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183Y1 - 전자 유도 가열조리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오동작감지회로 - Google Patents

전자 유도 가열조리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오동작감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183Y1
KR940001183Y1 KR2019880014575U KR880014575U KR940001183Y1 KR 940001183 Y1 KR940001183 Y1 KR 940001183Y1 KR 2019880014575 U KR2019880014575 U KR 2019880014575U KR 880014575 U KR880014575 U KR 880014575U KR 940001183 Y1 KR940001183 Y1 KR 940001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unit
microprocessor
control
operational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45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019U (ko
Inventor
이창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800145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183Y1/ko
Publication of KR900006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0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1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 유도 가열조리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오동작감지회로
제1도는 종래 D/A 변환기를 이용한 출력조정방식의 회로도.
제2도는 종래 듀티콘트롤 출력조정방식의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 듀티콘트롤 출력조정방식의 전체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 마이크로프로세서 오동작감지부의 상세회로도.
제5도의 (a) 내지 (c)는 제4도의 각부파형도.
제6도 (a) (b)는 제1도의 입출력파형도.
제7도 (a)(b)는 제2도 및 제3도의 입출력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정류 및 필터부 2 : 입력전류감지부
3 : 용기감지부 4 : 동기부
5 : 드라이브 6 : 콘트로부
7 : 서치신호발생부 8 : D/A변환기
9 : 듀티콘트롤부 10 : 콘트롤레벨설정 및 오버레벨감지부
11 : 셔트다운부 12 : 입력과전류감지부
13 : 오동작감지부 14 : 비정상신호발생부
R1-R14: 저항 Q1-Q3: 트랜지스터
C1-C5: 콘덴서 OP1-OP4: 연산증폭기
D1-D3: 다이오드 PC1: 포토카플러
WC : 워크코일
본 고안은 전자 유도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듀티콘트롤 출력조정방식의 회로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오동작을 감지하도록 한 전자 유도 가열조리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오동작감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D/A변환기를 이용한 출력조정방식에 있어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초기에 고전위로된 연산 증폭기(OP1)의 출력이 콘트롤부(6)에 인가되어 서치신호발생부(7)의 출력이 콘트롤부(6)에 인가됨에 따라 드라이브(5)의 출력이 공진용콘덴서(C1)와 접속된 스위칭트랜지스터(Q1)를 구동한 후 입력정류 및 필터부(1)의 출력이 워크코일(Work Coil)(WC)을 구동하여 조리기능을 수행하며, 동기부(4)가 스위칭트랜지스터(Q1)의 상태를 감지하여, 콘트롤부(6)에 인가한다.
이때 철재그릇과 같은 부하가 감지되면, 입력전류감지부(2)의 출력이 용기감지부(3)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가되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제6도 (a)에 도시한 바와같이 설정된 파형을 D/A변환기(8)에 인가한 후, 제6도 (b)에 도시한 바와같은 D/A변환기(8)의 출력이 연산증폭기(OP1)를 통해 입력전류감지부(2)의 출력과 비교되어 콘트롤부(6)를 제어함에 따라 전자 유도 가열기의 출력이 제6도 (c)에 도시한 바와같이 변화된다.
여기서 연산증폭기(OP2)의 출력이 전전위로 됨에 따라 서치신호발생부(7)의 서치신호는 차단된다.
또한 종래의 듀티콘트롤 출력조정방식에 있어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초기에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부하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하여 통상 60Hz의 2배되는 펄스를 인가하면, 듀티콘트롤부(9)가 콘트롤부(6)를 제어한 후 드라이브(5)를 통해 스위칭트랜지스터(Q1)를 구동하고, 입력정류 및 필터부(1)의 출력이 워크코일(WC)을 구동하여, 조리 기능을 수행하며, 동기부(4)가 스위칭트랜지스터(Q1)의 상태를 감지하여, 콘트롤부(6)를 제어함에 따라 전자 유도 가열기의 출력이 제7도 (b)에 도시한 바와같이 변화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듀티사이클()동안 출력이 제공되고, 듀티사이클 ()동안 출력이 차단된다.
그런데 상기 두 방식에 의한 종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오동작이 발생되면 즉각적으로 출력을 차단할 수 없게되어 조리기능에 오동작이 발생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회로는 한주기 이후 계속 이상 파형으로 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오동작이 셔트다운(Shut Down)의 구동으로 감지됨으로써 유도가열기의 오동작을 감지하도록 한 전자 유도 가열조리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오동작감지회로를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 듀티콘트롤 출력조정방식의 전체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용기감지부(3)을 구동하여, 비정상신호발생부(14)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가되게 한 입력전류감지부(2)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으로 구동되어 콘트롤부 (6)를 제어한 후 드라이브(5), 동기부(4), 입력정류 및 필터부(1), 트랜지스터(Q1)를 제어하게 한 듀티콘트롤부(6)와, 상기 콘트롤부(6)를 제어함과 아울러 셔트다운부 (11)를 통해 상기 비정상신호발생부(14)를 제어하게 한 콘트롤 레벨설정 및 오버레벨감지부(10)와, 상기한 입력감지부(2)의 과전류를 감지하게 한 입력과전류감지부(12)와, 상기한 듀티콘트롤부(9)에 인가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오동작을 감지한 후 상기한 입력과전류감지부(12)의 출력과 함께 상기 셔트다운부(11)를 제어하게 한 오동작감지부(13)로 구성한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 마이크로프로세서 오동작감지부(13)의 상세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포토카플러(PC1)를 통과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이 바이어스저항 (R1)(R2), 다이오드(D2)를 통해 트랜지스터(Q2)를 구동하고, 바이어스 저항(R13) (R14), 콘덴서(C5)를 통해 트랜지스터(Q3)를 구동하여, 콘트롤부(6)를 제어하게 한 듀티콘트롤부(9)와, 전류트랜스포머(CT)의 출력이 저항(R8-R12), 콘덴서(C3)(C4), 다이오드(D2)를 통해 감지되게 한 입력과전류감지부(12)와, 상기한 콘트롤부(6), 셔트다운부(11)를 제어하게 한 콘트롤레벨설정 및 오버레벨감지부(10)로 구성된 듀티콘트롤 출력조정방식의 유도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한 트랜지스터(Q2)를 통과한 듀티콘트롤부(9)의 출력이 분배저항(R3)(R4)을 통해 인가되는 기준전원(Vd)과 비교되게 한 연산증폭기(OP3)와, 분배저항(R5)(R6), 콘덴서(C2)를 통과한 상기 연산증폭기(OP3)의 출력이 상기한 입력과전류감지부(12)의 출력과 비교된 분배저항(R7), 다이오드(D3)를 통해 상기한 셔트다운부(11)를 제어하게 한 연산증폭기(OP4)로 오동작감지부(13)를 구성한 것이다.
제5도의 (a) 내지 (c)는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부터 제5도 (b)에 도시한 바와같은 고전위가 인가되면, 포토카플러(PC1)가 턴온됨에 따라 접점(h)에는 제5도 (a)에 도시한 바와같은 파형의 저전위가 인가되고, 저전위로 인해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어 전원(Vcc)이 저항(R2)를 통해 접점(b)에 제5도 (b)에 도시한 바와같은 파형의 고전위를 인가한후 저항(R13)(R14), 콘덴서(C2)를 통해 트랜지스터(Q3)를 턴온시킴에 따라 접점(C)에는 제5도 (a)에 도시한 바와같은 파형의 저전위가 인가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부터 제5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이 인가되면, 접점(a)(b)에는 제5도 (b)에 도시한 바와같은 파형이 인가되고, 접점(h)(c)에는 제5도 (a)에 도시한 바와같은 파형이 인가된다.
여기서 초기에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부터 제5도 (c)에 도시한 바와같이 50ms 정도의 서치신호가 제공되면, 접점(a)에는 저전위, 접점(h)에는 고전위, 접점(b)에는 저전위, 접점(c)에는 고전위가 인가됨에 따라 콘트롤부(6)에 콘트롤레벨이 제공된다.
이때 철재그릇과 같은 부하가 감지되면, 전류트랜스포머(CT)를 통해 입력전류가 감지되어 저항(R9-R12), 다이오드(D2), 콘덴서(C3)(C4)를 통해 연산증폭기(OP4)의 반전(-)측에 제5도 (c)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승된 파형(f)을 제공함에 따라 연산증폭기(OP4)의 출력측에 저전위가 인가되어 셔트다운부(11)에 인가된다.
이와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파워레벨에 해당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신호가 제공됨에 따라 유도가열조리기가 구동되고, 이때 제5도 (c)에 도시한 바와 같이,시간 동안 동작하면, 그때의 유도가열기의 출력은이 되며,동안 동작되면, 최대출력이 발생된다.
여기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부터 제5도 (b)에 도시한 바와같은 파형이 제공되면, 접점(b)에 저전위가 인가되어 연산증폭기(OP3)의 비반전측(+), 기준전원(Vd)이 상승되어 연산증폭기(OP3)의 출력측에 고전위가 발생된 후 저항의 비반전(+)측에 제5도 (c)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승된 파형(e)을 인가한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제공되는 신호는 한주기(T) 단위로 제공되는 것으로, 듀티가 1이하일 경우는 파형(e)의 상승이 듀티의 끝점에서 다시 방전하게 되고, 최대 출력일때에는 주기(T)가 연속될 수 있으나 한주기가 끝나면, 마이크로프로세서신호가 저전위에서 다시 다음주기를 시작하도록 제공된다.
그러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오동작하여 접점(a)에 계속 저전위가 제공되면, 접점(b)도 계속 저전위로 됨에 따라 접점(e)도 계속 제5도 (c)에 도시한 파형(e)과 같이 상승된다.
이때 접점(e)의 레벨이 접점(f)보다 높아지면, 연산증폭기(OP4)의 출력측 즉 접점(g)의 레벨이 고전위로 되어 다이오드(D3)를 통해 셔트다운부(11)를 구동시킴에 따라 유도조리기의 출력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동작은 제5도 (c)에 도시한 바와같이 파형(e)(f)의 교차점에서 수행되고, 이때 앞의 서치때 부하가 감지되지 않으면 출력파형은 제공되지 않고 서치동작이 계속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오동작시 연산증폭기를 통해 셔트다운부가 제어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달되므로 한주기이후 계속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오동작시에는 즉각적으로 출력이 차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포토카플러(PC1)를 통과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신호가 트랜지스터(Q2)(Q3)를 통해 콘트롤부(6)를 제어하게 한 듀티콘트롤부(9)와, 전류트랜스포머(CT)의 출력이 감지되게 한 입력과전류감지부(12)와 상기 콘트롤부(6), 셔트다운부(11)를 제어하는 콘트롤레벨설정 및 오버레벨감지부(10)로 구성된 듀티콘트롤의 유도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오동작시 상기한 트랜지스터(Q2)를 통과한 듀티콘트롤부(9)의 출력이 분배저항(R3)(R4)을 통해 설정된 기준전원(Vd)과 비교되게 한 연산증폭기(OP3)와, 저항(R5)(R6), 콘덴서(C2)를 통과한 상기 연산증폭기(OP3)의 출력이 상기한 입력과전류감지부(12)의 출력과 비교된 후 다이오드(D3)를 통해 상기한 셔트다운부(11)를 제어하게 한 연산증폭기(OP4)로 오동작감지부(13)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 유도 가열조리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오동작감지회로.
KR2019880014575U 1988-08-31 1988-08-31 전자 유도 가열조리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오동작감지회로 KR9400011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4575U KR940001183Y1 (ko) 1988-08-31 1988-08-31 전자 유도 가열조리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오동작감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4575U KR940001183Y1 (ko) 1988-08-31 1988-08-31 전자 유도 가열조리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오동작감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019U KR900006019U (ko) 1990-03-09
KR940001183Y1 true KR940001183Y1 (ko) 1994-03-07

Family

ID=1927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4575U KR940001183Y1 (ko) 1988-08-31 1988-08-31 전자 유도 가열조리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오동작감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1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019U (ko) 199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4652A (en) Power control device for high-frequency induced heating cooker
KR900007383B1 (ko) 4-버너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의 출력 제어 회로 및 출력제어방법
JPH01246787A (ja) 調理器
KR100629334B1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940001183Y1 (ko) 전자 유도 가열조리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오동작감지회로
KR950025341A (ko) 전자레인지의 부하 자동 정합 장치
JP2811609B2 (ja) 誘導加熱調理器の鍋検知装置
KR20040061240A (ko) 전자레인지의 인버터 회로
JP2818196B2 (ja) 高周波加熱調理器
JP2562986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940005470B1 (ko) 인버터 전자레인지의 과출력보호장치
KR100186481B1 (ko) 유도 가열 조리기의 출력 제어장치
JP2000058250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358775B1 (ko) 릴레이 동작시간 보상용 인터럽트 회로
KR0152836B1 (ko) 유도가열조리기의 주파수대역 변환회로
KR920003585Y1 (ko) 전자조리기 안전보호회로
JP2574359B2 (ja) 電磁調理器付電子レンジ
KR0125147Y1 (ko) 전자조리기의 결합 노이즈 감소시스템
JP2911096B2 (ja) 電力制御回路
JP2742147B2 (ja) 誘導加熱装置
KR900005331Y1 (ko) 유도가열 조리기의 소물 검지회로
JPH0547467A (ja) 高周波加熱装置
JP2642823B2 (ja) 電磁調理器
JPS62190695A (ja) 調理器
JPH01105491A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