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407B1 -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밥 자동취사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밥 자동취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407B1
KR940000407B1 KR1019910014673A KR910014673A KR940000407B1 KR 940000407 B1 KR940000407 B1 KR 940000407B1 KR 1019910014673 A KR1019910014673 A KR 1019910014673A KR 910014673 A KR910014673 A KR 910014673A KR 940000407 B1 KR940000407 B1 KR 940000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unit
plate
washing tank
micro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4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870A (ko
Inventor
장래익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이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filed Critical 이승우
Priority to KR1019910014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407B1/ko
Publication of KR930003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밥 자동취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취사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취사장치의 마이크로세서 콘트롤부의 정면도.
제3도 (a)(b)는 본 발명에 따른 취사장치의 계량부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제4도 (a)(b)는 본 발명에 따른 취사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취사장치의 세척밸브 및 밥물량 살수밸브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평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평단면도의 물받이를 도시한 사시도.
제8도는 (a)(b)는 제5도의 평단면의 취사부인 밥통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일부 절결단면도.
본 발명을 마이크로세서를 이용하여 쌀이 수납보관된 쌀통으로부터 쌀을 자동인출 계량하고, 인출된 쌀을 세척한후 이를 밥솥내로 투입하여 원하는 밥질(진밥, 표준밥, 된밥)에 맞게 밥물량을 공급하여 취사하고 취사후 보온이 유지되도록 하는 밥짓기 전과정을 무인으로 동작할 수있게 한 밥 자동취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의 취사 과정은 사람이 손으로 쌀을 씻고 헹구어 밥솥에 넣고 밥물의 양을 눈대중, 손대중, 혹은 계량물컵으로 양을 맞추어 밥물을 넣고 취사도도록한 것으로써, 이는 취사때마다 쌀을 손으로 세척하고, 밥솥에 넣고 눈대중이나 손대중 또는 물컵등으로 밥물량을 조정함으로써 밥물 량이 취사때마다 다소 달라지게 되어 밥질(진밥, 표준밥, 된밥)이 일정하게 취사되지 못하는 것이다.
또한 모든 취사 과정이 손으로 이루어지므로 많은 작업시간과 많은 노동력을 요구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인출된 것으로써 쌀의 저장으로부터 취사까지의 모든 과정을 자동화하여 생활이 편리함을 추구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밥질을 선택하여 치사할 수 있도록하여 사용자의 구미를 맞출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쌀이 수납보관되는 쌀수납부의 하부로 일정량의 쌀을 계량하는 계량부와 상기 계량부 하면에 설치되어 계량부로 부터 투입되는 쌀을 세척하는 세미부와 세미부로 부터 세척된 쌀을 공급받아 밥을짓고, 보온시키는 취사부와 상기 각각의 계량부, 세미부, 취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세서 콘트롤부로 구성된 것에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세서를 이용한 밥 자동취사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8도에서와 같이 쌀이 수납보관되는 쌀수납부(200) 상부로 마이크로세서 콘트롤부(100)와 하부로는 일정량의 쌀을 계량하는 계량부(300)와 상기 계량부(300)하면에 설치되어 계량부로 부터 투입되는 쌀을 세척하는 세미부(400)와 상기 세미부로부터 세척된 쌀을 공급받아 밥을 짓고 보온시키는 취사부(600)를 구비한다.
상기 마이크로세서 콘트롤부(100)는 모든 구동부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스위치(101)와 예약선택스위치(102) 및 예약선택표시구(108, 109)와 예약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조절스위치(103, 104)및 시간표시구(110)와 취사할 밥의 양을 설정하는 쌀량 선택스위치(105)및 인분표시구(111)와 취사되는 밥의 질(진밥, 표준밥, 된밥)을 선택하는 밥질선택스위치(106)및 밥질표시구(112)(113)(114)와 취사장치의 구동을 개시하는 작동개시스위치(107)및 작동표시램프(119)와 밥의 취TK태와 보온상태를 표시하는 보온 취사 표시램프(120)(121)와 급수상태, 밥솥 유무 및 위시상태, 쌀존재여부상태, 선택불량 상태등을 점검하는 점검표시램프(115)(116)(117)(118)를 구비한다(도면 제2도 참조).
상기 쌀수납부(200)는 쌀통(201) 전면으로 쌀을 투입할 수 있는 쌀투입구(202)와 상기 쌀통(201) 내부 저면에 쌀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하는 경사판(203)과, 상기 경사판(203)의 일측에 쌀통내의 쌀존재 여부를 감시하는 쌀잔량 감지센서(204)를 구비한다.
상기 계량부(300)는 하면이 개방된 측벽(307) 상부로 통공(306)을 가지는 상판(305)이 상기 쌀통(201)의 하부에 밀착되고, 상기 상판(305)과 측벽(306)의 내부로 일정량의 쌀이 투입되는 계량컵(301)과 외주면에 기어(304)를 구비한 회전판(303)이 일체로 형성되어 삽입설치되며, 상기 회전판(303)에는 쌀이 계량컵(301)내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 통공(302)이 편심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판(305)으로 구동모터(308)축이 하향 관통되고 상기 축에는 일련의 기어(310)들이 결합되어 구동모터(308)의 회전수를 감속시키며, 상기 기어(310)는 상기 회전판(304) 외주연의 기어(304)와 치합되어 회전판(303)을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312)가 설치된다.
상기 상판(305)과 회전판(303)사이에는 쌀의 깨짐을 방지하는 쌀깨짐 방지구(309)가 다수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303)의 중심에 후술되는 세미부의 세척조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311)을 관통설치하되, 상기 회전축(311)은 단면이 정사각형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미부(400)는 커버상판(405)상으로 쌀이동관(407)과, 상기 쌀이동관(407) 상부로 상기 계량부(300)의 계량컵(301) 하부에 밀착되는 계량컵 받침판(408)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쌀이동관(407)내로는 솔레노이드밸브(411)와 연결된 쌀세척물 살수밸브(410)가 관통되며, 상기 커버상판(405) 일측에 솔레노이드밸브(421)와 연결된 밥물살수밸브(420)가 설치되고, (도면 제5도 및 6도 참조)커버상판(405)주연으로는 하면이 개방된 세척조커버(406)가 하향 설치된다.
상기 세척조 커버(406)의 하부로는 상기 각각의 살수밸브(410)(420)로 부터 쌀수된 물을 받는 물받이(500) 삽입 설치된다.
상기 물받부(500)는 측벽(501)내부로 다수의 배수공(503)을 구비한 물받이판(502)과 배수관(505)을 갖는 바닥판(50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물받이판(502)과 바닥판(507)사이에는 공간을 두어 배수공(503)을 통해 유입된 물이 수납되는 집수실(504)을 가지며 물받이판(502)과 집수실(504)및 바닥판(507)을 관통하는 살투출관(506)을 편심하게 형성한다(도면 제7도 참조).
그리고, 상기 커버상판(405)와 물받이판(502)사이에는 상기 쌀이동관(407)을 통해 유입되는 쌀이 수납되는 세척조(401)를 구비하되 세척조 외주면으로 다수의 배수공(402)을 형성한다.
상기 세척조(401), 상, 하면에는 상기한 회전축(311)이 관통되어 회전하는 상판(403)과 하판(404)이 일체감을 갖게 결합설치된다.
상기 취사부(600)는 투입된 쌀을 취사하고 보온시키는 밥통(601) 뚜껑(62)의 내측 저면에 구동모터(606)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개폐판(604)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개폐판(604)일측에 쌀투입공(605)과 하부면에 쌀 혼합봉(608)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회전 개폐판(604)과 뚜껑(602) 저부에 포턴센서(607)가 설치되어 회전개폐판(604)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뚜껑(602) 상면 일측에는 상기한 쌀투출관(506)과 일치되는 쌀유입효과(603)가 설치된다(도면 제6도 참조).
상기 밥통(601)은 마이크로스위치(702)가 설치되고 쌀 자재토록된 밥통서랍(701)상에 재치된다.
미설명부호 : 700은 수납장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고안의 작동상태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이크로세서 콘트롤부(100)의 전원스위치(101)를 ″온″동작 시키게되면 자동취사장치의 모든 구동부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어 현재시간에 취사를 할것인가, 아니면 예약설정된 시간에 취사를 할것인가를 선택하게 되는데, 여기서는 현재시간에 3인분량의 밥을 취사하는 것부터 설명한다.
예약선택스위치(102)를 눌러 현재를 알리는 표시램프(108)에 불이 켜지도록 한다. 이때 예략표시램프(109)는 꺼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시간표시구(110)에는 현재의 시간을 표시한다.
이어 취사될 밥의 양을 선택하게 되는데, 이때는 쌀량선택스위치(105)를 눌러 인분수표시구(111)에 3자가 표시되도록 한 후, 밥질선택스위치(106)를 조작하여 진밥, 표준밥, 된밥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밥질표시구(112)(113)(114)에 표시되도록 선택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선택스위치 동작은 점검표시램프(115)(116)(117)(118)의 불이 모두 꺼진 상태에서만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즉, 쌀통(201)내의 쌀존재여부를 감지하는 센서(204)의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점검램프(115), 각종선택스위치의 여부를 점검감지하는 점검램프(116), 쌀을 세척하고 밥물량을 조정하는 급수밸브의 유무상태 및 수압상태를 점검하는 램프(117), 밥통(601)의 유무 및 정위치 상태를 점검하는 램프(118) 모두에 이상 상태가 감지되지 않아야만 취사장치가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작동개시스위치(107)은 ″온″동작시켜 작동표시램프(119)에 불이 들어오게 되면, 계량부(300) 상판(305)상의 구동모터(308)가 회전 구동하게 되고 상기 구동모터축과 치합된 다수의 기어(310)와 연결된 회전판(303)이 회전구동하고, 회전판(303) 하부내 결합된 계량컵(301)의 180。회전하여 세미부(400)의 계량컵 받침판(408)하부로 하향 설치된 쌀이동관(407)과 일치되면 회전판(303) 주면에 설치된 포터센서(312)가 구동모터(308)의 회전을 멈추게된다.
이때 상기 계량컵(301)내로는 쌀통(201) 하부의 경사면(203)과 상판(305)의 통공(302)을 통해 쌀이 자유낙하되어 채워진 상태이므로, 쌀이동관(407)내로 쌀이 투입되는 것이다(도면 제3도 및 제4도 참조).
이때 세미부(400)의 세척조(401)상, 하판(403)(404)과 상기 회전판(303)의 각 중심부로 정사각형의 회전축(311)이 관통설치되어 회전판(303)의 회전동작과 동일하게 세척조(401)도 180。회전구동되어 쌀이동관(407)하부로 회전이동된 상태이므로 쌀이동관(407)을 통해 떨어지는 쌀이 세척조(401)내로 쌀이 투입 완료되면, 쌀이동관(407)내로 관통설치된 세척살수밸브(410)가 마이크로세서에 입력된 신호를 전달받은 솔레노이드밸브(411)의 개방에 의해 물을 60초간 살수하여 세척조(401)내의 쌀을 세척하게 된다.
이때 세척조(401)내로 실수되는 세척물은 세척조(401) 주연에 다수형성된 배수공(402)을 통해 하부로 떨어져 물받이판(502)상에 형성된 배수공(503)과 집수실(504)을 거쳐 배수관(50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어 세척살수가 완료되었음을 감지한 마이크로세서가 구동모터(308)를 다시 회전구동 시킴에 따라 회전판(303)이 180。회전하여 계량컵(301)이 상판(305)상에 형성된 통공(306)하부로 회전 위치 이동되어 쌀통(201)으로 부터 자유낙하 하는 쌀을 받아 계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303)과 회전축(311)에 의해 연결된 세척조(401)의 상판(403)과 하판(404)도 180。회전되어 세척조(401)가 물받이(500)하부에 형성된 쌀투출관(506)상부에 위치되어 세척된 쌀이 쌀투출관(506)을 통해 하부로 투출된다.
이어 투출된 쌀은 밥통(601) 뚜껑(602)부에 형성된 쌀유입호퍼(603)를 거쳐 회전개폐판(604)의 쌀퉁비공(605)을 통과하여 밥통(601)내로 투입완료된다.
이때 상기 회전개폐판(604)의 쌀량선택스위치(105)의 입력신호에 따라 구동모트(606)의 구동으로 회전되어 쌀투입공(605)이 쌀유입호퍼(603)의 하부에 위치되어 세척된 쌀이 밥통(601)내로 유입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된다(도면 제8도 참조).
이어 상기 계량컵(301)내로 유입된 쌀은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3회 반복 수행하여 쌀량선택스위치(105)로 입력된 3인분의 쌀을 세척하여 밥통(601)내로 유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밥물살수밸브(420)는 선택된 3인분의 쌀이 모두 세척되는 동안에는 동작되지 아니하다가 마지막 3인분의 쌀이 밥통(601)내로 유입완료되면 밥물을 살수하여 세척조(401)내부에 부착된 쌀을 씻어내며 밥질선택스위치(106)에 의해 압력된 밥질에 맞는 밥물량을 살수하게되는데 이때 밥물량은 쌀량과 밥질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이를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소자에 기억시킨 마이크로세서에 의해 조정되는 것으로 표1은 밥질 선택에 따른 밥물공급의 밥물량이며 이값이 마이크로세서이 급수솔레노이드밸브(421)의 개방시간 데이타 값으로 입력되어져 있다.
[표 1]
상기와 같이 밥질선택에 맞는 밥물량이 밥통내로 살수 완료되면 마이크로세서의 신호에 의해 밥통뚜껑부(602)에 설치된 구동모터(606)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회전개폐판(604)이 회전하여 쌀투입공(605)이 쌀유입호퍼(603)로 부터 벗어나면서 회전개폐판(604)의 평면이 쌀유입호퍼(603) 하부를 밀폐시키며 회전되다가 뚜껑(602) 하부에 회전개폐판(604)상에 설치된 포토센서(607)의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606)가 180。회전하여 멈추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개폐판(604)하부로 하향 설치된 혼합봉(608)은 회전되며 밥통(601)내로 유입된 쌀을 평할하게 펴게되는 것이다.
이어 마이크로세서의 신호에 의해 밥통(601)내로 전원이 인가되어 취사하게 되며 취사가 완료된후에는 보온상태를 유지토록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취사부의 동작은 통상의 전기밥솥과 동일하게 작동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제 시간예약에 따른 취사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스위치(101)를 ″온″시켜 취사장치에 전원을 인가되도록 한후 예약선택스위치(102)를 조작하여 예약표시램프(109)를 불이 커지도록하고, 시간조절스위치(103, 104)를 시간을 설정하게 되는데 예를들어 오후 7시에 취사하고 싶을 경우 시간표시표시구(110)에 ″7″자가 표시되도록 한다음 시간조절스위치(103, 104)를 다시 ″00″자가 되도록 조작한다.
이어 쌀량선택스위치(105)를 취사하고자 하는 인분수를 인분표시구(111)에 표시되도록 설정하고(3인분일 경우 ″3″자가 표시되도록 함)
발질선택스위치(106)를 조작하여 된밥, 표준밥, 진밥중 어느하나를 선택하면 모든 예약동작을 완료하게 되는것이며, 콘트롤부(100)에 내장된 타이머에 의해 지정된 시간이 되면 마이크로세서에 의해 신호가 인가되어 상술한 현재 취사 동작과 동일하게 계량과 세척 및 취사 보온 동작을 순차적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세서를 이용한 밥 자동취사 장치에 의하며, 쌀의 인출과 세척 및 취사보온과 같은 일련의 동작을 무인으로 작동되게 함으로써, 생활의 편이성을 크게 추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상 원하는 밥질을 정확하게 취사할 수 있는 특출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쌀통(201) 전면에 쌀투입구(202)를 구비하며 하부로 하방이 개방된 경사면(203)을 갖는 쌀수납부(200)와, 상기 쌀수납부(200)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경사면(203) 하방의 계방부에 일치되는 통공(302)이 편심 형성된 회전판(303)이 회전구동부(312)에 의해 회전구동 되고, 상기 통공(302) 하부로 일정량의 쌀을 수납하는 쌀계량컵(301)을 구비하는 쌀계량부(300)와 상기 쌀계량부(300)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쌀계량부로 부터 계량된 쌀을 세척하기 위한 섹척조(401)가 쌀이동관(407)에 의해 상기 계량컵(301)과 연통되고, 상기 세척조(401) 외주연에 다수의 배수공(402)과, 상, 하면에 상판(403)및 하판(404)을 각각 갖는 세미부(400)와 상기 세미부(400)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세척조(401)로부터 세척된 쌀을 이송하는 쌀 투출관(506)을 구비하며, 상기 세척조 외주연의 배수공(402)으로 방출되는 물을 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물받이(500)가 엘체감을 갖도록 결합되고, 상기 물받이(500)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살투출관(506)으로 부터 투출되는 쌀을 유입하는 쌀유입호퍼(603)를 구비한 밥통(601)이 설치된 취사부(6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세서를 이용한 밥 자동취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쌀계량컵(301)을 구비한 회전판(303)과, 세척조(401) 상, 하면에 구비된 상판(403)과 하판(404)중심에 회전축(311)을 관통 결합설치하여 쌀계량부(300)와 세미부(400)가 연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세서를 이용한 밥 자동취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쌀통(201)하부의 경사면(203)상에 쌀통내의 쌀존재여부를 감지하는 쌀잔량감지센서(204)가 설치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세서를 이용한 밥 자동취사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밥통(601)의 뚜껑 하부로 쌀유입호퍼(603)의 연통되는 쌀투입공(605)을 갖는 회전개폐막(604)이 구동모터(606)에 의해 상기 쌀유입호퍼(603)을 회전개폐 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세서를 이용한 밥 자동취사장치.
KR1019910014673A 1991-08-23 1991-08-23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밥 자동취사장치 KR940000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4673A KR940000407B1 (ko) 1991-08-23 1991-08-23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밥 자동취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4673A KR940000407B1 (ko) 1991-08-23 1991-08-23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밥 자동취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870A KR930003870A (ko) 1993-03-22
KR940000407B1 true KR940000407B1 (ko) 1994-01-20

Family

ID=1931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4673A KR940000407B1 (ko) 1991-08-23 1991-08-23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밥 자동취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4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870A (ko) 199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94666C (en) Computer controlled brewing apparatus
EP0079235B1 (en) Improvements in coffee-making machines
US2730034A (en) Coffee brewing apparatus
KR0180947B1 (ko) 밥 자동 취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9480637A (zh) 智能煮饭器和用于智能煮饭器的加料组件
GB866680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ffee vending machines
KR100318063B1 (ko) 라면 자동 판매장치
GB2111377A (en) Improvements in coffee- making machines
KR940000407B1 (ko)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밥 자동취사장치
KR100856952B1 (ko) 쌀 냉장고가 결합된 자동밥솥
US20040118294A1 (en) Semiautomated coffee maker
JP3284599B2 (ja) 洗米炊飯機等の米計量装置
KR20010025379A (ko) 전자동 밥솥
JP3536356B2 (ja) 洗米炊飯機の排水終了検出装置
JP2882816B2 (ja) 自動炊飯装置
KR102246449B1 (ko) 자동 취반 및 배출 장치
KR200239578Y1 (ko) 김 구이장치
KR20120047419A (ko) 자동 취사장치
KR100187392B1 (ko) 밥 자동 취사장치의 원격제어방법
JP3536336B2 (ja) 洗米炊飯機の水加減制御装置
JP3525598B2 (ja) 洗米炊飯機の洗浄装置
JP3246497B2 (ja) 洗米炊飯機における操作盤
KR0138644B1 (ko) 전자동 취사기의 세미장치
JPH0394712A (ja) 自動炊飯装置
KR19980082662A (ko) 정미세정겸비의 전자동식 취반방법과 그 취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