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938B1 - 드래프트 로울러에 달린 요동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드래프트 로울러에 달린 요동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938B1
KR940000938B1 KR1019870006946A KR870006946A KR940000938B1 KR 940000938 B1 KR940000938 B1 KR 940000938B1 KR 1019870006946 A KR1019870006946 A KR 1019870006946A KR 870006946 A KR870006946 A KR 870006946A KR 940000938 B1 KR940000938 B1 KR 940000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device
support frame
draft roller
clean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6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381A (ko
Inventor
요시오 가와사끼
겐지 네기시
마사오 와까이
다데미 후꾸다
이사오 오노
이사오 아리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지도오속기 세이사꾸쇼
도요다 호오넨
간빠쓰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기따무라 요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지도오속기 세이사꾸쇼, 도요다 호오넨, 간빠쓰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기따무라 요오지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지도오속기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80011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5/00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 Threading of roving into drafting machine
    • D01H5/18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 D01H5/60Arrangements maintaining drafting elements free of fibre accumulations
    • D01H5/62Non-rotary cleaning pads or plates; 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드래프트 로울러에 달린 요동 청소장치
제1도는 링방적기의 제1보텀 드래프트 로울러에 본 발명의 청소장치를 적용한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A방향 일부 생략 정면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는 모두 제2도에 있어서의 절단선 III-III, IV-IV 및 V-V의 화살표방향 단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모두 제4도 및 제5도에 대응하는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8도는 청소장치 지지틀의 일부 구성 설명 겨냥도.
제9도는 청소장치의 주요 구성부분의 설명 전개 겨냥도.
제10도 및 제11도는 모두 청소장치의 작동 설명 단면도.
제12도는 변형 고정간의 겨냥도.
제13도 및 제14도는 모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절단선 XV-XV의 화살표방향 단면도.
제16도 및 제17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18도 및 제19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20도는 매다는 부재의 다른예를 도시한 겨냥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본 발명의 청소장치 6 : 로울러대
7 : 중력아암 8 : 흡인관
9 : 청소부재 10 : 청소장치 지지틀
11 : 매다는 부재 12 : 부시(bush)
13,14 : 구동간 14 : 걸림간(係留杆)
16 : 연결간 17 : 통축(筒軸)
18 : 축봉 19 : 고리
연신장치를 설치한 방적기계장치의 연산부를 구성하는 보텀 드래프트 로울러에 대향하여 설치하는 청소장치(clearer mechanism)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히 말하면 재단편(片)으로 형성한 청소부재가 청소장치지지틀에 복수개 설치된 것을 드래프트 로울러에 자유롭게 붙였다 뗐다 할 수 있게 매달아 지지함과 동시에, 이것을 요동시켜서 청소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보텀 드래프트 로울러의 청소장치로서 피혁, 합성피혁, 고무, 합성고무 또는 적층부직포등으로 재단한 청소부재를 복수개 청소장치 지지틀에 지지시켜 형성하여, 이 청소부재의 끝가장자리를 일제히 드래프트 로울러의 둘레면에 맞닿게 한 청소장치에 대해서는, 그 구성 및 지지수단 등에 대하여 본 출원인은 이미 제안하고 있다(일본국 특원소 61-177438, 실원소 61-115849).
그런데, 이 청소장치는 종래의 회전형 청소장치에 비하여 훨씬 나은 청소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장기간 사용하면 청소부재의 접촉 끝가장자리부에 청소부재의 설(분진)이 퇴적하므로 청소장치의 청소회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 지적되었다. 그리하여 청소부재의 드래프트 로울러 접촉을 간헐적으로 개방하는 수단을 검토하거나, 또는 접촉부를 왕복 이동하도록 청소장치 지지틀을 요동시키는 것을 검토하였으나, 그러기 위해서는 청소장치 지지틀을 지지하기 위하여 로울러대에 설치한 지지팔대를 이동 또는 요동시키는 수단을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런데, 이와같은 장치는 특별한 구동장치를 연신부에 설치하기 때문에, 기구가 복잡하게 될뿐만 아니라 취급 및 보조관리에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상기한 청소장치를 드래프트 로울러에 대향하여 설치함에 있어서, 청소장치 지지틀을 드래프트 로울러와 일정한 관계위치를 유지하면서 요동시켜, 이 왕복요동에 의하여 청소부재의 끝가장자리부에 퇴적하는 청소부재의 설을 털어내도록 함과 동시에, 이 요동작동을 대향하여 설치한 드래프트 로울러의 회동을 이용하여 행하도록 하면, 특별한 구동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극히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것에 착안하여 행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청소장치 지지틀을 드래프트 로울러에 매달아 지지한 2개의 매다는 부재에 드래프트 로울러에 대향시켜 자유롭게 붙였다 뗐다 할 수 있게 매달아 설치하여, 드래프트 로울러의 일부에는 드래프트 로울러에 탄성적으로 끼워 장착하여 회동하는 구동간(驅動杆)을 부착함과 동시에 이 구동간의 후단쪽을 상기 청소장치 지지틀의 일부에 접속하여, 이 구동간의 일부 또는 청소장치 지지틀의 일부에 이 청소장치 지지틀의 기울어 움직이는 방향쪽에 탄성 걸림간을 돌출시켜 설치하고, 이 탄성 걸림간에 걸리게함으로써 상기 구동간의 드래프트 로울러를 끼워 장치한 부분의 마찰을 적게 하거나, 또는 걸림간의 탄성을 이용하여 청소장치 지지틀을 복원위치에 복귀시킴과 동시에, 다시 마찰에 의하여 청소장치 지지틀을 요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나, 도면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의 1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및 하기의 취지에 따라 일부의 구성을 변경하거나, 또는 일부의 설계를 변경하여도 똑같이 실시할 수 있다.
제1도(측단면도)는 본 발명의 매달려 요동하는 청소장치를 링방적기의 연신장치를 구성하는 프론트 또는 제1보텀 드래프트 로울러에 단독으로 이용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 청소장치는 다른 방적기의 보텀 드래프트 로울러에도 똑같이 이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같은 연신장치의 다른 보텀 드래프트 로울러에도 각각 대향 설치하여 일제히 요동시킬 수도 있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제1보텀 드래프트 로울러, 2는 보텀 에프론 로울러인 제2보텀 드래프트 로울러, 3은 제3보텀 드래프트 로울러, 4는 백 보텀 드래프트 로울러(이하, 이들의 로울러를 각각 드래프트 로울러 라고도 함)를 도시한 것이고, 이들의 드래프트 로울러의 위에는 각각 프론트 톱 로울러(1a), 톱 에프론 로울러(2a), 제3톱 로울러(3a) 및 백 톱 로울러(4a)가 배치되며, 이들 로울러는 로울러대(6)에 각각 축받침되어, 톱 로울러군은 중량아암(weighting qrm)(7)에 지지되어 하중을 받고 있다.
8은 압축공기 청소장치의 흡인관을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청소장치(5)는 제1보텀 드래프트 로울러(1)에 단독으로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또, 제2보텀 드래프트 로울러(2)에 설치하는 보텀 에프론 장치는 긴 에프론형을 예시한 것이다.
제2도(정면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본 발명 청소장치(5)를 화살표(A)방향으로 도시한 것이고, 흡인관(8)은 제외하고 도시하였다. 즉, 제2도의 본 발명 청소장치(5)는 로울러대(6,6)의 간격마다에 설치되고, 간격 사이의 길이에 형성된 청소장치 지지틀(10)에 간격 사이의 복수추(4 내지 8추)에 대향 설치하는 청소부재(9)가 부착되어 구성된다.
한편, 드래프트 로울러는 제2도에 1로 표시한 바와같이 홈부(1b)와, 그것보다 약간 직경을 좁게 한 원통부(1c)로 형성되어 있고, 톱 로울러군은 모두 이 홈부(1b)에 배설된다.
따라서, 드래프트 로울러의 원통부(1c)는 외주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청소장치(5)로서는 제8도(일부 확대 구성 설명 겨냥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청소장치 지지틀(10)을 2개 굽혀 접은 금속판 재료로 형성하고, 그 굽힌쪽에 청소부재(9)의 돌출긴구멍(10a)을 형성하여, 청소부재(9)를 지지틀(10)의 개방끝쪽으로부터 삽입하여 돌출시키고 있으며, 청소부재(9)로서는 그 양쪽의 중앙부에 귀부(9a)를 형성하여 돌출 길이를 규제하도록 재단되어 있고, 돌출반대쪽의 끝가장자리부는 청소장치 지지틀(10)의 개방끝쪽 가장자리와 일치시키고 있다.
그리고, 청소부재(9)의 탈출방지수단으로서 청소장치 지지틀(10)의 어느 한쪽의 벽면에 창구멍(10b)을 형성하여, 청소장치 지지틀(10)의 개방끝쪽을 끼우듯이 탄성고정구(9b)가 럴리는 굽혀 접은 끝을 이 창구멍(10b)에 걸어맞추어 청소부재(9)의 탈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청소부재(9)를 누르듯이 구성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청소장치(5)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보텀 드래프트 로울러(1)의 상기 원통부(1c)에 요동이 자유롭게 매달아 지지한 2개의 매다는 부재(11,11)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도면은 간격의 중앙쪽 원통부(1c)를 끼워 그 양쪽 원통부(1c,1c)에 매다는 부재(11)를 각각 배치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또한, 양쪽에 각각 1개씩 건너뛰어 원통부(1c, 1c)와 매다는 부재(11,11)를 매치하여도 좋다.
또, 도면은 매다는 부재(11)를 2개로 구성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드래프트 로울러의 간격의 중앙에 비교적 폭이 넓게 한 1개의 매다는 부재(11)를 매달아 설치하여, 여기에 청소장치 지지틀(10)의 중앙부를 받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청소부재(9)는 제3도(제2도의 절단선 III-III에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청소장치 지지틀(10)에 부착된 청소부재(9)의 선단쪽이 드래프트 로울러의 홈부(1b)에 탄성적으로 굽어서 그 끝가장자리 능선이 맞닿아 청소하는 것이고, 상기 매다는 부재(11)는 제4도(제2도의 절단선 IV-IV에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부시(12)를 통하여 원통부(1c)에 헐겁게 장착되어 있으며, 그 굽혀접은 지지부(11b)에 청소장치 지지틀(10)이 짖되도록 되어 있다.
제9도(구성설명 전개 겨냥도)에는, 이 매다는 부재(11)를 도시하고 있다. 즉 부시(12)는 합성수지재로성형하여 원통부(1c)에 끼워맞추는 칼라(collar)를 설치하고, 그 외주 양쪽에 테두리(12a, 12a)를 형성함과 동시에, 외주면의 대략 중앙부에 걸림용 동기(12b)를 형성하여, 합성수지재의 탄성을 이용하여 칼라를 열어 원통부(1c)에 기워 장착한다.
그리고, 끼워 장착한 상태로 부시(12)는 원통부(1c)에 헐겁게 장착되어 자유로이 회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매다는 부재(11)는 그 꼭대기부쪽을 상기 부시(12)의 외주면에 따르도록 끼워 맞추는 굴곡부(11a)와 굴곡부를 통하여 평면부(11b)와 그 하단부를 굽혀 걸아맞춤부(11c)를 형성하고, 굴곡부(11a)에는 상기 걸림용기 돌기(12b)와 합치하여 이를 끼워넣는 걸림구멍(12c)을 형성해 둔다. 그리고, 제20도(겨냥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평면부(11b)꼭대기부에는 청소장치 지지틀(10)의 꼭대기부를 받치는 듯한 타출편(punched-out strip)(11d)을 형성해 두는 것이 권장된다.
다른 한편, 상기 청소장치 지지틀(10)의 개방끝쪽에는 제2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걸어맞추는 절결凹부(10c)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절결凹부(10c)의 폭은 매다는 부재(11)의 폭과 일치시켜 두고, 청소 장치 지지틀(10)의 부착에 있어서는, 이 절결凹부(10c)에 각각 매다는 부재(11)의 상기 걸어맞춤부(11c)를 걸어맞추어 부착한다.
따라서, 청소장치 지지틀(10)은 그 뒷쪽면(제1도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보아서)의 상부가 매다는 부재(11)의 평면부(11b)와, 개방끝쪽의 저면이 매다는 부재(11)의 걸어맞춤부(11c)로 지지되게 되어, 제4도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래프트 로울러에 대하여 청소장치 지지틀(10)은 그 뒷쪽면의 상부와 저면의 앞쪽이 걸어맞춤부(11c)의 앞쪽뒷면으로 규제되게 되어, 청소부재(9)가 드래프로 로울러와 맞닿는 압력마찰에 의하여 청소장치 지지틀(10)은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지려고 하나, 이 기울어짐이 진행되면 매다는 부재(11)나 청소장치 지지틀(10)의 자중이 압력마찰에 이겨서 지지틀(10)을 시계방향으로 되돌리게 되며, 이 압력마찰이 없어지면 드래프트 로울러는 회전을 계속하고 있어도, 청소장치 지지틀(10)과 매다는 부재(11)의 자중으로 청소장치 지지틀(10)은 대략 수직상태로 매달리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이와같이 매달려 지지되는 청소장치 지지틀(10)을 적극적으로 요동시키는 것이고, 그 구동수단의 1예로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제2도 및 제5도(제2도의 절단선 V-V의 화살표방향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보텀 드래프트 로울러(1)의 간격의 중앙원통부(1c)에 구동간(13)을 끼워 맞춤과 동시에, 이 구동간(13)의 다른끝쪽을 청소장치 지지틀(10)에 접속시키고, 또한 이 청소장치 지지틀(10)에는 뒷쪽으로 돌출된 걸림간(14)을 설치한다.
그리고, 이 구동간(13) 및 걸림간(14)은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탄성강판으로 형성하고, 구동간(13)은 그 꼭대기부쪽을 제1보텀 드래프트 로울러(1)의 원통부(1c)에 칼라를 끼워맞추어 압접하는 끼워맞춤부(13a)와 그 외주면의 일부에 부착된 다리판(13b)으로 구성하고, 이 끼워맞춤부(13a)는 그 하부쪽(제9도에 있어서)에 외주로 팽창한 작은 반원형부(13c)와 또한 원통부(1c)의 외주에 따른 접촉면(13d)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리판(13b)은 그 상단쪽을 상기 작은 반원형부(13c)의 뒤쪽에 용접등으로 고정한다.
한편, 걸림간(14)은 제5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L자형으로 굽혀져 그 부착쪽을 상기 구동간(13)의 다리판(13b)의 일부에 고정하거나, 또는 직접 혹은 다리판(13b)과 함께 청소장치 지지틀(10)에 자유롭게 붙였다 뗐다 할 수 있게 부착된다.
제8도는 청소장치 지지틀(10)에 구동간(13) 및 걸림간(14)의 부착수단의 1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창소장치 지지틀(10)의 굴절쪽의 중앙부에 미리 삽통구멍(10d)을 형성해 두고, 이 삽통구멍(10d)에 구동간(13)의 다리판(13b)과 걸림간의 부착쪽을 고정한 것 또는 이들을 합친 것을 화살표방향으로 삽통하고, 청소장치 지지틀(10)의 개방끝쪽으로부터는 채울부재(10f)를 삽입하여 상기 구동간(13)등을 청소장치 지지틀(10)내에 단단히 지지시킨다.
그리고, 청소장치 지지틀(10)에는 상기 탄성고정구(9b)의 걸림창구멍(10b)과 똑같이 창구멍(10e)을 형성하여 두고, 이 창구멍(10e)에 탄성방지구(9c)를 끼워 장착하여 고착시킨다.
한편, 걸림간(14)의 뒷쪽둘출단에는 합성수지 등으로 성형한 접촉편(14b)을 설치하고, 이 접촉편(14b)은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걸림간(14)의 삽입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앞쪽에 걸림돌기(14c)를 형성해두어, 이 돌기(14c)를 걸림간(14)에 형성한 걸림공(14a)에 끼워맞추어 부착한다. 그리고, 이 걸림간(14)의 접촉편(14b)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장력조절장치(2a′)의 하단똑에 설치된 돌출부(2d)에 맞닿게 되도록 걸림간(14)의 길이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5도는 제1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긴 보텀 에프론장치의 장력 조절장치(2a′)에 대응시킨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6도(단면도에서 상기의 제4도와 똑같이 도시함)는 짧은 보텀 에트론장치에 본 발명 청소장치를 부착시킨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걸림간(14)을 짧은 장력조절장치(2b′)에 맞닿게 할 수 없으므로, 제7도(단면도에서 상기 제5도와 똑같이 도시함)에 도시한 바와같이 걸림간(14)의 돌출쪽을 길게 형성하여 접촉편(14b)을 제2보텀 드래프트 로울러(2)의 원통부에 맞닿게 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도면은 제1보텀 드래프트 로울러(1)에 본 발명의 청소장치를 설치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상기한 바와같이 다른 드래프트 로울러에도 똑같이 대향 설치할 수 있으므로, 걸림간(14)으로서는 그 뒷쪽의 드래프트 로울러에 맞닿게 되는 길이로 하여, 필요에 다라서는 특별히 설치하는 걸림부재에 맞닿게 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상 매달린 청소장치 지지틀(10)의 요동을 구동간(13)과 걸림간(14)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16도 및 제17도(어느것이나 앞의 제4도와 똑같이 도시한 단면도)와 같이, 상기 구동간(13)을 제거하고 걸림간(14)만으로 청소장치 지지틀(10)을 요동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즉, 제16도에서는 좌우 어느 한쪽 또는 드래프트 로울러의 간격 중앙부에 매단 1개의 매다는 부재(11)(도시하지 않음)의 뒷쪽(기울어지는 방향쪽)에 직접 걸림간(14)을 돌출시켜 설치함과 동시에 그후단쪽에 부착한 접촉편(14b)을 제2보텀 드래프트 로울러(2)의 원통부에 탄성적으로 끼워 장착한 돌출부(19a) 고리(19)에 대응시켜 구동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17도는 상기 걸림간(14)을 단독으로 청소장치 지지틀(10)에 그 뿌리쪽을 접속시켜 기울어지는 방향쪽으로 돌출시킴과 동시에, 그 후단쪽에 부착한 접촉편(14b)을 제2보텀 드래프트 로울러(2)의 원통부에 탄성적으로 끼워 장착한 상기와 똑같은 고리(19)에 대응시켜 구성한 것이다.
또, 제18도 및 제19도(어느것이나 제4도와 똑같이 도시한 측단면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걸림간(14)을 걸림부와 작동부의 2개소로 구성하여, 걸림간(14)의 탄성을 이용하여 청소장치 지지틀(10)을 적극적으로 요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즉, 제18도에서는 상기 긴 보텀 에프론장치의 장력조절장치(2a′)에 대응시킨 것이고, 탄성강판으로 형성된 걸림간을 도면과 같이 굴절시켜 걸림간(14d)으로 하고, 그중간의 일부를 청소장치 지지틀(10)에 삽통하여 지지시킴과 동시에 걸림부분(14e)을 장력조절장치(2a′)의 저변쪽에 맞닿게 하고, 다른끝쪽은 굴절시켜 작동부분(14f)으로서 형성하여, 이 작동부분(14f)을 제2보텀 드래프트 로울러(2)의 원통부에 탄성적으로 끼워 장착한 고리(19)에 대응시켜 구성한 것이다.
또, 제19도는 짧은 보텀 에프론장치에 대응하여 구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걸림간(14d)의 걸림부분(14e) 및 작동부분(14f)을 각각 제2보텀 드래프트 로울러(2)의 원통부에 탄성적으로 끼워 장치한 고리(19)에 대응시키고 있다.
그리고, 제18도 및 제19도에서는 매다는 부재(11)로서 상기 타출편(11d)을 형성한 것을 도시함과 동시에 드래프트 로울러의 원통부에 끼워 장착하는 고리(19)에는 작동용의 걸어맞추는 돌기편(19b,19b)을 형성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 청소장치의 요동은 제16도 및 제17도의 것으로서는, 제2보텀 드래프트 로울러(2)의 화살표방향 회전에 따라 고리(19)도 회전하면, 이에 형성한 돌출부(19a)가 걸림간(14)의 접촉편(14b)을 청소장치 지지틀(10)이 기울여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하여 청소장치 지지틀(10)은 요동하고, 요동 이동량은 돌출부(19a)의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또, 요동회수에 대해서는 고리(19)의 돌출부(19a)를 복수 설치함으로써 증가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5도, 제7도 및 제9도에서 도시한 구동간(13)과 걸림간(14)을 병설하는 구동수단으로는 다음과 같이 작동하여 청소장치 지지틀(10)을 요동시킨다.
즉, 제10도 및 제11도(어느 것이나 제7도에 있어서의 작동설명 단면도)는 요동작동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10도에서는 구동간(13)의 끼워맞춤부(13a)가 드래프트 로울러의 원통부(1c)에 마찰적으로 끼워맞추어져 있고, 로울러의 화살표방향 회전에 의하여 청소장치 지지틀(10)을 화살표방향으로 탄성적인 다리판(13b)을 통하여 기울어지게 한다.
그리고, 드래프트 로울러의 축심수평선(C)에 대하여 대략 30도의 각도로 청소장치 지지틀(10)이 기울어진 시점에서 걸림간(14)의 접촉편(14b)이 제2보텀 드래프트 로울러(2)에 맞닿도록 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구동간(13)의 끼워맞춤부(13a)는 원통부(1c)와 마찰 끼워맞추어져 있으므로,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끼워맞춤 마찰력에 의하여 걸림간(14)을 굽히면서 청소장치 지지틀(10)이 구동간(13)의 다리판(13b)을 통하여 다시 기울어진다. 그런데, 구동간(13)의 끼워맞춤부(13a)는 상기한 바와같이, 작은 반원형부(13c)를 형성하고 있고, 더욱이 다리판(13b)은 작은 반원형부(13c)의 뒷쪽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걸림간(14)이 굽어 걸림으로써 다리판(13b)을 통하여 끼워맞춤부(13a)의 상기 접촉면(13d)을 원통부(1c)로부터 떨어지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끼워맞춤부(13a)의 끼워맞춤 마찰력이 감소되고, 이번에는 걸림간(14)의 복원력과 청소장치 지지틀(10)등의 자중도 가중되어 청소장치 지지틀(10)을 제10도의 위치 또는 그 이상으로 되돌린다.
또, 제18도 및 제19도의 실시예에서는 걸림간(14d)의 작동부분(14f)과 고리(19)의 걸림 돌기편(19b)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걸림간(14d)이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끌어올려지도록 변형하여, 청소장치 지지틀(10)을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한다.
한편, 걸림부분(14e)은 장력조절장치(2a′) 또는 제2보텀 드래프트 로울러(2)의 고리(19)로 지지되어 있고, 작동부분(14f)과 고리(19)의 걸어맞춤 돌기편(19b)의 이탈에 의하여 걸림간(14d)이 복원위치(도시위치)에 복귀함으로써 청소장치 지지틀(10)을 적극적으로 요동시킨다. 이 작용에 의하여 청소장치 지지틀(10)이 요동하고, 청소부재(9)도 함께 이동하여 제1보텀 드래프트 로울러(1)의 둘레면을 청소함과 도싱에 퇴적하는 청소장치의 먼지를 털어낼 수가 있다.
다음에 실시예를 설명한다.
구동간(13)으로서는 제1보텀 드래프트 로울러의 원통부(1c)에 후부쪽에서 칼라를 기워 장착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12도(겨냥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통부(1c)의 앞쪽에서 끼워장치함과 동시에 걸림간(14)을 고정시키고, 더욱이 청소장치 지지틀(10)에 탄성적으로 끼워 장착하여 접속시키는 것이라도 좋다.
즉, 이 구동간(15)은 끼워맞춤부(15a)와 작은 반원형부(15c)와 접촉부(15d)를 형성하고, 이번에는 작은 반원형부(15c)의 접촉부쪽에 다리판(15b)을 고정시키고, 이 다리판(15b)의 일부에 걸림간(14)의 한쪽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다리판(15b)의 하부쪽은 협지부(15e)를 형성하여 청소장치 지지틀(10)에 끼워 장착한다.
이렇게 하면, 청소장치 지지틀(10)을 매다는 부재에 매달리도록 설치함에 있어서, 구동간(15)을 미리 지지틀에 접속시켜 둘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 제13도(측단면도)는 연신부의 복수 드래프트 로울러에 각각 청소장치를 매달아 지지시킴과 동시에, 그 요동작동은 어느 하나의 청소장치로 행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제1보텀 드래프트 로울러(1), 제2보텀 드래프트 로울러(2), 제3보텀 드래프트 로울러(3)및 백 보텀 드래프트 로울러(4)에 각각 청소장치 지지틀(10)을 상기한 바와같이 매달아 설치한다.
그리고, 제3보텀 드래프트 로울러(3)에 상기한 구동간(13)을 끼워장착하고, 걸림간(14)은 백 보텀 드래프트 로울러(4)에 걸리게 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고정구(9b)의 저면쪽에 구멍뚫린 판자를 고착하거나 또는 탄성고정구(9b)의 양벽면 또는 한쪽벽면의 일부를 타출하여 그 선단부에 구멍을 형성한 돌출설편(舌片)을 형성한 탄성고정구(9b)를 각각의 청소장치 지지틀(10)의 대응부에 부착하여, 이 돌출설편(9ba)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간(16)을 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돌출설편(9ba)으로서는 상기한 탄성고정구(9b)를 이용하지 않고 특별한 청소장치 지지틀(10)의 개방단부에 끼워붙일 수 있는 부재를 써서 이에 연결간(16)을 서로 접속시켜도 좋다.
또, 이러한 연결간을 이용할 때에는 청소장치 지지틀(10)의 배설에 의하여 다수의 연결간을 필요로 하므로, 1개의 축봉을 이용하여 복수의 청소장치 지지틀(10)을 접속하여도 좋다. 제14도(측단면도) 및 제15도(제14도의 절단선 XV-XV에 따르는 화살표방향 단면도)는 그 1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청소장치 지지틀(10)의 개방끝쪽에 설치하는 상기 탄성고정구(9b)의 저면 양쪽에 돌출벽(9bb,9bb)을 설치하고, 이에 동축(17)의 양쪽 중앙에 돌출설치한 축을 축지지한다. 그리고, 이들의 통축(17)을 관통시켜 축봉(18)을 통하여 통축(17)에 설치한 고정나사(17a)로서 각각 그 청소장치 지지틀(10)을 균일한 경사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어느 청소장치 지지틀(10)을 상기한 바와같은 요동식으로 하여 다른 청소장치 지지틀(10)을 따라 움직이게 하여도 좋다.
또한, 이러한 탄성고정구(9b)로 하려면, 상기 돌출벽(9bb)을 각각 타출하여 굽힌편(片)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탄성고정구(9b)를 이용하지 않고 특별한 부착부재를 이용하여 이에 통축을 축지시켜도 좋다.
본 발명 청소장치는 이와같이 구성하였으므로, 드래프트 로울러에 각각 일정관계 위치를 유지하여 대향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극히 간단한 수단으로 청소장치를 요동시킬 수 있게 되어, 청소효과가 뛰어난 청소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청소부재의 끝가장자리 능선부분이 닳으면 청소장치 지지틀의 전후를 변경시킴과 동시에 구동간 및 걸림간의 부착방향을 변경하여 다시 매다는 부재에 매달아서, 청소부재의 반대능선부분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요동수단은 드래프트 로울러의 회전을 이용하므로, 특별한 구동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연신부가 복잡하게 되지 않으며, 보수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간단한 장치이기 때문에 값싸게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고무, 합성고무 등으로 된 청소부재의 재단편을 복수 청소장치 지지틀에 선단가장자리를 돌출시켜 지지시키고, 이 청소부재의 선단가장자리를 드래프트 로울러의 외주면에 적극적으로 맞닿게 하는 청소장치에 있어서, 이 청소장치 지지틀을 드래프트 로울러에 매달아 지지한 매다는 부재에 드래프트 로울러에 대향시켜 자유롭게 붙였다 뗐다 할 수 있게 매달아 설치하고, 청소장치 지지틀을 드래프트 로울러의 축심과 동심으로 일정관계 위치를 유지하여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프트 로울러에 매달린 요동 청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드래프트 로울러에 매단 청소장치 지지틀은 드래프트 로울러의 일부에 탄성적으로 끼워 장착하여 회동하는 구동간의 한끝을 접속하여 구성함과 동시에, 이 구동간의 뒷쪽에는 청소장치 지지틀이 기울어지는 방향쪽에 탄성적인 걸림간을 돌출시켜, 이 탄성적인 걸림간의 걸림에 의하여 상기 구동간의 드래프트 로울러를 끼워 장착한 부분의 마찰을 줄여서 청소장치 지지틀을 복원위치에 복귀시킴과 동시에, 다시 구동간의 끼워 장착한 부분의 마찰에 의하여 청소장치 지지틀이 기울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프트 로울러에 매달린 요동 청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드래프트 로울러에 매단 청소장치 지지틀은 그 매다는 부재 또는 청소장치 지지틀이 기울어지는 방향쪽에 걸림간을 돌출설치함과 동시에, 이 걸림간을 다른 구동부재에 의하여 적극적으로 작동시켜서 청소장치 지지틀을 요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프트 로울러에 매달린 요동 청소장치.
KR1019870006946A 1987-03-24 1987-07-01 드래프트 로울러에 달린 요동 청소장치 KR940000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940087 1987-03-24
JP62-69400 1987-03-24
JP69400 1987-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381A KR880011381A (ko) 1988-10-28
KR940000938B1 true KR940000938B1 (ko) 1994-02-04

Family

ID=1340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6946A KR940000938B1 (ko) 1987-03-24 1987-07-01 드래프트 로울러에 달린 요동 청소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19302A (ko)
KR (1) KR940000938B1 (ko)
CH (1) CH676723A5 (ko)
DE (1) DE3807985C2 (ko)
ES (1) ES2006369A6 (ko)
IT (1) IT12161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1459A5 (ko) * 1990-01-19 1993-03-31 Rieter Ag Maschf
TW208050B (ko) * 1991-07-05 1993-06-21 Kitamura Youzi
US5400583A (en) * 1992-05-22 1995-03-28 The De Williams Company Yarn lap preventor for a take-up shaft in open end spinning machine
US5435121A (en) * 1992-05-22 1995-07-25 D E Williams Company Yarn lap preventor for a take-up shaft in an open end spinning machine and associated method
DE19642198C2 (de) * 1996-10-12 1999-11-04 Rieter Ingolstadt Spinnerei Putzlippe
DE502007001788D1 (de) * 2007-01-18 2009-12-03 Dilo Kg Maschf Oskar Vorrichtung zum geführten Transport einer Florbahn
DE102020132058A1 (de) * 2020-12-02 2022-06-02 Maschinenfabrik Rieter Ag Elastische Putzlippe, Tragelement und Reinigungs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784A (en) * 1907-09-03 1908-10-20 William Arthur Cordingley Appliance for cleaning the delivery-rollers of mule spinning and twisting frames.
US2711563A (en) * 1951-03-28 1955-06-28 Lathauwer Rene J De Clearer for drafting rolls
DE1860971U (de) * 1962-07-31 1962-10-25 Ferdinand Reiterer Vorrichtung zum reinigen der streckwerkszylinder von textilfasern.
EP0045725B1 (en) * 1980-08-04 1985-01-16 Hans Rudolf Hotz Device for cleaning the rolls of draft rolling mills of textile machines
CH659088A5 (de) * 1983-06-20 1986-12-31 Galipag Abstreifer fuer die zylinder von textilmaschinen.
KR940002799B1 (ko) * 1986-07-28 1994-04-02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지도오쇽기 세이사꾸쇼 보텀 드래프트 로울러의 청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06369A6 (es) 1989-04-16
IT1216173B (it) 1990-02-22
CH676723A5 (ko) 1991-02-28
IT8819876A0 (it) 1988-03-21
DE3807985C2 (de) 1999-12-02
DE3807985A1 (de) 1988-10-06
KR880011381A (ko) 1988-10-28
US4819302A (en) 198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0938B1 (ko) 드래프트 로울러에 달린 요동 청소장치
US2768782A (en) Electric fan
KR940002799B1 (ko) 보텀 드래프트 로울러의 청소장치
US939368A (en) Boiler-bracket.
US5628672A (en) Blowing device for a belt grinding machine
US2730243A (en) Article display board
CN109972355B (zh) 把手组件、分配器、洗涤剂盒部装及衣物处理设备
JP2583530B2 (ja) パットクリヤラーの取付装置
JPH0455061U (ko)
JP2022083177A (ja) 織機のクランク式駆動装置
JP3037621B2 (ja) 苗箱洗浄機
CN106894188B (zh) 割绒机
JPH0726258B2 (ja) ドラフトローラの吊り下げ揺動クリヤラー装置
KR100224041B1 (ko) 개폐가 용이한 통풍장치를 가진 미닫이용 후레임제
KR200323294Y1 (ko) 환기창 루버 지지구조
JP2950820B2 (ja) 糸ブレーキ及び給糸装置
US1734895A (en) Brush supporting and adjusting means for vacuum cleaners
CN116816698B (zh) 一种高稳定性离心风机
KR200278490Y1 (ko) 휴지걸이
KR920019992A (ko) 편물기에 있어서의 섬유찌거기등의 집진 · 제거장치
JPH0558199U (ja) 人形等のアクションユニット
JPS5943388Y2 (ja) コ−マのクリヤラ装置
US5953558A (en) Imaging module mounting structure
JPH0447161Y2 (ko)
KR20030069323A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흡입 그릴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