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3501A - 자결식 클램프 - Google Patents

자결식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3501A
KR930013501A KR1019920023462A KR920023462A KR930013501A KR 930013501 A KR930013501 A KR 930013501A KR 1019920023462 A KR1019920023462 A KR 1019920023462A KR 920023462 A KR920023462 A KR 920023462A KR 930013501 A KR930013501 A KR 930013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self
band
tool
oute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3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53010B1 (ko
Inventor
외티커 한스
Original Assignee
원본 미기재
한스 외티커 아게 마시넨-운트 아파라테파브리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본 미기재, 한스 외티커 아게 마시넨-운트 아파라테파브리크 filed Critical 원본 미기재
Publication of KR930013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 B25B25/005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for applying wire clasps to hose 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3Self-locking elastic cl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78Circumferentially swagged band cla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8End-to-end integral band end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Golf Clubs (AREA)
  • Gears, Ca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Sheet Holder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스프링강 밴드재료로 제조된 자결식 클램프가 밴드재료의 고유의 탄성 작용에 의해서 체결력을 제공한다. 바깥쪽으로 돌출한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시키고 어떠한 틈새나 계단부도 없는 내부체결면을 제공하도록, 바깥쪽 밴드부의 단부에 기다란 스롯이 제공되어서, 혀 모양으로 형성된 안쪽 밴드부와 적절하게 바깥쪽 밴드부가 겹쳐진다. 바깥쪽 밴드부의 고정면에 의해서 단단히 고정되게 결합되는 안쪽 밴드부의 걸쇠부재에 의해서, 클램프의 일시적인 고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다란 슬롯은 혀 모양의 안쪽 밴드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크기의 폭을 가지며, 결쇠부재는 클램프가 고정된 상태에서 기다린 슬롯안으로 위치된다.

Description

자결식 클램프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결식 클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부분단면으로 도시한 축선방향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클램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축선방향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클램프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Claims (27)

  1. 호오스 등에 설치할 수 있도록 직경이 확대될 수 있으며 고유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서 직경이 감소될 수 있는 자결식 클램프로서, 평상시 원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스프링 강으로 제조된 체결밴드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체결밴드수단이 서로 겹쳐져 있는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들을 갖추고 있고,체결밴드의 한쪽 단부는 상기 체결밴드 수단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체결밴드의 다른쪽 단부에는 혀 모양의 안쪽 밴드단부가 관통할 수 있는 크기의 기다란 슬롯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한쪽 단부내에 제공된 걸쇠수단은 상기 클램프가 고정된 위치에 상응하게 감소된 직경을 가질때 상기 슬롯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바깥쪽 밴드부에는 상기 클램프가 그 개방된 위치에 상응하게 직경이 확대된 상태에 있을때 상기 걸쇠수단과 결합하여 상기 클램프가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이 제공되어 있고,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의 어느 자유단부에도 손상의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보조수단이 제공되어 있어서 상기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의 상기 자유단부가 상기 체결밴드수단의 외부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족으로 제한된 거리만큼만 뻗어있는 자결식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단이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쪽 및 바깥쪽밴드부의 자유단부들이 상기 클램프의 원주방향 경계를 넘어서 약간만 돌출하여 있으며, 상기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의 상기 자유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자유단부가 상기 클램프의 원주방향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뻗어있는 자결식 클램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제일 바깥쪽 단부가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상기 체결밴드 수단의 두께의 약5배 정도의 길이만큼 상기 클램프의 바깥쪽 경계와 이격되어 있는 자결식 클램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잇어서, 상기 보조수단이 상기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곡선형 단부에 의해서 형성된 자결식 클램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유단부가 자체적으로 굽혀져 있는 자결식 클램프.
  6. 제1항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안쪽 밴드부내에서 바같쪽으로 뻗은 연결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내부의 폭이 상기 혀 모양의 안쪽 밴드부의 폭 보다 조금 크고, 그 내부의 높이는 상기 클램프의 직경이 확대되었을때 상기 걸쇠수단이 상기 고정수단의 고유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서 상기 고정수단과 결합될때가지 상기 연결부 밑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인 자결식 클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연결부에 제공된 구멍 또는 상기 연결부의 말단부에 제공된 단부면에 의해 형성된 자결식 클램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잇어서, 상기 걸쇠수단이 상기 안쪽 밴드부와 상기 말단부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 높이가 감소된 외부면을 갖추고 있는 자결식 클램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수단이 상기 안쪽밴드부로 부터 펀치가공되어서 냉간변형된 걸쇠부재이며, 상기 걸쇠부재가 편면도로 볼대 원형, 부분적으로 원형, 타원형 또는 장방형 형상을 가지는 자결식 클램프.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잇어서, 상기 연결부가 이 연결부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측방향 다리부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의 내부 깊이가 상기체결밴드 수단의 두께와 거의 상응하는 크기인 자결식 클램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의 말단부들이 상기 클램프를 개방된 상태로 확대시키는 공구가 작용할 수 있는 공구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자결식 클램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가 상응하는 체결밴드 단부의 바깥쪽으로 굽혀진 말단부에 의해 형성된 자결식 클램프.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떠한 계단부나 불연속 부분도 없는 내부체결면을 상기 클램프에 제공하는 다른 보조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자결식 클램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보조수단이 상기 바깥쪽 밴드부의 바깥쪽으로 뻗은 연결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폭이 상기 혀 모양의 부분의 폭보다 약간 넓고 그 높이는 상기 혀모양의 안쪽 밴드부의 내부 체결면이 상기 바깥쪽 밴드부위 나머지 측방향 부분들과 동일한 높이가 될 정도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안쪽 밴드부가 상기 바깥쪽 밴드부와 합쳐져서 어떠한 계단부나 불연속 부분도 없는 내부체결면을 제공하는 자결식 클램프.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결합 수단이 상기 연결부의 말단부의 끝면에 의해서 상기 바깥쪽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자결식 클램프.
  16.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밴드부가 그 자체적으로 바깥쪽으로 굽혀져서, 상기 걸쇠수단에 대한 고정 수단을 형성하도록 안쪽을 향해있는 단부에서 종결된 자결식 클램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수단이 상기 안쪽 밴드부내에서 펀치가공된 부분, 또는 상기 안쪽 밴드부내의 곡선부, 또는 그 자체적으로 굽혀져 있는 부분인 자결식 클램프.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수단이 고리면에 의해서 제1공구 결합면 수단을 형성하도록 고리 모양으로 안쪽으로 굽혀져 있는 안쪽 밴드부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기 고정수단은 안쪽으로 뻗은 고정단부를 가지며 바깥쪽으로 뻗은 굽혀져 있는 바깥쪽 밴드부의 형태로 구성된 자결식 클램프.
  19. 제1항, 제13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의 바깥쪽으로 뻗은 굽혀져 있는 바깥쪽 밴드부가 그 자유단부로 부터 안쪽으로 뻗어서 슬롯 형태의 구멍에 의해 분리된 2개의 단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안쪽으로 뻗은 단부가 적어도 직사격형 연결부 안으로 관통하며, 상기 직사각형 연결부가 볼록한 형상의 중간부를 통해서 상기 바깥쪽 밴드부 안으로 관통하여, 걸쇠수단을 형성하는 고리 모양의 안쪽으로 굽혀져 있는 안쪽 밴드부가 그 자유단부로 부터 연장하는 부분적으로 원형인 단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부분적으로 원형인 단부가 상기 혀 모양의 안쪽 밴드부 안으로 들어가 있는 안쪽으로 경사지게 뻗은 캠 부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안쪽으로 뻗은 고정 단부위 단부면과 밑에 있는 바깥쪽 밴드부사이의 최대 간격이 상기 걸쇠수단을 형성하는 고리 모양의 안쪽 밴드부의 반경방향 최대높이 보다 작은 자결식 클램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부가 둥근 중간부를 거쳐서 연결부 안으로 들어가 있고, 상기 슬롯형태의 구멍이 상기 중간부를 거쳐서 상기 연결부의 일부 안으로 들어가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 내부에서 상기 기다란 슬롯의 단부가 제2공구결합면 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블록한 형상의 중간부 및 상기 부분적으로 원형인 단부가 180°이상 경사져 있는 자결식 클램프.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밴드부가 상기 고정수단을 형성하는 곡선형으로 굽혀져 있는 단부내에서 종결되어 있으며, 상기 혀 모양의 안쪽 밴드부가 상기 걸쇠수단을 형성하는 반경방향의 파형 단부내에서 종결되어있는 자결식 클램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밴드부가 그 자유단부로 부터 안쪽으로 경사지게 뻗은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안쪽으로 경사지게 뻗은 부분이 둥근 중간부 안으로 들어가 있으며, 상기 둥근 중간부가 다른 둥근 중간부를 거쳐서 경사지게 안쪽으로 뻗은 캠부분 안으로 들어가 있으며, 상기 캠 부분이 원주 방향으로 뻗은 혀 모양의 안쪽 밴드부안으로 들어가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을 형성하는 바깥쪽 밴드부가 그 자유단부로 부터 약270°이상으로 뻗어 있는 원형단부를 포함하며, 고리 모양으로 바깥쪽으로 뻗은 공구결합부재가 원형 단부의 지역내에서 기다란 슬롯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둥근 중간부가 상기 원형단부의 자유단부면과 밑에 있는 바깥쪽 밴드부 사이의 간격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크게 바깥쪽으로 뻗어있는 자결식 클램프.
  23. 자결식 클램프를 정상적으로 폐쇄된 고정된 상태로부터 개방된 비고정 상태, 즉 고정된 상태로 자동적으로 다시 되돌아갈 수 있는 비고정 상태로 개방시키기 위한 공구로서, 연결부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서로 마주하는 다리부를 각각 갖추고 있으며 스프링 평판으로 펀치가공되어서 제조된 2개의 주요부재와, 상기 각각의 주요부재의 다른쪽 다리부의 타단부에 연결되 핸들부재와, 상응하는 상기 다른쪽 다리부의 상기 타단부에 연결된 지역에서 U자형상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주요부재를 각각의 다리부에 피못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수단과, 그리고 상기 공구돌기가 상기 핸들부재와 동일한 평면에서 피봇회전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공구 돌기가 상기 자결식 클램프를 개방시키기에 편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주요부재내에 제공된 편향부 형태의 보조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공구.
  24. 제23항에 있어서, 각각의 한쪽 다리부 및 상응하는 돌기에 의해서 형성된 죠오부재들의 최대 개방 운동을 제한하여서 상기 공구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공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이 상기 각각의 다른쪽 다리부의 안쪽에 탄성적으로 정착된 정지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지 부재가 상기 다른쪽 주요부재의 연결부위 일부에 의해서 접촉되도록 작동하는 공구.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 서로 마주하는 코 모양의 부분이 각각 제공되어서 상기 자결식 클램프의 공구 결합면과 결합되는 공구.
  27. 제23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부재 및 핸들부재가 표준화된 부품이며, 사익 주요부재가 상기 각각의 다른쪽 다리부에서 상기 핸들부재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공구돌기가 상기 한쪽 다리부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된 공구.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되는 것임.
KR1019920023462A 1991-12-06 1992-12-07 자결식 클램프 KR0153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03,220 1991-12-06
US07/803,220 1991-12-06
US07/803,220 US5203809A (en) 1991-12-06 1991-12-06 Self-tightening cla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501A true KR930013501A (ko) 1993-07-22
KR0153010B1 KR0153010B1 (ko) 1998-12-01

Family

ID=25185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462A KR0153010B1 (ko) 1991-12-06 1992-12-07 자결식 클램프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203809A (ko)
EP (1) EP0545378B1 (ko)
JP (1) JP3314172B2 (ko)
KR (1) KR0153010B1 (ko)
AT (1) ATE141676T1 (ko)
AU (1) AU655856B2 (ko)
BR (1) BR9204825A (ko)
CA (1) CA2084000C (ko)
CZ (1) CZ285240B6 (ko)
DE (1) DE69212963T2 (ko)
ES (1) ES2090466T3 (ko)
HU (1) HU217337B (ko)
MX (1) MX9207023A (ko)
SK (1) SK281713B6 (ko)
TR (1) TR28133A (ko)
ZA (1) ZA9292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66120B (en) * 1992-04-13 1996-08-14 Togo Seisakusho Kk Hose clip
US5487209A (en) * 1993-12-09 1996-01-30 Hans Oetiker Ag Maschinen- Und Apparatefabrik Self-tightening clamp structure
DE4411221A1 (de) * 1994-03-31 1995-10-05 Hilti Ag Rohrschellenverschluss
US5405170A (en) * 1994-07-05 1995-04-11 Ford Motor Company Automotive conduit connector with axial activation and prepositioning carrier
DE4441439C2 (de) * 1994-11-23 1996-10-02 Muhr & Bender Schlauchklemme mit Überdehnungsschutzeinrichtung
DE59510856D1 (de) * 1994-11-23 2004-03-18 Muhr & Bender Schlauchklemme
KR100223101B1 (ko) * 1995-11-21 1999-10-15 라스무센 요아겐 에스, 브라운 프랭크 스프링 밴드 클램프
DE19642454C2 (de) * 1995-11-21 1997-09-25 Rasmussen Gmbh Federbandschelle
EP0822578B1 (en) * 1996-07-31 2003-10-08 STMicroelectronics S.r.l. Method of fabricating integrated semiconductor devices comprising a chemoresistive gas microsensor
EP0828105B1 (de) * 1996-09-09 2001-07-25 Rasmussen GmbH Federbandschelle
EP0828106B1 (de) * 1996-09-09 2002-02-06 Rasmussen GmbH Federbandschelle
US5819376A (en) * 1997-12-24 1998-10-13 Barnes Group Inc. Hose clamp
US6098251A (en) * 1999-02-23 2000-08-08 Rotor Clamp, Inc. Hose clamp
US6038744A (en) * 1999-02-23 2000-03-21 Rotor Clamp, Inc. Hose clamp
DE10222732A1 (de) 2002-05-23 2003-12-18 Rasmussen Gmbh Schelle zum Festklemmen eines Schlauches auf einem Rohr mittels eines Federbandes, dessen Endabschnitte im aufgeweiteten Zustand verriegelbar sind, und Entriegelungsvorrichtung für die Schelle
WO2008144040A1 (en) * 2007-05-17 2008-11-27 Murray Corporation Self gauging clamp
CN104114927B (zh) * 2012-02-07 2015-12-23 株式会社东乡制作所 软管夹及其制造方法
KR102066695B1 (ko) * 2017-07-25 2020-01-15 (주)동아금속 영구 변형량을 고려한 호스 고정용 탄성 클램프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98904A (en) * 1920-08-09 1921-11-29 Edward M Loftus Pliers
US3216291A (en) * 1964-04-07 1965-11-09 K D Mfg Co Hose-clamp deforming pliers
US3358351A (en) * 1966-02-18 1967-12-19 Mcquay Norris Mfg Co Piston ring contraction device
US4099298A (en) * 1977-03-17 1978-07-11 Aurelio Helde Gimenez Self tightening elastic clamp, particularly a hose clamp
JPS5623775U (ko) * 1979-07-30 1981-03-03
DE3041106C2 (de) * 1980-10-31 1985-09-12 Gemi Metallwarenfabrik Gustav Henning KG, 3538 Marsberg Klemmschelle aus federelastischem Material
US4492004A (en) * 1982-12-03 1985-01-08 Hans Oetiker Earless clamp structure
GB2210821B (en) * 1985-11-16 1990-06-20 Wilkinson Sword Ltd A hand tool, such as a garden pruner
US4708034A (en) * 1986-07-21 1987-11-24 Hans Oetiker Pincer-like tool
DE3633486C1 (de) * 1986-10-02 1988-05-05 Muhr & Bender Schlauchklemme
JPH0616202Y2 (ja) * 1987-08-12 1994-04-27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ホ−ス締付用クリップ
JPH0532712Y2 (ko) * 1988-07-04 1993-08-20
DE3832875C1 (ko) * 1988-09-28 1989-08-24 Fa. Muhr Und Bender, 5952 Attendorn, De
JPH0618113Y2 (ja) * 1989-06-26 1994-05-11 加藤発条株式会社 ホースク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03809A (en) 1993-04-20
JP3314172B2 (ja) 2002-08-12
ATE141676T1 (de) 1996-09-15
HU217337B (hu) 1999-12-28
KR0153010B1 (ko) 1998-12-01
BR9204825A (pt) 1993-06-08
EP0545378B1 (en) 1996-08-21
HU9203854D0 (en) 1993-04-28
EP0545378A1 (en) 1993-06-09
ES2090466T3 (es) 1996-10-16
SK350192A3 (en) 1994-05-11
CA2084000A1 (en) 1993-06-07
AU655856B2 (en) 1995-01-12
MX9207023A (es) 1993-06-01
TR28133A (tr) 1996-03-01
JPH05262369A (ja) 1993-10-12
ZA929299B (en) 1993-06-02
HUT68665A (en) 1995-07-28
SK281713B6 (sk) 2001-07-10
CA2084000C (en) 1997-11-18
CZ350192A3 (en) 1993-07-14
DE69212963D1 (de) 1996-09-26
DE69212963T2 (de) 1997-02-20
CZ285240B6 (cs) 1999-06-16
AU2970292A (en) 199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3501A (ko) 자결식 클램프
US4952106A (en) Fastener having separate portions for engaging two panels to be secured together
JP2727454B2 (ja) 板の結合クリップ
US5632581A (en) Clip
US8591160B2 (en) Clip
JP4243744B2 (ja) 位置決め具付きホースクリップ
EP1375931A1 (en) Two-piece clip
KR20100017281A (ko) 클램핑 장치
US5864926A (en) Spring band clamp
EP0697554B2 (en) Tolerance-compensating hose clamp
KR20090027626A (ko) 클램핑 고리
US4930191A (en) Hose clamp
JPS6240563B2 (ko)
JP2000009277A (ja) 成形されたクリップ
SU1324579A3 (ru) Выжимной подшипник сцеплени
KR950003647A (ko) 밴드 클램프 체결구
KR100356592B1 (ko) 호스 클립
PL160200B1 (pl) Obejma zaciskowa PL PL PL
JPH08312861A (ja) ばね要素を備えたクランプ構造体
US6023815A (en) Hose clip
US5979020A (en) Hose clip and releasing bar tool therefor
KR20180125522A (ko) 호스 클램프
PT941724E (pt) Aparelhagem para ostomia
US6921086B2 (en) Sealing device
KR102180711B1 (ko)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