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344Y1 - 순환벨트를 높이 노출시켜 세운 접착테이프 절단기 - Google Patents

순환벨트를 높이 노출시켜 세운 접착테이프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344Y1
KR940000344Y1 KR2019910011039U KR910011039U KR940000344Y1 KR 940000344 Y1 KR940000344 Y1 KR 940000344Y1 KR 2019910011039 U KR2019910011039 U KR 2019910011039U KR 910011039 U KR910011039 U KR 910011039U KR 940000344 Y1 KR940000344 Y1 KR 940000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heel
tape
blade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1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2362U (ko
Inventor
오영석
Original Assignee
오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석 filed Critical 오영석
Priority to KR2019910011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344Y1/ko
Priority to EP92915665A priority patent/EP0600912A1/en
Priority to PCT/KR1992/000029 priority patent/WO1993002007A1/en
Priority to JP5502740A priority patent/JP2619211B2/ja
Priority to CA002113480A priority patent/CA2113480A1/en
Publication of KR9300023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3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3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7/00Hand cutting too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finger rings for cutting string, devices for cutting by means of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65H35/00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using movable cut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with means for deliver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ta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순환벨트를 높이 노출시켜 세운 접착테이프 절단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주요 구성요소의 구조와 작용을 나타낸 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조, 원리 및 사용상의 분리, 착, 탈 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
제4도는 제3도를 좌, 우 대칭되게 분리. 또는 절단하고, 프레임의 안쪽 구조를 보여주는 도.
제5도는 칼날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조립도.
제6도는 칼날장치와 순환벨트의 상호 연관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제7도는 순환벨트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노브. -절단길이 조절용- 21C : 저어널
21D : 가변위 저어널 22 : 케이스. -48의-
23 : 보스. -탭나사의- 24 : 카바. (=프레임)-42의-
25 : 간막 26 : 카세트. (=프레임)
27 : 간막 28 : 투명카바. -26의-
29 : 걸림턱. -24의- 30 : 걸림톨
32 : 베이스. (=프레임) 34 : 간격(間隔)
35 : 보스. -24의- 36A, 36B : 레일
37 : 텝나사 40 : 레일구멍
42 : 순환벨트 44 : 고리. -42-의
46 : 접착편. -42의- 48 : 칼날장치
48E : 실린더 52 : 테이프휠
54 : 접착테이프롤 56C, 56D : 벨트휠
57 : 슬라이드홀. -21D의- 62, 63 : 스프링
64 : 압착장치 66 : 힌지, 보스홀
70 : 바퀴. -48의- 71 : 지레대베이스
72 : 칼. -48의- 73 : 지레대구멍. -72의-
74 : 걸림고리. -26의- 76 : 피스톤. -48의-
78 : 모멘트축. -84의- 80 : 힘점. -84의-
81 : 지레대구멍. -76의- 82 : 스프링. -76의-
84 : 지레대 84E : 돌기. -84의 작용점-
본 고안은 순환벨트를 접착테이프의 이송 수단으로 사용하며, 순환벨트를 경사지게 높이 노출시켜 세움으로서, 순환벨트를 손으로 직접 잡아당겨 구동시킬 수 있고, 그림으로서 원터치로 다량의 접착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게 되는 접착테이프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접착테이프 절단기는 주로, 책방, 백화점, 제과점, 문방구 등에서 상품을 포장할 때, 사무실에서 편집작업 등을 할때 쓰인다. 본 고안은 기존의 접착테이프 절단기들이 사용되던 곳에서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더하여, 인쇄필름을 제작하는 사무실에서, 사진을 속성 현상, 인화하는 사진관에서, 대량으로 상품을 생산, 포장하는 공장 등, 접착테이프가 연속적으로 다량 소모되는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인쇄필름에 제작하는 사무실에서는, 유리판 위에 접착테이프를 길게 늘여 붙여놓고는 손으로 한꺼번에 칼질을 해서 하나씩 떼어쓰고 있는데, 본 고안은 이러한 작업을 대신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나와있는 접착테이프 절단기는, 접착테이프 디스펜서(DISPENSER) 또는 접착테이프 홀더(HOLDER)라고 불리우는, 가장 간단한 구조이며,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설치된 접착 테이프를 손가락으로 잡아 끌어 당겨, 톱니에 걸고 당겨서 절단해 쓰는 것이다. 또, 전기모터가 내장된 것으로서 접착테이프가 원하는 길이만큼 자동 인출되고 인출된 테이프를 위(上)로 잡아채어 잘라쓰는 것이 있다. 또한, 물레방아의 수차바퀴같은 것을 접착테이프의 인출 및 절단 장치로 사용한 것으로서, 구동노브(KNOB)를 돌리면 수차 바퀴같은 것에 절단된 테이프가 여러개 붙어져 나오는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88-38404)
* 관련된 외국 출원 자료로는 (PCT 출원에 의한 국제 특허청이 제시한 자료임.)
첫째, US, A, 2 241 658. (1938.09.15) 둘째, US, A, 2 308 464(1939.10.31) 세째, US, A, 2 509 641.(1945.08.23) 네째, GB, A, 2 137 961.(1983.02.09)가 있는데, 이중에 첫째 자료는 본 고안과, 테이프가 돌아나오는, 회전 방향이 반대이며, 원터치로 테이프가 1개씩만 잘려 나오며, 구동 레바로부터 벨트를 돌리고 칼날 장치를 작동시키는 연결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테이프를 교환 설치하는 방법이 매우 불편하다. 불편한 이유는, 테이프가 여러개의 접착편(자료에서는 "BLADES 13"라고 표현됨)에 동시에 붙어 있어야만이, 테이프롤에서 테이프를 끌어당겨, 테이프의 접착력을 이기고, 테이프를 테이프롤에서 풀어낼 수 있기 때문에, 테이프를 교환 설치할 때에는 테이프롤를 손으로 미리 풀어서 풀어진 테이프의 끝을 손으로 직접 접착편에 갔다 대고 레바를 여러번 눌러야 하는데, 이때 테이프의 끝을 접착편에 갔다 대기에는 공간이 너무 좁고 인간 공학적으로 불편하며 신경을 집중시켜야하는 일이 되기 때문이다.
둘째 자료는 독립된 제품에 관한 것이기보다는 공장의 양산 과정에서 포장 단계를 담당하는 설비에 관한 것이다.
세째 자료는 상기 기술한 물레방아 수차바퀴를 이용한 것과 유사한 것이다.
네째 자료는 기본적인 원리만 제시한 것으로서, 첫째, 세째 자료와 유사한 것이며, 다른점이 있다면 접착테이프가 붙는 수직의 접착편의 접착면이 칼날이 들어갈 수 있도록 갈라진 것이다.
이러한 기존 제품 및 선 출원된 선행기술과 구분되는 본 고안의 특징은, 순환벨트 42를 위에서 아래로 높게, 또한, 뒤로 기울여 경사지게 세우고, 또한, 겉으로 노출시켜, 구동레바나 구동 회전 손잡이 없이도, 순환벨트 42를 직접 위에서 아래로 잡아당겨 구동 및 회전시킬 수 있으며, 카세트 방식을 채택하여 칼날장치 48과 압착장치 64를 카세트 26에 부착시킨 순환벨트 42에서 착 탈할 수 있게 한 것이며, 회전축을 가진 주요 구성요소를 서로 도로레 역할을 하도록 배치한 것과, 별도의 독립된 구조와 작용을 가지고 있는 칼날장치를 채택,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이 달성시킨 목적과 효과는; 순환벨트 42를 손으로 직접 잡아당겨 돌리게 함으로서, 구동레바, 또는, 구동 회전 노브와 이에 따르는 동력 전달장치를 불필요하게 하였고, 따라서, 외관이나 내부구조(內部構造)로나 단한난 대칭구조(對稱構造)를 완성하였으며, 따라서, 보기에 좋을뿐만이 아니라, 제작을 용이케하고 구성요소와 부품수를 줄였으며, 또한, 순환벨트 42를 위에서 아래로 잡아당기는 동작은 벨트 길이가 길다고 하더라도 한 동작으로할 수 있음으로, 원터치로 많은 수량의 접착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으며, 또한, 인간공학적으로 합리적인, 편리한 손동작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또한, 회전축을 가지고 있는 구성요소를 서로 도르레 역할을 하도록 위치하여서, 접착력이 강한 접착테이프라 하더라도 능히, 쉽게 끌어당겨 풀고, 부드럽게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카세트 방식을 채택하여, 접착테이프의 교환, 설치를 간단하게 했다. 이러한, 카세트에 칼날장치 48와 압착장치 64를 부착시키는 것을 고안하지 못하고서는, 순환벨트를 높이 경사지게 세우는 것을 생각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독특한 구조에 따라서 독특하고 아름다운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다. 이 이외의 달성한 목적과 효과도 도면과 이후의 설명에 의해서 명백하여질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외형 사시도이며, 동시에, 제2도의 구성요소를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프레임을 벗겨낸, 움직이는 구성요소의 구조와 원리를 설명하는 도 이다. 제3도는 구성요소의 분리 착탈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4도는 제3도를 좌, 우 대칭되게 분리하고, 프레임의 안쪽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 4개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외형과 중요한 구성요소는 좌, 우 대칭이다. 따라서, 하기 구조와 작용의 설명에서 지칭하는 "정면" 또는 "앞쪽"은 순환벨트 42의 노출된 경사면쪽 방향을 지칭하는 것이다. 따라서, 나머지의 방향도 이 "정면"을 기준으로한 좌, 우측면, 뒤후면, 뒤쪽 등으로 지칭된다. 또한 "프레임"은 벨트카바 24, 카세트 26, 베이스32, 이 셋의 통이이다. 이점을 주지하면서 도면에 의한 세부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순환벨트 42와 두개의 벨트휠 56과 칼날장치 48과 압착장치 64와 테이프휠 52, 이 다섯가지의 회전 및 움직이는 구성요소들이, 가상의 한개의 수직면에 모두 걸치도록 위치하며, 이 중에 두개의 벨트휠 56과 압착장치 64와 테이프휠 52의 회전축이 가상의 수직면에 직각이며, 순환벨트 42가 두개의 벨트휠 56을 감싸고 돌아 사선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이 사선방향의, 순환벨트 42의 예각쪽, 즉, 벨트의 기울어진 쪽에 테이프휠 52가 위치하고, 이 테이프휠 52와 순환벨트 42사이의, 순환벨트 42 아래쪽에, 압착장치 64가 순환벨트 42에 밀착하여 위치하며, 칼날장치 48이 테이프휠 52의 위쪽, 순환벨트 42의 상단에 위치하며, 프레임이 이 다섯 개의 구성요소를 좌, 우에서 감싸고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 프레임은 벨트 카바 24와 카세트 26과 베이스 32로 구분되는데, 이중에 벨트 카바 24는 바나나 열매와 같은 곡선형을 하고, 사선방향으로 카세트 26쪽으로 기울어지고, 안쪽에는 벨트휠 56C의 회전축이 끼워지는 저어널 21C가 형성되며, 간막 25, 27이 수노한벨트 42의 경사진 정면쪽을 뒤에서 받쳐주는 위치에서, 벨트 카바 24에 수직하게, 조립된 순환벨트 42의 폭에 맞는 길이만큼 돌출되고, 또한, 벨트휠 56D가 끼워지는 아래쪽에는, 슬라이드홀 57이, 순환벨트 42가 기울어진 사선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저어널 21D와, 저어널 21D를 아래로 누르는 스프링 62 또는 63 또는 기타의 것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또한, 아래 끝단은, 베이스 32에 끼워지고 결합될 수 있도록 밑으로 연장되고, 보스 35가 카바 24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좌, 우쪽이 접착 또는 요철결합하고, 결합된 중심에서, 밑에서 위로 나사구멍이 있으며, 앞쪽에 걸림턱 29가 있다. 또한, 카세트 26은 벨트카바 24의 후방과 베이스 32의 평면에 부분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아래끝단 정면쪽에는 압착장치 64의 회전축이 끼워지는 저어널 47이 형성되고, 후방 중간에 테이프휠의 회전축 55가 끼워지는 저어널 41이 형성되며, 정면 43은 순환벨트 42의 접착핀 46과 잘 밀착되도록, 볼록한 큰 곡면 43으로 막혀 있으며, 후방과 밑면은 테이프휠 52를 착, 탈할 수 있도록 뚫려 있으며, 대칭의 좌, 우쪽을 나사못으로 결합할 수 있는 보스홀 45, 39, 66이 있는데, 여기서 보스 66에는 투명카바 28이 끼워진다. 또한, 베이스 32는 벽돌같은 직육면체로, 평면의 앞쪽에 벨트 카바 24의 아래끝단이 끼워져서 결합되는 공간이 있고, 카세트 26을 착탈할 수 있는 홀이 앞, 뒤로 길게, 밑으로 둥글게 형성되며, 이 홀의 뒤쪽 끝에는 걸림톨 30이 결합되고, 밑에서 스프링이 걸림톨 30을 받치고 있으며, 밑면은 바닥판 33으로 막혀있다.
제1도, 제4도, 제6도, 제7도에는 벨트의 구조가 나타나 있다. 구조의 설명에 앞서, 두가지를 주지하면, 첫째, 본 실시예에서는 28개의 순환벨트 42 낱개가 연결되어 하나의 조립된 순환벨트 42가 형성되는데, 여기서 28개의 낱개가 모두 똑같은 구조가 아니고, 레일구멍 40의 위치에 따라서, 4가지 종류로 나뉜다는 것이다. 둘째, 순환벨트 42 낱개의 길이는 조립된 순환벨트의 폭에 해당하며, 순환벨트 42 낱개의 폭은 조립된 순환벨트 42의 회전둘레를 조립된 조각의 숫자로 나눈 값에 비례한다. 이제 순환벨트 42 낱개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에는 벨트고리 44가 일부분만 그려지고 나머지는 생략된 것이다. 여기서, 고리 44의 중심이 접착편 46의 끝에 일치하는 것을 나타냈다. 벨트의 밑면은 평활하거나 단차가 있거나, 어떠한 구조라도 가능하다. 단 벨트휠 56가 맞물려야 한다. 마구리 없는 관을 길이방향으로 1/12만큼 떼어낸 것과 같은 둥근면을 가진 직사각형의 얇은 편으로 되어 있으며, 이 직사각형의 네게 변 중에 길이가 긴 한개 변의 양 끝에 숫놈 고리 44가, 마주보는 다른 한변의 양 끝에 암놈 고리 44가, 접착편 46의 높이와 고리 44의 중심이 일치하는 높이로 형성되며, 암놈고리 또는 숫놈고리가 설치된 중간에 접착편 46이 양쪽 고리 중심과 같은 높이로, 양쪽 고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세워져 있으며, 상기 고리 44와 접착편 46 사이에는 레일 36A, B와 레일구멍 40이 있다.
제5도, 제6도는 칼날장치 48의 구조도이다. 여기서, 실린더 48F는 두개의 마주보는 원형의 마구리와 이 원형의 마구리를 서로 연장하는 한개의 둥근면을 가진 원통형인데, 여기서, 한개의 둥근면의 정면에 길이방향으로, 얇은 간막을 사이에 두고, 넓고, 좁은 2개의 직방형의 실린더홀 49이 일정깊이로 뚫려있고, 지레대홀 53이 실린더 48F의 평면에서, 실린더홀 49와 직각방향으로 뚫려있고, 노브 20이 실린더 48F의 좌, 우 중심, 상단 뒤쪽에서, 사선방향으로 꽂혀있다. 또한, 이 실린더홀 49의 넓은쪽 홀 안에는, 두개의 마주보는 직사각형의 마구리면과 이 직사각형의 마구리면을 서로 연장하는, 두개의 좁고 긴 면 77, 78와 두개의 넓은면 83, 85로 되어 있는 성냥곽같은 피스톤 76이 끼워지는데, 여기서 피스톤 76의 좁고 긴 정면 77에 두개의 바퀴 70이 레일구멍 40의 좌, 우 간격에 맞추어, 먼 77의 긴 방향에 평행한 일직선 75상에 회전축을 가지도록 설치하고, 이 두개의 바퀴가 설치된 면 77에 마주보는 면 79에는 스프링 82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 있고, 스프링 82가 설치되며, 두개의 마주보는 넓은 면중에 한면 83에는 지렛대 84가 끼워져 지레대 받침대 80 역할을 할 수 있는 구멍 81이 뚫려 있고, 이에 마주보는 반대면 85에는 지레대 84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홈 86이 뚫려 있으며, 실린더홀 49의 아래쪽에는 칼 72가 끼워지고, 칼 72는 실린더홀 49의 아래쪽 좁은칸에 맞는 두께의 가지며, 지레대돌기 84E가 걸릴 수 있는 구멍 73을 가지며, 예리한 칼날이 경사지게 박혀있다.
벨트휠 56C, D는 원통형에 회전축이 돌기되어 있는 것이다.
압착장치 64는 원통형에 회전축이 돌기되어 있는 것이다.
투명카바 28은 원지름의 1/4정도의 높이를 갖는 원통형의 반달모양과 유사하게 절단해 낸 것과 같은 모양이며, 한쪽 끝이 카세트 26의 상단 뒤쪽에 보스 66으로 연결되어, 부분회전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하였으나, 부족한 것은 이후의 작용의 설명에서 이해될 것이다.
제1도, 제2도, 제3도, 제4도에서 카세트 26에 테이프롤 54가 끼워진 테이프휠 52를 설치하고, 접착테이프 50을 테이프롤 54에서 풀어, 압착장치 64와 칼날장치 48에 걸치고, 이것을 순환벨트 카바 24의 후방에 밀어 넣는다. 그러면, 걸림고리 74가 카바 24의 상단에 걸리고, 투명카바 28의 밑단 68이 걸림톨 30에 걸린다. 그러면, 칼날장치 48과 압착장치 64사이에서 접착테이프 50이 접착편 46의 접착면에 접착된다. 이렇게 되었을때, 접착테이프롤 54가 교환 및 설치가 완료된 것이다. 이어서, 정면에서 접착편 46을 손가락으로 위에서 아래로 당기면 접착테이프롤 54가 풀리면서, 접착테이프 50이 압착장치 64를 통해서 접착편 46에 부착되어 올라오고, 올라온 접착테이프를 칼날장치 48이 절단하고, 절단된 접착테이프 58을 벨트의 정면에서 손가락으로 떼어쓰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제3도, 제4도에서 벨트카바 24의 정면쪽, 간막 27이 큰 곡면으로 되어 있는 것은, 순환벨트 42가 카바 24의 정면쪽 간막 27이 밀착되어 안정된 순환(회전)을 하도록 한 것이며, 이렇게 하더라도 순환벨트 42의 밑면과 간막 27과의 마찰저항이 미미하다. 또한, 카세트 26의 정면 43이 큰 곡면인 것은, 테이프롤 54를 교환 및 설치할때 접착테이프 50이 접착편 46에 잘밀착하도록 한 것이며, 또한, 카세트 26을 카바 26에서 분리할 때, 걸림톨 30을 누르면 순환벨트 42의 인장력에 의해서 카세트 26이 뒤로 밀려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3도, 제4도에서 카세트 26의 왼쪽 외형선과 카바 24의 외쪽 외형선이 곡선인 것은 기능과 형태의 조화를 꾀한 것일 뿐, 기능적인 목적성은 없다. 여기서, 순환벨트 42의 인장력은 스프링이 가변위 저어널 21D를 통하여 벨트휠 56D를 아래로 누름으로서 생겨나며, 스프링의 설치방법은 도면에서 스프링 62일 수도 있고, 63일 수도 있으며, 그 이외의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걸림고리 74는 도면에서보다 더 윗쪽으로, 칼날장치 케이스 22에 붙을 수도 있고 모양이 전혀 다를 수도 있다. 다만, 카바 24의 구멍에 잘 끼워져 걸려야 하고, 위에서 누르는 힘을 잘 받아야 한다. 또한, 칼날장치 케이스 22는 원통형인데 이것은 디자인상의 배려일 뿐 기능적으로나 제작상에 있어서는 오히려 직육면체가 더 유리하다. 절단길이 조절노브 20은 후방에서 보았을 때, 좌, 우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며, 칼날장치 실린더 48F에 직접 고정되는 것이라서, 노브 20을 좌, 우로 움직이는 것은 곧, 실린더 48F를 좌, 우로 움직이는 것이다. 접착테이프 절단길이를 변경하고자 할때는 카세트 26을 카바 24에서 약5㎜정도, 또는 완전히 분리시킨 다음, 노브 20을 움직인다. 여기서, 노브 20이 없이도 절단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는, 칼날장치 실린더 48F의 양쪽 마구리를 케이스 22의 양쪽 마구리 밖으로 나오게 하여, 실린더 48F의 양쪽 마구리를 손으로 직접 붙잡고 좌, 우로 움직이는 것이다. 다음은 순환벨트 42의 구조에 대한 작용의 설명이다. 제1도와 제7도에서, 조립된 순환벨트 42의 좌, 우에는 모두 4줄의 레일 36A, B가 있다. 이 레일 위를 칼날장치의 바퀴 70이 두줄씩 선택적으로 타고 굴러간다. 즉, 레일 36A를, 또는 레일 36B를 선택적으로 타고 굴러간다. 여기서, 레일 36A에는 레일구멍 40이 2간 단위로, 레일 36B에는 3간 단위로 뚫려 있다. 따라서, 바퀴 70이 레일구멍 40이 2간 단위로 뚫려있는 레일을 타고 굴러가면 접착테이프 50이 2간 단위로 절단되고, 3간 단위로 뚫려있는 레일을 타면은 3간 단위로 절단되는 것이다. 여기서, 순환벨트 42 날개들은 레일구멍 40의 위치에 따라서 4가지 종류로 나누어지게 된다. 즉, 레일 36A에 구멍이 있는 것, 36B에 구멍이 있는것, 두 레일에 구멍이 다 있는것, 구멍이 하나도 없는 것, 이렇게 4가지 이다. 벨트 연결고리 44의 중심을 연장하는 가상의 중심선과 접착편 46의 끝이 일치하는 것은, 순환벨트 42가 벨트휠 56C를 돌아나올 때, 접착편 46의 끝이 앞, 뒤의 다른 접착편 46의 끝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면 당연히 접착편 46의 밑단과 앞, 뒤 다른 접착편 46의 밑단과의 거리는 심하게 변하게 되고, 이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간격 34를 두게 된다. 여기서, 정면쪽에서 봤을때, 간격 34를 접착편 46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은, 접착편 46이 넓게 버러진 간격 34를 가리어 주는 시간적인 효과 때문이다. 순환벨트의 다른 실시예로는, 벨트를 철판 프레스 가공법이나 사출물로 할때 별도의 벨트 연결 고리 44를 없이하기 위하여, 접착편 46의 끝에 직접, 연결고리를 형성하여 연결하거나, 경첩핀을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원몰드 금형으로 연질 PVC와 같은 유연한 재료로 제조된다면, 연결고리나 경첩핀이 필요치 않을 것이다.
다음은 칼날장치의 작용의 설명이다.
칼날장치의 바퀴 70은 스프링 82와 피스톤 76에 의해서 순환벨트 42를 압박하고, 순환벨트 42의 순환에 따라서 레일 36을 타고 굴러간다. 그리고 레일 36에 일정 간격으로 뚫려 있는 레일구멍 40에 바퀴 70이 순간적으로 출입(出入)하면서 피스톤 76이 왕복운동을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피스톤의 지레대구멍 81에 끼워진 지레대 84가, 지레대구멍 81을 지레대받침점 80으로 삼아, 모멘트축 78을 중심으로 지레대작용을 하면은 지레대돌기 84E에 걸려있는 칼 72가 왕복운동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피스톤 76의 운동방향과 칼 72의 운동 방향은 같으며, 칼 72가 움직이는 폭(변위)은 피스톤 76이 움직이는 폭의 3배 정도 이다. 이것은 바퀴 70이 레일구멍이 얕게 빠지게 함으로서 순환벨트 42가 부드럽게 돌아가도록 하고, 동시에, 칼날의 움직임은 빠르고, 운동폭은 길게 하기 위함이다. 지레대베이스 71의 아래쪽 단차진 구조는 지레대베이스 71을 지레대홀 53에 끼웠을 때 정확한 깊이로 끼워지게 한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나있지 않지만, 피스톤 76의 양면 83, 85와, 좌, 우의 양 마구리면,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실린더홀 49의 내면에, 피스톤 76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는 요철의 궤도를 만들면 피스톤이 더욱 유연하고 안정된 작용을 한다. 또한, 칼 72에는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은, 곡선이며, 사선방향인 요철의 궤도를 만들고, 이에 대응하는 실린더홀 49의 내면에도 맞물리는 요철 궤도를 만들어, 칼 72가 사선방향으로 곡선운동을 하도록 하면은 더욱 원활한 테이프 절단이 된다. 이와같은 구조와 작용을 하는 칼날장치 48은, 본 고안에서 독립적인 구조 및 작용을 가지고 있는 부수적인 고안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칼날장치 48은 전혀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는 또 다른 칼날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선행기술인 물레방아식 절단기에 적용된 삼각롤러칼(한개의 축을 중심으로하여 방사선 방향으로 세개의 칼날이 120도 각을 이루고 고정된 칼)을 그대로 본 고안에 적용할 수 있다.
이때는 물론 레일 36 및 레일구멍 40을 대신해 그 자리에 기어를 형성하거나 또는, 조립된 순환벨트의 폭을 벨트휠 56C의 좌, 우 길이보다 짧게 하고 벨트휠 56C의 좌, 우 양 끝에 기어를 형성하여, 삼각롤러칼이 맞물려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 또한, 태엽이나 전기모타나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칼날장치를 고안하여 본 고안에 적용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언급한, 기존 제품인, 전기모터와 전자회로가 내장된 절단크기를 3단계 변경 및 자유크기로 절단할 수 있는 "접착테이프 자동 인출기"의 모터 및 전자회로,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본 고안에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벨트휠 56C와 56D 사이, 순환벨트 42의 궤도 안쪽과 베이스 32의 안쪽에는 모터나 전자회로가 들어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된다. 본 고안에 이러한 전기장치가 적용되어 단추 하나로 작동되는 자동의 기능을 이룰 수 있으나, 이러한 장점에 비하여, 단점인, 제조원가가 올라가고, 구조가 복잡해지며, 건전지나 전선(코드선)으로 끌어쓰는 전기를 써야한다는 단점이 크다.
압착장치 64는 연질 PVC와 같은 탄력있는 체질이면 더욱 좋다.
여기까지에서, 구체적인 구조 설명이 없는 실시예를 제시하는 것은, 예상되는 실시예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실시예로 하여 제1도, 제2도, 제3도, 제4도를 통하여 설명된 본 고안의 정수를 침해할 수 없다는 뜻이다. 여기까지에서 구조와 작용과 다른 실시예 등,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구조의 설명에서, 벨트휠 56C, D는 원통형 이라 하였으나, 원통형 이외의, 주름진 것이나 기어가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카바 24는 바나나 열매와 같은 곡선형이라 하였는데 이것은 디자인상의 배려일뿐, 사실은 삼각형이나 타원형, 기타 자유로운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카세트 26의 양쪽 판은 나나못으로 연결한다고 했는데, 실은 접착제나 초음파 압착으로 접착할 수도 있다. 또한, 압착장치 64는 꼭 롤러가 아니라도 미끄러운 제질의 누름판으로 접착테이프를 벨트의 접착편 46에 접착시킬 수 있다.
여기까지에서 독자는 본 고안이 순환벨트가 외형으로 크게 드러나고, 경사지게 세워진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구성요소가 도르레 역할을 하고 있어서 매우 부드럽게 작동되며, 인간공학적으로, 작동시키는 손동작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제품이나 선행기술보다도, 원터치로 절단할 수 있는 수량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레바 및 레바와 벨트를 연결하는 동력 전달 장치가 필요없기 때문에, 내부구조로나 외형으로나 간단한 대칭구조를 이룰 수 있고, 따라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설계 제작이 쉽다.
또한,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분야에서는 사례가 없는 카세트 방식을 채택하여, 카세트에 칼날장치 48과 압착장치 64를 부착시킴으로서, 테이프의 교환 및 설치 방법을 단순화 시킨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조와 원리상 다양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 칼날장치를 고안하여 본 고안에 적용시킬 수 있는 여지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독창적인 대칭구조와 기능에 따라, 독특하고 독창적인,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 할 수 있음도 알 수 있다.

Claims (6)

  1. 두개 이상의 휠을 감싸고 도는 고리형인 순환벨트 42를 외관으로 노출시켜, 높이, 경사지게 세움으로서, 구동레바나 구동노브, 또한 이에 따르는 동력전달장치가 없이도, 순환벨트 42를 직접 잡아당겨 구동시킬 수 있는 접착테이프 절단장치로서 : 순환벨트 42와 두개 이상의 벨트휠 56과 칼날장치 48과 압착장치 64와 테이프휠 52, 이 다섯가지의 구성요소들이, 가상의 하나의 수직면에 모두 걸치도록 위치하며, 이중에 벨트휠 56과 압착장치 64와 테이프휠 52의 회전축들이 상기 가상의 수직면에 직각이며, 순환벨트 42에는 접착편이 46이 돌출되어 있고, 순환벨트 42가 두개 이상의 벨트휠 56을 감싸고 돌아 사선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이 사선방향의 예각쪽, 즉, 순환벨트 42의 기울어진 쪽에 테이프휠 52가 위치하고, 이 테이프휠 52와 순환벨트 42 사이에는 압착장치 64가 순환벨트 42에 밀착되어 위치하며, 칼날장치 48이 테이프휠 52의 위쪽에 위치하며, 프레임이 이 다섯개의 구성요소를 지지하며 감싸고 있는 접착테이프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벨트카바 24와 카세트 26과 베이스 32로 구성되며, 이중에 벨트카바 24는 순환벨트 42와 벨트휠 56C, D를 양측면에서 지지하면서 베이스 32의 평면 앞쪽에서 뒤로기울어져 세워지고, 카세트 26은 테이프휠 52와 칼날장치 48과 압착장치 64를 하나로 묶고 지지하면서 벨트카바 24의 후방과 베이스 32의 평면 사이에 착탈되고, 베이스 32는 벨트카바 24와 카세트 26을 받침해주는 접착테이프 절단장치.
  3. 제2항에서 카세트 26은 테이프롤 54의 교환 및 설치를 간편히 하기 위한 것으로서; 순환벨트 42에 밀착되는 곡면 43이 형성되며, 이 곡면의 한 끝단에 칼날장치 48이 설치되고 다른 한 끝단에는 압착장치 64가 설치되고, 후방에 테이프휠 52를 착탈할 수 있는 저어널 41이 형성되며, 이것들을 하나로 묶고 지지하는 카세트 26을 채용하는 접착테이프 절단장치.
  4. 제1, 2, 3항 중 어느 한항에서 칼날장치 48은,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지레대를 통하여 변위를 증폭하여 칼날에 작용시키는 장치로서; 실린더 48F, 피스톤76, 스프링 82, 칼 72, 지레대 84으로 구성되며, 실린더 48F의 한쪽 방향에 뚫려져 있는 실린더홀 49에 스프링 82와 피스톤 76이 차례로 끼워지고 칼 72가 같은 방향으로 나란히 끼워지며, 이들이 끼워진 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지레대 84가 실린더 48F와 피스톤 76와 칼 72에 동시에 걸쳐져서 지레대작용을 하는 칼날장치를 채용하는 접착테이프 절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피스톤 76의 한쪽 끝에 바퀴 70이 설치됨으로서 레일구멍 40에 바퀴 70이 출입하면서 왕복운동을 일으키는 칼날장치를 채용하는 접착테이프 절단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실린더홀 49의 안쪽면과 칼 72에 서로 맞물리는 궤도를 사선방향으로 형성하여 칼 72의 운동방향이 사선방향이 되도록 한 칼날장치를 채용하는 접착테이프 절단장치.
KR2019910011039U 1991-07-16 1991-07-16 순환벨트를 높이 노출시켜 세운 접착테이프 절단기 KR940000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039U KR940000344Y1 (ko) 1991-07-16 1991-07-16 순환벨트를 높이 노출시켜 세운 접착테이프 절단기
EP92915665A EP0600912A1 (en) 1991-07-16 1992-07-15 An adhesive tape cutting apparatus applying a conveyor belt
PCT/KR1992/000029 WO1993002007A1 (en) 1991-07-16 1992-07-15 An adhesive tape cutting apparatus applying a conveyor belt
JP5502740A JP2619211B2 (ja) 1991-07-16 1992-07-15 コンベヤベルトを用いた接着テープ切断装置
CA002113480A CA2113480A1 (en) 1991-07-16 1992-07-15 An adhesive tape cutting apparatus applying a conveyor be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039U KR940000344Y1 (ko) 1991-07-16 1991-07-16 순환벨트를 높이 노출시켜 세운 접착테이프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362U KR930002362U (ko) 1993-02-25
KR940000344Y1 true KR940000344Y1 (ko) 1994-01-20

Family

ID=19316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1039U KR940000344Y1 (ko) 1991-07-16 1991-07-16 순환벨트를 높이 노출시켜 세운 접착테이프 절단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600912A1 (ko)
JP (1) JP2619211B2 (ko)
KR (1) KR940000344Y1 (ko)
CA (1) CA2113480A1 (ko)
WO (1) WO19930020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32909A1 (en) * 1994-06-01 1995-12-07 Ki Sang Lee Adhesive tape cutting apparatus
FR2740441B1 (fr) * 1995-10-30 1998-01-23 Schmalholtz Denis Dispositif pour devider des longueurs determinees de ruban adhesif
JP3859862B2 (ja) * 1998-04-20 2006-12-20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粘着テープの貼付方法および装置
US6852186B1 (en) 1998-04-20 2005-02-08 Central Glas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attaching adhesive tap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08464A (en) * 1939-10-31 1943-01-12 Nashua Gummed & Coated Paper Tape feeding means
US2509641A (en) * 1945-08-23 1950-05-30 Better Packages Inc Adhesive tape dispenser
US4608894A (en) * 1983-02-09 1986-09-02 Lee Ki S Adhesive tape-cu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362U (ko) 1993-02-25
JPH06509049A (ja) 1994-10-13
CA2113480A1 (en) 1993-02-04
JP2619211B2 (ja) 1997-06-11
EP0600912A1 (en) 1994-06-15
WO1993002007A1 (en) 199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368654S (en) Dispenser for loose-fill material
AU1452195A (en) Form with detachable card, support and covering material therefo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940000344Y1 (ko) 순환벨트를 높이 노출시켜 세운 접착테이프 절단기
EP0370798A3 (en) Heat-bonding blade and heat-bonding apparatus
USD330123S (en) Desk
US2882663A (en) Bag-tying machines
USD316657S (en) Bagel slicing guide
USD321548S (en) Combined knife and sheath
USD414079S (en) Paper plate holder
USD317939S (en) Combined paper cutter and trimmer for tearing away edge of perforated computer paper
USD325326S (en) Bagel and bread slicing knife
USD361253S (en) Utility knife
KR920004084Y1 (ko) 접착롤테이프의 절단장치
CN210913174U (zh) 一种锯齿形切口机构
CN217573560U (zh) 一种石英石板材高效切边机
USD280179S (en) Folding knife
CN2402651Y (zh) 胶带供应器
CN217023036U (zh) 一种画册贴膜设备
CN213894660U (zh) 一种方便切割的胶纸机
USD286500S (en) Hole punch with ejector for plastic tubing
CN213521089U (zh) 一种线束固定卡扣
USD279784S (en) Pump housing for a roller painting machine
JP3069897U (ja) 接着テ―プ切断装置
CN2388167Y (zh) 一种不干胶带切断器
USD300332S (en) Pu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