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21990A - 폐수지를 이용한 하수도관 제조방법 및 그 하수도관 - Google Patents

폐수지를 이용한 하수도관 제조방법 및 그 하수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21990A
KR930021990A KR1019920005509A KR920005509A KR930021990A KR 930021990 A KR930021990 A KR 930021990A KR 1019920005509 A KR1019920005509 A KR 1019920005509A KR 920005509 A KR920005509 A KR 920005509A KR 930021990 A KR930021990 A KR 930021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sewage
waste resin
circumferential wal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5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용진
김항구
Original Assignee
김항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항구 filed Critical 김항구
Priority to KR1019920005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21990A/ko
Publication of KR930021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990A/ko

Links

Landscapes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를 배수 처리하는, 즉 지하에 매설되어 하수유료를 제공하는 하수도관의 제조방법 및 그 하수도관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하수도관의 제조방법은 생활용품 또는 각종 산업장에서 유출되는 폐수지를 회수하고, 이의 폐수지와 석분, 응고제, 촉진제 및 수지 주원료를 적합한 비율로 혼합할여 제조된 겔상의 재생원료를 압출기를 통하여 적당한 두께를 가지고 막대상으로 추출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막대상으로 압출되는 재생원료를 자전과 동시에 수평상으로 직선 왕복동하는 원통관형의 금형 주벽면에 그 금형의 왕복운동방향과 교차하는 수평방향에서 다소 일측으로 경사져 금형의 정점에 나선상으로 공급시키고 있다. 또 이렇게 금형의 주벽에 막대상으로 압출되는 재생원료를 압출기 전방측 적당한 장소에 재생원료의 압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압대로 선추출된 재생원료측으로 밀접되게 하여 인접되는 재생원료와 측단면적으로 맞이어지게 함과 어울러, 가압대의 타측에는 또한 선추출된 재생원료와 후추출되는 재생원료의 사이에 개재되어 인접하는 재생 원료의 사이를 열접시키기 위한 가열 히터를 구비하여 재생원료를 연속적으로 압출하면서 열접합식으로 주벽을 재생 하수도관을 제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벽상에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다소의 시차를 두고 이원화된 또 하나의 주벽을 중첩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폐수지를 회수처리하여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하수 및 건수의 유출입을 완전히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폐수지를 이용한 하수도관 제조방법 및 그 하수도관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 폐수지를 이용한 하수도관 제조방법에 의해 하수도관이 제조되는 과정을 보인 제조장치의 개략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 폐수지를 이용한 하수도관 제조과정을 보인 제조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 폐수지를 이용한 하수도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하수도관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 하수도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제5도는 본 발명 하수도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Claims (5)

  1. 생활하수 및 산업장의 폐수를 배수처리하는 하수도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폐수지, 응고제, 촉진제, 석분 및 수지주원료등의 조성물을 적정한 비율로 배합하여된 겔상의 재생원료를 수평면상에서 왕복동됨과 동시에 자전하는 금형의 외주벽에 단위시간당 적당한 압출속도를 유지하여 제1압출기를 통하여 막대형으로 추출해내고 이의 막대형사의 재생원료를 가압대와 가열히터로 용접하여 제1주벽을 구성하고, 이의 제1주벽상에 제2압출기를 통하여 재생원료를 압출시키고 제1주벽과 같이 가열대와 가열히터로 융접하여 제2주벽이 구성되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지를 이용한 하수도관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압출기에서 막대형상으로 압출되는 재생원료를 축단면적으로 열접하여 주벽을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는 폐수지를 이용한 하수도관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주벽과 제2주벽을 구성하는 재생원료를 서로 엇갈리는 경사방향으로 압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폐수지를 이용한 하수도관 제조방법.
  4. 생활하수 및 산업장의 폐수를 배수처리하는 하수도관에 있어서, 이원화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1주벽 및 제2주벽을 중첩적으로 구성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도관의 주벽을 이루는 제1 및 제2주벽중 그 어느 하나의 주벽내에 보강부재를 매설 하여서된 것을 포함하는 하수도관.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되는 것임.
KR1019920005509A 1992-04-02 1992-04-02 폐수지를 이용한 하수도관 제조방법 및 그 하수도관 KR930021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5509A KR930021990A (ko) 1992-04-02 1992-04-02 폐수지를 이용한 하수도관 제조방법 및 그 하수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5509A KR930021990A (ko) 1992-04-02 1992-04-02 폐수지를 이용한 하수도관 제조방법 및 그 하수도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990A true KR930021990A (ko) 1993-11-23

Family

ID=6725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5509A KR930021990A (ko) 1992-04-02 1992-04-02 폐수지를 이용한 하수도관 제조방법 및 그 하수도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219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471A (ko) * 2000-07-14 2000-11-06 오청호 다중관과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471A (ko) * 2000-07-14 2000-11-06 오청호 다중관과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455972A1 (fr) Procede et appareillage pour l'extrusion de tubes plastiques a parois composites
CA1045992A (en) Plastic pipe having walls with lengthwise extending channels
CH558904A (de) Grosskalibriges rohr, insbesondere abwasserrohr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sowie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rohres.
CA2285131A1 (en) Method for the continuous manufacture of a twin-wall pipe having a pipe socket and apparatus for putting the method into practice
KR870006346A (ko) 내압관과 그 제조방법
ATE46651T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xtrudieren von kunststoffrohren mit mehrschichtigen waenden.
CN101653983B (zh) 用于制造塑料缠绕结构壁管材的机头模具
KR930021990A (ko) 폐수지를 이용한 하수도관 제조방법 및 그 하수도관
CN108016026A (zh) 一种hdpe双壁缠绕管的成型方法
ATE54599T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rohrstueckes und danach hergestelltes verbundrohr.
ZA200407144B (en) Inorganic waste-recycling machin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mouldable paste having various uses
PT775047E (pt) Metodo para reciclagem e disposicao de lixos
CN106584880A (zh) 一种聚氯乙烯管的双轴取向成型装置
CN202156017U (zh) 一种组合式的双壁波纹管的成型模块
KR100364153B1 (ko) 대용량 복합저장탱크의 제조방법
DE2132374A1 (de) Verfahren zum Auskleiden eines Hohlraumes in einem Koerper mit einem Futter aus Kunststoff
CN101332667A (zh) 长玻纤维增强塑料管材挤出机头
KR100869208B1 (ko) 나선형 부재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장치
KR960029052A (ko) 폐수지를 이용한 건자재 및 그 제조방법
SE9100490D0 (sv) Formblaasningsmetod
KR200216508Y1 (ko) 나선형 보강테가 형성된 압출파이프를 이용한 원통관
CN103707484A (zh) 一种双层塑料排水管道的生产装置及方法
KR200250771Y1 (ko) 보강구조가 형성된 구경이 큰 합성수지관
EP0035999A1 (en) Assembly for extruding pipe
US2003015926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reat quatity of a composite storage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