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290B1 - 정보처리 시스템의 사용자의 지원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처리 시스템의 사용자의 지원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290B1
KR940000290B1 KR1019900010355A KR900010355A KR940000290B1 KR 940000290 B1 KR940000290 B1 KR 940000290B1 KR 1019900010355 A KR1019900010355 A KR 1019900010355A KR 900010355 A KR900010355 A KR 900010355A KR 940000290 B1 KR940000290 B1 KR 940000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ice
database
interfa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0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507A (ko
Inventor
제라르 끌라에
Original Assignee
뷜-르 쏘씨에떼 아노님-므
미셀 꼴롱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뷜-르 쏘씨에떼 아노님-므, 미셀 꼴롱브 filed Critical 뷜-르 쏘씨에떼 아노님-므
Publication of KR910003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3Help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Devices For Executing Special Programs (AREA)
  • Multi Processo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보처리 시스템의 사용자의 지원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이 실행될 수 있는 종래의 정보처리시스템.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기본 지원방법을 예시한 기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지원방법에 따른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의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 처리 장치 12 : 중앙 메모리
22 : 입출력 주변 장치 OS : 오퍼레이이팅 시스템
APP : 응용 프로그램 30 : 인터페이스
32,34,36 : 전문화된 서비스 시스템 38 : 코어 시스템
M1, MN : 서비스 드라이버 BCAR, SYS, OPE : 지식 데이터 베이스
BF : 사실 데이터 베이스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시스템의 사용자, 즉 오퍼레이터에 의한 정보처리 시스템의 운영에 관한 것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은, 포현상 구분하자면, 다음과 같은 최소의 구성, 즉 중앙 처리 장치, 중앙 메모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 장치, 오퍼레이팅 시스템,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시스템에 저장된 응용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다.
현 세계에서, 정보 처리의 급속한 팽창에 따라 정보 처리 시스템이 사용자 층의 면모가 상당히 변하였다. 특히, 업무적인 측면에서, 숙련된 전문가들은, 이제, 보통 국부적으로 분리된 터미널로서 키보드와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형태의 터미널에서 작업을 하는 수많은 임시사용자와 함께 정보 처리의 도구를 공유하여야 하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새로운 상황으로 인하여, 기초 훈련 과정을 넘어 개인적인 발전을 위해 이러한 신규 사용자들을 교육시키는데 문제가 없지 않다.
사실상, 몇몇 응용 프로그램의 소프트 웨어에 넣어져 있는 도움말 기능(help function)들은 지나치게 기초적이고 제한적이기 때문에(대개는 리마인드나 코멘트의 기능만으로 한정되어 있음), 사용자에 의해 도움말 프로그램이 호출되는 시점에서 존재하는 상황에 대하여 효과적이고도 적절한 지원을 제공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주제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작업할때나 응용 서비스 시스템 상에서 작업할때나 다 같이 사용자 자신을 컴퓨터-지원 작업 환경에 두기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의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다룰 수 있는 도움말 및 서비스 시스템의 집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사용자를 위한 지원 방법의 체제는, 복수의 전문화된 서비스 시스템이 하나의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내에서 결합되어 있고, 또한 이들 서비스 시스템이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과 정보 처리 시스템 사이에서 (픽업 모드 하에서는) 입력을, 그리고 (전송 모드 하에서는) 출력을 관리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상호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방법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서비스 시스템들은 코어 시스템(core system)을 통하여 상기한 인터페이스에 별모양으로 상호 접속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복수의 서비스 시스템들은 루우프형 네트워크로 상호 접속되어 있으며, 이들 서비스 시스템 중의 하나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우선적 접속을 확보하여 준다.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는 구체예의 변형예에서는, 서비스 시스템들이 추론 또는 인터프리터 드라이버등의 서비스 드라이버와, 최소한 하나의 지식 베이스와, 최소한 하나의 사실 베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또 하나의 특징으로서, 서비스 시스템들은, 각각의 서비스 드라이버에서 활용 가능하며 지식 베이스 및/ 또는 사실 베이스 형태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통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는 또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는, 적어도 하나의 지식 베이스에, 바람직하게는 공통지식 베이스에 “사용자”정의 지식 베이스(OPE) 및/또는 “시스템”정의 지식 베이스(SYS)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는 또다른 변형예에서는,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의 조작 내용 및 응용 프로그램과의 상호 작용 내용을 검출하여 기록하도록 되어 있으며, 동작중인 서비스 드라이버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실 베이스에 기록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하나의 특징으로서,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을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실질적으로 통합시키기 위하여, 인터페이스를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레벨에 직접 접속할 수 있다.
또다른 변형예로서,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의 활성화는 사용자에 의한 순시적인 호출에 의해서, 또는 총체적 도움말을 호출하여 대기시켜 놓은 후 사건의 검출에 의한 자동 트리거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이리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한 실시에들을 통하여, 아래와 같은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1) 사용자의 (키보드나 스크린등의) 조작 내용, 그의 반응(예러나 망설임 등) 및 응용 서비스 시스템과의 상호 작용 내용(파일의 개방, 프린팅 명령등)의 검출기능.
(2) 사용자 및/또는 시스템의 환경의 전반적 내역을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인식하여 기술하는 기능.
(3) (도움말이나 고장처리 등에 대한 요구와 같은) 사용자 대기시간 동안의 기능으로서 또는 (심각한 에러나 고장 등) 특별한 사건의 검출에 따라 자동적으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집된 사건들에 처리하는 기능.
(4) 사용자 자신 및/또는 환경의 기능으로서 사용자에게 국한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적절한 상호 작용을 기억하는 기능.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다른 예에서는, 데이터 베이스가 전반적인 지식 베이스와 사실 베이스에 포함된 정보로부터 도움말 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작용 및 반작용 지식 베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는, 특정 정보가 전처리되기 때문에, 도움말 시스템에 의한 개입이 사실상 가속화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시스템들과 그들의 서비스 드라이버들은 다음과 같은 기능, 즉 정보 처리 시스템의 관리 기능, 교습 또는 자습기능, 고장 처리 중에서 특히 선택된 주요 기능에 관하여 전문화되어 있다.
본 발명은, 아울러, 중앙 처리 장치, 중앙 메모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 장치, 오퍼레이팅 시스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등을 구비한 정보 처리 시스템과 연관되어 본 발명에 의한 각종 형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과 정보 처리 시스템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형성 수단에 상호 접속되는 복수의 전문화된 서비스 시스템들을 결합하는 하나의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제1실시예에서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레벨에서, 인터페이스 형성 수단이 사용자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 통과하는 방식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픽업 모드 하에서) 사용자의 조작 내용 및 응용 프로그램과의 상호 작용 내용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의 일부 또는 전체가 하기의 구성 요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적인 마이크로 회로 보드나 모듈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 요소로는,
(ㄱ) 서비스 드라이버의 추론 드라이버를 구성하는 프로그래머블 리드 온리 메모리(PROM)나 그 균등 수단.
(ㄴ) 사실 베이스를 구성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이나 그 균등수단.
(ㄷ) 지식 베이스를 구성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바람직하게는 CMOS)나 그 균등수단.
(ㄹ) 시스템과 주변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회로수단 및 프로그래머블 리드 온리 메모리(PROM)나 그 균등 수단으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 보드등이 있으며, 상기한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의 수행은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초기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상기한 마이크로회로 보드나 모듈은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의 특정 구성 요소를 감시하기 위하여 예컨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같은 보조적인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의 개입을 가속화 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호스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소요되는 기계 처리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단일 정보 처리 시스템은 중앙 처리 장치(U.C.; 10) 및 중앙 메모리(12)로 구성되며, 상기한 중앙 메모리는 다시 리드 온리 메모리(ROM; 14)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16)로 분할되어 있는데, 상기한 중앙 처리 장치와 중앙 메모리는 내부 통신 버스(18)에 의해 적절히 접속되어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의 중앙 서브 시스템(10,12)은 한 세트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 장치(UTIL)와 통신을 하는테, 시스템의 사용자는 버스(18)에 접속된 입/출력단(I/O; 20)에 상기한 주변 장치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제1도에는, 비제한적 실례로서, 상기한 주변 장치의 세트(UTIL)를 구성하는 4가지 유형의 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용) 키보드(22), (입/출력용) 스크린(24), (입/출력용) 보조 디스크 메모리 장치(26) 및 (출력용) 프린터(28)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입출력 주변 장치의 관리는, 전반적으로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오퍼레이팅 시스템(OS)으로서 알려져 있는 한 세트의 프로그램에 의해 확보되는데, 상기한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ROM(14) 내에 상주하고 있는 초기화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아 RAM(16)에 적절히 로드된다. 또한, RAM(16)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APP)이 로드되는데, 이들 응용 프로그램은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단일 모드 또는 동시 모드로 실행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사용자(주변장치; UTIL)와 응용 프로그램(APP) 사이의 상호 작용의 집합은 오퍼레이팅 시스템(OS)에 의해 관리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원 방법을 예시한 기본 도면이다.
제2도의 상측 부분에는, 상술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요소로서, 3개의 블럭 UTIL(23), OS(25) 및 APP(27)이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사용자(사실적으로는 주변장치 UTIL; 23 와 응용 프로그램(APP; 27)사이의 상호 작용은 오퍼레이팅 시스템(OS; 25)의 필수 구성부분인 채널(INTER; 이중 화살표 29로 표시됨)을 통하여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은 3개의 주요 서브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들은 하나의 인터페이스(30)와, 복수의 서비스 드라이버(32)를 갖춘 연산처리부와, 1군의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고 있는 전문지식 부분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데이터 베이스와 그룹은 (여러가지 베이스 사이에서 하나의 사실 베이스를 통합한) 공통 데이터 베이스(34)와 단일 데이터 베이스(36)으로 구분되어 있다. 서비스 드라이버들(32)과 데이터 베이스들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전문화된 서비스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잇으며, 이들은 코어 시스템(38)의 제어하에서 선택적으로 서비스된다. 따라서, 서비스 시스템은 하나의 추론 또는 인터프리터 드라이버와 지식 베이스 및 사실 베이스와의 연합으로써 정의된다.
인터페이스(30)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의 레벨에 존재하여 이것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인터페이스는 아래와 같은 2가지 역할을 담당한다.
(ㄱ) 픽업 모드 : 사용자 및 응용 프로그램의 상호 작용에 관한 정보를 동작중인 서비스 드라이버에 전송하는 것.
(ㄴ) 전송 모드 : 서비스 드라이버로부터의 정보를 (일례로, 응용 프로그램에서 직접적으로 표출하기 위하여) 사용자(UTIL)나 응용 프로그램(APP)의 방향으로 전송하는 것.
상기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 정보처리 시스템의 여타 구성 요소 및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 사이의 정보 교환을 표준화 하는데 특히 중요하다.
구조적인 관점에서,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픽업(40)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픽업은 분석장치(42) 및 전송장치(44)와 연관되기도 하고 연관되지 않기도 한다. 픽업(40)은, 키보드 필터, 스크린 메모리 독입 장치, 마우스 독입 장치, 라이트 펜 독입 장치, 터치 스크린 독입 장치와 같이, 정보 처리 시스템의 특정 요소와 서비스 드라이버(32) 사이에 설치된 회로 및 루틴으로 구성된다. 제2도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밖에 있는 물리적 픽업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픽업으로서는 소음 검출기, 광전 방식 픽업; 크로노미터, 압력 검출 장치 및 (랜덤형 가변 발전기와 같은) 신호 발생장치등이 있다.
픽업에서 유래되는 기본 정보로부터 좀더 진전된 정보는 분석장치(42)에 의해 처리된다. 이들 분석 장치는 대체로 프로그램 방식으로 구성되며, 이들의 용도는 서비스 드라이버를 위해 좀더 알기 쉬운 정보를 발생하는 것이다. 서비스 드라이버의 전문화에 따라, 가장 적절한 세트의 분석 장치를 제안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의 행위 (흥미 분석 장치나 혼란 분석 장치)에 관한 정보와 실행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상태(활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의 분석장치, 응용 프로그램의 특정한 운영과 시스템 간의 호환성에 관한 분석 장치)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귀중할 수 있다.
전송장치(44)는 서비스 드라이브(32)에 의해 사용되어 정보를 실행될 응용 프로그램(APP)이나 정보 처리 시스템, 혹은 다시 사용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이에 관하여 들 수 있는 예로서는, 메뉴 발생 장치, 온-스크린(on-screen) 정보처리 윈도우의 발생장치, 정지 또는 활동하는 온-스크린 화상의 발생장치, 그리고 소리 발생장치가 있다.
연산 처리부는 코어 시스템(38)으로 구성되며, 여기에는 서비스 시스템들이, 특히 대응하는 서비스 시스템들(32)의 혈 모양으로 상호접속되어 있다. 코어 시스템(38)은 시퀀서(sequencer) 주위에 구성되는데, 나중에 인터페이스(30)의 구성 요소를 초기화시키는 시퀸서는 인식된 요구의 기능으로서 하나 또는 다른 서비스 드라이버(M1~MN)에 대한 제어를 시프트하게 된다.
대체로, 서비스 드라이버(M1)은 한 세트의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이들의 추론 드라이버(T1~TN)는 각기 하나의 타스크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타스크들은 대응하는 전문가의 기본 타스크에 의거하여 각각의 드라이버에 대하여 선택된다.
예를들어, 고장처리 서비스 드라이버의 타스크는 유지 보수 기술자의 기본 타스크를 처리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며, 유지 보수의 기본 타스크와 마찬가지로 많은 기초적 시스템들을 포함하고 있다. 다른 일례로서는 교습 드라이버가 있는데, 이것은 교사의 4가지 주요 타스크, 즉 교육 계획 수립, 교급 자체, 연속의 부과, 배운것에 대한 테스팅을 실시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원방법에 따라,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에 통합되어 있는 각종 서비스 시스템들의 상세한 것은 동일한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의 수행에 관한 설명을 따라 제시되는 비제한적 실례를 통하여 기술될 것이다.
전문 지식 부분은, 대체로, 사용자, 전문가 기술,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특정 응용 프로그램들에 관한 지식의 집합을 결합하고 있는데, 이들의 지식은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다. 이 데이터 베이스는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에 대한 특별히 구성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현존하는 데이터 베이스들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후자의 경우에는 현존하는 데이터 베이스들이 주제/속성 형태에 관한 설명이나 정의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하고, 아울러 이를 갱신하는 것이 간단하여야 하고, 또한 실시간에 도움말을 진행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아야 한다.
이 데이터 베이스는 모든 서비스 드라이버에 대하여 공통인 데이터 베이스 (34)와 단일 데이터 베이스(36)으로써 구성되며, 이 단일 데이터 베이스는 서로 마주 합하여질 서비스 드라이버의 각각(M1/BCU1~MN/BCUN)에 대하여 특정화되어 있는 복수의 전체적 단일 지식 베이스(BCU)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적 단일 지식 베이스는 개념과, 이 개념에 연관된 특징과, 상대적 작용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지식들은 문제의 각 서비스에 따라, 예를들어 자습을 위한 교육학 지식이나 고장처리를 위한 유지 보수에 관한 전문가 지식에 따라 리스트된다. 특히, 자습 드라이버에 연관된 단일 지식 베이스의 내역에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정의된다.
ㄱ) 개념 : 키보드의 숫자 키
ㄴ) 특징 : 엑세스의 수단, 이들 키 동작에 따른 효과, 사용자가 키 조작하는 방법을 배우는데 필요한 레벨 등.
ㄷ) 작용 : 키 조작 방법을 교육하기 위한 수단과, 이 수업에 관련된 연습.
아울러, 전체적 단일 지식 베이스는 다음과 같은 조작의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실행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과의 호환성을 확인하기 전에는 기능 키 F1~F10의 작동 방법을 가르쳐서는 안된다.
이들 단일 지식 베이스와 공존하는 것이 모든 서비스 드라이버에 대한 공통 지식 데이터 베이스이다. 이 공통 데이터 베이스는 사용자에게 속한 서술적 정의 지식 베이스(OPE베이스)와 시스템에 속한 서술적 정의 지식 베이스(SYS베이스)로 구분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지식은 주제-지향형 언어로 알려진 구조에 따라 서술에 의해 메모리에 리스트된다.
지식 베이스(OPE)는 다음과 같은 오퍼레이터-사용자에 관한 서술적 지식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ㄱ) 사용자의 신원
(ㄴ) (정보 처리 시스템의 사용자로서 받은 훈련 과정을 포함한) 사용자 프로필
(ㄷ) (자습을 위한) 시스템 및/또는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체험정도
(ㄹ) (자습을 위한) 대상
(ㅁ) (전후 관계의 도움말을 위해) 실시하고자 하는 타스크.
서술적 지식 베이스(SYS)는 시스템의 구성, 사용자에 의해 사용 가능한 각각의 응용 프로그램(APP), 시스템의 외부 환경(소음, 방의 밝기등), 이전의 사실이나 사건, 이전의 동작등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및/또는 시스템의 지식을 지향하고 있는 서술적 지식 베이스는 계속적으로 갱신되고 모든 서비스 드라이버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종래의 전문가 시스템과 비교할 때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의 성능을 실질적으로 향상시켜준다.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은 또한 하나의 사실 베이스(BF)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한 사실 베이스는 어느 서비스 시스템에서나 완전히 공유 또는 필요에 따라 하나의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다른 것으로 이전되는 것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사실(facts)들은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 및 또는 서비스 시스템 사이의 상호 작용으로부터 야기되는 사건(events)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사건으로는 연습과정에서의 에러, 고장처리 서비스에서의 질의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응용프로그램을 위한 파일 생성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목할 것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단일의 사실 베이스가 단일의 지식 베이스에 관련 지울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선택에 대한 결정은 각각의 서비스 드라이버의 특성에 관한 기능으로서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의 설계자에게 달려있다.
끝으로,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은 작용 및 반작용 지식 베이스를 포함한다. 이것은 기능이나 규칙 또는 방법처럼 여러 전문가로부터 습득되는 지식으로서, 서술적/사실적 지식의 상태의 기능으로서 실행된다.
예를들면; “프린터 구조가 시스템에 알려져 있고(서술적 지식) 프린터가 부동작 상태에 있으면(사실), 프린터내의 문제를 찾아보라.”
또는 “키보드가 알려져 있고(서술적 지식) ERROR(시프트 키)〉최대 ERROR이면, 키보드를 검사해야 한다.”
전술한 모든 형태의 지식에 연관된 지식 통합 장치(EXP; 46)는 전문가로부터의 지식을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몇가지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특별히 통합하여 이루어진 전술한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을 종래의 정보처리 시스템(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연관지어 구성되는 적당한 장치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의 전부 또는 일부분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비스 서브시스템(subsystem)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회로의 보드나 모듈 형태로 구성되면, 다음과 같은 중요한 이점이 얻어진다.
(ㄱ)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같은 보조적 중앙 처리 장치를 부가함으로써, 호스트 정보처리 시스템내에서 기계(처리)시간을 제거할 수 있는 성능.
(ㄴ) 보조적 메모리를 부가함으로써, 중앙 메모리내의 공간을 점유하지 않게 한 성능(이것은 막대한 양의 메모리 공간을 차지하는 그래픽 환경과 같은 특정 응용 프로그램에서 특히 중요함).
(ㄷ) 마이크로폰, 크로노미터등과 같은 물리적 픽업을 보드에 부가하는 성능.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부가적인 보드가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ㄱ) 서비스 드라이버의 추론 드라이버를 구성하는 프로그래머블 리드 온리 메모리나 그 균등수단.
(ㄴ) 지식 베이스를 구성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바람직하게는 CMOS)나 그 균등수단.
(ㄷ) 사실 베이스를 구성하는 랜덤 엑세스 메모리나 그 균등수단.
(ㄹ) 시스템의 주변 장치의 필요한 접속을 하여주는 회로와 프로그래머블 리드 온리 메모리나 그 균등수단.
그리고,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보드를 초기화하는 프로그램이 제공되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완전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지원방법에 따른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의 수행 과정을 제3도에 주어진 플로우챠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것이다.
정보처리시스템을 시동(MERS)시킨 후, 사용자는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SAG)의 이용 여부에 관한 선택(?/SAG)을 한다. 만약 이용하지 않는다면(츨력 N), 사용자는 현재의 응용 프로그램(APP)을 중앙메모리에 적당히 로드시킨 후 그 응용프로그램상에서 작업을 하게 된다.
응용 프로그램(APP)은 그 응용 기능내에 오퍼레이팅 시스템 자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서, 보통 워드프로세서, 콤파일러,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등으로 구성된다.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을 사용하기로 선택하면(출력 Y), 총제적 도움말 시스템(SAG)이 자동적으로 중앙 메모리에 로드되어 오퍼레이팅 시스템(OS)과 실질적으로 통합된다.
처음 상태에서, 시스템(SAG)은 사용자에게는 보이지 않으나, 그의 인터페이스는 입력 주변 장치(키보드, 마우스등)에 의해 발생된 모든 정보를 필터링한다. 이리하여 사용자는 이전과 같이 현재의 응용 프로그램상에서 작업(APP/SAG)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시스템(SAG)은 고장 발생시(?/INC)의 자동 경보체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고장이 검출된 경우(출력 Y)에는, 시스템(SAG)은 그의 서비스 드라이버를 경유하여 후술하는 “고장 처리 도움말(ARINC)”서비스 시스템에 직접 접속된다.
고장이 없는 경우(출력 N)에는, 시스템(SAG)은 사용자에 의한 도움말의 순시 호출(DS), 예를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OS)에 의해 주어지는 대응하는 기능키(F1-FN)를 누름으로써 또는 서브메뉴내의 “도움말” 표제를 선택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시스템(SAG)은 사용자에게 SAG시스템에 대한 그의 액세스 코드를 작성하도록 요구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 신원을 수집하는 과정(?/UTIL)을 트리거한다. 사용자가 아는 사람이면(출력 N), 도움말 메뉴(MA)가 나타난다. 반대로 사용자가 모르는 사람(출력 Y)이면, 시스템(SAG)은 그 자신을 이용자에게 소개(P/SAG )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여러가지 질문에 답하여 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을 소개( P/UTIL)하도록 요구된다. 이러한 소개가 끝나면, 시스템은 도움말 메뉴(MA)로 복귀된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비제한적 예시로서 본 명세서에 제시되어 있는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에 있어서, 도움말 메뉴(MA)는 각기 하나의 전문화된 서비스 시스템에 대응하는 복수의 표제(caption)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들 표제는 상술한 고장 처리를 돕기 위한 “ARINC”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제3도는 세개의 서비스 시스템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데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은 다른 서비스 시스템까지 통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그중 두개는 제3도에서 화살표가 부가된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문제의 서비스 드라이버(M1)와 그의 단일 지식 베이스(BCU1)가 작업 메모리에 로드(load)된다. 이제 그의 현재 요구에 적합한 하나의 특별한 종합 서비스가 사용자에 의해 활용가능하다.
다음에는 3개의 활용 가능한 종합 서비스가 비제한적 실례로서 제시되어 있다.
(1) 정보처리 환경의 관리(AENV)에서의 지원 :
이 서비스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그의 작업 정보 환경을 올바르게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표시에 대한 요구를 검토(EDEMIND 과정)한 뒤, 이중 타스크 드라이버를 포함한 서비스는 아래와 같은 표시(DLIND 과정)을 제공한다.
(ㄱ) 시스템의 정보 교통과 시스템의 성능에 관한 테이블과 표시장치를 도입한 시스템 관리.
(ㄴ) “AGENT”라고 불리는 서브시스템을 사용자의 처분에 맡김으로써 매크로 인스트럭션과 같은 순차 연결된 명령어를 작성할 수 있게 하는 명령어 관리, 이들 명령어의 시퀀스는 미리 설정된 구조의 형태(키치기 : keystroke, 스크린상의 단어등)에 따라 자동적으로 호출되거나 트리거될 수 있다.
(2) 교습 또는 자습 지원(AENS) :
이 서비스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어느 응용 프로그램을 개인적으로 자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루우프 기능을 가진 4-타스크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서, 교육관리부 시스템, 지도자 시스템, 조교사 시스템 및 수준 평가 시스템등을 포함하고 있다. 교육 관리부는 사용자의 강의 코스의 계획(ECUR 과정)을 처리한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추론 드라이버로서, 지식 베이스에 관한 전문가의 의견과 사용자로부터 얻은 정보를 고려하여 시행할 교육을 선정하게 된다.
지도자 시스템은 수업의 편성을 처리한다. 이것은 교육 전문가가 마련한 순서에 맞추어 명령을 실행할 인터프리터(interpreter)나, 동일한 타스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추론 드라이버로 구성된다.
조교사 시스템은 연습 과정에서 사용자를 지도하는 타스크를 구비하며, 특히 사용자를 뒤따라가면서 사용자에게 해답에 이르는 암시를 제공하는 타스크를 구비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수준 평가 시스템은 사용자의 그의 발전 상태를 테스트하는 것이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속한 지식 베이스(OPER베이스)에 바로 집어넣어진 수업의 적절한 사건을 종합하고 있는 전문가 시스템에 의해 달성 된다.
이중에서 나중의 3개 시스템은 제3도에서 DLCGC 과정(CGC는 코스, 안내, 테스팅에 대한 프랑스 용어를 나타냄)으로 도시되어 있다.
(3) 고장처리 지원(ARINC) :
이 서비스의 목적은, 워크 스테이션에 어떤 문제가 있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는 제1지시 사항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서비스에는 문서가 첨부됨으로써, 시스템(중앙 처리 장치, 중앙 메모리, 키보드, 스크린)의 최소한의 수선만이 필요하게 된다.
사용자에 대한 질문(ETRA 과정)에 의해 보강된, 주변장치에 대한 픽업의 추적에서 유래하는 지적 사항의 도움으로 이 지원 서비스는 그 지식 베이스내에서 해결의 요소를 찾고, 시스템으로 복귀하는데 취하여야 할 통로와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다른 작용(저장 등)과 함께 현용 서비스에 제시한다(DIAG/RI 과정).
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처리되어 끝나게 되면, 사용자는 스톱 접속(?/ARR)에 의해서, 도움말 시스템(SAG)에 머물러야 하는지(출력 N), 일시적으로 시스템을 떠나서 다른 서비스 시스템을 호출하여야 하는지(출력 P), 아니면 응용 프로그램(APP)을 향하여 도움말 시스템을 완전히 떠나야 하는지(출력 D)를 결정한다.
일시적인 출구(P)의 경우에는, 도움말 메뉴(MA)가 [S/SAG]과정에 의해 취소되고, 시스템은 도움말 요구 과정 DA의 상단에 접속되어 대기상태에 놓인다. 이러한 대기 상태에서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SAG)는 필터나 도움말 시스템의 각종 픽업에 미리 선택될 수집 정보의 처리에도 불구하고, 다시 응용 프로그램(APP)와 연통된다.
아주 분명한 것은, 본 발명은 여기에 소개된 통합 서비스에 국합되지 않고, 통신, 수학적 및/또는 그래픽 응용, 편집, 번역, 생산 가공의 감시등과 같이 오퍼레이터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응용 프로그램을 보다 지향하고 있는 다른 전문화된 서비스들을 잊지 않고, 사용자를 위한 전반적 도움말, 사용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보다 긴밀한 전후 관계의 도움말, 사용자 기술 개발을 위한 도움말과 같은 도움말 서비스를 커버하고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종 서비스 시스템들이 루우프형 네트워크로 상호 접속되어 있으며, 그중에서 하나의 서비스 시스템은 보다 세부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다른 서비스 시스템으로 이동하기 전에 인터페이스와의 우선적 접속을 확보한다.

Claims (36)

  1. 중앙 처리 장치(10), 중앙 메모리(12),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 장치(22), 상기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 장치(22)를 관리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 및 선택사양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APP)을 포함하는 형태의 정보처리 시스템의 사용자 지원방법에 있어서, 분석장치(42), 전송장치(44) 및 픽업장치(40)를 갖는 인터페이스(30)와 상호접속된 복수의 전용 서비스 시스템(32, 34, 36)중 적어도 하나를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에 결합시키고, 사용자의 동작과 애플리케이션 데이타베이스와의 상호 작용을 검출 및 기록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집된 사건 정보들을 적어도 전용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처리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의 레벨에 직접 결합되어 픽어모드에서 입력정보와 사용자와 애플리케이션의 상호작용을 관리하고 전송모드에서 출력을 관리하며 사용자로부터의 정보 또는 상기 정보처리시스템의 응용프로그램을 전용서비스 시스템에 보내는 상기 오퍼레이팅 시스템(OS)내로 상기 전용 시스템의 가상 통합이 가능하도록 하고, 각 전용 서비스 시스템은 추론 또는 인터프리터 드라이버와 같은 서비스 드라이버(M1-MN), 적어도 하나의 지식 데이타 베이스(36, BCAR, SYS, OPE), 및 적어도 하나의 사실 데이타 베이스(B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사용자 지원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시스템(32, 34, 36)은 코어 시스템(38)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30)에 별모양으로 상호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하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비스 시스템들은 루우프형 네트워크로 상호 접속되어 있으며, 그들 중 하나는 인터페이스와의 우선적으로 접속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시스템들은 적어도 하나의 공통 데이타베이스 (34)를 포함하며, 이 데이타 베이스는 상기 각 서비스 드라이버(M1)에서 이용가능하고 지식 데이터베이스(BCAR, SYS, OPE)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시스템들은 적어도 하나의 공통 데이타 베이스(34)를 포함하며, 이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각 서비스 드라이버(M1)에서 이용가능하고 사실 데이터 베이스(BF)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데이터 베이스는 공통 지식 데이터 베이스이며 “사용자” 기술 지식 데이터 베이스(OP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최소한 하나의 지식 데이터 베이스는 공통 지식 데이터 베이스이며 “사용자” 기술 지식 데이터 베이스(OPE) 및 “시스템”기술 지식 데이터 베이스(SY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정보를 동작중의 서비스 드라이버(M1) 및 하나 또는 복수의 사실 베이스에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의 기동은 사용자의 순시 호출이나,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을 호출하여 대기시켜 놓은 후 사건의 검출에 의한 자동적인 트리거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드라이버(M1-MN)들은 그의 주요 기능에 관하여 분화되어 있으며, 특히 정보처리 시스템의 관리, 교습 또는 자습(셀프 트레이닝) 및 고장 처리기능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드라이버들은 루우프형 기능을 갖는 멀티타스크 형태(T1-TN)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술 데이타베이스(OPE)는 사용자의 식별, 트레이닝 코스와 같은 사용자 프로필, 사용자의 시스템 및/또는 응용프로그램과의 경혐, 사용목적, 수행될 과제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술 데이타베이스(OPE)는 사용자의 식별, 트레이닝 코스와 같은 사용자 프로필, 사용자의 시스템 및/또는 응용프로그램과의 경험, 사용목적, 수행될 과제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기술 지식 데이터베이스(SYS)는 시스템의 구성, 각 응용 프로그램, 노이즈, 방의 밝기와 같은 시스템의 외부 환경, 이전 사실 또는 사건, 및 이전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5항에 있어서, 사실 데이터베이스(BF)는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서비스 시스템간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비롯되는 사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기능, 루울 또는 기술(OPE, SYS) 및 사실(BF) 지식 데이터베이스의 상태의 함수로서 실행되는 방법들로 구성되는 액티브 및 리액티브 지식 베이스(BCA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정보처리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AENV)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한 셀프 트레이닝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AEN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한 시스템의 고장발견수리를 위한 수단(ARIN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적어도 하나의 중앙처리장치(10), 리드 온리 메모리(ROM(14)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6)를 포함하는 중앙 메모리(12), 하나 이상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22), 상기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22)와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 (APP)을 관리하기 위한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을 구비하는 정보처리 시스템의 사용자 지원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용 서비스 시스템(32, 34, 36), 상기 오퍼레이팅 시스템(OS)과 상기 서비스 시스템에 직렬되어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에 상기 전용 서비스 시스템의 가상 통합을 허용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용 서비스 시스템은, 가) 서비스 드라이버에 대한 추론 드라이버를 저장하기 위한 제1프로그래머블 리드 온리 메모리 수단(PROM), 나) 사실 데이타 베이스를 저장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 수단(RAM), 다) 지식 데이타베이스를 저장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 수단(RAM), 및 다) 제2프로그래머블 리드 온리 메모리 수단(PROM)과 시스템에 주변장치들을 접속하기 위한 회로 수단, 및 오퍼레이팅 시스템(OS)으로부터 초기화 프로그램에 의해 전용 서비스 시스템의 실시를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회로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전용 서비스 수단과 정보처리 시스템 사이에, 픽업장치(40),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하고 기록하기 위한 분석장치(42) 및 응용 프로그램이나 정보처리 시스템에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전송장치(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의 레벨에서, 인터페이스 수단(30)이 투명상태로 사용자와 응용 프로그램(APP) 사이에 직결되고, 픽업모드에서 사용자의 동작 및 응용 프로그램(APP)과의 상호작용을 검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전용 서비스 시스템의 어떤 성분을 모니터하기 위해 보조 중앙 처리 장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물리적 픽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픽업장치는 크로노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물리적 픽업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픽업 수단은 마이크로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수단은 관심 분석장치, 혼란 분석장치 메모리 스페이스 분석장치 및 호환 분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메뉴 발생기, 온-스크린 정보 윈도우 발생기, 정지 또는 활동 온-스크린 화상 발생기 및 음성 발생기를 포함하는 전송 장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장치는 하나 이상의 키보드 필터, 스크린 메모리 판독기, 마우스 판독기, 광펜 판독기, 터치 스크린 판독기, 노이즈 검출기, 광감성 픽업, 압력 검출기, 및 신호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0항에 있어서, 서비스시 전용 서비스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코어 부재(38)를 포함하는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의 실시를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부재는 인터페이스의 초기화된 요소들의 구비 후 각 서비스 드라이버로 제어를 이동하도록 구성 및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0항에 있어서, 사용자 기술 지식 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이 사용자 기술 지식 베이스는, 사용자의 식별, 트레이닝 코수와 같은 사용자 프로필, 시스템 및/또는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 경험, 사용 목적, 수행될 업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0항에 있어서, 시스템 기술 지식 데이터베이스(SYS)를 포함하며 이 시스템 기술 지식 데이터베이스(SYS)는 시스템의 구성, 각 응용 프로그램, 노이즈, 방의 밝기와 같은 시스템의 외부 환경, 이전 사실 또는 사건, 및 이전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20항에 있어서, 사실 데이타베이스(BF)를 포함하며 이 사실 데이터베이스 (BF)는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 및/또는 서비스 시스템간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비록되는 사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20항에 있어서, 기능, 루울 또는 기술(OPE, SYS) 및 사실(BF) 지식 데이터베이스의 상태의 함수로서 실행되는 방법들로 구성되는 액티브 및 리액티브 지식 베이스(BCA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장치.
  3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총체적으로 도움말 시스템은, -서비스 드라이버에 대한 추론 드라이버를 구성하는 프로그래머블 리드 온리 메모리 수단(PROM), -사실 데이타 베이스를 구성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수단(RAM), -지식 데이타베이스를 구성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수단(RAM) 및 -프로그래머블 리드 온리 메모리 수단 (PROM)과 시스템에 주변장치들을 접속하기 위한 회로 수단 및 오퍼레이팅 시스템 (OS)으로부터 초기화 프로그램에 의해 총체적 도움말 시스템의 실시를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회로 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20항에 있어서, 전용 서비스 시스템의 어떤 성분을 모니터하기 위해 보조 중앙 처리 장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물리적 픽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픽업장치는 크로노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물리적 픽업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픽업 수단은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00010355A 1989-07-07 1990-07-07 정보처리 시스템의 사용자의 지원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 KR940000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9-09159 1989-07-07
FR8909159A FR2649508B1 (fr) 1989-07-07 1989-07-07 Procede d'assistance pour l'utilisateur d'un systeme informatiqu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udit procede
FR89-9159 1989-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507A KR910003507A (ko) 1991-02-27
KR940000290B1 true KR940000290B1 (ko) 1994-01-14

Family

ID=938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0355A KR940000290B1 (ko) 1989-07-07 1990-07-07 정보처리 시스템의 사용자의 지원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407296B1 (ko)
JP (2) JPH0831084B2 (ko)
KR (1) KR940000290B1 (ko)
AT (1) ATE128776T1 (ko)
CA (1) CA2020505C (ko)
DE (1) DE69022783T2 (ko)
ES (1) ES2088996T3 (ko)
FR (1) FR26495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5542B2 (ja) * 1991-07-12 1997-12-24 財団法人ニューメディア開発協会 ユーザ情報の利用・獲得を行う情報処理装置
JPH07113881B2 (ja) * 1991-07-17 1995-12-06 財団法人パーソナル情報環境協会 メタファ環境制御方式
JP2768412B2 (ja) * 1992-07-15 1998-06-25 財団法人ニューメディア開発協会 ユ−ザ適応型システムおよびその適応方法
US6633861B2 (en) 1993-03-19 2003-10-14 Ricoh Company Limited Automatic invocation of computational resources without user intervention across a network
US6049792A (en) * 1993-03-19 2000-04-11 Ricoh Company Limited Automatic invocation of computational resources without user intervention across a network
US5546502A (en) * 1993-03-19 1996-08-13 Ricoh Company, Ltd. Automatic invocation of computational resources without user intervention
US6340977B1 (en) 1999-05-07 2002-01-22 Philip Lui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assistance in software applications using behavior and host application models
US6801222B1 (en) 1999-10-14 2004-10-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building application help navigation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507A (ko) 1991-02-27
ES2088996T3 (es) 1996-10-01
EP0407296B1 (fr) 1995-10-04
ATE128776T1 (de) 1995-10-15
EP0407296A1 (fr) 1991-01-09
CA2020505A1 (fr) 1991-01-08
FR2649508B1 (fr) 1994-07-08
JPH09167136A (ja) 1997-06-24
FR2649508A1 (fr) 1991-01-11
JPH0831084B2 (ja) 1996-03-27
CA2020505C (fr) 1999-08-17
JPH03129551A (ja) 1991-06-03
DE69022783D1 (de) 1995-11-09
DE69022783T2 (de) 199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0768A (en) Expert system and method employing hierarchical knowledge base, and interactive multimedia/hypermedia applications
US5211563A (en) Computer assisted learning support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therefor
US4654852A (en) On-line problem-determination procedure for diagnosis of faults in a data-processing system
RU2400799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обучения интерактивному взаимодействию с компьютерной программой, имеющей графический интерфейс пользователя
Farooq et al. A survey of formal tools and models for developing user interfaces
CA2107499A1 (en) System and methods for improved computer-based training
Black et al. An invited article Facilitating human–computer communication
KR940000290B1 (ko) 정보처리 시스템의 사용자의 지원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
Woods Modeling and predicting human error
Phillips et al. A task analytic approach to dialogue design
KR20210036167A (ko) 어플리케이션의 테스트 자동화
Thimbleby et al. Intelligent adaptive assistance and its automatic generation
Dillon Human factors in user-computer interaction: An introduction
Hanusa Tools and techniques for the monitoring of interactive graphics dialogues
JPS6235916A (ja) 画像処理装置の異常原因推論方法
Sigari et al. Portable and affordable operator training simulators
Baron et al. An analysis of the application of AI to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aids for flight crew tasks
Clarke et al. Integrating expert systems and multimedia for improved troubleshooting of the city of Los Angeles's computer hardware
Griol et al. The CALIMACO multimodal system: Providing enhanced library services using mobile devices
Liu et al. I-Test: integrated testing expert system for trunks
Henderson et al. The advent of failure analysis software technology
ANALYTICS INC WILLOW GROVE PA Human Operator Simulator (HOS) 4 User's Guide
Prince Information Systems for Management Control
CN117055940A (zh) 应用巡检方法及系统
Gustavsson et al. The Common-KADS communication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