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418B1 - 경수 냉각 원자로용의 착탈식 연료 집합체 - Google Patents

경수 냉각 원자로용의 착탈식 연료 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418B1
KR0163418B1 KR1019890013417A KR890013417A KR0163418B1 KR 0163418 B1 KR0163418 B1 KR 0163418B1 KR 1019890013417 A KR1019890013417 A KR 1019890013417A KR 890013417 A KR890013417 A KR 890013417A KR 0163418 B1 KR0163418 B1 KR 0163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ube
sleeve
hole
ferru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3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483A (ko
Inventor
뻬띠 베르나르
Original Assignee
샤르르 브루넹고
프라마뜸므
로베르 라씨느
꼬제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르르 브루넹고, 프라마뜸므, 로베르 라씨느, 꼬제마 filed Critical 샤르르 브루넹고
Publication of KR900005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34Assembling, maintenance or repair of the bu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가이드 튜브(4)는 럭킹 슬리브(20)에 의해 착탈식 단부 블럭의 어댑터판(10) 안쪽에 고정된다. 럭킹 슬리브(20)는 튜브(4)의 팽창을 보장하는 부분(24)과 어댑터 판(10)에 고정하기 위한 페룰(25)을 구비한다. 고정 페룰(25)은 이 페룰의 모면 방향으로 배열된 슬릿에 의해 분리된 원통형 세그먼트로서 구성된다. 원통형 세그먼트는 슬리브(20)를 확고히 고정하기 위해, 어댑터판(10)의 관통구멍(11)에 대해 방사상으로 향한 공동(22)내측에서 변형부(29)를 가진다. 상기 페룰(25)의 원통형 세그먼트들은 슬리브(20)를 추출하기 전에 안쪽으로 구부러지며 변형부(29)를 공통(22)에서 분리시켜서 가이드 튜브(4) 및 어댑터 판(10)의 연결을 해체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경수 냉각 원자로용의 착탈식 연료 집합체
제1도는 가압수 원자로의 연료 집합체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집합체 뼈대의 측면도.
제3도는 연료 집합체의 상단부 블럭이 부분 단면된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상단부 블럭을 4를 따라서 절취한 단면도.
제5도는 럭킹 슬리브가 집합체의 어댑터판내에 고정 위치에 놓여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는 착탈식 연료 집합체의 가이드 튜브 단부의 축단면도.
제6도는 럭킹 슬리브가 추출이 가능하도럭 풀린 위치에 있으며, 제5도에 도시된 가이드 튜브 단부의 축단면도.
제7도는 가이드 튜브내에 고정 위치로 유입되기 전의 본 발명에 따르는 착탈식 연료 집합체의 럭킹 슬리브의 외부의 일부를 절단시킨 도면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 집합체 2 : 연료봉
3 : 지지격자 4 : 가이드 튜브
5,6 : 단부 블럭 7 : 판 스프링
8 : 스터드 9 : 골조(framework)
10 : 어댑터판 11 : 관통 구멍
13 : 스커트 15 : 수로
16 : 팽창부 14 : 프레임
22 : 공동 24 : 팽창부시
25 : 고정 페룰 28 : 숄더
본 발명은 경수에 의해 냉각되는 원자로, 특히 가압수에 의해 냉각되는 원자로용 착탈식 연료집합체(domountable fuel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수냉식 원자로, 특히 가압수 원자로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가이드 튜브, 지지격자(strut) 및 2개이 단부 블럭으로 형성된 골조(framewwork) 내측에 유지된 어느 정도 긴 길이로 된 연료봉이 다발(bundle)로 구성된 집합체를 포함한다. 가이드 튜브는 집합체의 종방향으로 배열되고, 집합체의 길이를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횡방향 지지격자에 연결된다.
가이드 튜브는 또한 각각의 단부가, 집합체를 보강하여 폐쇄시키기 위한 부분을 형성하는 2개의 단부 블럭중 각각에 연결된다.
집합체의 연료봉은 집합체의 횡단면에서 지지격자에 의해 정해진 규칙적인 격자 구조로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다발을 형성한다. 격자구조의 어떤 위치는 지지격자에 견고히 연결된 가이드 튜브가 점유하게 된다.
연료봉의 길이보다 훨신 길이가 긴 가이드 튜브가 단부의 각각에서 연료봉 다발에 대해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럭 연료봉 다발내에 배치된다. 단부 블럭은, 그 단부의 각각에서 집합체의 폐쇄를 보장하도럭 가이드 튜브의 돌출부에 고정된다.
연료봉은 금속 피복관(metal sheath) 내측에 쌓여진 소결된 핵 연료 펠릿으로 구성되고, 이 금속 피복관은 연료 집합체를 둘러싸고 있는 유체로부터 펠릿(pellet)을 격리시킨다. 연료봉의 피복관의 파손시, 원자로의 냉각 유체내로 방사능 물질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봉은 즉각 대체되어야만 한다. 연료봉에 접근하여 대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집합체의 한단부 블럭을 탈착시켜야 하고, 이것은 가이드 튜브의 대응단부와 단부 블럭과의 연결을 파손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단부 블럭은 가이드 튜브의 격자 구조를 만드는 관통구멍을 포함하며, 그 각각의 관통구멍에 가이드 튜브가 결합 고정된다.
적어도 한개의 단부 블럭과 함께 탈착식 연결이 되는 가이드 튜브를 포함하는 새로운 연료 집합체가 연료 집합체내의 불량 연료봉을 대체할 수 있도럭, 설계되고 개발되어져 있다.
불량 연료봉의 대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집합체는 저장웰(storage well)과 같은 웰 내측에 수직상태로 물 속에 위치되는데, 즉 집합체는 한 단부 블럭 또는 하부 단부 블럭을 경유하여 웰의 바닥부에 놓여진다. 다른 단부 블럭 또는 상단부 블럭은 웰의 상부로부터 일정한 물 깊이에서 접근 할수 있게 되어 있다.
알려진 형태의 착탈식 연료 집합체에서, 집합체의 상단부 블럭내에 결합된 가이드 튜브의 부분은, 예로서 가이드 튜브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는 반경방향으로 팽창 가능한 부분을 갖는다. 이러한 팽창 가능한 부분은 가이드 튜브에 있는 관통구멍내에서, 단부 블럭 내측부에 기계 가공된 대응 형태의 공동(cavity) 내측에 수용되도럭 외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갖는 슬릿형 부시(slitted bush)로 구성된다. 가이드 튜브내로 유입된 럭킹 슬리브는 슬릿형 부시의 반경방향 팽창에 영향을 주고 가이드 튜브를 고정하며, 가이드 튜브의 반경방향 돌출부분은 단부 블럭에서 기계 가공된 공동 내측부에 수용된다.
가이드 튜브의 일정 길이만이 단부 블럭의 어댑터판을 관통하는 구멍에 결합되고 가이드 튜브 위에 있는 구멍의 잔여부분은 단부 블럭의 어댑터판의 상부표면에서 드러난다.
전술한 상기 형태의 연료 집합체의 가이드 튜브용 착탈식 연결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튜브의 팽창을 보장하는 부시를 가진 럭킹 슬리브가 가이드 튜브 내의 위치에 배열되면, 가이드 튜브 위에 배치되어 어댑터판의 상부 표면상에 드러나는 구멍부분 내에 고정 페룰(ferrule)이 수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어댑터판의 구멍의 이러한 부분에 반경 방향 공동이 제공되어 있어서, 럭킹 슬리브가 가이드 튜브 내측에 배열된 후, 고정 페룰이 변형되고, 따라서 이러한 고정 페룰의 변형부가 럭킹 슬리브의 축방향 및 회전식으로 럭킹되기 위해 공동 내측에 끼워진다.
따라서, 집합체의 상부로부터 어려움없이 작업함으로써 가이드 튜브의 유효한 고정을 달성하게 된다.
그런데 가이드 튜브의 해제는, 초기에, 고정 페룰에 의해 단부 블럭 내측부에 유지되는 럭킹 슬리브의 추출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작업은 슬리브내로 유입되고 또 슬리브의 하단부 아래 위치되어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공구에 의해 수행되어질 것이다. 견인력을 공구에 가하여서 고정 페룰을 풀 수 있고 그리고 가이드 튜브의 슬리브를 추출할 수 있다.
집합체의 상단부 블럭을 탈착하기 전에 럭킹 슬리브를 추출하는 상기 작업은 복잡한 공구를 필요로 하고, 그리고 페룰로서 슬리브를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시킬려면 견인력을 적용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수로써 냉각되는 원자로용의 착탈식 연료 집합체를 제공하는 것인데, 집합체는 가이드 튜브, 지지격자 및 가이드 튜브의 단부에 고정되는 단부 블럭에 의해 형성된 골조내에 유지된 평행한 연료봉 다발로 구성되며, 적어도 한 개의 단부 블럭은 반경 방향으로 변경 가능한 가이드 튜브의 단부에 있는 외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가 단부 블럭을 통과하는 구멍의 길이부분에 내측으로 끼워짐으로써 가이드 튜브의 단부에 착탈식으로 고정되고, 가이드 튜브를 수용하는 부분에서 가이드 튜브의 결합부가 수용되는 환형 팽창부를 가지며, 가이드 튜브의 단부의 반경방향 팽창과 단부 블럭의 구멍의 환형 팽창부 내에서의 결합부의 유지가, 슬리브의 고정된 위치로 가이드 튜브의 단부에서 돌출된 단부 블럭내에 고정하기 위한 페룰과 가이드 튜브 팽창용 부시를 포함하는 럭킹 슬리브에 의해 보장되고, 가이드 튜브를 수용하지 않는 단부 블럭의 구멍의 부분 내측은 적어도 한 개의 반경방향 공동을 포함하고, 그 공동의 내측에 고정 페룰이 변형되어 럭킹 슬리브의 고정을 보장하고, 이러한 연료 집합체는 매우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면서 동시에 착탈식 단부 블럭 내측에 내구성이 좋게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가이드 튜브를 고정하여 럭킹 시키는 슬리브를 포함한다.
고정 페룰은, 이 고정 페룰의 모면(generatrices)방향으로 배열된 두 개 이상의 슬릿에 의해 서로 분리된 두개 이상의 원통형 세그먼트로서 구성되고, 슬리브가 고정된 위치에서, 탄부블럭을 통과하는 구멍은 원통형 세그먼트의 적어도 한개와 부합하는 한개 이상의 반경방향 공동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제1도는 연료 집합체(1)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연료집합체는 연료봉(2)의 길이를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지지격자(3)에 의해 유지되는 평행한 연료봉(2)의 다발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격자(3)는 그리드(grid)로 구성되고, 그리드의 셀의 각각은 연료봉을 수용한다. 그리드의 격자구조 내의 일정위치는 가이드 튜브(4)에 의해 점유되고, 이 가이드 튜브의 길이는 연료봉(2)의 길이에 비해 더 길다.
가이드 튜브(4)는 그 한쪽 단부가 연료 집합체의 상단부 블럭을 형성하고 있는 단부 블럭(5)에 연결되고, 다른쪽 단부가 하단부 블럭을 형성하고 있는 제 2 단부 블럭(6)에 접속된다.
집합체가 웰 내측에서 수중에 저장되어 있을 때, 상단부 블럭(5)은 웰의 상부로부터 접근 가능하다. 이러한 상단부 블럭(5)은 원자로 코어 내측에 집합체를 유지하는 판 스프링(7)을 갖고 있고, 원자로 코어의 상부 코어판은 스프링(7)상에 놓여 있다. 또한 단부 블럭은 그 상부 표면에 대하여 돌출된 스터드(8)를 포함한다.
제2도는 가이드 튜브(4), 지지격자(3) 및 단부 블럭(5,6)을 포함하는 연료집합체의 골조(framework; 9)를 도시한다. 이러한 골조(9)는 상단부 블럭(5)이 제거될 때 구조체로부터 유입 또는 추출될 수 있는 연료봉(2)의 다발용 하우징 역할을 한다. 연료봉의 대체 또는 제거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가이드 튜브(4)의 단부와 상단부 블럭(5)간에는 착탈식 접속이 제공된다.
제3도 및 제4도는 어댑터 판을 통과하고 연료 집합체의 상부로부터 접근가능한 관통구멍(11) 내측에서, 가이드 튜브와 결합하는 어댑터 판(10)을 포함하는 연료 집합체의 상단부 블럭을 도시한다. 연료 집합체의 중앙에 배열된 계측기 안내관(instrumentation guide tube)은 특정한 형태의 구멍(12)내에 수용된다. 집합체의 상단부 블럭은, 스커트(1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용접된 프레임(14)과 어댑터 판(10)으로 구성된다. 프레임(14)은 스프링(7)을 유지하기 위한 플랜지(8')와 센터링 구멍을 포함하는 보스(8)를 갖는다.
제4도와 같이, 가이드 튜브(4)를 고정하는 관통 구멍(11)이 집합체의 24개의 가이드 튜브의 위치에 대응하는 규정된 위치에 배열된다. 수로(15)는 가이드 튜브의 관통 구멍(11) 사이로 단부 블럭의 어댑터판(10)을 통과한다.
제5도 및 제6도와 같이, 가이드 튜브(4)의 상부(4a)는, 가이드 튜브(4)의 단부를 수용하는 관통 구멍(11)의 하부 형태와 대응하는, 상부로 갈수럭 넓어지는 절두 원추 형태를 갖는다.
가이드 튜브(4)의 상부(4a)는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위치되고 절두 원추형본체면의 방향으로 배열된 두개의 슬릿(18)을 포함한다. 이들 두개의 슬릿(18)은 가이드 튜브(4)의 상부(4a)에서 두 개의 절두 원추형 세그먼트를 만들고, 그럼으로써 반경방향으로의 변형을 어느 정도 자유롭게 가지게 된다. 가이드 튜브(4)의 상부(4a)에서는, 반경방향으로 변형가능한 각각의 세그먼트상에 링의 형태로된 외향돌출부(17)가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는 가이드 튜브(4)가 어댑터 판(10)의 관통구멍(11)의 안쪽에 배치되면, 관통 구멍(11)의 환형 오목부(16) 내측에 수용된다. 가이드 튜브(4)의 상부(4a)의 반경 방향 팽창은 럭킹 슬리브(20)에 의해 보장된다. 따라서 가이드 튜브(4)는 어댑터 판(10)과 착탈가능한 단부 블럭(5)내에 고정 설치된다.
환형 오목부(16)를 포함하고 가이드 튜브(4)를 수용하는 절두 원추형태의 관통 구멍(11)의 부분은, 점차 폭이 넓어지는 입구부(19)를 가지므로, 가이드 튜브(4)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며, 그리고 숄더(21)에서 끝난다.
환형 형태의 가이드 튜브(4)의 외향 돌출부(17)는 관통 구멍(11) 내측으로 튜브를 유입시키기 전에 형성되어 있어, 절두 원추형 세그먼트의 탄성으로 가이드 튜브(4)를 환형 오목부(16) 내측에 축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가이드 튜브(4)의 상부는 어댑터 판내의 결합 위치에서는 숄더(21)에 접촉하지 않는다. 이러한 배열의 결과로, 위치 설정이 보다 용이하고 그리고 어댑터 판(10)내에 가이드 튜브(4)를 배치하기가 용이하다.
숄더(21) 위에 위치된 관통 구멍(11)의 부분은 어댑터판(10)내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링 형태로 된 공동(22)을 포함한다.
공동(22) 위에서, 관통 구멍(11)은 어댑터 판(10)의 상부 표면으로 개방되고 상향으로 폭이 넓어지는 절두 원추형 구멍부분(23)을 포함한다.
제7도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가이드 튜브의 럭킹 슬리브(20)를 도시하는데, 이 럭킹 슬리브는 절두 원추형태의 페룰을 구성하는 하부의 팽창부시(24)와 원통 형태의 페룰을 구성하는 상부의 고정페룰(25)을 포함한다.
바닥 단부에서 결합 표면(24a)을 갖는 절두 원추형 팽창부시(24)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튜브(4)의 단부(4a) 내측의 고정 위치를 취하도럭 설계되어 있다. 팽창부시(24)는 가이드 튜브(4)의 상부(4a)를 형성하는 절두원추형 세그먼트의 반경방향 팽창과, 구멍(11)의 환형 오목부(16) 내측에서의 돌출부(17)의 유지를 확실히 보장한다.
슬리브(20)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위치에 있으면, 상부 고정 페룰(25)은 어댑터 판(10)의 구멍의 상부내에 수용되는 럭킹 슬리브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서, 고정 페룰(25)은 이 고정 페룰(25)의 모면을 따라 형성된 슬릿(26)에 의해 분리되는 6개의 연속적인 원통형 세그먼트(25a,26b,25c,25d,25e,25f)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릿은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 페룰(25)의 대칭축에 대하여 각각 60°상에 놓여 있다.
더구나, 고정 페룰(25)은 상부에서 넓은 베이스 부근에 있는 절두원추형 팽창부시(24)의 두께보다 실제로 적은 두께를 갖는다. 숄더(28)는 럭킹 슬리브(20)의 내측에서 한정된 두께의 원통형 고정 페룰(25)과 절두원추형 팽창부시(24) 사이를 확실히 분리시킨다.
절두원추형 팽창부시(24)의 내부 표면이 대체로 원통형이지만, 이러한 부시의 두께가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감소되는 데, 이러한 감소의 수준에서 결합 표면(24a)은 부시의 두께를 급격히 감소시키는 경사를 이룬다.
비교적 두꺼운 절두원추형 팽창부시(24)는, 가이드 튜브(4)를 어댑터판 내측에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양호한 견고성을 갖는다. 가이드 튜브(4)의 상부(4a) 내측에 절두원추형 팽창부시(24)의 가압 결합은 고정 페룰(25) 내측으로 삽입되는 공구를 사용하여 내부 환형 숄더(28)상에 가입력(pushing force)을 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원래 위치에 럭킹 슬리브를 배열한 후, 럭킹 슬리브를 고정시키는 일은 어댑터 판(10)의 공동(22) 내측에서 상대적으로 한정된 두께를 갖는 각각의 원통형 세그먼트(25a 내지 25f)를 변형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공동(22) 내측에서의 원통형 세그먼트의 반경방향 변형부(29)는 럭킹 슬리브(20)를 어댑터판 내측에 축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더우기, 링 형태로 된 단절식 공동(discontinuous cavities; 22)이 어댑터 판의 관통 구멍(11)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또한 슬리브의 회전식 럭킹도 가능하다.
제7도에 도시된 럭킹 슬리브(20)의 경우에서는, 관통 구멍(11)의 축선에 대해 각각 60°상에 배열된 6개의 공동(22)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럭킹 슬리브(20)가 여러 부분에서 고정 페룰(25)에 의해 매우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한정된 두께의 원통형 세그먼트(25a 내지 25f)는 럭킹 슬리브(20)의 원통형 부분과 절두원추형 부분 사이에 있는 연결 라인(30)을 따라 내부로 구부러질 수도 있다. 고정 페룰(25)은, 따라서, 제5도에 도시된 형상에서 제6도에 도시된 구부러진 형상(25')으로 된다. 원통형 세그먼트의 구부러진 형상(25')에서, 반경 방향 외부로 부분 돌출된 변형부(29)는 공동(22) 외측에 위치하므로, 럭킹 슬리브(20)는 고정 페룰(25)에 의해 관통 구멍(11) 내측과 가이드 튜브(4) 내측에서 더 이상 계속 유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럭킹 슬리브(20)에 큰 견인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추출할 수 있다.
원통형 세그먼트를 구부리는 일은 원통형 세그먼트의 상부 주위에서 절두원추형 구멍부분(23) 내측에 적절한 형태로된 공구를 삽입시켜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가이드 튜브를 집합체에 럭킹시키는 슬리브는 가이드 튜브를 매우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을 것이고, 집합체의 상단부 블럭이 탈착될 때 매우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관통 구멍(11)의 유입부와 튜브가 원통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 튜브 팽창 부시를 형성하는 럭킹 슬리브의 하부는 절두원추형 대신에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정 페룰(25)을 형성하는 원통형 세그먼트는 예로서, 4개 또는 8개의 세그먼트로서 구성될 수 있다. 세그먼트를 내부로 구부릴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폭을 갖는 슬릿을 제공하므로써, 세그먼트의 수를 두 개로 제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세그먼트는 동일한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하여도 좋다. 럭킹 슬리브의 고정을 보장하는 변형부는 일정한 블럭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모든 이러한 세그먼트상에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판의 구멍내에 제공된 대응하는 공동들은 불연속적이거나 또는 간단한 연속 환형 홈(groove)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세그먼트를 구부리는 공구를 삽입시키기 위해 어댑터판을 통과하는 구멍에 어떤 모양을 만들 수도 있다.
끝으로, 본 발명은 경수 원자로의 착탈식 연료 집합체에 적용된다.

Claims (6)

  1. 가이드 튜브(4)와, 지지격자(3) 및 상기 가이드 튜브(4)의 단부에 고정된 단부 블럭(5,6)으로서 형성된 골조(9)안에 유지되는 평행한 복수의 연료봉을 구비하고, 경수에 의해 냉각되는 원자로용 착탈식 연료 조립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 블럭(5)은 각 가이드 튜브(4)의 한 단부에서, 방사상 변형이 가능한 가이드 튜브(4)의 상부(4a)에 있는 반경 방향의 고정 돌출부(17)를 상기 단부 블럭(5)을 통과하는 관통구멍(11)의 내측에 끼움으로써 고정되고, 또한 상기 관통구멍(11)은 가이드 튜브(4)를 수령하는 부분에서 가이드 튜브(4)의 돌출부(17)를 수용하도럭 응용된 환형 오목부(16)를 구비하고, 가이드 튜브(4)의 단부가 방사상 팽창하여 돌출부(17)를 단부 블럭(5)의 관통구멍(11)의 환형 오목부(16) 내측에 보유하는 작용은 럭킹 슬리브(20)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럭킹 슬리브(20)는 가이드 튜브(4)를 팽창시키는 팽창부시(24)와, 상기 럭킹 슬리브(20)의 고정 위치에서 가이드 튜브(4)의 단부에서 돌출하는 단부 블럭(5)의 고정 페룰(25)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튜브(4)를 수용하지 않는 단부 블럭(5)의 관통 구멍(11)의 부분 안쪽에서는 럭킹 슬리브(20)를 확고히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페룰(25)이 변형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공동(22)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페룰(25)은 이 고정 페룰의 모면(generatrix)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슬릿(26)에 의해 서로 분리된 적어도 2개의 원통형 세그먼트(25a, 26b, 25c, 25d, 25e, 25f)로서 구성되고, 상기 단부 블럭(5)을 통과하는 관통구멍(11)은 럭킹 슬리브(20)의 고정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세그먼트(25a, 26b, 25c, 25d, 25e, 25f)와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공동(22)을 구비하는 연료 집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럭킹 슬리브(20)의 팽창 부시(24)는 절두 원추형인 연료 집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체룰(25)은 럭킹 슬리브(20)의 팽창부시(24)의 두께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두께이고, 상기 가이드 튜브(4)로부터 럭킹 슬리브(20)를 추출하기 전에, 상기 페룰(25)을 형성하는 원통형 세그먼트(25a, 26b, 25c, 25d, 25e, 25f)는 공동(22)으로부터 변형부(29)를 분리시키도럭 공동(22) 내측으로 변형하여 안쪽으로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는 연료 집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페룰(25)은 6개의 동일한 원통형 세그먼트(25a, 26b, 25c, 25d, 25e, 25f)로 구성되는 연료 집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럭킹 슬리브(20)는, 고정 페룰(25)과 팽창부시(24)가 결합되는 영역의 안쪽에서, 반경 방향의 내부쪽으로 돌출된 환형 숄더(28)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숄더에 미는 힘을 작용시켜 럭킹 슬리브(20)를 가이드 튜브(4)의 안쪽으로 결합시키는 연료 집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블럭(5)의 어댑터판을 통과하는 관통 구멍(11)은, 고정 페룰(25)의 원통형 세그먼트를 구부리기 위한 공구의 삽입을 허용하도럭, 가이드 튜브(4)가 관통하는 입구부 쪽에 대향 위치된 어댑터판의 출구부 쪽으로 드러나는 구멍부분(23)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 부분은 어댑터판의 출구부 방향으로 넓어지는 절두 원추형 모양으로 되어 있는 연료 집합체.
KR1019890013417A 1988-09-19 1989-09-19 경수 냉각 원자로용의 착탈식 연료 집합체 KR0163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812213A FR2636768B1 (fr) 1988-09-19 1988-09-19 Assemblage combustible demontable pour un reacteur nucleaire refroidi par de l'eau legere
FR8812213 1988-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483A KR900005483A (ko) 1990-04-14
KR0163418B1 true KR0163418B1 (ko) 1999-04-15

Family

ID=9370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3417A KR0163418B1 (ko) 1988-09-19 1989-09-19 경수 냉각 원자로용의 착탈식 연료 집합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999154A (ko)
EP (1) EP0360658B1 (ko)
JP (1) JP2842635B2 (ko)
KR (1) KR0163418B1 (ko)
CN (1) CN1024230C (ko)
DE (1) DE68906995T2 (ko)
ES (1) ES2041427T3 (ko)
FR (1) FR2636768B1 (ko)
ZA (1) ZA8963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80909C (en) * 2002-04-08 2013-04-30 Atomic Energy Of Canada Limited Differential pressure based lock
CN101727993B (zh) * 2008-10-24 2012-06-27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核燃料组件快速可拆接头
JP5520653B2 (ja) 2010-03-26 2014-06-11 太陽工業株式会社 船舶接近防止浮体構造
SE534841C2 (sv) * 2010-05-25 2012-01-17 Westinghouse Electric Sweden En bränslepatron, en ledrörsanordning och användning av ledrörsanordning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29704B1 (fr) * 1982-07-01 1987-09-0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fixation demontable d'un tube guide dans la piece d'extremite d'un assemblage combustible de reacteur nucleaire
US4641409A (en) * 1982-09-23 1987-02-10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constituting a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US4631168A (en) * 1983-09-30 1986-12-23 Westinghouse Electric Corp.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with a removable top nozzle
ZA847032B (en) * 1983-09-30 1985-08-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with a removably top nozzle
US4684498A (en) * 1985-03-29 1987-08-04 Westinghouse Electric Corp. Guide thimble captured locking tube in a reconstitutable fuel assembly
US4699758A (en) * 1985-04-02 1987-10-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usable locking tube in a reconstitutable fuel assembly
US4688416A (en) * 1985-11-12 1987-08-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Fixture and method for rectifying damaged guide thimble insert sleeves in a reconstitutable fuel assembly
US4699760A (en) * 1985-11-12 1987-10-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Fuel assembly skeleton with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top nozzle/guide thimble joints
US4738821A (en) * 1987-03-23 1988-04-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constitutable nuclear fuel assembly having locking tubes with dimp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42635B2 (ja) 1999-01-06
FR2636768A1 (fr) 1990-03-23
CN1041472A (zh) 1990-04-18
JPH02115791A (ja) 1990-04-27
DE68906995T2 (de) 1993-11-04
KR900005483A (ko) 1990-04-14
FR2636768B1 (fr) 1990-12-14
EP0360658A1 (fr) 1990-03-28
CN1024230C (zh) 1994-04-13
ZA896363B (en) 1991-04-24
EP0360658B1 (fr) 1993-06-09
US4999154A (en) 1991-03-12
DE68906995D1 (de) 1993-07-15
ES2041427T3 (es) 199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38606A2 (en)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with improved top nozzle and hold-down means
EP0140588B1 (en)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with a removable top nozzle
US4631168A (en)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with a removable top nozzle
EP0196916B1 (en) Reusable locking tube in a reconstitutable fuel assembly
KR940010229B1 (ko)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용 안내딤블계류형 체결관
US4664874A (en) Reusable locking tube insertion and removal fixture and method in a reconstitutable fuel assembly
KR0163418B1 (ko) 경수 냉각 원자로용의 착탈식 연료 집합체
KR940003798B1 (ko) 재구성 가능한 핵연료 집합체
US5015435A (en) Device for demountable fastening of a guide tube into an end fitting of a fuel assembly of a nuclear reactor
KR940004769B1 (ko) 핵 연료 집합체
US4772446A (en) Gripper assembly for inserting and removing burnable absorber rods and thimble plugs in a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US4707326A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attaching and reattaching a top nozzle in a reconstitutable nuclear fuel assembly
US4638556A (en) Locking tube insertion fixture and method in a reconstitutable fuel assembly
JPH083552B2 (ja) 燃料集合体上部ノズル
US5479464A (en) Expandable top nozzle and device for securing same to a nuclear fuel assembly
US9715946B2 (en) BWR nuclear fuel assembly with snap-in sleeve spring
JPS61294397A (ja) 燃料集合体における整列スリ−ブ捕捉装置
JPS59163589A (ja) 原子炉用燃料集合体
US5174948A (en) Transitory fuel rod guidance system
JPH05249282A (ja) 原子炉用計器シンブル・チューブ・シュラウ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