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616Y1 - 복수의 출력을 갖는 dc-to-dc 전압변환회로 - Google Patents

복수의 출력을 갖는 dc-to-dc 전압변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616Y1
KR940002616Y1 KR2019880022408U KR880022408U KR940002616Y1 KR 940002616 Y1 KR940002616 Y1 KR 940002616Y1 KR 2019880022408 U KR2019880022408 U KR 2019880022408U KR 880022408 U KR880022408 U KR 880022408U KR 940002616 Y1 KR940002616 Y1 KR 940002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sistor
transistor
amplifi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2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593U (ko
Inventor
백준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22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616Y1/ko
Publication of KR9000135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5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6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05Substrate bias-voltage gener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30Regulators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se-emitter voltages of two bipolar transistors operating at different current dens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수의 출력을 갖는 DC-TO-DC 전압변환회로
제 1 도는 DC-TO-DC 전압변환기 개략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블럭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 도의 구체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증폭부 20 : 제2증폭부
R1-R5 : 저항 VR1-VR2 : 가변저항
본 고안은 DC-TO-DC 전압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출력전압을 얻어내며, 상기 출력전압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고 출력전압의 관계가 상호 반비례되도록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DC-TO-DC 전압변환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C-TO-DC 전압변환기는 직류전압을 변압하는 장치로 진저회로적으로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고 변압기로 변압한 것을 다시 정류하여 직류로 얻는 방식이나, 쵸피로 직류를 단속하여 평균화(강압)하는 방법등이 있다. 즉 낮은 DC전압을 높은 DC전압으로 변환하는 방법과 높은 DC전압을 낮은 DC전압으로 변환하는 방법등이 있다.
제 1 도 종래의 DC-DC 전압 변환기는 입력전압에 대해 변환시키는 전압의 크기가 한각지로 고정되어 있어 시스템에서 여러전압이 요구될 경우 각각에 별도의 회로로 구성되어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입력전압에 대해 출력전압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며 복수의 출력단을 두어 한가지 입력전압에 대해 복수의 변환된 전압을 얻어낼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블럭도로서, 소정입력전압에 대해 가변저항(VR1)의 조정에 따라 1차로 변환 소정 입력전압에 대해 가변저항(V01)을 얻어내는 제1증폭부(10)와, 상기 제1증폭부(10)의 제1전압(VO1)을 변환 증폭하여 상기 제1전압(VO1)과 반비례 관계에 있는 다른 제2전압(VO2)을 얻어내는 제2증폭부(20)로 구성된다.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 도의 구체회로도로서, 입력전압단(Vi)으로 입력되는 전압에 대해 리미터하는 저항(R1)을 연결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부로 부터 저항(R2)을 연결하여 접지시키며,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는 전원단(Vcc)으로 부터 저항(R3)을 연결하고 저항(R4)은 접지시키며,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로 부터 저항(R5)을 접지시킴과 아울러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저항(R7)과 제1출력전압(VO1)의 출력을 조절하는 가변 저항(VR1)을 접지로 연결하며 에미터에 저항(R8)을 접지시킨 부분이 제1증폭부(10)이고, 상기 제1증폭부(10)의 출력을 저항(R10)을 통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연결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 전압단(Vcc)으로 부터 저항(R11)을 연결하고 에미터에 저항(R12)을 연결하여 접지시키며, 동시에 저항(R10)을 연결하여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연결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에 저항(R14)과 제2출력전압(VO2)을 조정하는 가변저항(VR2)을 연결하여 에미터에 접지된 저항(R15)으로 부터 제2출력 전압(VO2)을 얻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1증폭부(10)의 입력전압(Vi)으로 소정 DC전압이 입력되면 저항(R1)에 의해 전류가 리미터되고 저항(R2)에 의해 트랜지스터(Q1)의 바이어스 전압이 결정되어 트랜지스터(Q1)가 온될시 저항(R3, R5)에 의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전류와 에미터 전압의 크기가 조정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온동작에 의해 에미터의 출력전압이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Q2)를 구동한다. 즉, 상기 저항(R6)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압과 전류의 동작 범위에 맞도록 조절하며 저항(R7, R8)과 가변저항(VR1)에 의해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로 부터 출력되는 제1전압(VO1)을 조절한다. 상기 가변저항(VR1)에 의해 제1출력전압(VO1)이 제어되는데 제1출력전압(VO1)은 입력전압이 증가하면 감소하는 전압쪽으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제1출력 전압(VO1)이 저항(R10)을 통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3)를 구동한다.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 출력은 저항(R11, R12)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출력이 전류적으로 저항(R3)에 의해 리미팅된 후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4)가 구동되면 저항(R14, R15) 및 가변저항(VR2)에 의해 제2출력전압(VO2)이 얻어지는데, 상기 가변저항(VR2)에 의해 제2출력전압(VD2)의 크기가 제어된다.
상기 제1, 2출력전압(VO1, VO2)의 크기의 변동은 입력전압이 증가하는 쪽으로 변동하면 제1출력전압(VO1)은 감소하는 쪽으로 변동하고, 제2출력전압(VO2)은 증가하는 쪽으로 변동된다. 이때 변동폭의 최대치는 물론 각 수동소자의 값에 따라 다르지만 가변저항(VR1, VR2)에의 변화는 하기표 1과 같이 제어된다.
[표 1]
상술한 바와같이 DC-TO-DC 전압변압기에 있어서 편리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고, 사용전압이 상호 비례관계에 있으므로 사용시 적당한 전압범위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DC-TO-DC 전압 변환회로에 있어서, 소정 입력전압에 대해 가변저항(VR1) 의 조정에 따라 1차로 변환 증폭하여 제1전압(VO1)을 얻어내는 제1증폭부(10)와, 상기 제1증폭부(10)의 제1전압(VO1)을 변환 증폭하여 상기 제1전압(VO1)과 반비례 관계에 있는 다른 제2전압(VO2)을 얻어내는 제2증폭부(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출력을 갖는 DC-TO-DC 전압 변환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증폭부(10)와 제2증폭부(20)는 각각 입력전압을 버퍼링하는 완충수단과, 상기 완충수단의 출력을 증폭하여 선택 조정에 의해 출력전압(VO1)을 발생하는 전압발생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출력을 갖는 DC-TO-DC 전압 변환회로.
KR2019880022408U 1988-12-31 1988-12-31 복수의 출력을 갖는 dc-to-dc 전압변환회로 KR940002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2408U KR940002616Y1 (ko) 1988-12-31 1988-12-31 복수의 출력을 갖는 dc-to-dc 전압변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2408U KR940002616Y1 (ko) 1988-12-31 1988-12-31 복수의 출력을 갖는 dc-to-dc 전압변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593U KR900013593U (ko) 1990-07-05
KR940002616Y1 true KR940002616Y1 (ko) 1994-04-21

Family

ID=19282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2408U KR940002616Y1 (ko) 1988-12-31 1988-12-31 복수의 출력을 갖는 dc-to-dc 전압변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61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100B1 (ko) * 1997-06-26 2002-11-13 삼성전기주식회사 출력전압이 가변되는 전원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593U (ko) 199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0368B2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for suppressing an increase in ripple output voltage
KR100700406B1 (ko) 전압 레귤레이터
KR970003818B1 (ko) 전원 공급 장치
JP3566201B2 (ja) チョッパ型レギュレータ
EP0608974B1 (en) Base current-control circuit of an output transistor
KR940002616Y1 (ko) 복수의 출력을 갖는 dc-to-dc 전압변환회로
EP0662747A2 (en) A DC/DC converter for outputting multiple signals
JPH08149804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方式の電源回路
JP4207114B2 (ja) 電流出力回路
JP2912233B2 (ja) 絶縁増幅回路
KR890001042Y1 (ko) 캐스케이딩방식의 스위칭 레귤레이터
KR950002154A (ko) 배터리의 펄스 충전 제어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H0830574B2 (ja) 燃焼制御装置
US20020130707A1 (en) Voltage reference with improved current efficiency
JP2566786Y2 (ja) 電源装置の負荷回路
JPH01226205A (ja) 出力スイング制限を有する増幅装置
JPH06309046A (ja) 電流式出力回路
KR950004048Y1 (ko) 마이콤의 볼륨 콘트롤 전압 제어회로
SU775718A2 (ru) Стабилизатор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JP3286861B2 (ja) 高圧電源装置
SU864273A1 (ru) Стабилизатор напр жени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JP2001109526A (ja) 定電流回路
SU1515304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JP2621418B2 (ja) 電話機
SU855634A1 (ru) Импульсный регул тор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