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146Y1 - 곡유리 성형틀 - Google Patents

곡유리 성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146Y1
KR940001146Y1 KR2019910008478U KR910008478U KR940001146Y1 KR 940001146 Y1 KR940001146 Y1 KR 940001146Y1 KR 2019910008478 U KR2019910008478 U KR 2019910008478U KR 910008478 U KR910008478 U KR 910008478U KR 940001146 Y1 KR940001146 Y1 KR 940001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plate glass
glass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8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787U (ko
Inventor
정성길
Original Assignee
정성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길 filed Critical 정성길
Priority to KR2019910008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146Y1/ko
Publication of KR9300007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7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146Y1/ko

Links

Landscapes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곡유리 성형틀
제1도는 본 고안의 측면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파절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판유리에 눌름봉이 안치된 상태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 눌름봉의 고리가 판유리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중앙부 지지봉에 형성된 보강돌편을 나타낸 상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구성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성형틀의 굴곡정도를 비교적 완만하게 구성한 성형틀의 측면구성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성형틀 중앙부에 장치된 지지봉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성형틀 A : 판유리
1 : 지지판 2 : 가로받침대
3 : 받침편 4 : 볼트
5 : 장공 6 : 보강돌부
7 : 통공 8 : 고정편
9 : 볼트 10 : 지지봉
11,11',11″ : 지지봉 12,12',12″ : 보강돌편
13 : 눌름봉 14 : 연결고리
15 : 고리 16 : 걸림구
본 고안은 본인의 선출원특허제91-3864호 ″곡유리 성형틀″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판유리 상에 안치되는 눌름봉의 순수한 중량만 판유리를 가압케하여 판유리의 휨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장공에 끼워지는 고정편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며 성형작업 중 판유리의 하중이 가장 많이 작용한 중앙부의 지지봉 하단에는 보강돌편을 용접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선출원특허제91-3864호의 곡유리 성형틀은 지지판의 장공에 삽입된 다수의 지지봉에 망체를 씌우고 지지판의 양측에 회전 자재하는 눌름봉을 설치하여 눌름봉이 성형틀의 망체 위에 안치된 판유리의 양단부를 가압토록 한 것으로서 종래의 방법인 판유리의 자중에 의하는 것보다 작업이 신속하고 동시에 휘임각도가 큰 경우에도 판유리의 양단부에 별도의 눌름공정 없이도 성형틀에 밀착되어 신속하고 완벽한 성형이 이루어질뿐아니라 냉각시에도 곡면유리의 저면이 공기와 직접 접하여 냉각되기 때문에 신속히 냉각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었으나 판유리를 가압하기 위한 눌름봉이 지지판의 만곡장공에 회전가능케 고정된 지지간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처음 작업시에는 별장에 없으나 일정각도 이상 판유리가 휘어지면 판유리에 미치는 하중은 눌름봉의 무게와 지지간의 무게를 합한 중량이 되므로 과다한 중량이 미치게 되고, 특히 지지판의 만곡장공에 지지간을 고정해주는 볼트와 너트가 가열과 냉각의 반복으로 인하여 산화되면 눌름봉의 양단부가 가지런히 회전하지 않고 간혹 양측이 각각 다르게 틀어진 상태로 판유리를 가압하게 되어 판유리를 파손시키게 될뿐아니라 지지간을 고정하기 위한 만곡장공이 지지판의 만곡단부에 형성되어 있어 장공의 길이를 만곡장공의 폭만큼 길게 할 수 없으므로 그만큼 지지판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장공에 끼워지는 고정편의 설치가 불편하며 또한 성형작업 초기에는 지지판의 중앙에 끼워진 지지봉에 지나친 하중이 작용하여 중앙부의 지지봉이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지지판의 테두리에 일측이 개방된 장공을 형성하고, 장공에는 지지봉을 끼워 설치하되 중앙부에 끼워지는 지지봉 하단에는 보강돌편을 구성하고 성형틀의 지지봉에 안치되는 판유리 상에는 연결고리로 연결된 눌름봉을 안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로받침대(2)상에 세워 설치된 받침편(3)에 지지판(1)을 볼트(4)로 고정설치하되, 지지판(1)의 만곡테두리에 일측이 개방된 다수의 장공(5)을 형성하고, 장공(5)과 테두리 외면에는 보강돌부(6)를 형성하였다.
지지판(1)의 각 장공(5)에는 통공(7)이 형성되고 장공(5)의 폭보다 넓게 구성된 고정편(8)을 끼워 설치하되, 고정편(8)의 하단통공(7')에 볼트(9)를 끼운 다음 통공(7')을 관통한 볼트(9)의 단부에 장공(5)의 폭보다 큰와셔(18)와 너트(9')를 차례로 끼워 고정하므로서 볼트(9)를 이용하여 고정편(8)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케 고정설치하였다.
고정편(8)의 통공(7)에는 지지봉(10)을 끼워 가열에 의해 지지봉(10)이 신축가능하게 하고, 지지판(1)의 중앙부와 중앙부 좌우 측면의 장공(5)에 끼워 설치된 지지봉(11)(11')(11″) 하단에는 양단부가 지지봉(11)(11')(11″)하단에 용접된 보강돌편(12)(12')(12″)을 길게 구성하고 보강돌편(12)(12')(12″)중앙에는 지지편(19)을 용접하되 지지편(19)은 지지봉(11)(11')(11″)의 하단과 이격되게 하므로서 성형시 열에 의해 지지봉(11)(11')(11″)이 신장하더라도 지지봉(11)(11')(11″)에 미치는 판유리(A)의 하중을 지지하게 하였다.
성형틀(가)에 안치되는 판유리(A)의 양단부를 가압하는 눌름봉(13)은 내열성 재질로 된 연결고리(14)로 상호 연결하되 눌름봉(13)에는 고리(15)가 형성된 걸림구(16)를 끼워 걸림구(16)의 고리(15)가 작업시 판유리(A)의 양단부에 걸리게 하므로서 눌름봉(13)이 연결고리(14)의 하중에 의해 판유리(A)로 부터 내측으로 미끌어 내리지 않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7)은 금속벨트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지지판(1)의 개방된 장공(5)에 끼워진 고정편(8)을 작업하고자 하는 판유리(A)의 굴곡정도에 맞게 볼트(9)와 너트(9')를 조정하여 고정한후, 지지봉(10)상에 금속벨트(17)를 씌우고 금속벨트(17)상에 성형하고자 하는 판유리(A)를 안치하여 작업하는 것은 종래와 같으나, 성형틀(가)상에 안치된 판유리(A)의 양 단부를 가압하기 위한 눌름봉(13)이 내열성 재질로된 연결고리(14)에 연결되어 판유리(A)상에 안치되어 있으므로 순수한 눌름봉(13)이 무게만으로 가압하게 되고 따라서 판유리(A)에 무리한 하중의 부가되지 않을 뿐아니라 특히 눌름봉(13)이 지지판(1)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판유리(A)상에 얹혀 있는 상태이므로 가열에 의한 굴곡시 판유리(A)와 함께 가지런히 아래로 쳐지게 되며, 이때 눌름봉(13)에 끼워진 걸림구(16)의 고리(15)는 판유리(A)의 단부에 걸려지게 하므로서 작업초기에 연결고리(14)의 하중에 의해 눌름봉(13)이 판유리(A)상에서 내측으로 이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지지판(1)의 장공(5)이 개방되어 있고 종래 지지판에서와 같은 만곡장공이 필요없어 같은 크기의 지지판으로 부터 보다 넓은 범위의 곡유리를 생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고정편(8)을 끼우고 빼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중앙부의 지지봉(11) (11')(11″)하단에 형성된 보강돌편(12)(12')(12″)은 성형 작업시 중앙지지봉(11) (11')(11″)에 미치는 판유리(A)의 하중을 지지토록 하므로서 지지봉(11)(11')(11″)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가열에 의해 지지봉(11)(11')(11″)이 다소 늘어자게 되면 보강돌편(12) (12')(12″)의 중앙에 돌출구성된 지지편(19)이 상승하여 지지봉(11)(11')(11″)의 하단과 접하여 지지봉(11)(11')(11″)이 더이상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판유리(A)의 자중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눌름봉(13)이 지지판(1)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판유리(A)상에 안치되어 있으므로 판유리(A)의 굴곡과 함께 가지런히 아래로 처지게 되어 판유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판(1)의 장공(5)이 개방되어 있어 고정편(8)의 끼우고 빼는 작업이 신속용이할 뿐 아니라 판유리(A)의 자중에 의한 지지봉(11)(11')(11″)의 휘어짐을 방지하며 같은 크기의 지지판(1)으로 보다 넓은 범위의 곡유리를 생산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가로받침대(2)상에 세워 설치된 지지판(1)에 다수의 지지봉(10)을 끼워 설치하여 금속벨트(17)를 씌우고 금속벨트(17)상에 판유리(A)을 안치하여 성형토록 한 곡유리성형틀(가)에 있어서, 지지판(1)의 테두리 외면에 일측이 개방된 다수의 장공(5)을 형성하여 지지봉(11)(11')(11″)이 끼워지게 하고 판유리(A) 상에 안치되는 눌름봉(13)을 내열성 연결고리(14)로 연결하고 눌름봉(13)에는 고리(15)가 형성된 걸림구(16)를 끼워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유리성형틀.
  2. 제1항에 있어서, 장공(5)에 끼워진 중앙지지봉(11)(11')(11″)의 하단에 보강돌편(12)(12')(12″)을 형성하여서 된 곡유리성형틀.
KR2019910008478U 1991-06-07 1991-06-07 곡유리 성형틀 KR940001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478U KR940001146Y1 (ko) 1991-06-07 1991-06-07 곡유리 성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478U KR940001146Y1 (ko) 1991-06-07 1991-06-07 곡유리 성형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787U KR930000787U (ko) 1993-01-20
KR940001146Y1 true KR940001146Y1 (ko) 1994-03-07

Family

ID=19314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8478U KR940001146Y1 (ko) 1991-06-07 1991-06-07 곡유리 성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1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22B1 (ko) * 2013-07-04 2015-01-16 주식회사 비케이창호 곡유리 성형용 지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22B1 (ko) * 2013-07-04 2015-01-16 주식회사 비케이창호 곡유리 성형용 지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787U (ko) 199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584595A1 (fr) Panier a griller
KR940001146Y1 (ko) 곡유리 성형틀
US2964200A (en) Basket support
US3923218A (en) Cycle luggage carrier construction, particularly light-weight bicycle luggage carrier
KR940000584Y1 (ko) 곡유리 성형틀의 성형장치
KR950001320Y1 (ko) 곡유리 성형틀
KR940001145Y1 (ko) 체인을 사용한 곡면유리 성형틀
KR930011775B1 (ko) 컨베이어용 금속벨트를 이용하여 곡면유리를 성형하는 방법
US3910471A (en) Cycle luggage carrier and holding strap combination
US1724843A (en) Concrete-reenforcement support
JPH0141755Y2 (ko)
US2892578A (en) Carrier and trivet
KR940004989Y1 (ko) 폭(Width) 조질이 가능한 받침대
US2496549A (en) Metal clothesline frame
CN211761334U (zh) 一种汽车前端框架的检测辅助工装
KR940000781Y1 (ko) 낚시용 핀도래
CN218425561U (zh) 一种合金钢铸造用定型冷却装置
CN220098334U (zh) 一种轧辊底座箱吊运稳固装置
CN219621585U (zh) 可设置预偏的板式支座支撑装置
JP2539412Y2 (ja) 強化用繊維マット加工用治具
KR920008236Y1 (ko) 휀스망 체결장치
KR200198816Y1 (ko) 해태엽체의 건조발장
US1789602A (en) Clock fram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906773A (en) Machine for making pipe-arch for culverts by deforming pipe
CN2123244U (zh) 自由升降组装衣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