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025B1 - 지엽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025B1
KR940003025B1 KR1019910012136A KR910012136A KR940003025B1 KR 940003025 B1 KR940003025 B1 KR 940003025B1 KR 1019910012136 A KR1019910012136 A KR 1019910012136A KR 910012136 A KR910012136 A KR 910012136A KR 940003025 B1 KR940003025 B1 KR 940003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speed
separating
convey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214A (ko
Inventor
가즈히꼬 기따노
리이찌 가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20003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0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엽 분리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지폐 분리 기구의 제어 블럭 구성도.
제2도는 실시예의 지폐 분리 기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실시예에 있어서 지엽 분리 제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경과 시간 대 펄스 모터 회전 속도의 그래프.
제5도는 펄스 모터의 스루잉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표준 분리 상태에 있는 지폐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반송로의 속도 변동에 대응하는 보정 시간을 도시한 도면.
제8도와 제9도는 지엽 간격 제어의 경과 시간과 구동 펄스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지폐 간격과 반송로 속도에 대응한 총합적인 간격 제어 시간을 도시한 테이블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이드 롤러 2 : 게이트 롤러
3 : 픽업 롤러 4 : 압판
5 : 분리 센서 6 : 반송로
8 : 지폐 9 : 엔코더
10 : 제어부 11 : 드리이버
12 : 펄스 모터 13 : AC 모터
14 : 지폐 중첩 센서
본 발명은 지엽(紙葉)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융기관에서 이용되는 지폐 취급 장치 등에 적당한 지엽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소) 55-13482호에 개시되어 있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장치는 지폐 간격 정보에 따라 지폐의 분리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지폐 간격을 보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지폐 반출부에 있어서의 지폐 간격은 보정되나 그 후단의 반출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의 속도 변동에는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 이런 종류의 장치에 있어서, 중첩된 상태로 반출되는 지폐는 이것을 분리 또는 수정하는 것은 생각할 수 없고, 단지 보통과 다른 지폐로서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반출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의 속도 변동에도 대응할 수 있고 지폐의 간격을 일정값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중첩된 상태로 반출된 지폐에 대해서도 이것을 단지 보통과 다른 지폐라고 처리하는 것이 아니고 분리 조작을 행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적층된 지엽을 1장씩 반출하기 위한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반출된 지폐의 통과를 검지하는 통과 검지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반출된 지엽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를 귀하는 지엽 분리 장치에 있어서, 반송로의 반송속도를 검출하는 반송 속도 검출 수단과, 상기 통과 검지 수단의 출력에 기초해서 구해진 지엽 간격 정보와 반송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반송 속도에 기초해서, 분리 기구의 반출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적층된 지엽을 1장씩 반출하기 위한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반출된 지엽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를 구비하는 지엽 분리 장치에 있어서, 지엽의 중첩을 검출하기 위한 중첩 검출 수단과, 상기 반송로의 반송 속도를 검출하는 반송 속도 검출 수단과, 상기 중첩 검출 수단의 출력에 기초해서 구해진 지엽 중첩 치수와 상기 반송로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반송 속도에 기초해서, 분리 기구의 반출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1목적에 따르면, 지엽 통과 검지 수단의 출력에 기초해서 구해진 지엽 간격 정보와 반응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반송 속도에 기초해서 분리 기구의 반출 속도를 제어하므로, 반출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의 속도 변동에도 대응할 수 있어서 지폐의 간격을 일정값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에 따르면, 중첩 검출 수단의 출력에 기초해서 구해진 지엽 중첩 치수와 반송로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반송 속도에 기초해서 분리 기구의 반출 속도를 제어하므로, 중첩된 상태로 반출된 지폐도 분리할 수 있고 보통과 다른 지폐로 처리하지 않아서 지폐의 간격을 일정값 이상으로 유지해서 반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지폐 분리 기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도시한 지폐 분리 기구는 후술하는 펄스 모터(12)에 연동해서 회전하는 피이드 롤러(1), 피이드 롤러(1)과의 사이에 지폐 분리를 위해 설치된 게이트 롤러(2), 상기 피이드 롤러(1)과 동기해서 지폐를 간헐적으로 상기 피이드 롤러(1)과 게이트 롤러(2)와의 사이로 보내는 픽업 롤러(3), 도시되어 있지 않은 센서에 의해 적층된 지폐(8)의 상단 위치를 검지해서 지폐 상단 위치가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되는 압판(4), 상기 피이드 롤러(1)과 게이트 롤러(2)에 의한 분리구 출구에서 지폐의 통과를 체크하는 분리 센서(5), 마찬가지로 분리구 출구에서 지폐의 중첩을 체크하는 지폐 중첩 센서(14), 분리된 지폐를 받아 내는 반송로(6) 및 반송로(6)을 구동하기 위한 후술하는 AC 모터(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도는 상기 지폐 분리 기구의 제어 블럭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참조 번호(13)은 반송로(6)을 구동하기 위한 AC 모터, 참조 번호(12)는 상기 피이드 롤러(1)이나 픽업 롤러(3)을 회전시키는 펄스 모터, 참조 번호(9)는 반송로(6)와 동기하여 회전해서 반송로 속도에 상당하는 엔코더 펄스를 출력하기 위한 엔코더, 참조 번호(5)는 분리부 출구에 설치되어 있고 지폐의 통과 정보를 센서의 명/암(light/dark) 신호로 출력하는 상기의 분리 센서, 참조 번호(14)는 동일 분리부 출구에 설치되어 있고 지폐의 중첩 정보를 센서의 명/암 신호에 의해 출력하는 지폐 중첩 센서, 참조 번호(11)은 후술하는 제어부(100의 가감속 신호에 의해, 또 스루잉 테이블에 따라 상기 펄스 모터(12)로 진상(進相) 신호를 출력하는 드라이버, 또 참조 번호(10)은 상기 엔코더(9)에서의 반송로 속도 신호와 지폐 중첩 센서(14)에서의 지폐 중첩 정보에 기초해서 피이드 롤러(1)의 가감속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제3도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엽 분리 제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 제3a도는 분리 센서(5)의 검지 출력에 따른 지폐 간격 제어 동작의 흐름을, 또 제3b도는 지폐 중첩 센서(14)의 검지 출력에 따른 지폐 분리 제어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 이것들은 각각의 센서 출력의 유무에 대응해서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이다. 이하, 제1도-제3도에 따라 본 실시예의 동작 개요를 설명한다.
먼저, 반송로(6)를 구동하기 위한 AC 모터(13)을 온하고(스텝 21), 다음에 피이드 롤러(1)을 구동하기 위한 펄스 모터(12)를 온함으로써(스텝 22), 지폐(8)이 분리 센서(5) 및 지폐 중첩 센서(14) 부분으로 반출된다. 분리 센서(5)는 지폐(8)를 검출하면 암 신호를 출력하고(스텝 23), 제어부(10)은 이것을 받아서 지폐 간격 카운터를 리셋하여(스텝 24), 다음의 지폐 선단이 분리 센서(5)에 도달하기 까지의 사이에 간격 카운터를 갱신해서(스텝 25), 지폐 간격을 계측한다. 또 다음 지폐의 선단이 분리 센서(5)에 도달하면 분리 센서(5)는 명 신호를 출력한다(스텝 26).
다음에 지폐 선단이 분리 센서(5)에 도달하면 상기 AC 모터(13)에 설치된 엔코더(9)에 의해 반송로(6)의 속도가 검출되고(스텝 27), 이어서 상기 지폐 간격 카운터 값과 반송로 속도 신호에 기초해서 후술하는 것과 같은 방식에 의해 지폐 간격 제어 시간을 산출한다(스텝 28). 여기서 산출된 지폐 간격 제어 시간에 따라 피이드 롤러(1)을 가감속함으로써(스텝 29), 반송로(6)상의 지폐 간격을 일정값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이것에 관해서는 본 출원에 따른 특허 출원 "지엽 분리 장치"[일본국 특허 출원(평)제1-323242호] 명세서도 참조하면 좋다.
한편, 지폐 중첩 센서(14)는 지폐(8)을 검출하면 암 신호를 출력하고(스텝 33), 제어부(10)은 이것을 받아서 지폐 중첩 카운터를 리셋하여(스텝 34), 지폐 후단이 지폐 중첩 센서(14)를 통과해서 지폐 중첩이 검출되지 않도록 될때까지의 사이, 지폐 간격 카운터를 갱신해서(스텝 35 및 36), 지폐 중첩 길이를 계측한다.
지폐 중첩이 검출되지 않게 되면 상기 AC 모터(13)에 설치된 엔코더(9)에 의해 반송로(6)의 속도가 검출되고(스텝 37), 이어서 상기 지폐 중첩 카운터 값과 반송로 속도 신호에 기초해서 후술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지폐 간격 제어 시간을 산출한다(스텝 38). 여기서 산출된 지폐 간격 제어 시간에 따라 피이드 롤러(1)을 감가속함으로써(스텝 39), 반송로(6)상에서의 지폐 간격을 일정값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4도는 상기 스텝(38)에 있어서의 지폐 간격 제어 산출의 토대로 되는 경과 시간 대 펄스 모터 회전 속도의 그래프이다. n장째의 지폐와 n+1장째의 지폐가 겹쳐 있는 경우를 생각할때, 지폐 중첩 상태의 경과 시간은 n장째 지폐의 선단을 지폐 중첩 센서(14)가 검출한 시각(t0)에서 n+1장째 지폐의 후단을 지폐 중첩 센서(14)가 검출한 시각(t1)까지로 된다. 제어부(10)은 경과 시간과 피이드 롤러(1)의 회전 속도에서 지폐 중첩 치수를 산출한다. 이어서 제어부(10)은 드라이버(11)에 대해 감속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펄스 모터(12)는 시각(t1)에서 도시한 시각(t2)까지는 후술하는 스루잉 테이블에 따라 감속한다. 다음에 간격 제어 시간의 절반이 경과한 시각(t2)에서는, 제어부(10)은 가속 신호를 출력하고 펄스 모터(12)는 시각(t2)에서 시각(t3)까지 스루잉 테이블에 따라 가속한다. 시각(t3) 이후는 스루잉 테이블이 최고속으로 되기 때문에 펄스 모터(12)는 최고속(표준 속도)에서 구동된다.
제5도에 펄스 모터(12)의 스루잉 테이블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37단의 스루잉 테이블에 의해 제어하고 있고, 최저속에서 최고속에 달하기 까지 약 43.9㎳를 요한다.
제6도는 표준 분리 상태에 있는 지폐를 도시한 도면으로, 지폐 치수 76㎜(=132펄스), 지폐 간격 28㎜(=48펄스), 분리 주기 125㎳, 또 펄스 모터 1펄스당 반송 거리가 0.576㎜이다. 그래서 지폐 간격 1펄스당의 소요 시간이 694㎲로 된다. 즉 표준 지폐 간격과 비교해서 지폐 간격이 1펄스 짧은 경우에는 지폐 분리를 694㎲ 지연시킴으로써 반송로(6)상의 지폐 간격이 표준값으로 보정되게 된다. 이것을 일반식으로 나타내면,
보정시간=(표준 지폐 간격-해당 지폐 간격)×694㎲…………………………(1)
로 된다. 지폐가 중첩해 있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보정시간=(표준 지폐 간격+중첩 지수)×694㎲………………………………(1)
로 된다.
제7도는 반송로(6)의 속도 변동에 대응하는 보정 시간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표준 반송로 속도에서는 표준 분리 주기는 125㎲이다. 반송로 속도가 표준 속도의 90%인 경우는 펄스 모터(12)의 속도로 마찬가지로 90%로 함으로써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보정시간=표준 분리 주기×(1/반송로 속도비)-125㎲…………………………(2)
로 된다.
제8도는 지엽 간격 제어의 경과 시간과 구동 펄스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8도의 주기란은 제5도의 스루잉 테이블과 동일하다. 감속시 경과 시간란은 주기의 합이다. 또 구동 펄스란은 하나의 스루잉 테이블에 대해 2펄스씩 가산되고 있다. 간격 제어 경과 시간란도 마찬가지로 가감속 동작을 위한 감속시 경과 시간란을 2배로 하고 있다. 또 표준 속도시 경과 시간란은 최고속 스루잉 테이블로 부터 구한다.
제9도는 제8도를 그래프화한 것으로, 횡축은 구동 거리, 종축은 간격 제어 경과 시간 및 표준 속도시 경과 시간을 나타낸다.
제10도는 이상을 종합한 지폐 간격과 반송로 속도에 대응한 간격 제어 시간의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반송로 속도는 상기 엔코더(9)에 의해 구한다. 또 지폐 간격란의 정수는 지폐 간격, 음수는 지폐 중첩 치수를 나타내고, 지폐 간격은 분리 센서(5)로부터, 지폐 중첩 치수는 지폐 중첩 센서(14)로부터 각각 구한다. 보정 시간은 지폐 간격 보정 시간과 반송로 속도 보정 시간의 합에서 산출한다. 간격 시간 타이머 값은 상기 보정 시간을 토대로 제9도를 이용해서 산출한다.
이하, 실제 동작을 설명한다.
적층된 지폐(8)은 압판(4)에 의해 상단 위치가 대략 제2도에 도시한 위치에 일정하게 유지되고, 픽업 롤러(3)에 의해 간헐적으로 피이드 롤러(1)과 게이트 롤러(2)의 사이로 삽입되어 피이드 롤러(1)의 회전에 따라 게이트 롤러(2)와의 사이에서 1장씩 분리되어 반송로(6)으로 반출된다. 통상은 피이드 롤러(1)을 회전시키는 펄스 모터(12)가 일정 속도로 회전하면 피이드 롤러(1)에 설치되어 있는 고무 롤러(7)과 지폐(8)과의 마찰에 의해 피이드 롤러(1)이 회전할때 지폐가 1장씩 규칙적인 주기고 분리되어 반송된다.
그러나 상기 고무 롤러(7)의 노화등의 원인으로 미끄럼등이 생긴 경우에는 미끄럼 거리(a)만큼 반출 타이밍이 지연되어 분리되고 따라서 다음 지폐와 간격이 짧아진다. 또 반송로(6)의 반송 속도가 늦어진 경우에는 반송로(6)상에서의 지폐 간격이 짧아져서 어떤 경우에도 감별 불량으로 되어 리젝트되거나 잼(jam)등의 원인이 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것에 대처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 센서(5)가 지폐 후단을 검출한 때부터 이어서 지폐의 선단을 검출하기까지의 경과 시간과, 펄스 모터(12)의 속도로부터 지폐 간격을 구함과 동시에 엔코더(9)에 의해 반송로(6)의 속도를 구해서 상기와 같은 처리에 의해 지폐 간격 제어 시간을 산출한다. 한편, 지폐가 중첩되어 반출된 경우에는 지폐 중첩 센서(14)가 지폐 중첩 검출 수단과 펄스 모터(12)의 속도로부터 지폐 중첩 치수를 구함과 동시에 엔코더(9)로부터 반송로(6)의 속도를 구하고 상기와 같은 처리에 의해 동일하게 지폐 간격 제어 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어떤 산출 결과가 간격 보정이 필요한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제8도의 스루잉 테이블의 첫번째 주기(696㎲)부터 차례로 2번째(70㎲), 3번째(712㎲)…n번째로 감속해간다. 그리고 감속 경과 시간이 간격 제어 시간의 절반에 도달한 시점부터는 역으로 n번째…3번째, 2번째, 1번째로 가속해서 표준 속도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다음의 지폐 분리 타이밍을 지연시켜 반송로(6)상에 있어서의 지폐 간격을 일정값 이상으로 유지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펄스 모터(1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반송로(6)의 속도 변동이 있었던 경우를 포함해서 지폐 간격이 표준값 이하인 경우, 또는 지폐가 중첩 반출된 경우에도 지폐 간격을 보정해서 반송로(6)상의 지폐 간격을 소정값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감별 불량으로 리젝트되거나 잼등의 발생이 없어진다.
또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폐의 중첩을 검출하기 위한 검지방법으로서 광학적 센서를 이용하는 예를 들었으나, 이밖에도 지폐 치수를 계측해서 이것을 표준 치수와 비교해서 표준 치수보다 큰 경우에는 이것을 중첩이라고 판단하는 방법, 분리부 직후에 배치한 계측용 롤러의 변위 등에 의해 기계적으로 지폐의 표준 두께를 구하고 이것을 표준값과 비교해서 표준값보다 큰 경우를 2장 중첩 상태로 판단하는 방법등을 이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적층된 지엽을 1장씩 반출하기 위한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반출된 지엽의 통과를 검지하는 통과 검지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반출된 지엽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를 구비한 지엽 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의 반송 속도를 검출하는 반송 속도 검출 수단과, 통과 검지 수단의 출력에 기초해서 구해진 지엽 간격 정보와 반송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반송 속도에 기초해서 분리 기구의 반출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분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통과 검지 수단의 출력과 상기 분리 수단의 분리 속도로부터 상기 지엽 간격 정보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분리 장치.
  3. 적층된 지엽을 1장씩 반출하기 위한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반출된 지엽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를 구비한 지엽 분리 장치에 있어서, 지엽의 중첩을 검출하는 중첩 검출 수단과, 반송로의 반송 속도를 검출하는 반송 속도 검출 수단과, 상기 중첩 검출 수단의 출력에 기초해서 구해진 지엽 중첩 치수와 반송로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반송 속도에 기초해서 상기 분리 기구의 반출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분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중첩 검출 수단의 출력과 상기 분리 수단의 분리 속도로부터 상기 지엽 중첩 치수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분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 중첩 검출 수단이 광학적 검지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분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지엽 중첩 검출 수단의 출력에 기초해서 지엽의 치수를 계측하여 계측한 지엽의 치수가 표준 치수보다 클때에 지엽 중첩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분리 장치.
KR1019910012136A 1990-07-18 1991-07-16 지엽 분리 장치 KR940003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89711 1990-07-18
JP2189711A JP2564976B2 (ja) 1990-07-18 1990-07-18 紙葉分離装置
JP90-189711 1990-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214A KR920003214A (ko) 1992-02-29
KR940003025B1 true KR940003025B1 (ko) 1994-04-11

Family

ID=1624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136A KR940003025B1 (ko) 1990-07-18 1991-07-16 지엽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64976B2 (ko)
KR (1) KR9400030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1525B2 (ja) * 1994-09-13 2003-09-02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ート給紙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991902B2 (ja) * 2012-11-15 2016-09-1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搬送装置、及び紙葉類搬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4178B2 (ko) * 1972-10-14 1977-09-01
JPS5513482A (en) * 1978-07-14 1980-01-30 Fujitsu Ltd Paper foil feeding device
JPH0641943Y2 (ja) * 1987-01-08 1994-11-02 日本電気株式会社 紙葉類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64976B2 (ja) 1996-12-18
JPH0475945A (ja) 1992-03-10
KR920003214A (ko) 199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7191A (en) Device for conveying sheets one by one
US5575466A (en) Document transport with variable pinch-roll force for gap adjust
US6554275B1 (en) Method and system for document overlap/gap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EP1510483B1 (en) Sheets separation/conveying apparatus
US20020020963A1 (en) Sheet stac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feed of sheet material into a stacking wheel
US6572103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document trailing edge position
KR940003025B1 (ko) 지엽 분리 장치
US637885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used to remove packages from a pile
JP2707773B2 (ja) 紙葉分離装置
JP5954821B2 (ja) 切断装置の速度コントロールをするための方法
JP2784296B2 (ja) 用紙搬送制御装置
JP2860687B2 (ja) 紙葉類取扱い装置
JPH06305606A (ja) 搬送装置
US6127796A (en)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a self-timing stepping motor
JP3394568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H04266351A (ja) 画像形成装置
JPS602123Y2 (ja) 紙葉繰出装置
JPH06211418A (ja) 紙葉類の区分装置
JPH06263287A (ja) 搬送装置
JP4326998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S63208445A (ja) 紙葉類自動取扱装置
JPH02123071A (ja) 紙葉類堆積装置
JPS59212340A (ja) 給紙装置
JPH05319682A (ja) 搬送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472248A (ja) 自動原稿送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