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967Y1 - 디스크 브레이크용 패드의 간격유지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브레이크용 패드의 간격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967Y1
KR940002967Y1 KR2019910014077U KR910014077U KR940002967Y1 KR 940002967 Y1 KR940002967 Y1 KR 940002967Y1 KR 2019910014077 U KR2019910014077 U KR 2019910014077U KR 910014077 U KR910014077 U KR 910014077U KR 940002967 Y1 KR940002967 Y1 KR 940002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rotor
spring
p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4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079U (ko
Inventor
문창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아정기
마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아정기, 마규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아정기
Priority to KR2019910014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967Y1/ko
Publication of KR9300050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0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967Y1/ko

Link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용 패드의 간격유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일부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에 적용된 스프링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의 다른 실시예.
제4도는 본 고안 장치의 일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아우터캘리퍼 2 : 패드핀
3 : 패드 4 : 스프링
본 고안은 디스크 브레이크용 패드를 로우터와 이러정간격 우지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복귀시키기 위한 디스크 브레이크용 패드의 간격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브레이크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아우터 캘리퍼(11)에 로우터(도시는 생략함)의 제동을 위한 한쌍의 패드(12)가 로우터와 일정간격(0.15-0.4mm)이 유지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일측의 패드(12)외측으로 설치된 피스턴(13)의 작동으로 패드(12)가 이동되므로서 로우터의 회전을 제동하게 된다.
이때 일측의 패드를 패드핀(14)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다른 일측의 패드를 로우터의 제동후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클립이나 스프링의 설치가 요구된다.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같은 브레이크에서 일츠거의 패드(12)를 아우터캘리퍼(11)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패드핀(14)을 고정시키기 ㅜ이해 패드핀(14)상에 삽입공을 형성하여 삽입공사이에 W-클립(15)을 끼워 패드핀(14)이 아우터 캘리퍼(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있고, 일측의 패드핀(14)에는 M-스프링(16)이 감싸여지게 설치되어 양단이 패드(12)에 끼워지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로우터의 회전을 제동하기위해 패드(12)의 일측에 설치된 피스턴(13)이 작동하면 패드(12)가 M-스프링(16)을 압축시키면서 로우터와 접속되므로서 로우터의 회전이 제어되고, 피스턴(13)의 작용이 중단되면 압축되었던 M-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해 패드(12)가 최초의 상태도 복원되어 로우터와 일정간격을 우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한쌍의 패드(15)를 로우터와 일정간격 유지되게 설치하기위해 W-클립(15)과 M-스르링(16)을 별도로 사용하도록 되었어서 조립작업이 번거롭게 되었음은 물론 부품과닐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또한 일측의 패드핀(14)에만 M-스프링(16)이 설치되므로인해 패드(12)에 이상마모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노이즈(Noise)가 발생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결점을 감안하여 착안한 것으로서, 스프링의 구조를 개량하여 개량된 스프링을 각 패드핀에 설치하므로 인해 패드핀을 아우터 캘리퍼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패드를 원활하게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아우터 캘리퍼와 결합된 패드핀에 한쌍의 패드를 탄력설치하도록 된것에 있어서, 한쌍의 스프링을 패드핀에 감싸여질 수 있게 형성하여 스프링의 일단을 상부 패드에 고정하고 다른 일단은 패드핀에 고정하여서된 디스크 브레이크용 패드의간격유지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3도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고안장치의 일부 종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장치에 적용된 스프링의 사시도로서, 아우터 캘리퍼(1)에 한쌍의 패드팬(2)이 끼워져 있고 패드핀(2)에는 로우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한쌍의 패드(3)가 상호 대응되게 끼워져 있으며 패드(3)사이에는 제2도와 같은 한쌍의 스프링(4)이 각 패드핀(2)에 감싸여지도록 설치되어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패드핀(2)에 감싸여지도록 설치되는 스프링(4)은 일단이 상부패드(3)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패드핀(2)상에 고정되어 패드핀(2)이 아우터 캘리퍼(1)에서 불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피스턴(5)의 작동이 중단될때 패드(3)를 최초의 상태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게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제 제2도와 같이 형성된 스프링(4)을 각 패드핀(2)에 감싸여지도록 설치하여 일단을 상부패드(3)에, 그리고 다른 일단을 패드핀(2)에 고정시킨후, 로우터를 제동시키기 위해 피스턴(5)을 작동기키면 상부패드(3)가 패드핀(2)에 감싸여지도록 설치된 한쌍의 스프링(4)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여 로우터와 접속하므로서 로우터의 회전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스프링(4)의 일단이 패드핀(2)에 고정되어 있어 피스턴(5)에 의해 패드(3)가 눌릴때 일정압축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피스턴(5)의 작용이 중단되면 로우터와 접속하고 있던 패드(3)는 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패드핀(2)을 따라 이동되어 제1도와 같이 최초의 상태가되므로 로우터는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는데, 이때에는 각 패드핀(2)에 스프링(4)이 각각 감싸여지도록 서러치되어 있어 패드(3)가 로우터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고안장치는 한쌍의 스프링(4)을 각 패드핀(2)에 감싸여지게 설치하여 일단은 상부패드에 그리고 다른 일단은 패드핀(2)에 고정되어 있어 패드(3)를 로우터와 항상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게 되므로 정상적인 상태, 즉 피스턴(5)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패드(3)가 로우터와 접속되는 거서울 방지할 수 있게됨은 물론 피스턴(5)의 작동시에 패드(3)가 항상 로우터와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승강하게되어 패드(3)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되므로 노이즈의발생을 방지하게되며, 부푸머의 공용화로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게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 고안장치의 다른실시예로서, 본 고안장치의 요부인 스프링(4)의 일단을 패드(3)에, 그리고 다른 일단은 패드핀(2)에 고정될 수 잇도록 그 형상을 변경한 경우에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게된다.

Claims (1)

  1. 아우터 캘리퍼(1)와 연결된 패드핀(2)에 한 쌍의 패드(3)를 탄력설치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스프링(4)의 일부분을 패드핀의 원주면으로 위치시켜 상기 스프링(4)의 일단을 상부패드(3)에 고정하고, 다른 일단은 패드핀(2)에 고정하도록 된 디스크 브레이크용 패드의 간격유지 장치.
KR2019910014077U 1991-08-31 1991-08-31 디스크 브레이크용 패드의 간격유지장치 KR9400029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4077U KR940002967Y1 (ko) 1991-08-31 1991-08-31 디스크 브레이크용 패드의 간격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4077U KR940002967Y1 (ko) 1991-08-31 1991-08-31 디스크 브레이크용 패드의 간격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079U KR930005079U (ko) 1993-03-22
KR940002967Y1 true KR940002967Y1 (ko) 1994-05-06

Family

ID=19318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4077U KR940002967Y1 (ko) 1991-08-31 1991-08-31 디스크 브레이크용 패드의 간격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9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079U (ko) 199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6174A (en) Friction pad assemblies for sliding caliper disc brakes
US4467897A (en) Disc brake with first and second springs for preventing the vibration of friction pad
GB1061058A (en) Improved disc brake
KR940002967Y1 (ko) 디스크 브레이크용 패드의 간격유지장치
US4360081A (en) Disc brake
KR920704036A (ko)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용 패드 지지대
JPH0989018A (ja) ディスクブレーキのパッド戻しバネ
JPH0674261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US4343381A (en) Disc brake friction pad retaining means and guide seal
KR970003893Y1 (ko)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
GB1092251A (en) Disc brakes
KR100455676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JP3077191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のパッド戻しスプリング
KR100844556B1 (ko) 브레이크 패드의 롤 백 장치
JP3954134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0162199Y1 (ko) 디스크브레이크의 피스톤 복원구조
JPH0356659Y2 (ko)
JPS6218754Y2 (ko)
JPS6315621Y2 (ko)
KR0120460Y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9980048868U (ko) 브레이크패드와 캘리퍼의 취부구조
KR0173696B1 (ko) 프론트브레이크의 패드지지구조
JPS6214429Y2 (ko)
JP2593909Y2 (ja) ディスクブレーキのキャリパスライド機構
KR100211335B1 (ko) 디스크브레이크의 롤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5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