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584Y1 - 곡유리 성형틀의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곡유리 성형틀의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584Y1
KR940000584Y1 KR2019910015573U KR910015573U KR940000584Y1 KR 940000584 Y1 KR940000584 Y1 KR 940000584Y1 KR 2019910015573 U KR2019910015573 U KR 2019910015573U KR 910015573 U KR910015573 U KR 910015573U KR 940000584 Y1 KR940000584 Y1 KR 9400005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lass
support
mold
glass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5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710U (ko
Inventor
정성길
Original Assignee
정성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길 filed Critical 정성길
Priority to KR2019910015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584Y1/ko
Publication of KR9300067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7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5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584Y1/ko

Links

Landscapes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곡유리 성형틀의 성형장치
제1도 본 고안 성형틀 장치의 측면구성도로서, a)성형틀상에 안치된 판유리의 양단부에 받침구가 설치된 상태도, b)로우프를 당겨 판유리를 받침고있던 지지봉이 낙하한 상태도.
제2도 본 고안의 일부 파절 사용상태 사시도.
제3도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4도 본 고안 받침구의 사시도.
제5도 본 고안의 요부 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성형틀 나 : 받침구
7 : 승강체 8 : 회전구
9 : 축핀 10 : 걸림편
11 : 받침편 13 : 걸림고리
15 : 로우프 17 : 사각지지봉
18 : 요입홈 19 : 받침봉
20 : 판유리 21 : 눌름봉
본 고안은 곡유리의 성형작업시 판유리의 파손을 방지토록한 것으로서 작업하고자 하는 성형틀 상에 안치된 판유리의 양단부에 받침구를 설치한후 통상의 방법으로 가열하여 일정온도(열에 의해 판유리가 가소성 상태가 되는 온도)로 상승시킨후 판유리의 양단부에 지지된 받침구를 끌어 당겨 제거 시키므로서 가소성 상태로 된 판유리가 파손되지 않고 일시에 굴곡되어 성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것이다.
성형틀을 이용하여 판유리를 굴곡시키는 성형틀 장치는 이미 본인이 여러건 출원한바 있다.
즉 특허 출원제 91-3864호(곡면 유리 성형틀)이나 특허 출원제 91-5191호(콘베어용 금속 벨트를 이용하여 곡유리를 성형하는 방법) 및 이를 개량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1-8478호(곡유리 성헝틀)로 출원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형틀 장치는 종래 성형틀에 비하여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개선된 것이나, 비교적 큰 판유리를 이용하여 작업하고자 할경우에는 성형작업중 다소의 문제점도 있다는 것을 곡유리 성형 작업중 알게 되었다.
즉 성형틀 상에 상형하고자 하는 판유리를 안치한후 판유리위에 다시 눌름봉을 안치하여 판유리가 열에 의해 쉽게 휘어지도록 하므로서 이는 판유리의 자중에 눌름봉의 하중이 부가 되어 가열시 판유리에 완전한 가소성이 부여되기도 전에 하중에 의해 판유리가 파손되는 일이 간혹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성형작업 초기에는 판유리 양단부의 하중을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하고 있다가 가열에 의해 판유리에 가소성이 부여 되면 지지수단을 제거하여 일시에 판유리가 굴곡되어 성형토록 한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장공(1)에 지지봉(2)이 끼워지고 지지봉(2)상에 금속벨트(3)가 씌워진 통상의 성형틀(가)양측에 받침구(나)를 설치하되 받침구(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받침판(4)상에 조정볼트(5)가 나사 결합된 사각관체(6)를 고정설치하고 사각관체(6)내면에는 단면이 ″ㄷ″형인 승강체(7)를 끼워 조정볼트(5)로 조정가능케 고정설치하고 승강체(7)의 상단 양측에는 한쌍의 회전구(8)를 축핀(9)으로 회전가능케 설치하되 회전구(8)하단 배면에는 걸림편(10)을 용접하여 한쌍의 회전구(8)를 서로 연결하고, 상단에는 ″ㄴ″형 받침편(11)을 용접하였다.
승강체(7)의 내상면에 형성된 축핀(12)에는 걸림고리(13)를 끼워 걸림고리 (13)가 회전구(8)의 배면에 용접된 걸림편(10)에 걸리게 하므로서 회전구(8)가 자중에 의해 회전되지 않게 하고, 걸림고리(13)상단에 형성된 고리(14)에는 불연성 로우프(15)를 연결하되 로우프(15)는 승강체(7)내상단에 용접된 원형링(16)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게 하였다.
회전구(8)의 받침편(11)상에는 사각지지봉(17)을 안치하고 지지봉(17)의 양단부에는 요입홈(18)이 형성된 받침봉(19)을 안치하되 지지봉(17)에는 성형틀(가)상에 안치된 판유리(20)의 단부가 안치되게 하고 받침봉(19)의 요입홈(18)에는 눌름봉 (21)의 양단부가 위치토록 하되 눌름봉(21)이 판유리(20)의 상면에 직접 닿지 않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성형작업시 성형틀(가)상에 안치된 판유리(20)의 양단부가 받침편(11)상에 위치한 사각 지지봉(17)에 안치되어 있으므로 판유리(20)의 하중이 받침구(나)상에 부가 되므로 판유리(20)의 중앙부에는 하중이 전혀 작용하지 않고, 또한 지지봉(17)의 양단부에 안치된 받침봉(19)상에는 눌름봉(21)이 안치되어 있으면서 받침봉(19)의 높이가 판유리(20)의 두께보다 높아 판유리(20)와 직접닿지 않기 때문에 가열시판유리(20)에 열의 전달이 고르게 되어 팽창 정도가 일정하게 된다.
소성로 내를 일정온도로 상승시키게 되면 판유리(20)는 고열에 의해 가소성 상태가 되고, 이때 판유리(20)가 가소성이면서도 굴곡되지 않는 것은 판유리(20)의 양단부를 받침구(나)가 지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걸림고리(13)에 연결된 로우프(15)를 잡아당기면 축핀(12)을 중심으로 걸림고리(13)가 회전하여 회전구(8)의 걸림편(13)으로 부터 회전이탈하면서 회전구(8)는 판유리(20)와 눌름봉(21) 및 지지봉(17)의 하중에 의해 축핀(9)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전하여 회전구(8)의 받침편(11)상에 안치되어 있던 지지봉(17)과 받침봉(19)이 지면으로 낙하하고 동시에 받침봉(19)에 안치되어 있던 눌름봉(21)이 가소성 상태로된 판유리(20)를 눌러 판유리(20)는 자중과 눌름봉(21)의 하중에 의해 일시에 굴곡되어 곡유리의 성형이 완성되고, 이때 판유리(20)가 굴곡 되면서 받침구(나)에 걸리지 않는 것은 전방으로 다소 길게 돌출되어 있던 회전구(8)가 회전하여 판유리(20)의 굴곡 반경 밖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승강체(7)의 내측 상단에 형성된 원형링(16)은 걸림고리(13)의 고리(14)에 연결된 로우프(15)를 정면이나 측면에서 잡아 당기더라도 원형링(16)에 의해 걸림고리 (13)는 하상 수직상태 즉 직상부에서 당기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걸림편 (10)으로 부터 걸림고리(13)가 쉽게 이탈할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성형작업중 눌름봉의 하중과 판유리와 자중에 의해 파손되는 일없이 용이하게 곡유리를 제작 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통상의 곡유리 성형틀에 있어서, 성형틀(가)의 좌우양측에 받침구(나)를 설치하여 성형틀(가)상에 안치된 판유리(20)의 양단부가 받침구(나)의 사각 지지봉(17)에 안치되게 하고, 로우프(15)를 당기면 판유리(20)의 저면을 받치고 있던 받침구(나)의 사각 지지봉(17)이 낙하하도록 하여서된 곡유리 성형틀의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판유리(20)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사각지지봉(17)은 승강체(7)에 축핀(9)으로 연결된 회전구(8)의 받침편(11)상에 안치되게 하고, 회전구 (8)의 배면에 용접된 걸림편(10)에는 로우프(15)에 의해 작동하는 걸림고리(13)를 걸어 로우프(15)를 당기면 회전구(8)가 회전하고 사각 지지(17)가 낙하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유리 성형틀의 성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봉(17)양단부에 요입홈(18)이 형성된 받침봉(19)을 안치하고 받침봉(19)에는 눌름봉(21)이 판유리(20)와 직접되지 않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유리 성형틀의 성형장치.
KR2019910015573U 1991-09-20 1991-09-20 곡유리 성형틀의 성형장치 KR9400005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5573U KR940000584Y1 (ko) 1991-09-20 1991-09-20 곡유리 성형틀의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5573U KR940000584Y1 (ko) 1991-09-20 1991-09-20 곡유리 성형틀의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710U KR930006710U (ko) 1993-04-24
KR940000584Y1 true KR940000584Y1 (ko) 1994-02-02

Family

ID=19319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5573U KR940000584Y1 (ko) 1991-09-20 1991-09-20 곡유리 성형틀의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5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22B1 (ko) * 2013-07-04 2015-01-16 주식회사 비케이창호 곡유리 성형용 지그장치
US20210122661A1 (en) * 2018-12-28 2021-04-29 Sanko Seikosho Co., Ltd. Thermoplastic plate bending method, working jig, and concave thermoplastic pla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22B1 (ko) * 2013-07-04 2015-01-16 주식회사 비케이창호 곡유리 성형용 지그장치
US20210122661A1 (en) * 2018-12-28 2021-04-29 Sanko Seikosho Co., Ltd. Thermoplastic plate bending method, working jig, and concave thermoplastic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710U (ko) 199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0584Y1 (ko) 곡유리 성형틀의 성형장치
DE2505566C2 (ko)
KR100351686B1 (ko) 쑥뜸용 쑥봉 성형장치 및 그 방법
CN210236849U (zh) 一种环件吊具可调节限位的装置
CN220376080U (zh) 一种淬火炉吊具
KR940001146Y1 (ko) 곡유리 성형틀
CN219851935U (zh) 待锻造轴承环辅助转移装置
CN218436305U (zh) 一种服装定型设备
CN208303525U (zh) 一种铝棒转运装置
CN111170620A (zh) 二次成型模具
KR920004860B1 (ko) 고무장화 제조기
CN219130613U (zh) 一种钢筋弯曲机用的钢筋上料器
CN216961284U (zh) 一种便于拆装的蟹柳加工用烘烤加热装置
CN220435228U (zh) 自动脱钩装置
CN212653738U (zh) 一种可自动卸料的硅胶管硫化用吊架
CN220887590U (zh) 热处理高度自由调节式料框
CN217350375U (zh) 一种便于调节的吊装装置
CN218666731U (zh) 杯型定型机
CN211539197U (zh) 一种法兰螺栓用加工模具
CN212387585U (zh) 一种管桩模具加工用悬吊装置
JPH0216833Y2 (ko)
CN210547156U (zh) 一种铜杆调直装置
CN216472846U (zh) 新型玻璃热弯生产装备
CN217676596U (zh) 一种用于建筑工程的建筑管材提升机
CN220613612U (zh) 一种u型螺栓生产用抛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