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523A - 비조화부등비 복합수치차열의 횡축커플링 링크를 작동하는 치차열 및 그 사용장치 - Google Patents

비조화부등비 복합수치차열의 횡축커플링 링크를 작동하는 치차열 및 그 사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523A
KR940002523A KR1019920012797A KR920012797A KR940002523A KR 940002523 A KR940002523 A KR 940002523A KR 1019920012797 A KR1019920012797 A KR 1019920012797A KR 920012797 A KR920012797 A KR 920012797A KR 940002523 A KR940002523 A KR 940002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torsion
drive
drive gea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2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태허
Original Assignee
양태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태허 filed Critical 양태허
Priority to KR1019920012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523A/ko
Publication of KR940002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523A/ko

Link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복합수의 치차열을 커플링할 경우 축과 축 사이에는 종래외 기계적인 치자열의 커플링이 제한되어 있다.
그 구동치차열중 횡축커플링 치차역은 구동비가 동일하다. 그렇지 아니하면 맞물려 구동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 한다.
본 발명은 자동적인 로딩(loading)는 가역회전 발생시에 서로다른 출력속도비의 제공에 의해 속도비의 변화를 사용하는 서로다른 속도비 비조화 횡커플링치차열을 작동 및 사용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조화부등비 복합수치차열의 횡축커플링 링크를 작동하는 치차열 및 그 사용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비조화 부등비 복합수치차열의 횡축커플링 링크를 작동하는 치차열과 그 용융장치의 기본원리에 대한 개략도,
제2도는 동일방향의 구동체에서 비조화 부등비 복합수 치차열의 횡축커플링링크를 작동하는 치차열을 사용한 실시예의 개략도,
제3도는 멀티플 정지체(multiple stop organism)에서 비조화 부등비 복합수 치차열의 횡축커플링링크를 작동하는 치차열과 그 사용장치를 적용하는 실시예의 개략도,
제4도는 커플링 구조로 구성한 다단속도기어(multi speed gears)의 실시예 개략도,
제5도는 작동조절 마스터클러치(operating and controlling master clutch)에 접속된 본 발명의 치차열과 그 사용장치의 실시예 개략도,
제6도는 제5도의 작동특성 개략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기계적 타입의 설정할 수 있는 토션장치 개략도.

Claims (10)

  1. 하중의 전동비 다음에 자동적인 사용되는 서로다른 속도비의 비조화 횡 링크 작동을 하는 치차열을 가진 장치와 그 작동을 구성하거나 가역회전을 할때 출력속도비를 달리 구성하는 비조화 복합수 치차열의 횡축 커플링 링크를 위로 작동하는 치차열(mheel train)과 그 사용장치에 있어서, 단방향구동 기능을 주는 구동치차열과 두 구동축 사이의 토션에 따라 슬라이딩(sliding)을 할 수 있는 속도비를 달리한 구동치차열을 설치하고, 축 A를 사용하여 입력 또는 출력의 가역회전 또는 단방향회전을 행하고, 분리 또는 조합하여 기어, 마찰휨, 벨트풀리 및 체인휠을 구성한 구동치차여에서 그 구동치차열(101)은 축 A에 고정되고, 구동치차열(104)은 축 B에 고정되며, 구동치차열(102)은 그 전동토션(transinission torsion)을 제한시킬 수 있는 제한토션 커플러(resttiction torsion coupler)(106)와 결합하여 축 B의 구동치차열(104)과 커플링을 하는 축 A에 삽입되고, 구동치 차열(103)은 단방향 베어링(105)(또는 다른 단방향장치)과 결합한 다음 축 B에 삽입하에 그 구성특징은 구동치차열(101, 103)의 속도비가 구동치차열(102, 104)의 속도비와 다르도록하며; 그 제한토션은 일단 과잉의 전동토션이 그 구동치차열(102)가 축 A사이에 존ㅈ하며 그 치차열과 축 A에 슬라이딩을 하는 아이들작동(idle running)을 발생하도록하고; 위 구성에 의해 그 구동치차열(103)이 축 B의 단일베어링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며 그 구동치차열(102)는 그 구동치차열(104)보다 더 크며 구동치차열(103)은 구동치차열(101)보다 더 커저, (1)축 A는 주축으로, 도면의 화살표 방향에서볼때 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며 축 B는 출력축상태로 되고, (2)축 A는 주축으로 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볼때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며 축 B는 출력축상태로 되고, (3)축 A는 주축으로 두면의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양방향구동을 하며 축 B는 출력축상태로 되고, (4)축 B는 주축으로 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 볼때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며 축 A는 출력상태로되고, (5)축 B)는 구축으로 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 볼때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축 A는 출력축상태로 되고, (6)축 B는 도면의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양방향 구동을 하면 축 A는 출력축 상태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치차열과 그 사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1)축 B가 회전할때 축 A는 주축으로, 도면의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시계방향으로 구동하여 축 B가 출력축으로 되고 축 B의 하중은 구동치차열(102)이 구동치차열(104)에 의해 속도가 증가되므로 제한토션구동장치의 전동토션보다 더 저하되고, 그 구동치차열(101)의 직경보다 더 크므로 더 느리고, 아이들작동(idle running)을 축 B에 대하여 구동치차열(103)에 형성되며 이때 축 B는 속도가 감소되어 중간속도로 반시계방향으로 출력되며; 축 B는 하중이 제한토션구동치차열(106)의 정격토션을 초과할 경우, 축 A와 구동치차열(102) 사이에 슬라이딩(sliding)이 발생하여 축 B에 의해 축 B에 대하여 구동치차열(201)의 구동을 받아드리도록 하며 이때 축 B는 속도가 저하되어 중간속도로 반시계방향으로 출력되며; 증가되는 축 B의 하중이 제한토션 구동장치(106)의 정격토션을 초과할 경우, 축 A와 구동치차열(102)사이에 슬라이딩이 발생하여 축 B에 의해 그 구동치차열(203)에 대하여 구동치차열(201)의 구동을 받아드리도록 하여 동일방향으로 더 낮은 속도와 더큰 토션으로 출력하여 그 구조는 전기공구, 호이스트, 통신기계 또는 기계구조의 구동에 사용할 수 있으며; (2)축 A는 주축으로 도면의 화살표 방향에서 볼때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며 축 B는 출력축으로 속도가 저하되어 시계방향으로만 출력되고; (3)축 A는 주축으로 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 볼때 양방향구동을 하며 축 B는 출력축으로 위치(1) 및 (2)의 종합특성을 제공하며; 단방향베어링을 역으로 설정시킬 경우 역방향에서 동일기능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며; (4)축 B는 도면의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시계방향으로 구동하여 축 A는 출력축으로 속도가 증가되어 반시계방향으로 출력되며 그 구동치차열(102)이 그 제한토션구동장치에 의해 축 A에 대하여 슬라이딩을 발생하도록 하고; (5)축 B가 주축으로 도면의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 축 A는 속도를 감소시키는 출력으로, 시계방향으로 제한토션출력을 내며, (6)축 B는 주축으로 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 볼때 양방향구동을 하며 축 A는 위(4)와 (5)의 결합특성을 제공하는 출력축이며, 단방향베어링을 역으로 설치할 경우 역방향에서 동일기능을 달성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치차열과 그 사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그 구동체를 동일방향으로 작동시키며 그 주치차열과 구동치차열은 벨트풀리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풀리 또는 체인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휠(chain wheel)이며, 그 구동치차열은 축 A상에 고정되고, 구동치차열(204)은 축 B에 고정되며, 구동치차열(202)은 전동토션(transmission torsion)을 제한시킨 수 있는 제한시킬수 있는 제한토션커플러(coupler)(206)와 결합시켜 축 A에 삽입하여 체인 또는 볼트에 의해 동일방향에서 축 B의 구동치차열(204)과 함께 구동하며; 그 구동치차열(203)은 단방향베어링(205)(또는 타 단방향구동장치)과 결합하여 축 A에 삽입하고; 구동치차열(210, 203)의 속도비는 구동치차열(202, 204)의 속도비와 다르며; 그 제한토션커플러에 의해 구동치차열(202)과 축 A사이에 있는 과잉의 토션의 경우 슬라이딩하는 아이들작동을 발생하며; 상기 구조에 의해 단방향베어링(205)은 구동치차열(203)에 의해 그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축 B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도록하며, 구동치차열(202)은 구동치차열(204)보다 더 크고, 구동치차열(203)은 구동치차열(201)보다 더 크게 되어, (1)축 A는 그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주축이고, 축 B는출력축 상태에 있으며; (2)축 A는 그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주축이고 축 B는 출력축 상태에 있으며, (3)축 A는 그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양방향 구동을 하는 주축이며, 축 B는 출력축상태에 있고, (4)축 B는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주축이며 축 A는 출력축상태에 있어서; (5)축 B는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주축이고 축 A는 출력축상태에 있고; (6)축 B는 그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양방향구동을 하는 주축이며 축 A는 출력축상태에 있는 구성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차열과 그 사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그 구동체를 동일방향으로 작동시키며 그 주치차열과 그 구동치차열은 체인에 의해 체인휠 또는 그 벨트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풀리이며, 구동치차열은 축 A에 고정되고, 구동치차열(204)는 축 B에 고정되며; 구동치차열(202)은 전동토션을 제한시킬 수 있는 제한토션커플러(206)와 결합하여 축 A에 삽입시켜 체인 또는 벨트에 의해 동일방향에서 축 B의 구동치차열(204)가 동시에 구동하며; 구동치차열(203)은 단방향베어링(205)(또는 타단방향 구동장치)와 결합하여 축 B에 삽입하며; 그 구동치차열(210,203)의 속도비는 구동치차열(202,204)과 다르며, 그 제한토션 커플러에 의해 구동치차열(202)과 A사이에 있는 과잉 토션의 경우 슬라이딩 하는 아이들작동을 발생하며; 위 구조에 따라 단방향 베어링(206)에 의해 구동치차열(203)이 그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축 B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도록 하며, 구동치차열(203)은 구동치차열(201)보다 더 커 그 사용에 있어서, (1)축 A는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주축이며, 축 B는 출력축상태에 있고; (2)축 A는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주축이며 축 B는 출력축 상태에 있으며; (3) 축 A는 그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양방향구동을 하는 주축이며, 축 B는 출력축상태에 있고; (4) 축 B는 그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주축이며, 축 A는 출력축 상태에 있고; (5) 축 B는 그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주축이며, 축 A는 출력축 상태에 있고; (6) 축 B는 그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양방향구동을 하는 주축이며 축 A는 출력축상태에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치차열과 그 사용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1)축 A는 회전할 경우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주축이고 축 B는 출력축이며, 축 B는 하중은 구동치차열(204)이 구동치차열(202)의 전동토션보다 더 낮으며, 구동치차열(203)의 직경이 구동치차열(201)의 직경보다 더 크므로 그 속도는 더 낮아져 축 B에 의해 고속으로 출력되도록 하며; 축 B의 하중이 증가되어 그 제한구동장치의 정격토션을 초과할 경우 축 A와 구동치차열(202)사이에 슬라이딩(sliding)이 발생하며 축 B는 구동치차열(203)에 대하여 구동치차열(201)의 구동을 받아드리도록 하여 동일방향에서 속도가 더 느리게 토션이 더 크게 발생하며 그 구조는 전기공구, 호이스트, 통신기계 또는 기계구조에 사용되고; (2)축 A는 그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주축이며, 축 B만이 속도를 저하시키는 출력축으로 출력되고, 구동치차열(202)은 슬라이딩을 하는 아이들작동을 제공하며; (3)축 A는 그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양방향구동을 하는 주축이며 축 B는 위(1) 및 (2)의 결합특성을 제공하는 출력축이며, 단방향베어링을 역으로 설정시켜 구동치차열(203)을 축 B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할 경우 역방향에서 동일한 기능이 얻어지며; (4)축 B는 그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주축이며, 축 A는 속도를 저하시키는 출력축으로 제한토션출력을 시계방향으로 발생하고; (5)축 B는 그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주축이며, 축 A는 증속하는 주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출력되고 그 구동치차열(202)에 의해 그 제한토션장치(206)을 통하여 축 A에 대하여 슬라이딩을 발생하도록 하며, (6)축 B는 그 화살표방향에서 볼때 양방향으로 구동을 하는 주축이며 축 A는 위(4)와 (5)의 결합특성을 제공하는 출력축이며; 그 단방향베어링을 역으로 설정시켜 그 구동치차열(203)에 의해 그 축 B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도록 할때 역방향에서 동일한 기능이 얻어지도록 사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치차열과 그 사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축 A 또는 B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원동력원(source of motive force)은 모터, 엔진 또는 자연력의 기계적회전 또는 인력(man power)으로 구동되는 구동원, 반경방향구조 또는 축방향구조로 되게 구성한 제한토션구동장치 및 언스키드기어(unskid gear) 또는 체인휠 또는 슬라이딩벨트풀리 또는 마찰휠을 구성하며, 그 구동치차열을 구성시켜 방향구동 또는 슬라이딩을 직접 발생하여 축력 및 슬라이딩을 할때 그 사용되는 구동체에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치차열 및 그 사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토션슬라이딩을 고정할 수 있는구동치차열세트와 단방향구동기능을 제공하는 구동치차열 세트의 중간섹션 치차열을 증가시키도록 하여 그 중간섹션 치차열 사이에 전동비의 증감이 발생하며, 그 설정토션 구동치차열의 축에 설정된 중간섹션 구동치차열세트의 구동치차열이 각각의 설정토션 구동장치(그 토션은 같거나 추가선택할 수 있음)와 각각의 단방향 구동베어링을 동일작동방향으로 커플링되어(coupled) 그 중간섹션 치차열세트의 구동치차열에 설정되고 단방향구동기능을 제공하는 구동치차열의 축상에 설정되며, 그 구조는 위 두 섹션구조에 하중토션의 전동비에 따라 확대되도록 하여 그 행정(throw)을 감소시키는 더 많은 섹션을 구비하며, 멀티플섹션(multiple section)구조는 속도비증가타입, 속도비 감소타입 또는 그 혼합타입을 구성하며; 위 구성사용에서 그 중간섹션치차열의 토션선택은, (1) 최종섹션이 최대 증속섹션의 증가속도비를 가질때 그 중간섹션 구동구성요소와 축 사이에 설정토션장치(316)의 토션은 최종섹션 설정토션장치(306)의 토션보다 더 크며, 그 중간섹션구성요소와 그 축 사이의 단방향베어링(315)방향은 최종섹션의 방향과 동일하며; (2)그 최종섹션은 최대의 속도감소섹션의 감소속도비를 가지며, 그 중간섹션 설정토션장치(316)의 토션은 그 최종섹션의 설정토션장치(306)의 토션보다 더 적으며; (3)그 선택원리는 직렬및 병렬처리를 하기 위하여 위에서와 같이 동일하며; 더 많은 섹션의 예는 위 원리에 따라 행하여지도록 하고 동일방향의 구동체인휠 또는 벨트풀리에의 사용역시 위 원리에 따라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치차열 및 그 사용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두 섹션이상의 다수섹션은 사용함으로써 그 다단속도기어에 의해 그 제한토크베어링의 슬라이딩속도차를 고속으로 감소시키며 그 손실을 더 감소시키는 커플링구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치차열 및 그 사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단방향베어링을 상호 커플링을 한 구동구성요소중 하나와 커플링축 사이에 설치하며; 그 설정토션 슬라이딩 구성요소는 직접 커플링을 하는 구동치차열 구성요소중 하나와 그 커플링축 사이에 설정하도록 하는 구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치차열 및 그 사용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조절할 수 있는 마스터클러치를 병렬접속시켜 그 과잉의 토션검출장치를 기계적타입의 설정토션장치와 함께 설치하고 그 설정토션장치로 커플링을 할 수 있는 토션검출장치와 그 구동치차열과 공통축 사이의 커플링토크를 전통하는 그 축의 구동그 T조 사이에 토션검출장치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마스터 클러치세트를 병렬접속하여 과잉의 토션이 발생할 경우 과잉의 검출장치를 구성한 설정토션장치가 연속적으로 슬라이딩하여 그 과잉의 토션 검출장치의 검출신호를 유지하며 그 과잉의 토션검출장치의 검출신호를 유지하며 그 마스터클러치세트를 차단하는 과잉의 토션상태에 있도록하며, 에디 컵플링타입 또는 전자구동타입을 사용할 경우 더 적은 전자커플링력을 그 커플링력모멘트 대부분이 그 마스터클러치세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과잉의 토션검출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지속되게 하고, 감소시켜 그 설정토션장치의 커플링토크내에 있도록 하는 하중토크 또는 하중이 없어질때, 그 과잉의 토션검출장치에 의해 마스터 클러치의 폐쇄를 조절하도록 하고; 위 과잉의 토션검출장치세트는 전기기계, 전자 또는 유체역학적 타입의 기계에 의해 구성하도록 하여 에디커플링타입, 전자구동타입으로 결합하며 스위치의 마스터클러치가되게 작동하며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치차열 및 그 사용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20012797A 1992-07-16 1992-07-16 비조화부등비 복합수치차열의 횡축커플링 링크를 작동하는 치차열 및 그 사용장치 KR940002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2797A KR940002523A (ko) 1992-07-16 1992-07-16 비조화부등비 복합수치차열의 횡축커플링 링크를 작동하는 치차열 및 그 사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2797A KR940002523A (ko) 1992-07-16 1992-07-16 비조화부등비 복합수치차열의 횡축커플링 링크를 작동하는 치차열 및 그 사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523A true KR940002523A (ko) 1994-02-17

Family

ID=67147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2797A KR940002523A (ko) 1992-07-16 1992-07-16 비조화부등비 복합수치차열의 횡축커플링 링크를 작동하는 치차열 및 그 사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5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461A (ko) * 2020-12-07 2022-06-14 강성원 패류 탈각 가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461A (ko) * 2020-12-07 2022-06-14 강성원 패류 탈각 가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018B1 (ko) 무단 변속기
JP5058992B2 (ja) 比制限装置
CN1873259A (zh) 带有一直接低速档模式和两分支高速档模式的三模式连续可变传动装置
KR960706615A (ko) 토오크를 제어할 수 있는 연속 가변변속기(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apable of torque control)
CA2363653A1 (en) Hydro-mechanic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S62209262A (ja) 動力変速伝動装置
JPH06331000A (ja) 車両用無段変速装置
KR940002523A (ko) 비조화부등비 복합수치차열의 횡축커플링 링크를 작동하는 치차열 및 그 사용장치
EP0508718A1 (en) Automatic transmission
US10926980B2 (en) Drive device for the spool of a winch
JPH0835545A (ja) 無段変速装置
US4395248A (en) Multi-speed transmission
EP2516893A1 (en) Automatic transmission with torque converter, a dnr gear group, and a cvt uni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RU93029013A (ru)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ая передача с саморегулируемым бесступенчатым голономным вариатором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механическим трансформатором момента)
JPS62261735A (ja) 機械的トルクコンバ−タ装置
KR970008220B1 (ko) 무단변속기
RU1788231C (ru) Механизм подачи очистного комбайна
KR0154072B1 (ko) 차량용 무단 변속기
KR19980017051U (ko) 자동차용 무단변속장치
KR0158167B1 (ko) 차량용 무단 변속장치
KR20060057887A (ko) 차량의 무단 변속기
CN108278331A (zh) 最终驱动子系统、传动系统、机动车辆、用于驱动机动车辆的方法
KR20060115388A (ko) 연속 가변 변속기
JPH05240322A (ja) 非調和不等比の複数輪の係合連動装置
CA2073158A1 (en) Cross coupling linking-up wheel train of nonharmonious unequal ratio complex number wheel trains and th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