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404Y1 -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404Y1
KR940002404Y1 KR2019910025050U KR910025050U KR940002404Y1 KR 940002404 Y1 KR940002404 Y1 KR 940002404Y1 KR 2019910025050 U KR2019910025050 U KR 2019910025050U KR 910025050 U KR910025050 U KR 910025050U KR 940002404 Y1 KR940002404 Y1 KR 9400024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or
operation panel
window
immersed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5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344U (ko
Inventor
다이스케 구라치
쥰이찌 고자와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200153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3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4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4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작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장치를 구비한 가스테이블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조작장치의 요부절단 측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인 조작장치의 요부분해 사시도.
제 4 도는 조작자가 눌려진 상태에 있어서의 요부절단 측면도.
제 5 도는 또다른 실시예의 절단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조작장치 1 : 조작패널
3 : 조작자 5 : 창부
16 : 오목부
본 고안은 조작패널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누름조작이 자유로운 조작자를 구비한 조로 가스기구용의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스기구의 조작패널에 형성한 투과창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누름보턴형이나 열쇠형의 조작자를 배치하고 이 조작자를 누름조작하므로써 피조작부재인 안전밸브를 눌러 밸브를 열게함과 동시에, 점화스위치를 닫아서 가스기구를 점화하도록한 조작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조작장치에는, 일반적으로 조작자를 누름조작할 때에 손가락이 조작패널에 걸리지 않도록, 조작자의 누름 종단위치(終端位置)를 조작자의 조작면이 조작패널의 외표면과 거웨 면일치하도록 또는 돌출되도록 한 위치로 설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조작자가 종단위치에 있을 때의 조작패널의 외표면에서 몰입(沒入)되지 않게 하면, 조작자의 스으로크를 길게 했을 경우, 조작자를 시단위치(始端位置)로 되돌렸을 때에는 조작자가 조작패널 외측으로 크게 돌출되기 때문에, 의복등이 조작자에 걸리기 쉬운 장애물이 되며, 또 외관을 손상시킨다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또, 피조작부재의 조립오차등으로 인하여 조작자를 소정의 종단위치보다도 더 누르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들면 안전밸브의 조립위치가 뒷쪽으로 치우쳐져서 조립되었을 경우에는 조작자를 규정된 스트로크 이상으로 누르지 않으면 안전 밸브를 누를 수 없기 때문에 밸브를 열 수 없게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종단위치를 조작자의 조작면이 조작패널의 외표면과 면일치되도록한 위치로 설정한 것에서는, 조작자를 그 종단위치보다도 더 눌러야 할 경우에는, 손가락이 조작패널에 걸리지 않도록 손가락을 세워서 손끝으로 조작자를 누르지 않으면 않되므로 조작성이 나쁘게 된다. 한편, 피조작부재의 조립오차를 고려하여 종단위치를 상기의 위치보다 앞측에 설정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와같은 것에서는 시단위치에 있어서의, 조작자가 조작패널로부터 돌출되는, 돌출길이가 종단위치를 앞축으로 설정하는 만큼 길어지게 되므로, 조작 스트로크를 길게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조작자가 방해물이 되거나 외관을 손상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조작자를 조작패널의 외표면에서 몰입되는 위치까지 손가락을 세워서 손끝으로 꽉 누르지 않고서도 누름조작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소한 조작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조작패널 외측으로 돌출되는 누름조작이 자유로운 조작자를 구비한 조작장치에 있어서, 조작패널에 조작자를 워 통과시키는 창부를 형성하여 조작자를 이 창부에서 몰입되는 위치까지 누를 수 있게 하고, 또 이 창부의 트인입구 가장자리부에 조작자를 누름조작하는 손가락에 대한 이스케이프(esoape)로서의 내측으로 오목하게한 오목부(16)를 형성했다.
창부의 트인구멍 가장자리부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작자를 손가락을 세워서 손끝으로 꽉 누르지 않더라도 조작자를 창부에서 몰입되는 위치까지 누를 수 있다.
본 고안의 장치를 제 1 도에 나타내는 1쌍의 곤로부(1a)와 그릴부(1b)를 가진 가스테이블(1) 앞면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패널(2)에 배치한 곤로용 및 그릴용의 각 조작장치(A)에 적용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작장치(A)는, 제 2, 3 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조작패널(2)앞측으로 돌출되는 조작자(3)를 구비한 것으로서, 이것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조작패널(2) 배면에 조작자(3)용의 지지틀(4)을 부착하고, 이들 조작패널(2)과 지지틀(4)에 각각 창구멍(5a), (5b)을 형성하여 조작자(3)를 끼워 통과시키는 창부(5)를 구성함과 아울러, 이 지지틀(4)의 후방으로 구부린 양측측판(4a), (4a)상단에 힌지(4b), (4b)를 형성하고, 또한 조작자(3)에 상측으로 연장되는 레버부(3a)를 형성하고 이 레버(3a)의 상단부 양측에서 돌출된 핀(3b)을 상기 힌지구멍(4b)에 걸어맞춰서 핀(3b)를 지지점으로 하여 움직이는 열쇠형의 조작자(3)를 구성했다. 도면중 4c는 지지틀(4) 배면에 돌출설치한 안내돌기를 나타내며, 이 돌기(4c)를 상기 레버(3a)에 형성한 안내구멍(3c)에 끼워서 조작자(3)가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했다. 4d는 지지틀(4)에 형성한 경량구멍이다.
가스테이블(1)내에는, 조작자(3)가 맞닿아 있는 조작간(操作杆 : 6)에 의해서 조작되는 -전자안전밸브(7)와 개폐밸브(8)가 조합된 밸브유니트(9)가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간(6)을 지지하는 밸브유니트(9)에 고정된 지지부재(10)에, 조작간(6)에 형성한 캠홈(11)에 걸어맞추는 핀부재(12)를 부착하여 공지의 하트캠형의 푸시푸시구조로 구성하므로써 조작자(3)가 조작패널(3) 앞측으로 돌출되는 시단위치에서 상기 양 밸브(7), (8)를 후방으로 눌러 밸브를 열게하는 종단위치까지 누름조작이 자유롭도록 함과 아울러, 종단위치로부터의 조작자(3)의 복귀동작을 -전자안전밸브(7)의 누름조작은 해제하나 개폐밸브(8)의 밸브를 열린상태로 유지시키는 -중간위치에서 정지시키고, 이 중간위치에서 또한번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조작자(3)를 시단위치로 복귀하도록 했다. 도면중 13은 화력조절밸브, 14는 화력조절레버를 나타내며, 이 레버(14)는 조작패널(2)에 형성한 슬릿(15)을 통하여 앞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런데, 조작자(3)를 종단위치로 누름조작을 할 때에는, 조작자(3)에 조작간(6), 안전밸브(7) 및 개폐밸브(8)의 각 되돌림 스프링(6a), (7a), (8a)에 의한 반력이 작용하므로, 조작자(3)의 조작력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조작자(3)와 조작간(6)이 맞닿는부(3d)를 상측의 핀(3b)에 근접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렇게할 경우에는 손가락(a)으로 꽉 누르는 조작자(3)의 하부에조작 스토로크를 크게 취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시단위치에 있어서의 조작자(3)의 조작패널(2)에 대한 돌출길이를 단축하기 위해서는 종단위치를 조작패널(2)의 외측면에서 몰입된 위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밸브유니트(9)의 조립위치가 후방으로 치우친 경우, 전자안전밸브(7)에 부착된 흡착편(7b)이 열전대등의 불꽂검지소자의 출력에 의해서 여자되는 전자석(7c)에 확실하게 맞닿을 수 있도록, 조립오차분 만큼의 여분으로 조작자(3)를 누를 필요가 있으므로, 정규의 종단위치를 조작자(3)가 조작패널(2)의 외표면에서 몰입되지 않는 위치로 설정할 경우에도 조작자(3)가 몰입되는 위치까지 눌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실시예에서는, 제 4 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조작자(3)의 하단부가 상기 창부(5)에서 몰입되는 위치까지 누를 수 있게, 또 통상의 형태에서 조작자(3)를 누를경우에는, 손가락(a)의 손끝 이외의 부분이 조작자(3)하측에 맞닿는 것을 고려하여, 조작패널(2)의 창구멍(5a)을 조작자(3)의 하단부다 하단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지지틀(4)에 형성한 창구멍(5b) 하측의 트인구멍 가장자리부를 뒤쪽으로 오목하게 한-손가락(a)에 대한 이스케이프로서의 오목부(16)를 형성하여, 조작자(3)를 대한 이스케이프로서의 오목부(16)를 형성하여, 조작자(3)를 손가락을 세워서 손끝으로 꽉 누르지 않더라도 조작자(3)를 창부(5)에서 몰입되는 위치까지 누를수 있도록 했다.
또한, 본 고안의 장치를 조작자(3)를 열쇠형으로 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제 5 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조작자(3)를 조작간(6)의 선단에 부착한 누름보턴형으로 구성한 경우에서도, 조작패널(2)에 형성한 창부(5)의 트인입구 가장자리부에 오목부(16)를 형성하므로써, 조작자(3)를 창부(5)에서 몰입되는 위치까지 누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장치는 가스기구용 조작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조작자를 손끝으로 꽉 누르지 않더라도 조작자를 창부에서 몰입되는 위치까지 누를 수 있기 때문에, 조작자의 시단위치에 있어서의 조작패널로부터의 돌출길이를 증대시키지 않고 조작자의 조작 스트로크를 조작성을 손상시키지 않게 크게 취할 수 있으며, 외관이 양호하고 피조작부의 조립오차에 의한 조작자의 누름량의 증가에 대해서도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조작패널 외측으로 돌출되는 누름조작이 자유로운 조작자를 구비한 조작장치에 있어서, 조작패널(2)에 조작자(3)를 끼워 통과시키는 창부(5)를 형성하여 조작자(3)를 이 창부(5)에서 몰입되는 위치까지 누를 수 있게 하고, 또 이 창부(5)의 트인입구 가장자리부에 조작자(3)를 누름조작하는 손가락(a)에 대한 이스케이프로서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한 오목부(1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KR2019910025050U 1991-01-24 1991-12-30 조작장치 KR94000240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759 1991-01-24
JP195991U JPH0499695U (ko) 1991-01-25 1991-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344U KR920015344U (ko) 1992-08-17
KR940002404Y1 true KR940002404Y1 (ko) 1994-04-14

Family

ID=11516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5050U KR940002404Y1 (ko) 1991-01-24 1991-12-30 조작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99695U (ko)
KR (1) KR9400024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6957A1 (en) * 2003-10-16 2005-04-28 Mu Yeong Lee A glass fish bowl which becomes curved surf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6957A1 (en) * 2003-10-16 2005-04-28 Mu Yeong Lee A glass fish bowl which becomes curved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344U (ko) 1992-08-17
JPH0499695U (ko) 199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20060A (ko) 트리거 밸브 조립체
KR940002404Y1 (ko) 조작장치
JPH05215342A (ja) マイクロ波オーブンの始動待機位置設定装置
KR890005333B1 (ko) 누름보턴 스위치의 조작장치
JPH0642254Y2 (ja) ガステーブル用操作装置
JPH0447868Y2 (ko)
JPH0142729Y2 (ko)
JP2000055362A (ja) ライターカバー着火装置
JPH0252173B2 (ko)
JP3057954B2 (ja) 操作スイッチの保護カバー
JP2520708Y2 (ja) 電子レンジ
KR100294457B1 (ko) 조리용 그릴
KR910002171Y1 (ko) 온수기의 누름버튼식 조작장치
KR930003240Y1 (ko) 비데오 카메라용 스위치놉 조립체
KR100412105B1 (ko) 전자렌지
KR920003899Y1 (ko) 전자렌지의 도어 개폐장치
JPH02603Y2 (ko)
JPH0325034Y2 (ko)
KR200266056Y1 (ko) 안전장치가 부착된 버너용 밸브
KR960023452A (ko) 드럼 세탁기의 도어스위치
JPH0522702Y2 (ko)
KR890002128Y1 (ko) 휴대용 가스버너의 안전장치
JP3751468B2 (ja) ガスこんろのガス弁操作装置
JPH0512652Y2 (ko)
KR970004888Y1 (ko)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