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098Y1 - 측방녹크식 보울펜 - Google Patents

측방녹크식 보울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098Y1
KR940003098Y1 KR92008750U KR920008750U KR940003098Y1 KR 940003098 Y1 KR940003098 Y1 KR 940003098Y1 KR 92008750 U KR92008750 U KR 92008750U KR 920008750 U KR920008750 U KR 920008750U KR 940003098 Y1 KR940003098 Y1 KR 940003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ck
cam
protruding
fixed
rotary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87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5297U (ko
Inventor
요시오 노구치
히데테이 가게야마
Original Assignee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가게야마 도시히코
Priority to KR920087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098Y1/ko
Publication of KR9300252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52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0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placed on th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aw-like or analogous 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preading sp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측방녹크식 보올펜
제1a도는 본 고안 보올펜의 1실시예 구성의 펜끝이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1b도는 펜끝이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서의 고정캠과 회전캠의 1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2 : 스프링
3 : 필기부재 4 : 녹크용 창
5 : 조작돌출편 6 : 녹크부
7 : 기부 7A : 내측편
8 : 내통 9 : 돌출용 경사면
10 : 고정캠 11 : 원통부
12 : 미끄럼이동경사부 131,132: 수납ㆍ돌출시의 걸림계단부
14 : 회전캠 15 : 원통부
16 : 돌출상태유지용 오목부 17 : 돌출상태유지용 블록부
18,19 : 받침면
본 고안은 외통내에 스프링으로 뒷쪽으로 밀어부쳐지는 필기부재가 수납되어, 외통의 녹크용 창에 설치된 녹크부를 측방녹크해줌으로써 외통의 앞끝으로부터 펜끝이 출몰되도록 된 측방녹크식 보올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올펜도 외통내에 스프링으로 뒷쪽으로 밀어부쳐지는 필기부재가 수납되면서 이 필기부재의 뒷끝부위에 회전캠이 끼워져, 이 회전캠에 잇빨물림되는 캠바아를 녹크부로 후단녹크해줌으로써 펜끝이 외통의 앞끝으로부터 출몰시켜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예에 있어서는 후단녹크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통을 필기상태로 잡은 그대로 펜끝을 출몰시킬 수가 없고, 펜끝을 출몰시킬때 마다 필기상태로 잡은 상태에서 녹크할수 있는 상태로 바꿔 잡아야만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통(1)의 녹크용 창(4)에 앞끝부위에 조작돌출편(5A)을 가진 녹크부(5)의 탄발성을 갖도록 된 기부(7)가 회전할수 있도록 장착되고, 외통(1)내에 수납된 스프링(2)으로 뒷쪽으로 밀어부쳐진 필기부재(3)에는 돌출용 경사면(9)에 접히는 고정캠(10)의 원통부(11)가 고정되어, 수납시에 고정캠(10)의 돌출용 경사면(9)에 접하는 미끄럼이동경사면(12)과, 수납시 및 돌출시에 녹크부(6)의 조작돌출편(5)이 순차로 걸려지는 복수의 걸림계단구(131,132)를 가진 회전캠(14)의 원통부(15)가 필기부재(3)에 자유로이 회전할수 있도록 끼워지고, 돌출시 고정캠(10) 및 회전캠(14)중 어느 한쪽것에 한쪽으로 돌출시켜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오목부(16)가 형성되는 한편, 다른쪽 것에는 이 오목부(16)에 걸려지는 돌출상태유지용 볼록부(17)가 설치되며, 고정캠(10) 및 회전캠(14)에는 각각 상대편 돌출상태 유지용 볼록부(17) 및 오목부(16)가 마주 접하는 받침면(18,19)이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펜끝을 돌출시킬려면, 녹크부(6)를 누르면 녹크부(6)가 탄발성을 가진 기부(7)를 중심으로 그 탄발력에 대항해서 회전하여 1개의 수납ㆍ돌출시걸림계단부(131)에 걸려져 있는 조작돌출편(5)이 걸림계단부(131)을 눌러 회전캠(14)이 회전하게 되어, 고정캠(10)의 돌출용 경사면(9)을 따라 미끄럼이동경사면(12)이 미끄러지면서 고정캠(10) 및 필기부재(3)를 스프링(2)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전진시켜 필기부재(3)의 펜끝이 돌출시켜지게 되고, 이러한 돌출상태가 돌출상태유지용 오목부(16)와 볼록부(17)의 걸림에 따라 유지되게 된다. 이때 녹크부(6)를 누르는 것을 그치면 탄발성을 가진 기부(7)의 탄발력에 의해 녹크부(6)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해서 원래 위치로 되돌려서 다음번 수납ㆍ돌출시걸림계단부(132)에 걸려진 상태로 된다.
한편 펜끝을 끌어 들일려면 녹크부(6)를 누르면 녹크부(6)가 기부(7)를 중심으로 그 탄발력에 대항해서 회전하여 다음번 수납ㆍ돌출시걸림계단부(132)에 걸려져 있는 조작돌출편(5)이 이 걸림계단부(132)를 눌러 회전캡(14)이 회전하게 되어 돌출상태 유지용 오목부(16)와 볼록부(17)의 걸림이 벗겨지게 됨으로써, 고정캠(10) 및 펄기부재(3)가 스프링(2)의 탄발력에 의해 추진하는 한편, 회전캠(14)이 회전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지고, 또 녹크부(6)의 누름을 해제하면 녹크부(6)도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지게 된다.
이때 고정캠(10)의 돌출용 경사면(9)과 회전캠(14)의 미끄럼이동경사면(12)이 맞닿게 됨과 더불어 돌출상태 유지용 오목부(16)와 볼록부(17)가 서로 상대방 캠의 받침면(18,19)에 닿은 상태로 되어 펜끝이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1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설명한다.
제1a도는 본 고안 보울펜의 1실시예 구성의 펜끝이 수납된 상태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제1b도는 펜끝이 돌출된 상태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면중 참조부호 1은 외통이고, 20은 외통(1)에 연결용 나사원통(24)으로 나사결합된 선단캡, 3은 스프링(2)에 의해 뒷쪽으로 밀어부쳐진 필기부재로서 외통(1)과 그 선단캡(20)내에 수납되어져 있다. 그리고 참조부호 4는 외통(1)과 앞끝부위에 형성된 녹크용 창이고, 6은 이 녹크용 창(4)에 끼워넣어지는 앞끝부위내면에 조작돌출편(5)을 갖춘 녹크부인바, 이 녹크부(6)의 단면 ㄷ자형상의 기부(7)에는 녹크부(6)의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지도록 하는 탄발성이 부여되어져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ㄷ자형상의 내측편(7A)길이를 길게해서 이에 탄발성을 갖추도록 하였다. 여기서 이 내측편(7A)대신 별도의 스프링을 써도 좋다.
그리고 필기부재(3)에 내통(8)이 끼워지면서 이 내통(8)의 외주에는 돌출용 경사면(9)과 수납용 경사면(21) 및 이들 경사면(9,21)의 앞끝부위에 형성된 돌출상태유지용 오목부(16)를 가진 편형3각형상을 한 고정캠(10)이 동심상으로 배치된 원통부(11)가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용 경사면(21)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 상기 고정캠(10)은 외통(1)의 내면에 접해져 그 위치가 한층 더 안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캠(10)과 마주보고는, 수납시에 이 고정캠(10)의 돌출용 경사면(9)에 접하는 미끄럼이동경사면(12)과 수납용 경사면(22) 및 이들 경사면(12,22)사이의 앞끝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상태유지봉 오목부(16)에 걸어맞춰지는 돌출상태유지용 볼록부(17)를 가진 대략 3각형상을 한 회전캠(14)이 동심상으로 배설된 원통부(15)가 상기 내통(8)에 자유로이 회전할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용 경사면(22)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 상기 회전캠(14)은 외통(1)의 내면에 접해져 그 위치가 한층 더 안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통(8)은 필기부재(3)를 쉽게 교환하거나 보강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상기 회전캠(14)의 배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수납시 및 돌출시 녹크부(6)의 조작돌출편(5)이 순차로 걸려지는 2개의 걸림계단부(131,132)가 되어 있고, 고정캠(10) 및 회전캠(14)에는 각각 상대편의 돌출상태유지용 볼록부(17) 및 오목부(16)가 맞닿는 받침면(18,19)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캠(10)의 받침면(18)은 수납용 경사면(21)에서부터 돌출용 경사면(9)의 기초에 까지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고, 회전캠(14)의 받침면(19)은 평면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펜끝(23)을 돌출시키기 위해 제1a도와 같이 녹크부(6)를 누르면, 이 녹크부(6)가 탄발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기부(7)를 중심으로 그 내측편(7A)의 탄발력에 대항하서 회전하게 되어, 1개의 걸림계단부(131)에 걸려져 있던 조작돌출편(5)이 이 걸림계단부(131)를 누르게 됨으로써 회전캠(14)이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고정캠(10)의 돌출용 경사면(9)을 따라 미끄럼이동경사면(12)이 미끄러지면서 고정캠(10)과 내통(8) 및 필기부재(3)를 스프링(2)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전진시킴으로써 필기부재(3)의 펜끝(23)을 돌출시켜 제1b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출상태유지용 오목부(16)와 볼록부(17)가 걸어맞춰져 펜끝(23)이 돌출상태로 유지될수 있게 된다.
이때 녹크부(6)의 누르기를 해제하면, 탄발성을 갖도록 된 기부(7)의 내측면(7A)의 탄발력으로 녹크부(6)가 제1b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져, 다른 걸림계단부(132)에 걸려진 상태로 된다.
이에 펜끝(23)을 끌어들일려면, 녹크부(6)를 누르면 녹크부(6)가 기부(7)를 중심으로 그 내측편(7A)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회전하여 다른 걸림계단부(132)에 걸려져 있는 돌출편(5)이 이 걸림계단부(132)를 눌러 회전캠(14)이 회전하게 되어 돌출상태유지용 오목부(16)의 블록부(17)의 걸림상태가 벗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고정캠(10)과 내통(8) 및 필기부재(3)가 스프링(2)의 탄발력으로 후진하게 되는 한편, 회전캠(14)이 돌출상태유지용 볼록부(17)를 수납용 경사면(21)에 이어 받침면(18)에 미끄러지면서 회전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지게 되고, 또 녹크부(6)의 누름을 해제하면 녹크부(6)도 그 조작돌출편(5)이 걸림계단부(131)에 걸려진 제1a도에 도시된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지게 된다.
이때 고정캠(10)의 돌출용 경사면(9)과 회전캠(14)의 미그럼이동경사면(12)이 맞닿게 됨과 더불어 돌출상태 유지용 오목부(16)와 볼록부(17)가 서로 상대편 캠의 받침면(18,19)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펜끝(23)이 수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회전캠(14)의 수납용 경사면(22)는 본 실시예의 경우, 수납시에 돌출상태유지용 오목부(16)과 수납용 경사면(21)등이 미끄럼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또 고정캠(10) 및 회전캠(14)의 수납용 경사면(21,22)대신 이 부분이 축방향으로 계단져 있는 경우는, 돌출상태유지용 오목부(16)와 볼록부(17)가 상대편 캠의 받침편(19,18)에 직접 충돌해서 닿게됨으로써 충격을 받게 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이 경사면(21,22)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외통(1)의 녹크용 창(4)에 앞끝부위에 조작돌출편(5A)을 갖춘 녹크부(5)의 탄발성을 가진 기부(7)가 회전할수 있도록 장착되고, 외통(1)내에 수납되어 스프링(2)을 뒷쪽으로 밀어부쳐진 필기부재(3)에 돌출용 경사면(9)을 가진 고정캠(10)의 원통부(11)가 고정되며, 수납시에 고정캠(10)의 돌출용 경사면(9)에 접하는 미끄럼이동경사면(12)과 수납 및 돌출시에 녹크부(6)의 조각돌출편(5)이 순차로 걸려지는 걸림계단부(131,132)를 가진 회전캠(14)의 원통부(15)가 필기부재(3)에 자유로이 회전할수 있도록 끼워지며 돌출시, 고정캠(10) 및 회전캠(14)중 어느 한쪽에 돌출상태유지용 오목부(16)가 형성되는 한편 다른쪽에는 이 돌출상태유지용 볼록부(17)가 형성되고, 고정캠(10) 및 회전캠(14)에는 각각 상대편의 돌출 상태유지용 볼록부(17) 및 오목부(16)가 맞닿게 되는 받침면(18,1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녹크부(6)를 측방녹크해서 회전캠(14)을 회전시켜 이 회전캠(14)에 미끄럼접촉하는 고정캠(10) 및 필기부재(3)를 스프링(2)에 대항해서 전진시키면, 펜끝(23)이 걸어맞춰지게 됨으로써 돌출상태가 유지되게 되는 한편, 녹크부(6)를 측방녹크해서 회전캠(14)을 회전시켜 돌출상태유지용 오목부(16)와 볼록부(17)의 걸림상태를 벗겨 고정캠(10)및 필기부재(3)를 스프링(2)의 탄발력으로 후퇴시키면 펜끝(23)이 수납시켜지게 되는바, 즉 측방녹크식이기 때문에 외통(1)을 필기상태 그대로 잡고서도 펜끝(23)을 출몰시킬 수가 있게 된다.

Claims (5)

  1. 외통(1)내에 스프링(2)에 의해 뒷쪽으로 밀어부쳐지는 필기부재(3)가 수납되고, 외통(1)의 녹크용 창(4)에는 앞끝부위에 조작돌출편(5)을 갖춘 녹크부(6)의 탄발성을 가진 기부(7)가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상기 필기부재(3)에는 경사면(9)을 가진 고정캡(10)의 원통부(11)가 고정되고, 수납시에 돌출용 경사면(9)에 접하는 미끄럼이동경사면(12)과 수납 및 돌출시에 녹크부(6)의 조작돌출편(5)이 순차로 걸려지는 복수의 걸림계단부(131,132)를 가진 회전캠(14)의 원통부(15)가 필기부재(3)에 자유로이 회전할수 있도록 끼워지며, 고정캠(10) 및 회전캠(14)중 어느 한쪽에는 돌출상태유지용 오목부(16)가 다른쪽에는 이 오목부(16)와 걸어맞춰지는 돌출상태유지용 볼록부(17)가 형성되면서 이들 고정캠(10) 및 회전캠(14)에 각각 상대편 돌출상태유지용 볼록부(17) 및 오목부(16)가 맞닿는 받침면(18,19)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측방녹크식 보올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부재(3)에 내통(8)이 끼워지면서, 이 내통(8)에 고정캠(10)의 원통부(11)가 고정됨과 더불어 회전캠(14)의 원통부(15)가 자유로이 회전할수 있도록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보올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10) 및 회전캠(14)이 각각 원통부(11,15)에 대해 동심상으로 배설되어 상호 마주보게 됨과 더불어 외통(1)의 내면에 접하고, 또 고정캠(10)이 앞끝부위에 돌출상태유지용 오목부(16) 또는 볼록부(17)를 가진 편형 3각형상으로 되어 있는 한편, 회전캠(14)은 앞끝부위에 돌출상태유지용 볼록부(17) 또는 오목부(16)를 가진 대략 3각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보올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14)의 배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걸림계단부(131,1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보올펜.
  5. 녹크부(6)의 탄발성을 갖도록 하는 기부(7)가 녹크용 창(4)의 뒷쪽에 끼워지는 단면이 ㄷ자형을 하면서, 그 내측편(7A)이 연장되어 탄발성을 갖게 되거나 내측편(7A)에 스프링을 갖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보올펜.
KR92008750U 1992-05-21 1992-05-21 측방녹크식 보울펜 KR940003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8750U KR940003098Y1 (ko) 1992-05-21 1992-05-21 측방녹크식 보울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8750U KR940003098Y1 (ko) 1992-05-21 1992-05-21 측방녹크식 보울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5297U KR930025297U (ko) 1993-12-20
KR940003098Y1 true KR940003098Y1 (ko) 1994-05-12

Family

ID=1933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8750U KR940003098Y1 (ko) 1992-05-21 1992-05-21 측방녹크식 보울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0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5297U (ko) 199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0847B2 (ja) ノック式筆記具
US6773185B1 (en) Retractile pen
US4115015A (en) Retractable pen with internal tip seating
US4899419A (en) Pencil eraser assembly
KR940003098Y1 (ko) 측방녹크식 보울펜
US4917519A (en) Writing instruments with rotatable wheel actuator
KR940006144B1 (ko) 봉상물조출용기
US2930355A (en) Ball point pen
US6082916A (en) Mechanical pencil
JP4097239B2 (ja) サイドノック式ボールペン
JP2607167Y2 (ja) サイドノック式ボールペン
KR910001046Y1 (ko) 샤아프펜슬
JP4429432B2 (ja) 頭冠または尾冠の装着構造
JPH0745355Y2 (ja) ノック式ボールペン
JP2605614Y2 (ja) ボールペン
JP2519017Y2 (ja) 出没式筆記具
JP4135836B2 (ja) 出没式筆記具
KR910000014Y1 (ko) 축통체선단부 출몰기구
JPH10119481A (ja) ノック式筆記具
JP2000127679A5 (ko)
JPH11334283A (ja) 後端ノック式筆記具
JP3158277B2 (ja) 棒状体繰出機構付筆記具
KR880003396Y1 (ko) 샤아프 펜슬
JPH0628313Y2 (ja) ノック式筆記具
JPS62262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