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972B1 - 디지탈 화상입력 광학계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화상입력 광학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972B1
KR940001972B1 KR1019910015346A KR910015346A KR940001972B1 KR 940001972 B1 KR940001972 B1 KR 940001972B1 KR 1019910015346 A KR1019910015346 A KR 1019910015346A KR 910015346 A KR910015346 A KR 910015346A KR 940001972 B1 KR940001972 B1 KR 940001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light receiving
moving screw
em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169A (ko
Inventor
김재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도리코
Priority to KR1019910015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972B1/ko
Publication of KR930007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9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탈 화상입력 광학계 장치
제1도는 종래의 광학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제1a도는 기존 복사기의 광학계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제1b도는 기존 팩시밀리 광학계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도로서, 제2a도는 요부 사시도, 제2b도는 정면도, 제2c도는 평면도.
제3도는 동력의 전달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고 2 : 광원
3, 4, 5, 7 : 반사경 6 : 렌즈
8 : 드럼 9 : 광로
10 : 수광소자 11 : 발광부
12 : 수광부 13 : 발광부 이동나사축
14 : 수광부 이동나사축 15 : 발광부 전달기어
16 : 수광부 전달기어 17 : 모터
18 : 모터기어 19, 20 : 발광부 지지축
21, 22 : 수광부 지지축 23 : 선단센서
24 : 후단센서 25 : 고정벽
본 발명은 광학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탈 신호로 화상을 독취하는 디지탈 화상입력 광학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을 제1도를 통하여 살펴보면, 제1도는 종래의 광학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제1a도는 기존 복사기의 광학계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제1b도는 기존 팩시밀리 광학계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1은 원고, 2는 광원, 3, 4, 5, 7은 반사경, 6은 렌즈, 8은 드럼, 9는 광로, 10은 수광소자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제1a도에 도시한 복사기 광학계 장치에 관해 살펴보면, 이 방식은 광원(2)이 이동하면서 고정된 원고(1)에 빛을 반사하여 반사경(3, 4, 5, 7)들을 통해 고정된 수광부, 즉, 드럼(8)으로 보내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 방식은 광원(2)이 이동하고 드럼(8)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화상의 전달 길이가 일정한 속도로 변화하기 때문에 이 변화를 없애기 위해 반사경(3, 4, 5)을 광원(2)과 일정한 비율의 속도로 이동하게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제1b도에 도시한 팩시밀리 광학계 장치는 광원(2)이 고정되어 이동하는 원고(1)에 빛을 반사시켜 반사경(3, 4, 5)을 통해 고정된 수광부, 즉, 수광소자(10)에 보내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 방식은 고정된 광원(2)과 수광소자(10)에 원고가 이동하여 계속적인 화상 연결이 가능하나, 원고의 이동에 따른 화상품질의 저하는 어느 한계이하로 줄이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원고(1)를 고정시켜 화상 품질의 저하를 막음으로 화상품질을 양질로 유지할 수 있고, 광원(2)의 이동에 따른 렌즈(6) 및 반사경(3, 4, 5)의 비례적인 이동을 없애므로 전체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디지탈 화상입력 광학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제2도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도로서, 제2a도는 사시도, 제2b도는 정면도, 제2c도는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서, 11은 발광부, 12는 수광부, 13은 발광부 이동나사축, 14는 수광부 이동나사축, 15는 발광부 전달 기어, 16은 수광부 전달기어, 17은 모터, 18은 모터기어, 19, 20은 발광부 지지축, 21, 22는 수광부 지지축, 23은 선단센서, 24는 후단센서, 25는 고정벽을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17)와, 상기 모터(17)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17)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기어(18)와, 상기 모터기어(18)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발광부 및 수광부 전달기어(15, 16)와, 상기 발광부 전달기어(15)에 연결된 발광부 이동나사축(13)과, 상기 발광부 이동 나사축(13)에 끼워져 이동나사축(13)의 회전에 따라 축상을 직선운동하며 광원(2)과 제1반사경(3)을 포함하여 구성된 발광부(11)와, 상기 수광부 전달기어(16)에 연결된 수광부 이동나사축(14)과, 상기 수광부 이동나사축(14)에 끼워져 이동나사축(14)의 회전에 따라 축상을 직선운동하며 받아들인 빛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해 주는 수광소자(10)와 렌즈(6)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광부(12)와, 상기 발광부(11)의 운동거리 제한을 위해 발광부(11)의 이동나사축(13)상에서의 운동시작 지점과 운동종착 지점에 각각 설치된 선단센서(23) 및 후단센서(24)와, 상기 발광부(11)에서 발광되는 빛의 수광부(12)까지의 광로(9)를 만들어 주기위해 설치되는 제2, 제3반사경(4, 5)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고정벽(25)는 상기 이동나사축(13, 14)의 일측과 지지축(19 내지 22)양측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며, 상기 이동나사축(13, 14)의 다른 일측은 상기 전달기어(15, 16)에 연결되어 고정되는데 단부가 반원형 절단되어 전달기어(15, 16)에 삽입고정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모터(17)의 동력(회전력)은 모터기어(18)을 통해 수광부 전달기어(16)와 발광부 전달기어(15)로 전달되며, 여기서 각각의 전달기어는 동일한 기어 모듈 및 잇수를 가지고 있어 동일한 수의 회전을 한다. 상기 전달기어(15, 16)의 회전력은 수광부 이동나사축(14)과 발광부 이동나사축(13)을 회전시키는데 상기 두 이동나사축(13, 14)도 동일한 수의 회전을 한다. 상기 두 이동나사축(13, 14)의 회전은 두 이동나사축(13, 14)의 지름과 피치가 동일하여 각각의 축에 끼워진 발광부(11)와 수광부(12)를 축상에서 동일한 거리로 직선왕복 운동 시키는데, 이는 발광부(11) 또는 수광부(12)의 이동나사축(13, 14)과의 접속홀(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발광부(11)와 수광부(12)의 정확한 직선왕복 운동을 위하여 각각 동일한 크기의 지지축(19 내지 22)이 상기 발광부(11)와 수광부(12)의 양측에 끼워져 운동안내 기능을 담당한다.
발광부(11)의 광원(2)에서 발생되는 빛은 원고(1)에 반사되어 반사경(3)을 지나 반사경(4)에 도달하고 반사경(4)은 광로(9)를 하향으로 직각 변화시켜 반사경(5)으로 보낸다. 반사경(5)은 도달된 빛를 수평으로 직각 변화시켜 수광부(12)로 보내고, 수광부(11)의 렌즈(6)에서 집광되어 수광소자(10)에서 디지탈 화상신호로 만들어지게 된다.
최초의 화상정보를 독취하기 시작하는 위치는 선단센서(23)에 의해 결정되며 발광부(11)의 최대 이동량은 후단센서(22)에 의해 결정된다. 다시말하면, 상기 발광부(11)가 선단센서(23)에 의해 감지되고 있을 때만 상기 발광부(11)를 기동시키는 모터(17)의 회전이 전달되고, 후단센서(22)에 상기 발광부(11)가 감지되면 바로 모터(17)가 역회전하여 발광부(11)를 원위치로 되돌리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발광부(11) 또는 수광부(12)의 이동범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센서(22, 23)를 두어 제어할 수도 있지만 모터의 회전시간을 제어하여 이동범위를 제어할 수도 있다.
결국, 이렇게 되면 각각의 원고(1)의 크기에 따른 발광부(11)의 이동량은 원고(1)의 크기를 이동나사축(13, 14)의 피치로 나눈값이 된다. 즉, 모터회전수=(원고크기)/(이동나사축의 피치)가 된다.
제3도는 동력의 전달상태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모터(17)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발광부 및 수광부 전달기어(15, 16)은 동일한 회전을 하지만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빛이 이동하는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원고를 이동하지 않으므로 원고의 사용방식은 복사기의 방식을 이용한 것이고, 화상의 처리는 팩시밀리 방식을 이용한 것이므로 양자의 장점만을 취한 고성능의 광학계 장치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수광부(12)와 발광부(11)가 항상 동시에 동일한 이동량을 가지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원고(1)의 이동이 없으므로 원고(1)의 비틀림등의 문제가 제거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광학계 장치에 있어서,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17)와, 상기 모터(17)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17)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기어(18)와, 상기 모터기어(18)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발광부 및 수광부 전달기어(15, 16)와, 상기 발광부 전달기어(15)에 연결된 발광부 이동나사축(13)과, 상기 발광부 이동나사축(13)에 끼워져 이동나사축(13)의 회전에 따라 축상을 직선운동하며 광원(2)과 제1반사경(3)을 포함하여 구성된 발광부(11)와, 상기 수광부 전달기어(16)에 연결된 수광부 이동나사축(14)과, 상기 수광부 이동나사축(14)에 끼워져 이동나사축(14)의 회전에 따라 축상을 직선운동하며 받아들인 빛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해 주는 수광소자(10)와 렌즈(6)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광부(12)와, 상기 발광부(11)의 운동거리 제한을 위해 발광부(11)의 이동나사축(13)상에서의 운동시작 지점과 운동종착 지점에 각각 설치된 선단센서(23) 및 후단센서(24)와, 상기 발광부(11)에서 발광되는 빛의 수광부(12)까지의 광로(9)를 만들어 주기위해 설치되는 제2, 제3반사경(4, 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입력 광학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 전달기어(15)와 수광부 전달기어(16)는 동일한 기어 모듈 및 잇수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입력 광학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 이동나사축(13)과 상기 수광부 이동나사축(14)은 동일한 지름 및 피치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입력 광학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11)와 상기 수광부(12)의 정확한 직선왕복 운동을 위하여 상기 발광부(11)와 상기 수광부(12)의 양측에 끼워져 운동안내 기능을 하는 각각 동일한 크기의 지지축(19 내지 2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입력 광학계 장치.
KR1019910015346A 1991-09-03 1991-09-03 디지탈 화상입력 광학계 장치 KR940001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5346A KR940001972B1 (ko) 1991-09-03 1991-09-03 디지탈 화상입력 광학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5346A KR940001972B1 (ko) 1991-09-03 1991-09-03 디지탈 화상입력 광학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169A KR930007169A (ko) 1993-04-22
KR940001972B1 true KR940001972B1 (ko) 1994-03-12

Family

ID=1931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346A KR940001972B1 (ko) 1991-09-03 1991-09-03 디지탈 화상입력 광학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9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169A (ko) 199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8650A (en) Lens barrel using a surface wave motor
US6654063B1 (en) Image inverting device
KR940001972B1 (ko) 디지탈 화상입력 광학계 장치
EP0273382A2 (en) Drive control of zoom lens in zooming system
US4320947A (en) Camera with automatic focusing device
US5875042A (en) Image scanner
US4531831A (en) Variable magnification image formation apparatus
US5724173A (en) Optical scanning device
US5727235A (en) Zoom strobe device
US5075719A (en) Lens driving device
US4730901A (en) Lens barrel with internal motor focusing
KR100334103B1 (ko)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JP2853924B2 (ja) イメージスキャナの縮小光学機構
KR100452852B1 (ko) 확대 광학계 및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 장치
US5765047A (en) Lens shutter camera having a zoom viewfinder mechanism and an adjustable strobe light generating unit
US6392377B1 (en) Motor control apparatus and motor control method
JPH043311Y2 (ko)
JP3017775B2 (ja) 画像読取装置
US4005442A (en) Automatic focusing mechanism
JPH03182160A (ja) 読取装置
KR930001692Y1 (ko) 송신 원고의 광량조절 장치
JP2538368B2 (ja) 電子写真複写機の光学変倍機構
JPH03274016A (ja) 走査光学装置
CN1118739C (zh) 单灯管扫描装置
JPH0654943B2 (ja) 等倍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