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702408A - 난연성 브롬화 스티렌-기제 라텍스 - Google Patents

난연성 브롬화 스티렌-기제 라텍스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702408A
KR930702408A KR1019930700671A KR930700671A KR930702408A KR 930702408 A KR930702408 A KR 930702408A KR 1019930700671 A KR1019930700671 A KR 1019930700671A KR 930700671 A KR930700671 A KR 930700671A KR 930702408 A KR930702408 A KR 930702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omposition
unit
brominated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0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 리앙 왕
에이. 파브스트리트스키 니콜라이
에스. 로스 리차드
Original Assignee
루돌프 제이. 에이취. 부어호오브
그레이트 레이크스 케미칼 코오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돌프 제이. 에이취. 부어호오브, 그레이트 레이크스 케미칼 코오퍼레이션 filed Critical 루돌프 제이. 에이취. 부어호오브
Publication of KR930702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240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1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substituted by heteroatoms or groups containing hetero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1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substituted by heteroatoms or groups containing heteroatoms
    • C08F212/16Halogens
    • C08F212/21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8/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 C08F218/02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F218/04Vinyl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C08L9/08Latex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Abstract

고리-할로겐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와 알킬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고 부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량체를 포함할 수도 있는 개선된 난연성 중합체 라텍스가 개시되어 있다.
제1구체예에서 라텍스는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와 알킬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를 포함한다.
제2구체예에서 라텍스는 이들 첫번째 두가지 유형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고 추가로 포화카르복실산, 할로겐이 없는 방향족 단량체 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의 불포화 에스테르로 부터의 제3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한다.
제3구체예에서 라텍스는 4개의 단량체 단위 즉,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 알킬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할로겐이 없는 방향족 단량체 단위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를 포함한다.
한 양태에서 할로겐화 방향족 단량체는 최종 라텍스 조성물에서 7 내지 20중량 퍼센트의 브롬을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할로겐화 방향족 단량체는 특히 평균적으로 단량체 단위당 적어도 약1.5 브롬을 가지는 단량체를 제공하는 폴리브롬화 단량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난연성 브롬화 스티렌-기제 라텍스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39)

  1. 난연성의 중합체 라텍스 조성물에 있어서,
    식(Ⅰ) :
    의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 및 식(Ⅱ) :
    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상기 식에서 X는 1 내지 4이고, R1은 -H 또는 -CH3이고, R2는 -H 또는 1 내지 4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고, 및 R3는 1 내지 20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고, 및 상기에서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는 전체 조성물의 7 내지 20중량 퍼센트의 브롬을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고리-브롬화 단량체 단위는 9 내지 18중량 퍼센트의 브롬을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는 단위당 적어도 평균 약1.5브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는 모노브롬화 단위 및 폴리 브롬화 단위를 포함하고,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의 20퍼센트가 모노브롬화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모노브롬화 단위 및 폴리 브롬화 단위의 비는 고리-브롬화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의 상응하는 혼합물이 실온에서 액체가 되는 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고리-브롬화 단량체 단위는 9 내지 18중량 퍼센트의 브롬을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 및 (메타) 아크릴산 알킬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고리-브롬화 단량체 단위는 9 내지 18중량 퍼센트의 브롬을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는 단위당 적어도 평균 약1.5 브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난연성의 중합체 라텍스 조성물에 있어서,
    식(Ⅰ):
    의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 및 식(Ⅱ):
    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상기 식에서 X는 1 내지 4이고 R1은 -H 또는 -CH3이고, R2는 -H 또는 1 내지 4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고, 및 R3는 1 내지 20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고, 및 상기에서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당 적어도 평균 약1.5브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고리-브롬화 단량체 단위는 9 내지 18중량 퍼센트의 브롬을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모노브롬화단위 및 폴리브롬화 단위의 비는 고리-브롬화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의 상응하는 혼합물이 실온에서 액체가 되는 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 및 알킬(메타)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난연성의 중합체 라텍스 조성물에 있어서, 식(Ⅰ):
    의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 및 식(Ⅱ):
    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및 더나아가서 (a)식(Ⅲ):
    의 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b)식(Ⅳ):
    의 비-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 및
    (c)식(Ⅴ):
    의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제3의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상기 식에서 X는 1 내지 4이고, R1은 -H 또는 -CH3이고, R2는 -H 또는 1 내지 4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고, R3는 1 내지 3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고, 및 R4는 1 내지 3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고, 및 상기에서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는 전체 조성물의 7 내지 20중량 퍼센트의 브롬을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한다.
  15. 제14항에 있어서, 고리-브롬화 단량체 단위는 9 내지 18중량 퍼센트의 브롬을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14항에 있어서,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는 단위당 적어도 평균 약1.5 브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는 모노브롬화 단위 및 폴리브롬화 단위를 포함하고,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의 약20%가 모노브롬화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16항에 있어서, 모노브롬화 단위 및 폴리브롬화 단위의 비는 고리-브롬화 불포화 방향족 단량체의 상응하는 혼합물이 실온에서 액체가 되는 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제16항에 있어서, 고리-브롬화 단량체 단위는 9 내지 18중량 퍼센트의 브롬을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제14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및 (a)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b)비-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 및 (c)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제3의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고리-브롬화 단량체 단위는 9 내지 18중량 퍼센트의 브롬을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2. 제22항에 있어서,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는 평균적으로 단위당 적어도 약1.5브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3. 식(Ⅰ):
    의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와 식(Ⅱ):
    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고, (a)식(Ⅲ):
    의 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b)식(Ⅳ):
    의 비-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 및
    (c)식(Ⅴ):
    의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된 제3의 단량체 단위로 더 이루어지며, 여기서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는 평균적으로 단위당 적어도 약1.5 브롬을 포함하는 난연성 중합체 라텍스 조성물.
    상기 식들에서 X=1 내지 4, R1은 -H 또는 -CH3, R2는 -H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4인 알킬기이고, R3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알킬기이고, R4는 탄소수가 1 내지 3인 알킬기이다.
  24. 제23항에 있어서, 고리-브롬화 단량체 단위는 9 내지 18중량 퍼센트의 브롬을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5. 제23항에 있어서, 모노브롬화 단위와 폴리브롬화 단위의 비는 불포화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의 대응 혼합물이 실온에서 액체이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6. 제23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및 (a)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b)비-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 및 (c)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제3의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7. 식(Ⅰ)
    의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
    식(Ⅱ):
    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식(Ⅳ):
    의 비-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 및
    식(Ⅴ):
    의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는 총 조성물의 7 내지 20퍼센트의 브롬을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난연성 중합체 라텍스 조성물.
    상기식에서 X=1 내지 4, R1은 -H 또는 -CH3, R2는 -H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4인 알킬기, R3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알킬기이다.
  28. 제27항에 있어서, 고리-브롬화 단량체 단위는 9 내지 18중량 퍼센트의 브롬을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9. 제27항에 있어서,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는 평균적으로 단위당 적어도 약1.5 브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0. 제29항에 있어서,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는 모노브롬화 단위와 폴리브롬화 단위를 포함하고 여기서 단지 약20%의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가 모노브롬화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1. 제29항에 있어서, 모노브롬화 단위와 폴리브롬화 단위의 비는 불포화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의 대응 혼합물이 실온에서 액체이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2. 제29항에 있어서, 고리-브롬화 단량체 단위는 9 내지 18중량 퍼센트의브롬을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3. 제27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비-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 및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하는 조성물.
  34. 제33항에 있어서, 고리-브롬화 단량체 단위는 9 내지 18중량 퍼센트의 브롬을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5. 제33항에 있어서,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는 평균적으로 단위당 적어도 약1.5 브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6. 식(Ⅰ)
    의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
    식(Ⅱ):
    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식(Ⅳ):
    의 비-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 및
    식(Ⅴ):
    의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는 평균적으로 단위당 적어도 약1.5 브롬을 포함하는 난연성 중합체 라텍스 조성물.
    여기서, X=1 내지 4, R1은 -H 또는 -CH3, R2는 -H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4인 알킬기, R3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알킬기이다.
  37. 제36항에 있어서, 고리-브롬화 단량체 단위는 9 내지 18중량 퍼센트의 브롬을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8. 제36항에 있어서, 모노브롬화 단위와 폴리브롬화 단위의 비는 불포화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가 실온에서 액체이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9. 제36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고리-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비-브롬화 방향족 단량체 단위 및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30700671A 1990-09-06 1991-08-21 난연성 브롬화 스티렌-기제 라텍스 KR9307024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7906390A 1990-09-06 1990-09-06
US579,063 1990-09-06
PCT/US1991/005985 WO1992004387A1 (en) 1990-09-06 1991-08-21 Flame retardant brominated styrene-based lat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2408A true KR930702408A (ko) 1993-09-09

Family

ID=24315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0671A KR930702408A (ko) 1990-09-06 1991-08-21 난연성 브롬화 스티렌-기제 라텍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547091A1 (ko)
JP (1) JPH06500812A (ko)
KR (1) KR930702408A (ko)
AU (1) AU653548B2 (ko)
CA (1) CA2049857A1 (ko)
IL (1) IL99392A (ko)
MX (1) MX174495B (ko)
TW (1) TW203614B (ko)
WO (1) WO19920043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8851B2 (ja) * 1992-04-07 1998-02-25 帝人化成株式会社 ブロモ化スチレンの乳化重合法
US5304618A (en) * 1993-07-22 1994-04-19 Great Lakes Chemical Corporation Polymers of brominated styrene
CN101519563B (zh) * 2008-10-10 2012-03-21 兰州理工大学 溴碳丙烯酸隧道防火涂料及其制备方法
CN105968255B (zh) * 2016-06-28 2018-03-09 合众(佛山)化工有限公司 一种自阻燃型丙烯酸乳液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2588A (en) * 1958-10-13 1963-01-08 Dow Chemical Co Method of preparing aqueous latex of high molecular weight vinylbenzyl halide polymer and resulting product
NL7812460A (nl) * 1978-12-22 1980-06-24 Stamicarbon Broombevattend polymeer en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broombevattend polymeer.
US5066752A (en) * 1990-06-20 1991-11-19 Great Lakes Chemical Corporation Flame retardant brominated styrene-based polym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53548B2 (en) 1994-10-06
IL99392A0 (en) 1992-08-18
JPH06500812A (ja) 1994-01-27
WO1992004387A1 (en) 1992-03-19
EP0547091A1 (en) 1993-06-23
IL99392A (en) 1994-07-31
AU8449891A (en) 1992-03-30
CA2049857A1 (en) 1992-03-07
TW203614B (ko) 1993-04-11
MX174495B (es) 1994-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29517A4 (en)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ES2099769T3 (es) Modificadores de la resistencia a los choques.
MX9604655A (es) Polimero cauchotoso.
KR930702408A (ko) 난연성 브롬화 스티렌-기제 라텍스
KR927003666A (ko) 폴리프로필렌의 난연성 그래프트 공중합체
KR930701504A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성형 조성물
KR880004018A (ko) 거대 단량체 조성물
ATE142233T1 (de) Acrylat-methacrylat-propfpolymerisate
KR930702458A (ko) 난연성 브롬화스티렌-기제 코팅
US5438096A (en) Flame retardant brominated styrene-based latices
KR970010861A (ko) 유동성과 난연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
KR900004838A (ko) 혼화성 중합체 혼합물
KR950005914A (ko)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970021195A (ko) 내충격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
EP0604843A3 (en) Transparent and impact-resistant moulding compounds.
KR920008537A (ko) 내식막 조성물
KR940000531A (ko) 플렉시블(flexible) 인쇄회로기판용 접착제 조성물
ATE113967T1 (de) Flammhemmende pfropfpolymerisierte auf basis von äthylen-vinylacetat.
KR970021194A (ko) 유동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
KR910012043A (ko) 안정한 중합체성 첨가제를 가진 난연성 중합체
JPS5543116A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KR930700568A (ko) 난연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그래프트 공중합체
KR930700620A (ko) 방염성 고온용융접착제 조성물
KR900001773A (ko) 자외선 안정성이 우수한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970010875A (ko)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