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2216B1 - 실리코운 물 주재의 탄성 코오킹 조성물 - Google Patents

실리코운 물 주재의 탄성 코오킹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2216B1
KR930012216B1 KR1019860004035A KR860004035A KR930012216B1 KR 930012216 B1 KR930012216 B1 KR 930012216B1 KR 1019860004035 A KR1019860004035 A KR 1019860004035A KR 860004035 A KR860004035 A KR 860004035A KR 930012216 B1 KR930012216 B1 KR 930012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mulsion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201A (ko
Inventor
리 프리버그 알란
Original Assignee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알빈 어네스트 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알빈 어네스트 베이 filed Critical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70011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2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2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6Organo-metallic compounds, i.e.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metal-to-carbon bond
    • C08K5/57Organo-ti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실리코운 물 주재의 탄성 코오킹 조성물
본 발명은 코오킹재(caulking material)로서 혼합한 후 즉시 사용가능한 실리코운 물을 주재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코오킹재로서 유용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충전물과 함께 혼합시킬 수 있는 실리코운 탄성 에멀젼이 1980년 9월 9일 특허된 미합중국 특허 제4,221,688호에 존슨(Johnson)등에 의해 기재되어 있다.
이 조성물은 탄성제품에 완성하기 전, 혼합한 후에 에멀젼으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숙성기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에멀젼을 제조하는 향상된 방법이 1984년 1월 24일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427,811호에 엘리아스(Elias) 등에 의해 기재되어 있는데, 조성물을 실온에서 2주간 이상 숙성시킨 후 이 조성물에 콜로이드성 실리카 이의의 충전물을 혼합시키는 것이다. 상기의 방법은 에멀젼의 보장기간(she lf life)를 향상시킨다.
이 제조방법은 2주일 이상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에멀젼은 향상되나, 이 에멀젼을 물이 제거되기 전 일정기간 동안 숙성시키는 경우, 에멀젼으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수득한 탄성체는 아직 낮은 신장율을 나타낸다.
에멀젼이 처음 제조될 때 및 에멀젼의 숙성에 의해 특성의 손실이 일어나기 전의 특성을 갖는 탄성체를 수득하기 위해서, 에멀젼은 제조직후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은 이 조성물을 둘 이상의 부분으로 저장하여 사용시 최종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상기의 조성물이 에멀젼을 혼합시키고 사용하는 사이에 숙성기간을 필요로 하므로 상기 조성물의 경우에는 적합한 방법이 되지 못한다.
실세스퀴옥산으로 보강시킨 실리코운 고무 라텍스는 1967년 11월 28일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355,406호에 세카다(cekada)에 의해 나타나 있다. 에멀젼 중합된 히드록실로 말단을 차단시킨 폴리디오가노 실록산, 실세스퀴녹산, 촉매 및 가교 결합제를 함유하는 이 경화성 라텍스는 물을 제거하면 고무로 된다. 이 라텍스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중량%의 총 고체함량을 갖는 피복제로서 사용된다. 필수적으로, 실록산 공중합체, 충진제, 아미노작용성 알콕시실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물로 구성되는 실리코운 라텍스 코오크가 1974년 6월 18일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817,894호에 부틀러(Butler)에 의해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에는 여러 조건하에 7일 이상 안정한 제품이 나타나 있다.
혼합시키면 경화되나, 저장시 안정하지 않은 에멀젼이 1972년 12월 19일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706,695호에 훼브너(Huebrier)등에 의해 기재되어 있는데 탄성 전기전도체 피복재로서 유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으로는 유화 폴리디오가노 실록산, 카본블랙, 유기금속 촉매 및 3작용성 실란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제조된다.
혼합하여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실리코운 코오킹재는 필수적으로 음이온적으로 안정화된 히드록실로 말단 차단된 폴리디오가노 실록산, 디알킬틴디카복실레이트, 일반식 Si(OR')4의 알킬 오르토실리케이트 및 불활성 충전물로 구성된다. 코오킹재는 물을 제거하면 탄성체로 된다. 이 혼합물을 혼합한 후 수일 이내에 겔화되어 제한된 사용기간을 갖는다. 혼합하여 즉시 사용할 수 있으면서 유용한 보장기간을 갖는 조성물은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가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혼합후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코오킹재로서 수성 실리코운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혼합후 즉시 사용할 수 있으며, 유용한 보장기간을 가지며, 물을 제거하면 탄성체를 생성시킬 수 있고, 에멀젼의 숙성도에 따라 물리적 성질이 변화되지 않는 코오킹재로서 유용한 수성 실리코운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A) 고체함량이 50중량% 이상이며 pH가 9이상인, 수중 분산된 입자의 에멀젼으로 존재하는 평균 분자량 50,000 이상의 음이온적으로 안정화된 히드록실로 말단 차단된 폴리디오가노 실록산(이의 유기 라디칼은 라디칼 당 탄소수 7 미만의 일가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탄소수 7 미만의 2-(퍼플루오로 알킬)에틸 라디칼이다), 100중량부 ; (B) 디알킬디카복실레이트, 0.075 내지 0.75중량부 ; (C) 일반식 Si(OR')4(여기서, R')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라디칼이다)의 알킬 오르토실리게이트, 0.2 내지 5중량부 ; (D) 불활성, 비-규산성 충전물 50 내지 200중량부 ; (E)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수득한 생성물을 필수적으로 함유하며, 물이 제거되면 실리코운 탄성체가 형성되며, 6개월 이상의 보장기간을 갖는 코오킹재로서, 혼합하여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페이스트 점성도를 갖는 물질을 생성하는 실리코운 코오킹재에 관한 것으로, 이는 혼합하여 즉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전에 일정기간 보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혼합하여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코오킹재이다. 성분(E)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수입, 예를들어 10일 이내에 겔화가 시작되어 보장기간에 제한을 주게 된다. 이러한 태양은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고 이의 특성이 시험될 수 있으며, 제한된 보장기간이 지나기 전에 사용될 수 있어야 하는 제조에 관한 지역적 조건에 적합하다. 예를들어, 조성물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 저장되도록 제조할 수 있고 사용직전에 함께 혼합한다. (E)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 혼합하여 즉시 사용할 수 있으나 또한 상당한 보장기간(예를들어 6개월 이상)을 갖는다. 이러한 태양은 성분들을 한번에 혼합할 수 있고 이의 특성을 즉시 시험하며, 코오킹재로부터 물을 제거하면 탄성체를 수득하게 되는 편리한 단일 용기 코오킹재로서 사용자에게 수송할 수 있어야 하는 상업적인 물품에 대해 특히 유용하다. 탄성체는 사용전 코오킹재를 숙성시켜도 이의 특성이 거의 변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리코운 코오킹재는 페이스트형 물질의 점성도를 갖는 수성 에멀젼이다. 실리코운 코오킹재는 수직면, 상단면 및 수평면의 틈 및 공간을 채우는데 유용한 코오킹재로서 사용되므로 이의 점성도가 제한되어야 한다. 코오킹재로서 유용한 실리코운 에멀젼은 공지이나 이의 보장 안정성이 불충분하다. 조성물을 건조시켜 제조한 탄성체의 물리적 성질은 에멀젼을 건조시켜 탄성체를 형성시키기 전 에멀젼을 얼마나 오래 보관하였는가에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에멀젼으로부터 생성된 탄성체는 에멀젼의 숙성에 대해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페이스트-형 물질은 0 내지 2.54cm의 유동성(ASTM D2202에 따라 측정함)을 갖도록 충분히 경성이며, 3.18mm 오리피스를 사용하여 0.62MPa의 압력에서 50g/min 이상의 압출률(Military Specification MIL-S-88020에 따라 측정함)을 갖도록 충분히 연성인 물질로 정의된다. 바람직한 물질은 0 내지 0.8cm의 유동성을 갖는다. 실리코운 조성물을 수직적이거나 상단 부위에 사용하려는 경우, 유동성이 바람직하게 상기 범위내이어야 이 조성물이 압출되고 성형될 부위에 남아 있게 된다. 상기 조성물을 수평 지역(예를들어, 도로 연결부)에만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2mm 내지 2cm의 유동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결과 이 조성물은 봉함할 개구부의 측면을 흐르고 이를 적시어 양호한 결합이 수득된다.
코오킹재는 통상 튜브에 보관되고 사용시 노즐을 통해 압출되므로, 실리코운 조성물을 50g/분 이상의 압출률을 갖는다. 본 발명 조성물의 바람직한 유동률은 상기의 시험 조건하에서 500g/분 이상이다. 본 발명의 태양으로 유동률이 낮으며 압출률이 높은 제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는 에멀젼 형이 아닌 실리코운 탄성체를 주재로 하는 코오킹재와는 독특하게 차이를 갖는다.
성분(E)를 함유하는 본 발명 조성물은 6개월 이상의 보장기간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장기간의 조성물에서 물을 제거하여 제조한 탄성체의 신장률 변화로 측정하였다. 보장기간은 조성물을 6개월 동안 묵힌 후 생성되는 탄성체의 신장이 제조직후 생성되는 탄성체의 신장의 80% 이상 존재하는 기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음이온적으로 안정화된 히드록실로 말단이 차단된 폴리디오가노 실록산은 현재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히드록실로 말단 차단된 폴리디오가노 실록산 (A)는 유화가능하며, 에멀젼으로부터 물을 제거 수득하는 생성물에 탄성특성을 부여하며, 음이온적으로 안정화된 물질이다. 파괴시 장력강도 및 신장은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며 50,000Mw 이상에서 적합한 장력강도 및 신장도가 얻어진다. 최대 중량 평균 분자량은 유화가능하며, 에멀젼으로부터 물을 제거한 후 수득되는 생성물을 탄성 특성을 제공하는 정도이다. 히드록실로 말단 차단된 폴리디오가노 실록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1,000,000 이하이면 본 발명의 특성이 기대된다. 히드록실로 말단 차단된 폴리디오가노 실록산의 바람직한 Mw은 200,000 내지 700,000 범위이다.
히드록실로 말단 차단된 폴리디오가노 실록산의 유기 라디칼은 라디칼 당 탄소수 7 이하를 갖는 일가 탄화수소 라디칼과, 3, 3, 3-트리플루오로프로필 및 2-(퍼플루오로부틸)에틸을 포함하는 2-(퍼플루오로알킬)에틸라디칼일 수 있다. 히드록실 말단 차단된 폴리디오가노 실록산은 메틸이 50% 이상 포함된 유기라디칼을 함유한다. 히드록실로 말단 차단된 폴리디오가노 실록산은 원래 실리콘 원자당 두개의 유기 기를 함유하는 선형 중합체이나, 제조공정의 불순물로서 존재하는 미량의 모노오가노 실록산 또는 트리오가노 실록시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히드록실로 말단 차단된 폴리디오가노 실록산은 히드록실로 말단 차단된 폴리디메틸 실록산이다.
바람직한 음이온적으로 안정화된 히드록실 말단 차단된 폴리디오가노 실록산은 1966년 12월 27일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294,725호에 핀들레이(Findlay)등에 의해 기재된 음이온성 에멀젼 중합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물질이다. 상기 특허에는 중합방법, 사용된 성분 및 에멀젼 중에 수득된 히드록실로 말단 차단된 폴리디오가노 실록산이 기재되어 있다. 음이온적으로 안정화된 히드록실 말단 차단된 폴리디오가노 실록산의 다른 제조방법은 1959년 6월 23일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2,891,920호에 하이드(Hyde)등에 의해 기재되어 있으며, 이 특허에는 히드록실 말단 차단된 폴리디오가노 실록산, 사용된 성분 및 이의 제조방법이 나타나 있다. 이들 방법들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히드록실 말단 차단된 폴리디오가노 실록산은 음이온적으로 안정화된 물질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음이온적으로 안정화된”이란 히드록실 말단 차단된 폴리디오가노 실록산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에멀젼중에서 안정화 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리코운 에멀젼은 수중유 에멀젼 형태이며, 즉 폴리디오가노 실록산은 연속 수성상에 입자가 분산된 상태이다.
성분(B)는 디알킬틴디카복실레이트이다. 디알킬틴디카복실레이트는 시판 물질이다. 바람직한 디알킬틴디카복실레이트는 디부틸틴디아세테이트,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및 디옥틸틴디라우레이트이며, 디옥틸틴디라우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디알킬틴디카복실레이트는 그 자체로서 또는 에멀젼화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적절한 에멀젼은 수중유 에멀젼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서 유화제로서 약 10중량%의 나트륨 알킬아릴 폴리에테르 술포네이트를 사용하여, 물에 50중량%의 디알킬틴디카복실레이트를 유화시켜 생성된다.
성분(C)는 일반식 Si(OR')4(여기서, R'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라디칼이다)의 알킬 오르토실리케이트이다. 에틸 및 프로필 라디칼이 바람직한 알킬라디칼이고 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 및 n-프로필 오로토실리케이트가 바람직한 알킬 오르토실리케이트이다. 성분을 혼합한 직후 에멀젼으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탄성체를 수득하는 본 발명의 실리코운 코오킹재의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4작용성 오르토실리케이트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예를들어, 5중량부 수준의 4작용성 오르토실리케이트 대신 같은 수준의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같은 3작용성 실란을 사용하는 경우, 이 조성물은 에멀젼에서 물을 제거하여 탄성체가 생성되기 전에 일정기간 숙성시켜야 한다.
성분(D)는 불활성 비-규산성 충전물이다. pH 9이상의 에멀젼 중에서 성분(A)와 (B)를 규산성 충전물과 혼합시키면 점차 중합체가 가교결합 반응을 일으켜, 즉 에멀젼을 건조시켜 생성되는 탄성체의 탄성률이 에멀젼을 숙성시킴에 따라 점차 증가할 것이므로, 상기 충전물은 비-규산성이다. 이 효과는 본 발명 조성물에서 크게 감소된다. 음이온성 실리코운 에멀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불활성 충전물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충전물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도록 미세하게 분쇄한다. 충전물의 예는 카본블랙, 이산화티탄, 점토, 산화 알루미늄, 석영, 탄산칼슘, 산화아연, 운모 및 여러가지 염료이다. 산화티탄은 자외선 스크리닝제로서 특히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탄산칼슘은 특히 이를 1㎛ 이하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도록 분쇄한 경우 본 발명의 코오킹재용 충전물로 바람직하다.
성분(E)는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다. 이는 시판되는 물질이다. 본 발명의 성분에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가하여 코오킹재의 보장기간이 향상되는 효과를 수득한다. 이 물질이 존재하지 않으면 코오킹재는 보관 튜브내에서 겔화되기 시작한다. 겔화 속도는 사용된 알킬 오르토실리케이트 및 디알킬틴디카복실레이트의 양에 따라 좌우된다. 사용된 상기 성분중 어느 것이든 증가하면 코오킹재의 겔화가 가속된다. 성분(E)가 존재하면 이 겔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성분(E)의 사용은 또한 성분들을 혼합할 때 충진물의 분산을 돕는다. 코오킹재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생성시킨 탄성체는 성분(E)가 있는 경우, 성분(E)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향상된 장력강도 및 좋은 신장도를 갖는다.
사용된 성분의 양은 조성물에 필요로 하는 페이스트형 점성도에 의한 범위에서 영향을 받는다. 에멀젼(A)가 50중량% 이하 한계의 고체함량을 갖는 경우 페이스트형 점성도를 수득하기 위하여 다량의 충진물 또는 매우 작은 입자 크기의 충진물을 필요로 한다. 바람직하게, 에멀젼(A)의 고체함량은 약 60중량% 또는 그 이상이다. 고체함량은 알루미늄 박지에 약 2g의 상기 물질을 올려놓고, 150℃의 공기순환 오븐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고 다시 중량을 측정한 다음 남아 있는 물질의 중량%를 계산하여 측정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에멀젼(A)중의 폴리디오가노 실록산 100중량부를 주재로 한다. 디알킬틴디카복실레이트(B) 0.075 내지 0.75중량부는 조성물 경화 촉매로서 사용한다. 디알킬틴디카복실레이트 0.075 내지 0.4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디알킬틴디카복실레이트는 그 자체로서 보다는 혼합시 균일하게 보다 용이하게 분산되는 에멀젼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알킬 오르토실리케이트(C)의 양은 0.2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중량부 일 수 있다.
충전물의 양은 50 내지 200중량부 범위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사용된 양은 에멀젼(A)의 고체함량 및 선택된 충전물 또는 충전물 혼합물의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충분한 양의 충전물을 사용하여 최종 조성물이 필요로 하는 페이스트-형 점성도를 가지며, 코오킹재로서 사용가능한 전술한 특성을 갖도록 한다. 충전물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조성물은 충분한 점성도를 갖지 못한다. 반면에 충전물의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너무 단단하게 되어 보관용기로부터 바람직하게 압출되지 못하거나 경화 조성물이 너무 부서지기 쉽게 된다. 충전물 대 폴리디오가노 실록산의 비가 너무 크면 경화 생성물이 탄성을 잃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175중량부의 양이다. 어떤 형태의 충전물 또한 충전물 혼합물이 선택되었는가, 충전물을 얼마나 미세하게 분쇄하였는가에 따라 조성물의 특성이 좌우되므로, 선택한 성분을 사용하여 바람직한 충전물 양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에멀젼(A)가 평균 분자량 약 325,000의 폴리디메틸 실록산 약 60중량%를 함유하는 경우, 약 0.7㎛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탄산칼슘 충전물의 바람직한 양은 폴리디메틸 실록산 100중량부당 150 내지 160중량부이다.
성분(E),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은 에멀젼 보장기간을 위해 0.5 내지 1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한다. 그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유용성이 없다. (E)의 바람직한 양은 폴리디오가노 실록산 100부당 1 내지 5중량부이다. (E)의 바람직한 양은 선택된 실리케이트(C)의 양에 좌우된다. 예를들어, n-프로필 오르토실리케이트 1중량부에 대해, (E)의 바람직한 양은 0.5 내지 2.5중량%이고, 실리케이트 2.6중량부에 대해 (E)는 2.5중량부 이상이 바람직하며, 실리케이트 3중량부에 대해서는 4중량부의 (E)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리코운 조성물은 균일한 물질이 수득될 때까지 성분들을 통상 고속으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에멀젼(A)를 혼합기에 넣고 성분(B) 및 (C)를 가한 다음 혼합하고, 여기에 혼합하며 충전물(D)를 서서히 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최종 혼합물이 페이스트의 점성도를 가지므로, 이러한 점도에서 성분들이 잘 섞이도록 충분히 강력한 장치를 사용하여야 한다. 실험실에서, 프로펠러-형 공기 구동 혼합기가 장치된 스테인레스강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용기는 혼합공정시 가열하기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필요에 따라, 충전물을 가하기 전에 에멀젼을 냉각시킬 수 있다. 균질의 페이스트를 수득한 후, 혼합공정시 들어간 공기는 제거하기 위해 이 혼합물을 진공중에 위치시키거나 원심 분리한다. 그 다음, 목적하는 혼합물을 밀폐 보관용기에 넣는다.
보장기간을 향상시키기 위해 성분(E)를 가하는 경우, 충전제를 가하기 전에 성분(E)를 혼합시킨다. 바람직하게 (C)를 (A)에 혼합시킨 다음, (E)를 가하고 혼합시킨다. 다음 (B)를 가하고, 마지막으로 (D)를 가한다.
이 조성물에 가할 수 있는 추가의 성분은 혼합공정시 보조제로서 포움방지제, 저장시 갑자기 냉동되는 경우 조성물을 보호하기 위한 글리콜 등의 냉동-해동 안정화제, 및 경화 코오킹재를 불투명하게 하거나 색을 띠게할 이산화티탄 및 카본블랙 등의 염료이다.
본 발명의 실리코운 조성물은 코오킹재로서 특히 유용하다. 이는 보관 튜브에서 외부로 쉽게 압출될 수 있다. 이것은 수성 에멀젼이므로 필요한 경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로 세척할 수도 있다. 에멀젼을 경화하는 동안 대부분의 물이 제거되어 악취 문제가 제거된다.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목적을 설명하기 위해 기재하였으며, 이로써, 특허청구의 범위로 나타낸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모든 부는 중량에 의한다.
[실시예 1]
평균 분자량 약 325,000의 에멀젼 중합된 히드록실 말단 차단된 폴리디메틸 실록산은 54부의 물, 100부의 저분자량 선형 히드록실 말단 차단된 폴리디메틸 실록산, 및 4부의, 30%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로 구성되는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 혼합물을 균질화시키고 1부의 도데실 벤젠술폰산과 혼합하여 중합시킨다. 중합시킨 후, 에멀젼은 0.5부의 50% 수성 디에틸아민을 혼합하여 염기성이 되게한다. 이 에멀젼은 pH가 약 10이며 고체함량이 약 60중량%이다. 코오킹재로서 유용한 조성물은 172부의 상기 에멀젼, 0.5부의 디옥틸틴디라우레이트 50% 수성 에멀젼, 3부의 n-프로필 오르토실리케이트, 4부의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162.5부의 약 0.7㎛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미세분쇄된 탄산칼슘 충전물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성분들을 부드러운 페이스트가 생성될 때까지 교반시킨다. 혼합한 직후 페이스트의 비드를 표면으로 압출시키고 물을 증발시키면 실리코운 탄성체가 생성된다.
페이스트를 폴리에틸렌 피복된 종이 표면으로 압출시키고 퍼뜨려 이 시트를 7일간 실온에서 건조시켜 시료를 제조한다. 시료를 경화 탄성체 시트에서 잘라내어 ASTM D412에 따라 신장율을 시험한다. 다른 시트를 형성시키고 에멀젼을 숙성시킨 후 경화시킨다. 이 시트에 대해 신장율을 측정한다. 표 1의 결과는 숙성시킨 후에도 에멀젼의 특성이 변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표 1]
Figure kpo00001
50중량부의 실리카를 갖는 콜로이드성 졸을, 4부 또는 8부를 추가로 함유하는 비교용 조성물의 경우, 초기의 신장율은 각각 600 및 890%이었으나, 12개월간 숙성시킨 후 400%로 감소하였다.
[실시예 2]
다른 수준의 충전물을 갖는 코오킹재로서 유용한 일연의 조성물을 제조한다.
각 조성물은 실시예 1의 폴리디메틸 실록산 에멀젼 172부, 디옥틸틴디라우레이트 에멀젼 0.5부, n-프로필 오르토실리케이트 1.5부,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6부, 및 표 2의 미세분쇄된 탄산칼슘을 혼합하여 제조하다. 이 성분들을 부드러운 페이스트가 수득될 때까지 교반시킨다. 혼합시킨 직후 페이스트를 표면으로 압출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면 실리콘 탄성체가 수득된다.
시료들을 제조하고 ASTM D412에 따라 장력강도 및 ASTM D624에 따라 인열강도를 실시예 1과 같이 측정한다. 이 시료들을 폴리에틸렌 코오킹 건(gun)용기에 보관하고 실온에서 6, 10 및 14개월 후에 시험한다. 이 결과는 표 2에 나타나 있다.
[표 2]
Figure kpo00002

Claims (2)

  1. (A) 고체함량이 50중량% 이상이며, pH가 9이상인, 수중 분산된 입자의 에멀젼으로 존재하는 평균 분자량 50,000 이상의 음이온적으로 안정화된 히드록실로 말단 차단된 폴리디오가노 실록산(이의 유기라디칼은 라디칼 당 탄소수 7 미만의 일가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탄소수 7 미만의 2-(퍼플루오로알킬)에틸 라디칼이다), 100중량부 ; (B) 디알킬틴디카복실레이트, 0.075 내지 0.75중량부 ; (C) 일반식 Si(OR')4(여기서, R'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라디칼이다)의 알킬 오르토실리케이트, 0.2 내지 5중량부 ; (D) 불활성, 비-규산성 충전물 50 내지 200중량부 ; (E)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수득한 생성물을 필수적으로 함유하며, 물이 제거되면 실리코운 탄성체가 형성되는 코오킹재로서, 혼합하여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페이스트 점성도를 갖는 물질을 생성하는, 실리코운 코오킹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E)가 폴리디오가노 실록산 100중량부 당 0.5 내지 10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하며, 보강기간이 6개월 이상인 조성물.
KR1019860004035A 1985-05-24 1986-05-23 실리코운 물 주재의 탄성 코오킹 조성물 KR9300122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737,602 US4608412A (en) 1985-05-24 1985-05-24 Silicone water-based elastomeric caulking material
US737602 1985-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201A KR870011201A (ko) 1987-12-21
KR930012216B1 true KR930012216B1 (ko) 1993-12-24

Family

ID=24964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035A KR930012216B1 (ko) 1985-05-24 1986-05-23 실리코운 물 주재의 탄성 코오킹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608412A (ko)
EP (1) EP0205881B1 (ko)
JP (1) JPH0619026B2 (ko)
KR (1) KR930012216B1 (ko)
AU (1) AU578157B2 (ko)
CA (1) CA1276354C (ko)
DE (1) DE3683407D1 (ko)
ES (1) ES87077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954B1 (ko) * 2012-07-25 2014-01-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오르쏘 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용 나노페이스트의 제조방법, 그 페이스트, 그 페이스트를 이용한 전극의 제조방법, 그 전극 및 그 전극을 포함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913B2 (ja) * 1987-06-03 1995-02-0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の製造方法
GB8724959D0 (en) * 1987-10-24 1987-11-25 Dow Corning Sa Filled compositions
GB8724958D0 (en) * 1987-10-24 1987-11-25 Dow Corning Sa Filled compositions & additives
US4888382A (en) * 1988-05-31 1989-12-19 General Electric Company Shelf stable silicone caulking materials
US4814368A (en) * 1988-05-31 1989-03-21 General Electric Company Shelf stable curable silicone caulking compositions
FR2637606B1 (fr) * 1988-10-11 1990-12-14 Rhone Poulenc Chimie Dispersion aqueuse de silicone a base d'alcenyloxysilane reticulant en un elastomere par elimination de l'eau
FR2642765B1 (fr) * 1989-02-03 1991-04-26 Rhone Poulenc Chimie Dispersion aqueuse de silicone a base d'aminosilane et/ou d'amidosilane reticulant en un elastomere par elimination de l'eau
US5777026A (en) 1995-12-28 1998-07-07 Dow Corning Corporation Surface modified silicone elastomers from aqueous silicone emulsions
DE102008003155A1 (de) 2008-01-03 2009-07-09 Henkel Ag & Co. Kgaa Härtbare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wässrige Dispersionen von Organopolysiloxanen
DE102007060919A1 (de) 2007-12-14 2009-06-18 Henkel Ag & Co. Kgaa Härtbare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wässrige Dispersionen von Organopolysiloxanen
WO2009077389A1 (de) * 2007-12-14 2009-06-25 Henkel Ag & Co. Kgaa Härtbare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wässrige dispersionen von organopolysiloxanen
CN111253784A (zh) * 2020-04-08 2020-06-09 重庆三峡油漆股份有限公司 一种正硅酸乙酯水解物的制备方法及其产品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5406A (en) * 1965-01-21 1967-11-28 Dow Corning Silicone rubber latexes reinforced with silsesquioxanes
US3706695A (en) * 1970-10-12 1972-12-19 Dow Corning Method of preparing a silicone emulsion and regenerating same and electrically conductive product
US3817894A (en) * 1972-08-10 1974-06-18 Dow Corning Silicone latex caulk
JPS5936677B2 (ja) * 1976-05-06 1984-09-05 ト−レ・シリコ−ン株式会社 ガスケツトパツキング用バインダ
US4221688A (en) * 1978-04-28 1980-09-09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emulsion which provides an elastomeric product and methods for preparation
US4505955A (en) * 1981-07-30 1985-03-19 Dow Corning Corporation Mineral particles bound with silicone elastomeric emulsion
US4427811A (en) * 1981-12-30 1984-01-24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elastomeric emulsion having improved shelf life
JPS6046141B2 (ja) * 1981-12-30 1985-10-14 ダウ コ−ニング コ−ポレ−ション 改良された保存寿命を有するシリコ−ンエラストマ−エマルシヨン
DE3323909A1 (de) * 1983-07-02 1985-01-10 Bayer Ag, 5090 Leverkusen Stabile siliconemulsionen
US4504621A (en) * 1983-12-28 1985-03-12 Dow Corning Corporation Clay filled silicone elastomeric emulsions
US4584341A (en) * 1984-06-26 1986-04-22 Dow Corning Corporation Emulsions of crosslinked polydiorganosiloxanes
US4587288A (en) * 1985-05-02 1986-05-06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water-based put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954B1 (ko) * 2012-07-25 2014-01-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오르쏘 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용 나노페이스트의 제조방법, 그 페이스트, 그 페이스트를 이용한 전극의 제조방법, 그 전극 및 그 전극을 포함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271353A (ja) 1986-12-01
JPH0619026B2 (ja) 1994-03-16
AU578157B2 (en) 1988-10-13
ES555155A0 (es) 1987-08-16
AU5785786A (en) 1986-11-27
ES8707752A1 (es) 1987-08-16
EP0205881A3 (en) 1988-05-18
US4608412A (en) 1986-08-26
KR870011201A (ko) 1987-12-21
EP0205881A2 (en) 1986-12-30
EP0205881B1 (en) 1992-01-15
DE3683407D1 (de) 1992-02-27
CA1276354C (en) 1990-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1284B1 (en) Silicone water-based caulking material
AU645520B2 (en) Precured silicone emulsion
US4584341A (en) Emulsions of crosslinked polydiorganosiloxanes
EP0236044B1 (en) Method of adjusting physical properties in silicone elastomeric sealant
KR930012216B1 (ko) 실리코운 물 주재의 탄성 코오킹 조성물
KR960004360B1 (ko) 동결융해 내성이 개선된 실리콘 유탁액
US4587288A (en) Silicone water-based putty
US4725648A (en) Polyorganosiloxane composition
CS198268B2 (en) Paste-like material containing curing agent and hardening catalysts as components for organopolysiloxanes curable at the room temperature
EP0572927A1 (en) Low modulus room-temperature-curable organosiloxane composition
US5145907A (en) Precured silicone emulsion
US4962153A (en) Precured silicone emulsion
US5321075A (en) Precured silicone emulsion
EP0690099B1 (en) Moisture curable organosiloxane compositions exhibiting extended workability
US5624997A (en) Precured silicone emulsion
US5438095A (en) Precured silicone emulsion
JPH07743B2 (ja) 硬化性シリコーンラテックス組成物
EP0816437A2 (en) Curable organosiloxane compositions of extended shelf life and cured elastomers therefrom exhibiting extended mold life
EP0344448A2 (en) Shelf stable silicone caulking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