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602Y1 - 마스크프레임 지지체 - Google Patents

마스크프레임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602Y1
KR940002602Y1 KR2019910020149U KR910020149U KR940002602Y1 KR 940002602 Y1 KR940002602 Y1 KR 940002602Y1 KR 2019910020149 U KR2019910020149 U KR 2019910020149U KR 910020149 U KR910020149 U KR 910020149U KR 940002602 Y1 KR940002602 Y1 KR 9400026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member
spring
fastening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0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062U (ko
Inventor
김성욱
한유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0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602Y1/ko
Priority to US07/967,212 priority patent/US5376863A/en
Priority to DE69217174T priority patent/DE69217174T2/de
Priority to EP92310031A priority patent/EP0543525B1/en
Priority to JP1992085890U priority patent/JPH0749723Y2/ja
Publication of KR9300120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0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6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6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스크프레임 지지체
제 1 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터드핀과 지지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 3 도는 일반적인 음극선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도.
제 4 도는 일반적인 음극선관의 마스크프레임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5 도는 종래의 마스크프레임 지지체의 열변형을 설명하는 단면도.
제 6 도는 종래의 마스크프레임 지지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 7 : 섀도우마스크
8 : 프레임 9 : 스터드핀
20 : 지지체 30 : 제1지지부재
31 : 고착부 32 : 날개부
33 : 안내부 34, 61 : 지지핀
35, 57 : 슬롯 36 : 체결부
37 : 하측굴곡부 40 : 스프링
50 : 제2지지부재 51 : 판상부
52 : 연결부 53 : 절곡부
54 : 홀 55 : 지지부
56 : 연장부 58 : 접촉부
60 : 하측굽힘부 70 : 체결봉
71 : 와셔
본 고안은 음극선관에 사용되는 마스크프레임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형기종의 칼라음극선관에 있어서 직사각형 패널의 네모서리에 위치한 스터드핀에 섀도우마스크 조립체를 부착하기 위한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섀도우마스크방식 음극선관의 구성을 제 3 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패널(1)과 펀넬(2) 및 넥크(3)를 일체로 접합하여 형성되는 벌브를 외곽용기로 하고, 그 내부에는 각각 패널(1)의 내측면에 R, G, B 형광막(4)이, 그리고 이 형광막(4)과 일정거리를 두고 섀도우마스크조립체(5)가 배치되며, 또 상기 형광막위에 R, G, B 전자빔을 방출하기 위하여 상기 넥크(3)의 내부에 전자총(6)이 장착됨으로써 하나의 음극선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섀도우마스크조립체(5)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빔 통과용의 다수의 애퍼어쳐(11)를 가지며 인바로 만들어진 섀도우마스크(7)와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8)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8)의 네모서리에 형성된 코너부(12)에는 지지체(20)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음극선관내에 섀도우마스크조립체(5)를 지지하는 방법으로서, 프레임(8)의 코너 바깥쪽 표면에 코너부(12)를 갖으며, 상기 코너부(12)의 외주에 결합된 다수의 지지체(20)를 패널내벽의 대각부에 설치된 스터드핀(9)에 현가하는 구조가 제기되어 진다.
상술한 구조의 지지체를 사용하면,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상승에 따른 열팽창으로 섀도우마스크(7)가 형광막(4)방향으로 약간 이동하며, 이러한 팽창에 기인하여 섀도우마스크 애퍼어쳐(11)와 형광막(4) 사이에서 발생되는 상대적인 변위에 따라 색 재생오차가 보정된다.
이러한 보정원리에 의하여 종래의 지지체는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섀도우마스트(7)를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8)에 결합된 용접부(21)와, 이 용접부(21)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의 스터드핀(9)쪽으로 대략 "V"자상으로 접어구부린 절곡부(22) 및 패널의 스터드핀(9)에 고정되는 지지부(23)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는 외부에서의 기계적충격에 의해 종종 절곡부(22)의 좌, 우 비틀림변형이 발생되고, 또한 제조 공정중에 수회 반복되는 탈착작업에 의해 지지체가 점선(24)와 같이 소성변형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변형량을 실용상 영(zero)으로 하기 위하여 지지체의 판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지만, 지지체의 압력이 대폭 증대하면 섀도우마스크와 패널의 탈착작업을 크게 열화시키는 또다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스프링에 의한 지지체의 탄성력을 고려하여 탈착작업에 따른 소성변형 및 외부충격에 의한 비틀림변형을 최소화하였으며, 항상 양호한 빔랜딩특성을 얻을 수 있는 음극선관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에 따른 본 고안은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착부와, 상기 고착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날개부와, 상기 고착부와 직각을 이루며 형성된 안내부와,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핀과, 슬롯(slot)을 포함하는 체결부 및 스터드핀 방향으로 구부러진 하측굴곡부로 구성된 제1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의 체결부와 결합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는 판상부와, 상기 판상부와 일체를 이루며 스터드핀방향으로 구부러진 절곡부와, 탈착작업시 상기 안내부를 따라 접촉되어 미끄러지는 접촉부와 홀을 포함하며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핀을 갖는 지지부와, 상기 판상부에 연장된 하측굽힘부 및 연장부로 이루어진 제2지지부재, 그리고 자체탄성력을 갖는 스프링,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결합시키는 체결봉과 체결용 와셔 및 와셔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음극선관의 마스크프레임 지지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프레임의 코너부(도시생략)에 접착되는 고착부(31)와, 상기 고착부(31)와 일체로 형성되며 프레임과 견고한 접착을 이루는 날개부(32)와, 상기 고착부(31)와 직각을 이루며 형성된 안내부(33)와, 대략 역삼각형상을 이루며 세방향에서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핀(34)과, 상기 고착부(31)와 일체로 형성되며 슬롯(35)을 갖는 체결부(36) 및 상기 고착부(31)에 연결되어 스터드핀 방향으로 구부러진 하측굴곡부(37)로 제1지지부재(3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의 체결부(36)와 견고히 결합되는 슬롯(57)을 포함하는 연결부(52)와, 상기 연결부(52)를 지지하는 판상부(51)와, 상기 판상부(51)와 일체를 이루며 패널의 스터드핀방향으로 구부러진 절곡부(53)와, 탈착작업시 상기 제1지지부재의 안내부(33)를 따라 접촉되어 미끄러지는 접촉부(58)와 패널의 스터드핀에 고정되는 홀(54)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재와 마찬가지로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핀(61)(도시생략)을 갖는 지지부(55)와, 상기 판상부(51)에 연장되어 상기 제지지부재의 하측굴곡부(37)와 접촉하여 지지체를 일정한 형태로 유지하는 하측굽힘부(59) 및 연장부(56)로 이루어진 제2지지부재(50),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재(30)와 제2지지부재(50)사이에 위치하며 자체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40)과,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결합시키는 체결봉(70)과 체결용 와셔(71) 및 와셔홈(72)으로 구성되어 진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체와 패널의 스터드핀(9)과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재(30)의 체결부(36)와 제2지지부재(50)의 연결부(52)가 체결봉(70)과 와셔(71)로서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의 지지핀 (34)(61)에 고정되는 상기 스프링(40)에 의하여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의 제2지지부재(50)가 체결봉(70)을 중심으로 화살표방향으로 점선(60)과 같이 압축 및 화살표에 대향하여 복원되는 스프링(40)의 탄성력에 기인하여, 스터드핀(9)과 지지체의 탈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스프링이 압축됨으로써 지지체를 패널의 스터드핀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30)와 제2지지부재(50)가 체결봉(70)과 와셔(71)로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2지지부재(50)가 상기 체결봉(7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압축 및 복원되고, 상기 스프링(40)을 사용하여 제1지지부재(30)와 제2지지부재(50)사이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지지체를 형성함으로써 음극선관의 제작공정중에 수회 반복되는 탈착작업에 따른 지지체의 소성변형을 최소화하였으며,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의 안내부(33)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접촉부(58)간의 상호 지지작용을 통하여 외부에서의 기계적충격에 의한 비틀림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서 항상 양호한 빔랜딩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섀도우마스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패널에 장착시킴에 있어서, 종래의 것과 달리 스프링(40) 및 유동성이 있도록 체결봉(70)과 와셔(71)를 사용한 결합으로 구성되는 지지체를 고려함으로써, 음극선관의 제작공정중에 반복되는 수회의 탈착작업에 따른 지지체의 소성변형 및 외부에서의 기계적충격에 의한 비틀림변형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항상 양호한 빔랜딩특성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실용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음극선관에 사용되는 직사각형상 패널의 네모서리에 위치한 스터드핀에 섀도우마스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부착하기 위한 지지체(20)에 있어서, 프레임(8)에 접착되는 고착부(31)와, 상기 고착부(31)와 일체로 형성되는 날개부(32)와, 상기 고착부(31)와 직각을 이루며 형성된 안내부(33)와, 대략 역삼각형상을 이루며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핀(34)과, 슬롯(35)을 갖는 체결부(36) 및 상기 고착부(31)에 연결되어 스터드핀 방향으로 구부러진 하측굴곡부(37)로 구성된 제1지지부재(30), 상기 제1지지부재의 체결부(36)에 결합되는 슬롯(57)을 포함하는 연결부(52)와, 상기 연결부(52)를 지지하는 판상부(51)와, 상기 판상부(51)와 일체를 이루며 스터드핀방향으로 구부러진 절곡부(53)와, 탈착작업시 상기 제1지지부재의 안내부(33)를 따라 접촉되어 미그러지는 접촉부(58)와 스터드핀에 고정되는 홀(54)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재와 마찬가지로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핀(61)을 갖는 지지부(55)와, 상기 판상부(51)에 연결된 하측굽힘부(59) 및 연장부(56)로 이루어진 제2지지부재(50),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자체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40)과,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결합시키는 체결봉(70)가 체결용 와셔(71) 및 와셔홈(72)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프레임 지지체.
KR2019910020149U 1991-11-22 1991-11-22 마스크프레임 지지체 KR9400026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0149U KR940002602Y1 (ko) 1991-11-22 1991-11-22 마스크프레임 지지체
US07/967,212 US5376863A (en) 1991-11-22 1992-10-27 Elastic supporting member for shadow mask frame
DE69217174T DE69217174T2 (de) 1991-11-22 1992-11-02 Elastisches Trägerelement für einen Lochmasken-Rahmen
EP92310031A EP0543525B1 (en) 1991-11-22 1992-11-02 Elastic supporting member for shadow mask frame
JP1992085890U JPH0749723Y2 (ja) 1991-11-22 1992-11-20 シャドーマスクフレーム用弾性支持部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0149U KR940002602Y1 (ko) 1991-11-22 1991-11-22 마스크프레임 지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062U KR930012062U (ko) 1993-06-25
KR940002602Y1 true KR940002602Y1 (ko) 1994-04-21

Family

ID=19322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0149U KR940002602Y1 (ko) 1991-11-22 1991-11-22 마스크프레임 지지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76863A (ko)
EP (1) EP0543525B1 (ko)
JP (1) JPH0749723Y2 (ko)
KR (1) KR940002602Y1 (ko)
DE (1) DE6921717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26512B (en) * 1999-10-22 2003-04-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athode ray tub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10096031A (ko) * 2000-04-17 2001-11-07 김순택 칼라 브라운관의 마스크 프레임 지지체
KR20010067970A (ko) * 2001-04-11 2001-07-13 박신하 브라운관 하울링 저감 방법
ITMI20051949A1 (it) * 2005-10-14 2007-04-15 Videocolor Spa Sistema di sospensione di un insieme quadro-maschera peer tubi a raggi catodici a colori
JP2007295379A (ja) * 2006-04-26 2007-11-08 Funai Electric Co Ltd 薄型テレビ
CN109487228B (zh) * 2018-10-18 2023-02-21 芜湖研历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等离子体化学气相沉积设备的掩膜框架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63924A (en) * 1935-05-08 1936-12-15 William B Hanko Lamp socket holder
US2493305A (en) * 1945-12-07 1950-01-03 Mckinney Arthur Cleveland Clothespin
NL161915C (nl) * 1973-06-14 1980-03-17 Philips Nv Kleurentelevisiebeeldbuis met kleurselectie-elektrode.
NL7316388A (nl) * 1973-11-30 1975-06-03 Philips Nv Kathodestraalbuis voor het weergeven van ge- kleurde beelden.
US3894260A (en) * 1973-12-12 1975-07-08 Zenith Radio Corp Color selection electrode suspension system with bimetal structures having orthogonal deflection components
NL8102182A (nl) * 1981-05-04 1982-12-01 Philips Nv Kleurenbeeldbuis.
US4827180A (en) * 1986-11-20 1989-05-02 Kabushiki Kaisha Toshiba Color picture tube with support members for the mask frame
DE3868968D1 (de) * 1987-04-16 1992-04-16 Toshiba Kawasaki Kk Schattenmasken-anbringung fuer farbkathodenstrahlroehre.
US4722120A (en) * 1987-06-23 1988-02-02 James Lu Spring clip
JP2534206B2 (ja) * 1987-12-03 1996-09-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シヤドウマスク構体
US4950941A (en) * 1989-07-21 1990-08-21 Rca Licensing Corporation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shadow mask-frame assembly support
US4959892A (en) * 1990-02-20 1990-10-02 Wang Bor Jou Structure of shaftless cl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43525B1 (en) 1997-01-29
DE69217174D1 (de) 1997-03-13
DE69217174T2 (de) 1997-07-10
JPH0548197U (ja) 1993-06-25
KR930012062U (ko) 1993-06-25
JPH0749723Y2 (ja) 1995-11-13
US5376863A (en) 1994-12-27
EP0543525A1 (en) 199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6072A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shadow mask suspension system
CA1049083A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shadow mask suspension system
KR940002602Y1 (ko) 마스크프레임 지지체
KR940003390Y1 (ko) 마스크프레임 지지체
EP0196604A2 (en) A color cathode ray tube
US5672935A (en) Supporting members for a color selecting electrode assembly
JP2534206B2 (ja) シヤドウマスク構体
KR0137107Y1 (ko) 마스크프레임 지지체
US4367430A (en) Shadow mask type color cathode-ray tube
KR940004493Y1 (ko) 마스크프레임 지지체
JPS63218126A (ja) カラ−受像管
US5880556A (en) Elastically supporting holder for a color cathode-ray tube
KR950003846Y1 (ko) 마스크프레임 지지체
US6271624B1 (en) Cathode ray tube having a fag with spring holder
US4812704A (en) Color television display tube
KR200149254Y1 (ko) 음극선관용 벌브 고정 구조
JP2529956B2 (ja) カラ−受像管
KR950000407Y1 (ko) 컬러음극선관의 마스크프레임 지지부재
KR200142867Y1 (ko) 음극선관용 콘택트스프링
KR950003265Y1 (ko) 컬러 음극선관의 코너 스프링
KR950002691Y1 (ko) 마스크프레임 지지체
KR200171428Y1 (ko) 음극선관 프레임 지지체
KR910004058Y1 (ko) 브라운관의 마스크지지체용 스프링
KR940004489Y1 (ko) 칼라 음극선관
KR0131605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지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