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577Y1 - 로타리 히이터의 버너구조 - Google Patents

로타리 히이터의 버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577Y1
KR940002577Y1 KR2019910022197U KR910022197U KR940002577Y1 KR 940002577 Y1 KR940002577 Y1 KR 940002577Y1 KR 2019910022197 U KR2019910022197 U KR 2019910022197U KR 910022197 U KR910022197 U KR 910022197U KR 940002577 Y1 KR940002577 Y1 KR 940002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burner body
cap
air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21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4916U (ko
Inventor
윤태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21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577Y1/ko
Publication of KR9300149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49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5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36Details, e.g. burner cooling means, noise reduction means
    • F23D11/40Mixing tubes or chambers; Burner heads
    • F23D11/402Mixing chambers downstream of the nozz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04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action being obtained by centrifugal action
    • F23D11/08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action being obtained by centrifugal action using a vertical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2/00Liquid fuel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ray-Type Bur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로타리 히이터의 버너구조
제 1 도는 종래 로타리히이터의 개략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로타리 히이터의 개략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기화실 100 : 버너헤드
102 : 유도면 103 : 염공
본 고안은 로타리 히이터의 버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열된 공기가 기화실내에서 정체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최적의 무화상태를 이룰 수 있게하는 로타리히이터의 버너구조에 관한 것이다.
로타리히이터는 석유와 같은 액체연료를 연소시켜서 실내를 난방 하는 것으로, 그러한 로타리 히이터는 일반적으로 무화된 액체연료와 버너내에 공급된 연속용공기를 예열히이터에 의해 가열시켜서 이로인해 기화된 혼합 가스를 염공을 통해 화염을 형성시킬 수 있는 버너가 구성된다.
이러한 버너구조를 가지는 종래 로타리 히이터를 제 1 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액체연료가 저유되는 연료탱크(1)가 하부에 구비되고, 그 우측 상부에는 선단에 노즐이 배설된 노즐파이브(21)와, 전자 펌프(2)가 수직으로 착설되어 상기 연료탱크(1)내의 액체연료를 펌핑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연료탱크(1)의 좌측 상단에는 에어필터(3)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에어필터(3)의 통공과 상호 일치되도록 블로워케이스(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블로워케이스(4)의 상부에는 임펠러(5)를 회전시킬수 있는 모터(51)가 장착된 블로워보디(6)가 설치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임펠러(5)에 의해 과잉 공급되는 연소용공기를 연소상태에 따라 강, 중, 약 3단계로 제어하는 블로워구멍(6a)이 통공되고, 이 블로워구멍(6a)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7)가 상기 블로워 보디(6)의 외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블로워보디(6)의 상부에는 외부버너보디(8)가 설치되고 이 외부버너보디(8)의 상측에는 복수개의 염공(9a)이 형성된 내부 버너보디(9)가 착설되는 것이며, 상기 내부버너보디(9)의 내측하부에는 스프레이접시(12) 및 스프레이팬(13)을 수용하도록 기화실(20)을 형성시킨 상부캡(10)과, 하부캡(11)이 대접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캡(11)의 하부측 외주면에는 예열히이터(14)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 써미스터(15)가 구비되며 하부캡(11)의 하부면에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이 통공보다 내측중앙과 외부버너보디(8)내의 하부측과의 사이에는 상기 블로워보디(6)내에서 연소공기가 상기 상부캡(10)과 하부캡(11)이 결합된 기화실(100)내에서 빠른 속도로 상승되도록 벤츄리작용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캡(11)을 통해 분출되는 혼합개스가 상승되면서 내부버너보디(9)의 염공(9a)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재(22)가 부착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버너보디(8)의 일측 상부에는 내부버너보디(9)의 염공(9a)을 통해 배출되는 혼합개스를 점화시키는 아그나이터(16)가 고정 설치되고, 그 타측에는 아그나이터(16)에 의해 점회된 불꽃을 감지하는 후레임로드(17)가 고정 설치되는 것이며, 또한 대류의 공기에 의해서 2차연소되면서 고온의 직접열이 상승 되도록 상기 외부 및 내부버너(8)(9)와 일정간격을 두고 방열통(18)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결합 구성된 종래 로타리 히이터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연료탱크(1)내의 액체연료를 전자펌프(2)의 펌핑작용으로 노즐 파이프(21)를 경유하여 스프레이접시(12)내의 노즐을 통해 분사시켜 스프레이접시(12) 및 스프레이팬(13)의 회전에 의해 상승되게 함과 동시에 스프레이팬(13)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스프레이접시(12)사이에 형성된 미세한 틈을 통해 무화된 액체연료가 분출되어 하부캡(11)의 외주면에 구비된 예열히이터(14)에 접촉하면서 기화되어 진다.
그리고, 실내의 공기가 임펠러(5)의 회전에 의해서 에어필터(3) 및 연소용공기를 유도하는 블로워케이스(4)를 통하여 상부캡(10)과 하부캡(11)에 의해 형성된 기화실(20)내로 공급되어지고, 이렇게 공급되는 연소용공기는 예열히이터(14)에 의해 가열됨과 동시에 기화된 액체연료와 혼합되어진다.
이렇게 액체연료와 혼합되어진 혼합가스는 연소용공기의 압력과 스프레이팬(13)의 회전력에 의해 하부캡(11)의 통공(11a)을 통해 외부버너보디(8)과 내부버너보디(9)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경유하여 상승되면서 내부버너보디(9)의 둘레에 형성된 복수개의 염공(9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짐과 동시에 아그나이터(16)에 의해 점화되어 화염을 형성하게 되고, 이 화염은 방열통(18)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유입되는 대류의 공기에 의하여 2차연소를 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로타리 히이터에 있어 무화된 액체 연료와 버너내에 공급된 연소공기를 가열시켜서 이로인하여 기화된 혼합가스를 염공을 통해 화염을 형성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버너의 구조에 있어, 구조가 하부캡과 대접원 상부캡의 상면이 수평상태로 막혀 구성되어지므로써 예열히이터로 가열된 공기와 연료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하부캡과 상부캡사이의 기화시내에서 연소시 연료와 혼합되고 남은 가열된 공기가 상부캡내부의 평평하게 단차진상면에 정체되어 혼합공간인 기화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연소실의 온도가 써미스터에 의해 감지되어 무화시키는데 필요한 적정온도(230℃-270℃)가 유지되어야 하는 특성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실재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무화되는 현상을 가져와 황염을 발생시키고 불완전연소를 유발시키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최적의 연소상태를 이룰 수 있게하는 로타리 히이터의 버너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열된 공기가 기화실내부에서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하는 버너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 버너구조는 예열히이터로 가열된 공기의 유동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완만한 만곡형으로 절곡되게 유도면을 가지는 버너헤드를 상부캡의 상부에 결합시켜서 혼합가스가 상승할때 염공을 통해 벤츄리작용에 의해 방사상으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로타리 히이터의 개략단면도로써, 이 로타리 히이터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외부버너보디(8)의 상부에 플랜지부(8a)가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측면둘레에는 써미스터(15)가 측면을 관통해서 열원으로 작용하는 예열히터(14)의 하부면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버너내의 기화온도감지 및 일정온도를 보상시켜주도록 도시하지 않은 마이콤의 신호에 따라 예열히터(14)를 통전시켜 주는 구조로 배설되어 있으며, 또한 측면둘레 일측에는 노즐파이프(21)가 통과되도록 통과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외부버너보디(8)하부에는 송풍모터(51)의 구동에 연동해서 회전되는 연소용공기 송풍팬(5)이 축설되고, 연소공기가 에어필터(3)를 통해 외부버너보디(8)내에 유도되도록 토출구멍이 형성된 블로워케이스(4)가 구성되며, 이 블로워케이스(4)의 하부에는 액체 연료가 저유되는 연료탱크가 갖추어진다.
상기 외부버너보디(8)와 대체로 비슷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외부버너보디(8)의 플랜지부(8a)에 얹혀짐과 동시에, 외부버너보디(8)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상부에 배설된 내부버너보디(9)가 구비되는데, 이 내부버너보디(9)는 상측 모서리가 완만한 곡면으로 라운딩되어서 외부버너보디(8)의 측면부와 일정한 간격을 통해 상승되는 2차연소용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토출구멍(9a)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내부버너보디(9)내의 하측단에는 중앙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작은직경으로 형성되도록 그 외형이 대체로 완만한 계단 형상으로 굴곡형성된 상부캡(10)이 아프르곤용접에 의해 배설되어 있다.
또, 상부캡(10)내의 하측둘레에는 바닥중앙에 유도구멍(11a)이 형성된 하부캡(11)이 갖추어지며 그 상부측 외주면에는 예열히터(14)가 구비되고, 바다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지대에 의해 모터(50)가 장착되며, 이 모터(50)의 상부에는 모터의 구동력에 따라 회전되는 모터축(50a)이 상기 하부캡(11)의 바닥에 형성된 유도구멍(11a)을 통해서 상부캡(10)과 하부캡(11)과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기화실(20)내에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축(50a)의 선단부에는 스프리에팬(13)과 스프레이접시(12)가 너트로써 체결 조립되어 있다.
이때 노즐파이프(21)는 연료탱크(1)에 구비된 전자펌프(2)로부터 연결되어 외부버너보디(8)에 형성된 통파구멍을 통해 외부버너보디(8)내에 수용됨과 동시에, 하부캡(11)의 유도구멍(11a)을 따라 모터축(50a)에 축설된 스프레이접시(12)의 속으로 도시하지 않은 노즐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부버너보디(9)의 상측에 얹혀져 화염을 방열통(18)으로 안내해서 방사효율을 높여주도록 상기 외부 및 내부버너보디(8)(9)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나사구멍과 일체적으로 체결조립되는 커버버너보디(19)가 구성되는데, 이 커버버너보디(19)는 테두리에 도시하지 않은 복수개의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이 나사구멍과 대체를 비슷한 위치의 일측에는 아그나이터(16)가 설치되며, 상기 아그나이터(16)과 비슷한 위치의 타측에는 후레임로드(17)가 구비된다.
또한, 커버버너보디(19)는 테두리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복수개의 나사구멍보다 외측방향으로 복수개의 나사구멍을 형성해서 커버버너보디(19)윌 상부면에 얹혀지는 방열통(18)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방열통(18)은 상기 커버버너보디(19)에 형성된 복수개의 나사구멍과 대응하는 복수개의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체결나사(19b)가 체결조립되도록 외측방향으로 플랜지(19a)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10)의 외곽 상면에는 버너헤드(100)가 체결나사(101)에 의해 체결되어지는데, 이 버너헤드(100)는 둘레에 복수개의 염공(102)이 형성되어지고, 그 상부면의 중앙을 스프레이접시(12)의 중심을 향해 소정깊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완만한 라운딩을 형성시킨 유도면(103)을 구성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버너헤드(100) 둘레에 통공된 염공(102)의 내측에는 혼합가스의 흐름속도를 제어 및 유도함과 동시에 외부기류에 의해 불꽃의 역화 및 불꽃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2겹으로 형성된 금속망(104)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결합 수성된 본 고안의 동작과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자펌프(2)에 의해서 노즐파이프(21)를 통과하여 도시하지 않은 노즐로부터 연료탱크(1)내의 액체연료를 분사시키게 되면 모터(50)의 회전력에 따라 연동되는 스프레이접시(12) 및 스프레이팬(13)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접시(12)면을 따라 상부로 상승됨과 동시에, 스프레이팬(13)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스프레이접시(12)와의 사이에 형성된 미세한 간극을 통해서 무화된 액체연료가 분출되어 하부캡(11)의 외주면에 구비된 예열히터(14)에 접촉되면서 기화된다.
이때, 외부버너보디(8)의 외측에 배설되며, 또한 블로워케이스(4)에 의해 감싸여진 또다른 송풍모터(51)에 의해 회전되는 연소용공기 송풍팬(5)의 회전력으로 실내의 공기가 에어필터(3) 및 연소용 공기를 유도하는 블로워케이스(4)를 통해서 상부캡(10)과 하부캡(11)의 결합으로 형성된 연소실(20)내에 공급되고, 이 연소용공기는 하부캡(11)의 외주면에 구비된 예열히터(14)에 의해 가열됨과 동시에, 기화된 액체연료와 혼합되어 혼합가스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혼합가스는 연소용 공기공급압과 스프레이팬(13)에 의해서 상부캡(10)에 형성된 상부유도구멍(10a)을 통과해서 버너 헤드(100)의 상부면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 유도면(103)에 의해 압력차를 발생시키므로써 염공(102)을 통과할 때 벤츄리작용을 하여 유도면(102)을 따라 방사상으로 분산됨과 동시에, 빠른속도로 복수개의 염공(10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서 아그나이터(16)에 의해 점화되어 화염을 형성하게 되고, 또 이 화염은 외부버너보디(8)와 내부버너보디(9)에 형성된 일정한 공간부를 통해 상승됨과 동시에, 내부버너보디(9)의 토출구멍(9a)을 통해 토출되는 2차연소용 공기에 의해서 연소된 고온의 직접열이 방열통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로타리 히이터에 있어 본 고안 버너헤드(100)는 상부면을 완만한 라운드형으로 굴고시킨 유도면(102)을 갖추어 염공(103)을 통해 배출되는 혼합가스에 벤츄리작용으로 압력차를 발생시키게 하므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가열된 공기의 일부가 연소시내에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최적의 무화온도를 얻을 수 있게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 로타리 히이터의 버너헤드 구조에 의하면 가열된 공기의 유동성을 증대시켜 최적의 무화조건의 온도를 만족시키므로써 연소의 안정화를 기하여 고열량의 난방효과를 얻을 수 있게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하부캡과 상부캡에 의해 형성되는 기화실에서 무회된 액체연료와 연소용공기를 가열시킨 후 기화된 혼합가스를 외부로 배출시켜 화염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되는 로타리 히이터의 버너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의 상부에 혼합개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유도하도록 유도면을 가지는 버너헤드를 갖춘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히이터의 버너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버너헤드는 외주면에 다수의 염공을 통공시키고, 상부에 스프레이접시의 중심을 행해 하향으로 경사지게 만곡시키며 그 외주면의 테두리까지 만곡되게 절곡시킨 유도면을 갖춘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히이터의 버너구조.
KR2019910022197U 1991-12-13 1991-12-13 로타리 히이터의 버너구조 KR940002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2197U KR940002577Y1 (ko) 1991-12-13 1991-12-13 로타리 히이터의 버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2197U KR940002577Y1 (ko) 1991-12-13 1991-12-13 로타리 히이터의 버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916U KR930014916U (ko) 1993-07-27
KR940002577Y1 true KR940002577Y1 (ko) 1994-04-21

Family

ID=19324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2197U KR940002577Y1 (ko) 1991-12-13 1991-12-13 로타리 히이터의 버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5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1445B2 (en) 2006-11-27 2009-06-23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1445B2 (en) 2006-11-27 2009-06-23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916U (ko) 199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633B1 (ko) 버 너
KR940002577Y1 (ko) 로타리 히이터의 버너구조
US9657938B2 (en) Fuel combustion system
US242380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urning liquid fuel
US4734029A (en) Burner for campstove
US2655455A (en) Method of decarbonizing a burner pot
US2620864A (en) Rotary oil burner
US4649897A (en) Vaporizer-burner
US2396675A (en) Liquid fuel burner
KR930003461Y1 (ko) 로타리 히터의 버너구조
US1249644A (en) Heater.
KR930003460Y1 (ko) 로타리 히터용 버너구조
KR100249225B1 (ko) 석유 연소기의 화염 활성화장치
KR950000611B1 (ko) 로타리 히터용 버너구조
US1076327A (en) Oil-burner.
JPH0719418A (ja) 触媒燃焼給湯装置
US1381708A (en) Automatic oil-burner for furnaces
US1654659A (en) Liquid-fuel burner
CA1112554A (en) Combustion apparatus for burning waste oils
KR910000082B1 (ko) 액체연료 기화식 버너
JPS6226683Y2 (ko)
US1429598A (en) Oil burner
US2501414A (en) Pressure atomizing type oil burner
KR940002579Y1 (ko) 난방기기의 2중연소구조
KR940004915B1 (ko) 로타리히터의 초기점화개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