일 딤플(72)이 우연히 내부소켓(54)의 연장슬롯(60) 두개와 정렬된다면, 딤플은 역시 외부소켓(50)내에 선반(66)을 기초로 할 것이고, 그러므로, 그것과 공동작용하여, 로킹관의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관의 우연한 변위를 막을 것이다. 만일 로킹관(48)이 제6도에 예시된 것처럼 로킹관의 상단부에 인접한 외부의 플레어에 제공된다면, 딤플(72)은 외부의 플레어된 상단부 부분(68)과 관형동체(70)의 주요부분 또는 나머지 사이의 연결에서 관형동체(70)위에 아마 미리 형성된다.
미리 형성된 딤플의 작은 크기를 예시한 보기처럼, 13.8mm의 외부 직경의 관형동체(70)를 가지는 로킹관(48)은 정반대로 대항된 각 딤플이 0.15mm로 측정되는 딤플(72)을 가질 수 있으며, 딤플의 팁(78) 사이의 거리는 14.1mm이다. 이 작은 딤플은 로킹관의 로킹 위치로부터 부주의한 축 변위에 대해서 로킹관(48)을 확실하게 설치하기 충분할 것이고, 반면에 딤플의 구조 또는 로킹관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로킹관이 사용되고, 제거되고, 재사용되고, 반복적으로 조차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Claims (4)

  1. 안내딤블의 상단부 부분에 대하여 핵연료집합체의 상부노즐을 안전하게 부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부노즐의 어댑터판을 통해 뻗고 외부소켓내에 원주형으로 형성된 환상 그루우브와 더불은 벽을 가지는 외부소켓과, 안내딤블의 상기 상단부 부분에 의해서 한정되고 상기 외부소켓내에 공축으로 수용된 관형 내부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관형 내부소켓은 내부소켓의 외부표면에 형성된 원주형 벌지를 가지고, 안내딤블 상단부 부분으로부터 종축으로 뻗고 상기 관형 내부소켓의 붕괴를 허용하고 그것에 의해서 그루우브로부터 벌지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상기 벌지를 통하여 뻗은 최소한 하나의 연장 슬롯을 가지고, 그루우브로부터 벌지의 이동에 대해서 벌지를 로크하기 위해서 상기 관형 내부소켓내에 로킹 위치에 삽입할 수 있는 로킹관을 가지며, 상기 벌지는 관형 내부소켓의 내부에 환상 요면을 한정하며, 상기 로킹관은 로킹관의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관의 부주의한 축 변위를 막도록 상기 요면과 공동작용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관은 관형동체(70)가 상기 내부소켓(54)내에 미끄러지듯이 수용될 수 있는 외부직경을 가지는 관형동체와, 로킹관이 그것의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요면내에 뻗고 그것에 의해서 로킹관의 상기 부주의한 축 변위를 막도록 상기 관형동체(70)의 외부표면에 정반대로 대향된 위치에서 돌출되는 최소한 두개 딤플을 포함하는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로킹관(48)이며, 상기 딤플(72)은 장기 내부소켓내에 로킹관의 처음 삽입하기 전에 미리 형성된 딤플이 미리 형성되고, 딤플의 물체가 상기 내부소켓내에 로킹관을 삽입하고 상기 내부소켓으로부터 로킹관을 제거하는 동안에 크기 변화 및 굽음을 막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집합체내에 재사용 로킹관.
  2.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딤플(72)은 원뿔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집합체내에 재사용 로킹관.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소켓(50)은 관형동체(70)가 상부 안지름 내에 미끄러지듯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관형동체의 외부직경보다 충분히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상부 안지름(62)과, 그것과 더불은 연결에서 선반(66)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 안지름보다 직경상 더 큰 하부 안지름(64)으로 구성되며, 하부 안지름(64)은 배치된 상기 환상 그루우브(52) 및 하부 안지름 내에 수용된 상기 내부소켓(54)을 가지며, 외부팁(78)을 가지는 상기 두 개 딤플(72) 각각은 다른 딤플(72)의 외부팁(78)으로부터 상기 선반(66)의 내부직경보다 더 큰 거리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집합체내에 재사용 로킹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동체의 로킹관(48)은 상기 내부소켓(50)내에 로킹관의 삽입동안에 관형동체의 트레일링 단부인 관형동체의 단부에 인접한 외부로 플레이된 부분(68)을 가지며, 상기 딤플(72)은 상기 관형동체(70)의 나머지와 더불어 상기 외부로 플레이된 부분의 접합에서 미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집합체내에 재사용 로킹관.
KR1019860002507A 1985-04-02 1986-04-02 연료집합체 내에 제사용 로킹관 KR940003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719,108 US4699758A (en) 1985-04-02 1985-04-02 Reusable locking tube in a reconstitutable fuel assembly
US719,108 1985-04-02
US719.108 1985-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564A KR860008564A (ko) 1986-11-17
KR940003793B1 true KR940003793B1 (ko) 1994-05-03

Family

ID=24888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507A KR940003793B1 (ko) 1985-04-02 1986-04-02 연료집합체 내에 제사용 로킹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699758A (ko)
EP (1) EP0196916B1 (ko)
JP (1) JPS61231485A (ko)
KR (1) KR940003793B1 (ko)
CN (1) CN86102274A (ko)
DE (1) DE3666517D1 (ko)
ES (1) ES88004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8821A (en) * 1987-03-23 1988-04-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constitutable nuclear fuel assembly having locking tubes with dimples
FR2636768B1 (fr) * 1988-09-19 1990-12-14 Framatome Sa Assemblage combustible demontable pour un reacteur nucleaire refroidi par de l'eau legere
US5037603A (en) * 1990-08-03 1991-08-06 Westinghouse Electric Corp. Hand held tool for removing and replacing a top nozzle locking tube
FR2701785B1 (fr) * 1993-02-19 1995-05-24 Framatome Sa Pièce tubulaire de traversée du couvercle de la cuve d'un réacteur nucléaire à manchette thermique démontable et procédé de contrôle.
US6421913B1 (en) * 2000-01-19 2002-07-23 Delphi Technologies, Inc. Retention feature for assembling a pole pieces into a tube of a fuel injector
US6636578B1 (en) * 2002-06-05 2003-10-21 Framatome Anp Inc. Fuel assembly structural reinforcement and method
US7551705B2 (en) * 2003-12-11 2009-06-23 Areva Np, Inc. Fuel assembly top nozzle repair sleeve and method for repairing a fuel assembly
DE102005017332B3 (de) * 2005-04-14 2006-11-16 Siemens Ag Belüftungseinrichtung für den Fondbereich eines Kraftfahrzeugs
KR101515116B1 (ko) 2007-12-26 2015-04-24 토륨 파워 인코포레이티드 원자로(대용물), 원자로(대용물)를 위한 드라이버-브리딩 모듈들로 구성된 연료 집합체 및 연료 집합체용 연료 요소
US8116423B2 (en) 2007-12-26 2012-02-14 Thorium Power, Inc. Nuclear reactor (alternatives), fuel assembly of seed-blanket subassemblies for nuclear reactor (alternatives), and fuel element for fuel assembly
HUE027561T2 (en) 2008-12-25 2016-10-28 Thorium Power Inc Heating element unit for a light-water nuclear reactor and light-water nuclear reactor
WO2011143172A1 (en) 2010-05-11 2011-11-17 Thorium Power, Inc. Fuel assembly with metal fuel alloy ker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10170207B2 (en) 2013-05-10 2019-01-01 Thorium Power, Inc. Fuel assembly
US10192644B2 (en) 2010-05-11 2019-01-29 Lightbridge Corporation Fuel assembly
CN106531262A (zh) * 2016-12-26 2017-03-22 中核北方核燃料元件有限公司 一种环形燃料元件的组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805A (en) * 1907-08-13 1909-05-25 Edward D Nelson Hose-pipe-coupling end connection.
US3217400A (en) * 1959-03-10 1965-11-16 Illesy Otto Method of connecting thermoplastic pipe sections and the like
US3784235A (en) * 1971-10-08 1974-01-08 Us Navy Tubular adhesive joint with snap lock
US3990727A (en) * 1976-01-26 1976-11-09 Stephen Franics Gallagher Quick detachable coupler
FR2368785A1 (fr) * 1976-10-20 1978-05-19 Framatome Sa Assemblage combustible aisement demontable pour reacteur nucleaire
FR2479536A1 (fr) * 1980-03-26 1981-10-0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erfectionnements aux tubes guides des assemblages combustibles pour reacteur nucleaire et procede de demontage de ces tubes guides
EP0041014B1 (fr) * 1980-05-27 1985-02-20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ablissement de Caractère Scientifique Technique et Industriel Dispositif de fixation d'un tube de guidage d'un assemblage combustible nucléaire aux plaques d'extrémités dudit assemblage
IT8083447A0 (it) * 1980-10-10 1980-10-10 Savio Spa Tubetto assialmente impilabile.
FR2493024B1 (fr) * 1980-10-29 1986-08-29 Franco Belge Combustibles Dispositif de liaison demontable pour la realisation des assemblages combustibles des reacteurs nucleaires a eau legere
US4535523A (en) * 1981-03-11 1985-08-20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Fuel assemblies for nuclear reactors
FR2514188B1 (fr) * 1981-10-05 1985-08-16 Framatome Sa Assemblage combustible pour un reacteur nucleaire
FR2529704B1 (fr) * 1982-07-01 1987-09-0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fixation demontable d'un tube guide dans la piece d'extremite d'un assemblage combustible de reacteur nucleaire
US4451069A (en) * 1982-08-09 1984-05-29 Smith Investment Company Quick connect fluid coupling
DE3330357A1 (de) * 1982-09-23 1984-03-29 Westinghouse Electric Corp., 15222 Pittsburgh, Pa. Verfahren zum instandsetzen eines kernreaktor-brennelements
ZA847032B (en) * 1983-09-30 1985-08-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with a removably top nozzle
US4639998A (en) * 1984-11-09 1987-02-03 Westinghouse Electric Corp. Locking tube removal and replacement tool and method in a reconstitutable fuel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96916A1 (en) 1986-10-08
US4699758A (en) 1987-10-13
KR860008564A (ko) 1986-11-17
EP0196916B1 (en) 1989-10-18
CN86102274A (zh) 1986-12-24
JPS61231485A (ja) 1986-10-15
ES8800485A1 (es) 1987-10-16
DE3666517D1 (en) 1989-11-23
ES553617A0 (es) 198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793B1 (ko) 연료집합체 내에 제사용 로킹관
EP0140588B1 (en)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with a removable top nozzle
US8811566B2 (en) Guide thimble plug for nuclear fuel assembly
KR940004769B1 (ko) 핵 연료 집합체
US4751039A (en) Method of installing a sleeve within an instrumentation tube of a nuclear fuel assembly
KR940003798B1 (ko) 재구성 가능한 핵연료 집합체
US4716018A (en) End plug with truncated tapered leading end configuration
KR940010229B1 (ko)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용 안내딤블계류형 체결관
JP2843376B2 (ja) 原子炉の燃料集合体の端金具にガイドチューブを取り外し可能に固定する装置
EP0289732B1 (en) Reconstitutable nuclear fuel assembly
KR102594078B1 (ko) 원자로 압력 용기 튜브를 라이닝하는 슬리브를 교체하는 방법 및 장치
EP0469627B1 (en) Hand held tool for removing and replacing a top nozzle locking tube
US9715946B2 (en) BWR nuclear fuel assembly with snap-in sleeve spring
KR0163418B1 (ko) 경수 냉각 원자로용의 착탈식 연료 집합체
WO1996007183A1 (en) Expandable top nozzle and device for securing same to a nuclear fuel assembly
KR930005578B1 (ko) 중성자 소스봉의 위치 선정 기구
US4514889A (en) Spring clip inserter tool
WO2018132194A1 (en) Control rod guide assembly with enhanced stiffness, fu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installing control rod guide assembly
US7916825B2 (en) Fuel rod of nuclear fuel assembly
US5174948A (en) Transitory fuel rod guidance system
KR19990006474A (ko) 타이 플레이트를 고속으로 해제 및 고정하는 장치
JPH04331399A (ja) 燃料集合体
JP2002250789A (ja) 移動式炉心内計測系索引装置用案内管継手
JP2005037194A (ja) インターナルグリッ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