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685B1 - 5-클로로-1,3,4-티아디아졸-2-일옥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5-클로로-1,3,4-티아디아졸-2-일옥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685B1
KR930011685B1 KR1019860001034A KR860001034A KR930011685B1 KR 930011685 B1 KR930011685 B1 KR 930011685B1 KR 1019860001034 A KR1019860001034 A KR 1019860001034A KR 860001034 A KR860001034 A KR 860001034A KR 930011685 B1 KR930011685 B1 KR 930011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toms
alkyl
optionally
straight
substitu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1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450A (ko
Inventor
푀르스터 하인쯔
잔텔 한즈-요아힘
에르. 슈미트 로베르트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요아힘 그렘, 루디 마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요아힘 그렘, 루디 마이어 filed Critical 바이엘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60006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8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75/00 - C07D283/00
    • C07D285/01Five-membered rings
    • C07D285/02Thiadiazoles; Hydrogenated thiadiazoles
    • C07D285/04Thiadiazoles; Hydrogenated thiadiazole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85/121,3,4-Thiadiazoles; Hydrogenated 1,3,4-thiad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8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75/00 - C07D283/00
    • C07D285/01Five-membered rings
    • C07D285/02Thiadiazoles; Hydrogenated thiadiazoles
    • C07D285/04Thiadiazoles; Hydrogenated thiadiazole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85/121,3,4-Thiadiazoles; Hydrogenated 1,3,4-thiadiazoles
    • C07D285/1251,3,4-Thiadiazoles; Hydrogenated 1,3,4-thiadiazoles with oxygen, sulfur or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the nitrogen atoms not forming part of a nitro radical
    • C07D285/13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cyclic Ring Compounds With Rings Of Six Or More Member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5-클로로-1,3,4-티아디아졸-2-일옥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제초제로서 유용한 하기 일반식(Ⅰ)의 신규한 5-클로로-1,3,4-티아디아졸-2-일옥시-아세트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알킬, 알케닐, 알키닐,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로알케닐, 할로케노알킬, 알콕시알킬, 아콕시알킬렌옥시 또는 알콕시, 아르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을 나타내거나, R1및 R2는 이들이 결합되는 질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헤테로사이클릭환(이는 추가로 혜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고, 여기에는 벤젠 라디칼이 융합될 수 있다)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2-(벤조티아졸-2-일옥시)-N-메틸아세트아닐리드 등의 특정한 헤테로아릴옥시아세트아미드에는 제초 특성이 있는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다(참조 : 독일연방공화국 공개특허공보 제2,822,155호 및 제2,903,966호, 유럽 특허원 제5,501호). 그러나, 이미 공지된 이들 헤테로아릴옥시아세트아미드의 잡초에 대한 제초 활성은 모든 사용 분야에서 항상 한전히 만족스럽지는 않다.
신규한 일반식(Ⅰ)의 5-클로로-1,3,4-티아디아졸-2-일옥시-아세트아미드는 하기 일반식(Ⅱ)의 2-알킬설포닐-5-클로로-1,3,4-타아디아졸을 경우에 따라 희석제의 존재하에, 및 경우에 따라 산 수용체 및 촉매의 존재하에 하기 일반식(Ⅲ)의 글리콜산 아미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한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R은 알킬로 나타내고, R1및 R2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끝으로, 신규한 일반식(Ⅰ)의 5-클로로-1,3,4-티아디아졸-2-일옥시-아세트아미드는 제초 특성, 특히 선택적 제초 특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놀랍게도, 신규한 일반식(Ⅰ)의 5-클로로-1,3,4-티아디아졸-2-일옥시-아세트아미드는 방제하기 어려운 일반 잡초에 대해 실질적으로 개선된 제초 활성을 나타내는 반면, 중요한 농작물의 내인성은, 예를 들면 2-(벤조티아졸-2-일옥시)-N-메틸-아세트아닐리드 같은 본 분야에 공지된 혜테로아릴옥시아세트아미드(이는 화학적 및 작용상의 견지에서 일반식(Ⅰ)의 화합물과 밀접하게 관련된 화합물이다)에 비하여 비교적 높다.
일반식(Ⅰ)은 본 발명에 따른 5-클로로-1,3,4-티아디아졸-2-일옥시-아세트아미드의 일반적인 정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반식(Ⅰ)의 화합물 R1및 R2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 각각 탄소수 2 내지 8의 직쇄 또는 측쇄 알케닐 및 알키닐; 임의로 하나 이상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치환체(여기서, 가능한 치환체는 특히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라디칼이다)를 포함하는 각각 탄소수 3 내지 7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사이클로알케닐; 각각의 알킬 또는 알킬렌 부위의 탄소수가 1 내지 8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 알콕시알킬렌옥시 또는 알콕시알킬; 탄소수가 1 내지 8이고 할로겐 원자(특히, 불소, 염소 및 브롬) 수가 1 내지 5인 할로게노알킬, 아릴 부위의 탄소수가 6 내지 10이고 알킬 부위의 탄소수가 1 내지 2인 아르알킬, 임의로 하나 이상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치환체[여기서, 가능한 치환체는 할로겐; 각각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알콕시 또는 알킬티오; 각각 탄소수가 1 내지 2개이고 할로겐 원자(특히, 불소, 염소 및 브롬)수가 1 내지 5인 할로게노알킬, 할로게노알콕시 또는 할로게노알킬티오; 및 니트로이다]를 포함하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을 나타내거나; R1및 R2가 이들이 결합되는 질소 원자와 함께 임의로 하나 이상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치환체(여기서, 가능한 치환체는 융합된 환 시스템 형태의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융합된 환 시스템 형태의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 또는 탄소수 2 내지 3의 디옥시알킬렌이다)를 포함하는 포화되거나 불포화 5-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릭 환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R1및 R2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측쇄알킬; 각각 탄소수 2 내지 6의 직쇄 또는 측쇄 알케닐 및 알키닐; 임의로 메틸 또는 에틸에 의하여 일- 내지 삼-치환된(여기서, 치환체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탄소수 5내지 7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사이클로알케닐; 각각의 알킬 부위의 탄소수가 1 내지 6인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 알콕시알킬렌옥시 또는 알콕시알킬; 탄소수가 1 내지 6개이고 할로겐 원자(특히, 불소, 브롬 및 염소)수가 1 내지 5개인 할로게노알킬; 벤질; 또는 임의로 1 내지 3개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치환체(특히 바람직한 치환체는 메틸, 에틸, 메톡시, 메틸티오, 트로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티도, 불소, 염소 또는 니트로이다)를 포함하는 페닐을 나타내거나, R1및 R2가 이들이 결합되는 질소 원자와 함께 임의로 1내지 3개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치환체(특히 바람직한 치환체는 메틸, 에틸 및 페닐이다)를 포함하는 구조식의 헤테로사이클릭 환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Figure kpo00005
특히, 제조실시예에서 언급하는 화합물 이외에 하기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
Figure kpo00006
[표 1]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예를 들어, 5-클로로-2-메틸설포닐-1,3,4-티아디아졸과 글리콜산 N-메틸아닐리드를 출발물질로서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공정의 반응경로는 하기 반응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Figure kpo00009
일반식(Ⅱ)는 본 발명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출발물질로서 필요한 2-알킬설포닐-5-클로로-1,3,4-티아디아졸의 일반적인 정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반식(Ⅱ)의 화합물은 R이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특히 메틸 또는 에틸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일반식(Ⅱ)의 2-알킬설포닐-5-클로로-1,3,4-티아디아졸은 공지되어 있다(참조 : 독일연방공화국 공개특허공보 제2,144,326호).
또한, 일반식(Ⅲ)은 본 발명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출발물질로서 필요한 글리콜산 아미드의 일반적인 정의를 제공한다. 일반식(Ⅲ)에서, R1및 R2는 본 발명의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서술할 때 바람직한 치환체라고 언급한 라디칼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식(Ⅲ)의 글리콜산 아미드도 공지되어 있다(참조 : 독일연방공화국 공개특허공보 제2,904,490호,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5,501호 및 제29,171호, 독일연방공화국 공개특허공보 제3,038,598호 및 제3,244,956호).
본 발명의 공정에 사용가능한 희석제는 유기 용매와 무기 용매이다. 바람직한 희석제는 탄화수소(예 : 톨루엔 또는 사이클로헥산),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롬, 디클로로에탄 또는 클로로벤젠), 케톤(예 : 아세톤 또는 메틸 이소부틸 케톤), 에테르(예 : 디에틸 에테르, 다이소프로필 에테르 또는 메틸3급-부틸 에테르), 알코올(예 :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 아미드(예 : 디메틸포롬아미드 또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설폭사이드(예 : 디메틸설폭사이드), 물 또는 염 수용액이다.
사용되는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황산염 또는 염화물(예 :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또는 염화칼슘)이 바람직하다. 염화나트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공정은 산 수용체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산 수용체로는, 예를 들면, 산화물(예 : 산화나트륨, 산화칼륨,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칼슘), 수산화물(예 :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칼슘) 및/또는 탄산염(예 :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마그네슘 또는 탄산칼슘)등의 강염기성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 전이 촉매를 0.01 내지 10중량%[사용되는 일반식(Ⅲ)의 글리콜산 아미드 기준] 가하면 몇몇 경우에는 유리할 수 있다. 상 전이 촉매의 예로는 테트라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트리부틸-메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트리-메틸-C13/C15-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 디벤질-디메틸-암모늄 메틸설페이트, 디메틸-C12/C14-알킬-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18-크라운-6, 트리에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트리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테트라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정에서, 반응 온도는 상당한 범위내로 가변적일 수 있다. 온도는 일반적으로 -5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이다.
본 발명의 공정을 일반적으로 상압하에서 수행하지만, 또한 승압 또는 감압하에서, 대략적으로 약 0.1 내지 10bar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일반식(Ⅱ)의 2-알킬설포닐-5-클로로-1,3,4-티아졸 1몰당 0.1 내지 10몰,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몰의 일반식(Ⅲ)의 글리콜산 아미드와 0.5 내지 10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몰의 염기를 사용한다.
반응물의 부가 순서는 경우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고, 또한 모든 성분을 반응 용기에 동시에 도입할 수도 있다. 반응은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후처리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은 낙엽제, 건조제, 광엽식물 방제제, 특히 제초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광의의 잡초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장소에서 서식하는 모든 식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은 필수적으로 사용량에 따라서 전체적인 제초제 또는 선택적인 제초제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은, 예를 들면 하기 식물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기 속의 쌍떡잎 잡초
시나피스(Sinapis), 레피듐(Lepidium), 갈륨(Galium), 스텔라리아(Stellaria), 마트리카리아(Matricaria), 안테미스(Anthemis), 갈린소가(Galinsoga), 체노포듐(Chenopodium), 우르티카(Urtica), 세네시오(Senexio), 아마란투스(Amaranthus), 포르툴라카(Portulacal), 크산튬(Xanthium), 콘볼불루스(Convolvulus), 이포모에아(Ipomoea), 폴리고늄(Polygonum), 세스바니아(Sesbania), 암브로시아(Ambrosia), 키르슘(Cirsium), 카르두우스(Carduus), 손쿠스(Sonchus), 솔라늄(Solanum), 로립파(Rorippa), 로탈라(Rotala), 린데르니아(Lindernia), 라뮴(lamium), 베로니카(Veronica), 아부틸론(Abutilon), 에멕스(Emex), 다투라(Datura), 비올라(Viola), 갈레옵시스(Galeopsis), 파파베르(Papaver)및 센타우레아(Centaurea).
하기 속의 쌍떡잎 작물
고씨품(Gossypium), 글리키네(Glycine), 베타(Beta), 다우크스(Daucus), 파세올루스(Phaseolus), 피숨(Pisum), 솔라눔(Solanum), 리눔(Linum), 이포모에아 (Ipomoea), 비키아(Vicia), 니코티아나(Nicotiana), 리코페르시콘(Lycopersicon), 아라키스(Arachis), 브라씨카(Brassica), 락투카(Lactuca), 쿠쿠미스(Cucumis) 및 쿠쿠르비타(Cucurbita).
하기 속의 외떡잎 잡초
에키노클로아(Echinochloa), 세타리아(Setaria), 파니쿰(Panicum), 디지타리아(Digitaria), 프레움(Phleum), 포아(Poa), 페스투카(Festuca), 엘레우시네(Eleusine), 브라키아리아(Brachiaria), 롤륨(Lolium), 브로무스(Bromus), 아베나(Avena), 시페루스(Cyperus), 소르굼(Sorghum), 아그로피론(Agropyron), 키노돈(Cynodon), 모노코리아(Monochoria), 핌브리스틸리스(Fimbristylis), 사지타리아(Sagittaria), 엘레오카리스(Eleocharis), 스키르푸스(Scirpus), 파스필룸(Paspalum), 이스카에뭄(Ischaemum), 스페노클레아(Sphenoclea), 다크틸록테늄(Dactyloctenium), 아그로스티스(Agrostis), 알로페쿠루스(Alopecurus) 및 아페라(Apera).
하기 속의 외떡잎 작물
오리자(Oryza), 제아(Zea), 트리티쿰(Triticum), 호르데움(Hordeum), 아베나(Avena), 세칼레(Secale), 소르굼(Sorghum), 파니쿰(Panicum), 사카룸(Saccharum), 아나나스(Ananas), 아스파라구스(Asparagus) 및 알륨(Allium).
그러나,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의 용도는 어떠한 경우에도 이들 속으로 제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방식에 이해 다른 식물로도 확대 적용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농도에 의존하여, 예를 들어, 공업지대 및 선로 및 나무 재식지가 있거나 없는 보도 및 광장에서 잡초를 전체적으로 퇴치시키는 데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년생 식물 재배지(예 : 조림지, 장식수 재식지, 과수원, 포도원, 감귤 농원, 견과 과수원, 바나나 농원, 커피 농원, 차 농원, 고무 농원, 오일팜 농원, 코코아 농원, 연질 과수 농원 및 홉 재배지)에서 잡초를 퇴치시키는 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일년생 식물 재배지에서 잡초를 선택적으로 퇴치시키는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은 잡초에 대한 탁월한 활성 이외에도 주요 농작물에 의한 우수한 내약성을 제공하므로, 외떡잎 작물(예 : 곡류 및 벼) 및 쌍떡잎 작물(예 : 대두, 목화, 사탕무우 등)에서 잡초를 선택적으로 퇴치시키는 약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은 적당량 사용할 경우에 강력한 살진균 작용을 나타내며, 실제로 바람직하지 않은 미생물을 퇴치하는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은 식물 보호제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식물 보호용 살진균제는 플라스모디오포로마이세테스(Plasmodiophoromycetes), 오오마이세테스(Oomycetes), 키트리디오마이세테스(Chytridiomycetes), 지고마이세테스(Zygomycetes), 아스코마이세테스(Ascomycetes), 바시디오마이세테스(Basidiomycetes) 및 듀테로마이세테스(Deuteromycetes)를 퇴치하는데 사용한다.
식물 질병을 퇴치하는데 필요한 농도에서, 활성 화합물에 대한 식물의 내약성이 우수하므로 식물의 지방부뿐만 아니라, 묘목, 종자 및 토양을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은 예를 들어 벼의 도열병 병원균[피리쿨라리아 오리자에(Pyricularia oryzae)]과 같은 벼의 질병을 퇴치시키는 데에 특히 성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활성 화합물은 액제, 유제, 현탁제, 산제, 발포제, 페이스트제, 입제, 에어로졸제, 활성 화합물을 주입한 천연 및 합성 물질, 종자에 사용하기 위한 중합체 물질 또는 피복 조성물로 이루어진 미세 캡슐제 및 연소장치(예 : 훈증카트리지, 훈증 캔, 훈증 코일 등)와 함께 사용하는 제형과 같은 통상적인 제형뿐만 아니라 ULV냉 연무 및 온 연무 제형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들 제형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하는데, 예를 들면 활성 화합물을 임의로는 활성제(즉, 유화제 및/또는 분산제) 및/또는 발포제를 사용하여 증량제(즉, 액체용매, 가압하의 액화가스 및/또는 고체 담체)와 혼합하여 제조한다. 물을 중량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유기용매를 보조 용매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액체 용매로는, 물 외에도, 방향족 탄화수수(예 : 크실렌, 톨루엔 또는 알킬 나프탈렌), 염소화 방향족 또는 염소화 지방족 탄화수소(예 : 클로로벤젠, 클로로에틸렌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 지방족 탄화수소[예 : 사이클로헥산 또는 파라핀(예 : 광유 분획)], 알콜(예 : 부탄올 또는 글리콜) 및 이의 에테르 및 에스테르, 케톤(예 :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또는 사이클로헥사논), 강한 극성 용매(예 :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디메틸설폭사이드)가 주로 적절하다. 액화 가스상 증량제 또는 담체는 상온 및 상압하에서 기체 상태인 액체를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부탄, 프로판, 질소 및 이산화탄소 뿐만 아니라 할로겐화 탄화수소와 같은 에어로졸 분사체이다. 적절한 고체 담체의 예로는 분쇄된 천연광물(예 : 카올린, 점토, 활석, 쵸오크, 석영, 애터펄자이트, 몬트모릴로나이트 또는 규조토) 및 분쇄된 합성물질(예 : 고분산 실릭산, 알루미나 및 실리케이트)이 있다. 과립용 고체 담체로는 예를 들어 분쇄 및 분별화된 천연 암석(예 : 방해석, 대리석, 경석, 세피얼라이트 및 돌로마이트)뿐만 아니라, 무기 및 유기 밀(meal)의 합성 과립 및 유기 물질(예 : 톱밥, 코코낫 껍질, 옥수수 속대 및 담배줄기)의 과립이 적절하다. 유화제 및 또는 발포제로는 예를 들어 비이온성 및 음이온성 유화제[예 :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족 알콜 에테르(예 : 알킬아릴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킬 설포네이트, 알킬 설페이트, 아릴 설포네이트]뿐만 아니라 알부민 가수분해 생성물이 적절하다. 분산제로는 예를 들어 리그닌-설파이트 폐액 및 메틸셀로오즈가 적절하다.
천연 인지질(예 : 세팔린 및 레시틴) 및 합성 인지질 뿐만 아니라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분말, 과립 또는 격자체 형태의 천연 및 합성 중합체(예 : 아라비아 고무,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접착제를 제형내에 사용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기타의 첨가제로는 광유 및 식물성 오일이 포함된다.
무기 안료[예 : 산화철, 산화티탄 및 프러시안 블루(Prussian Blue)] 및 유기 염료(예 : 알리자린, 아조 및 금속 프탈로시아닌 염료)와 같은 착색제, 및 미량 영양소(예 : 철, 망간, 붕소, 구리, 코발트, 몰리브덴 및 아연의 염)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형은 0.1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90중량%의 활성 화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을 제초제로서 사용할 경우, 그대로 사용하거나 그들의 잡초 퇴치용 제형 형태로서 사용할 수 있는데, 공지의 제초제와의 혼합물, 후처리된 체형 또는 탱크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아미노-6-에틸티오-3-(2,2-디메틸프로필)-1,3,5-트리아진-2,4-(1H,3H)-디온 또는 N-(2-벤조티아졸릴)-N,N'-디메틸우레아(곡류의 잡초 퇴치용); 4-아미노-3-메틸-6-페닐-1,2,4-트리아진-5(4H)-온(사탕무우의 잡초 퇴치용); 및 4-아미노-6-(1,1-디메틸에틸)-3-메틸티오-1,2,4-트리아진-5(4H)-온(대두의 잡초 퇴치용)과 같은 공지의 제초제를 혼합물내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N,N'-디메틸-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 N,N'-디메틸-N-(3-클로로-4-메틸페닐)-우레아, N,N'-디메틸-N'-(4-이소프로필페닐)-우레아, 4-아미노-6-3급-부틸-3-에틸티오-1,2,4-트리아진-5(4H)-온,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2,4-디클로로페녹시프로피온산, (2-메틸-4-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4-클로로-2-메틸페녹시)-프로피온산, 2-[4-(3,5)-디클로로피리드-2-일옥시)-페녹시]-프로피온산, 2-벤질옥시에틸 에스테르, 트리메틸실릴메틸 에스테르 또는 2,2-디에톡시에틸 에스테르, 프로피온산 N-(3,4-디클로로페닐)-아미드; 2-클로로-4-N-에틸아미노-6-N-이소프로필아미노-1,3,5-트리아진; N-메틸-2-(1,3-벤조티아졸-2-일옥시)-아세트아닐리드 및 2-{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미디닐]-옥시]-페녹시}-프로피온산 및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와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놀랍게도, 일부 혼합물은 상승 작용도 나타낸다.
또한, 공지의 기타 활성 화합물(예 : 살진균제, 살충제, 살비제, 살선충제, 조류 접근 방지제, 식물 영양제 및 토양 구조 개선제)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활성 화합물은 그대로 또는 제형화된 상태로 사용하거나, 그들이 추가로 희석시킴으로써 제조한 사용 형태로서 사용할 수 있는데, 예들 들어, 즉시 사용가능한 액제, 현탁제, 유제, 산제, 페이스트제 및 입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예를 들면, 수화, 분무, 산포 또는 분산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은 식물의 발아전 및 발아후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파종하기 전에 토양에 혼입시킬 수 있다.
활성 화합물의 사용량은 주로 목적하는 효과의 성질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초제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양은 토양 면적 ha당 0.01 내지 10kg,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kg의 활성화합물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제조 실시예]
[실시예1]
Figure kpo00010
30ml의 아세토니트릴중 10.6g(0.05mole)의 2-클로로-5-에틸설포닐-1,3,4-티아디아졸 용액을-20℃에서 100ml의 이소프로판올중 3.1g(0.05mole)의 수산화칼륨 분말과 8.3g(0.05mole)의 글리콜산 N-메틸아닐리드의 혼합물에 가하고, 부가가 종결된 후, 혼합물을-15℃에서 추가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후처리를 위하여, 반응 혼합물을 붓고, 침전되는 오일을 결정이 될 때까지 연마시키고, 고체를 흡인여과 한 후, 물 및 리그로인으로 세척하여, 진공중에서 건조시킨다.
10g(이론치의 75%)의 2-(5-클로로-1,3,4-티아디아졸-2-일옥시)-N-메틸-아세트아닐리드(융점: 101℃)를 수득한다.
하기 일반식(Ⅰ)의 5-클로로-1,3,4-티아디아졸-2-일옥시-아세트아미드를 제조방법에 관한 일반적인 기술에 따라 유사하게 수득한다 :
Figure kpo00011
[표 2]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용도 실시예]
하기 용도 실시예에서, 대조물질로서 하기 구조식(A)의 2-(벤조티아졸-2-일옥시)-N-메틸-아세트 아닐리드를 사용한다(참조 : 독일연방공화국 공개특허공보 제2,903,966호 및 유럽특허 제5,501호).
Figure kpo00014
[실시예 A]
발아전 시험
용매 : 아세톤 5중량부.
유화제 : 알킬아릴 폴리글리콜 에테르 1중량부.
1중량부의 활성 화합물을 소정량의 용매와 혼합하고, 소정량의 유화제를 가한 후, 농축액을 목적한 농도까지 물로 희석하여 적절한 활성 화합물의 제제를 제조한다.
시험 식물의 종자를 보통 토양에 파종하고, 24시간 후, 활성 화합물의 제제를 관수한다. 단위 면적당 물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편리하다. 제제중 활성 화합물의 농도는 중요하지 않고, 오직 단위면적당 사용하는 활성 화합물의 양만이 중요하다. 3주 후, 식물에 대한 피해도를 비처리 대조식물의 발육 상황과 비교하여 피해%를 측정한다. 하기 숫자는 다음을 나타낸다 :
0%=피해없음(비처리 대조 식물과 동일)
100%=완전히 파괴
이 시험에서, 예를 들면, 제조실시예 1,2,4,7,14,15 및 17의 화합물의 농작물 선택성에 대한 활성은 선행기술의 화합물의 활성에 비해 명백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다.
[실시예 B]
발아후 시험
용매 : 아세톤 5중량부.
유화제 : 알킬아릴 폴리글리콜 에테르 1중량부.
1중량부의 활성 화합물을 소정량의 용매와 혼합하고, 소정량의 유화제를 가한 후, 농축액을 목적한 농도까지 물로 희석하여 적절한 활성 화합물의 제제를 제조한다.
5내지 15cm 길이의 시험 식물에 단위면적당 목적한 양의 화합물의 적용되도록 활성 화합물 제제를 분무한다. 분무액의 농도는 목적한 특정량의 활성 화합물이 2,000ℓ의 물/ha에 사용되도록 한다. 3주 후, 식물에 대한 피해도를 비처리 대조 식물의 발육상황과 비교하여 피해%로 평가한다. 하기 숫자는 다음을 나타낸다 :
0%= 피해없음(비처리 대조 식물과 동일)
100%=완전히 파괴
이 시험에서, 예를 들면, 제조실시예 1과 2의 화합물의 농작물 선택성에 대한 활성은 선행 기술의 화합물의 활성에 비해 명백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다.

Claims (5)

  1. 일반식(Ⅱ)의 2-알킬설포닐-5-클로로-1,3,4-티아디아졸을 일반식(Ⅲ)의 클리콜산 아미드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일반식(Ⅰ)의 5-클로로-1,3,4-티아디아졸-2-일옥시-아세트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7
    상기식에서,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알킬, 알케닐, 알키닐,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로알케닐, 할로게노알킬, 알콕시알킬, 알콕시알킬렌옥시 또는 알콕시, 아르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을 나타내거나, R1및 R2는 이들이 결합되는 질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릭환(이는 추가로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고, 여기에는 벤젠 라디칼이 융합될 수 있다)을 나타내고, R은 알킬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R1및 R2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각각 탄소수 2 내지 8의 직쇄 또는 측쇄 알케닐 및 알키닐; 임의로 하나 이상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치환체(여기서, 가능한 치환체는 특히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라디칼이다)를 포함하는 각각 탄소수 3 내지 7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사이클로알케닐; 각각의 알킬 또는 알킬렌 부위의 탄소수가 1 내지 8인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 알콕시알킬렌옥시 또는 알콕시알킬; 탄소수가 1 내지 8개이고 할로겐 원자수가 1 내지 5개인 할로게노알킬; 아릴 부위의 탄소수가 6 내지 10개이고, 알킬 부위의 탄소수가 1 내지 2개인 아르알킬; 또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치환체[여기서, 가능한 치환체는 할로겐, 각각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알콕시 또는 알킬티오; 각각 탄소수가 1 내지 2개이고 할로겐 원자수가 1 내지 5개인 할로게노알킬, 할로게노알콕시 또는 할로게노알킬티오; 및 니트로이다]를 포함하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을 나타내거나, R1및 R2가 이들이 결합되는 질소 원자와 함께 임의로 하나 이상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치환체(여기서, 가능한 치환체는 융합된 환 시스템 형태의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융합된 환 시프템 형태의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 또는 탄소수 2 내지 3의 디옥시알킬렌이다)를 포함하는 포화 또는 불포화 5-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릭 환을 나타내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R1및 R2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내지 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각각 탄소수 2 내지 6의 직쇄 또는 측쇄 알케닐 및 알키닐; 임의로 메틸 또는 에틸에 의하여 일-내지 삼-치환된(여기서, 치환체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탄소수 5 내지 7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사이클로알케닐; 각각의 알킬 부위의 탄소수가 1 내지 6인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 알콕시알킬렌옥시 또는 알콕시알킬; 탄소수가 1 내지 6개이고, 할로겐 원자수가 1 내지 5개인 할로게노알킬; 벤질; 또는 임의로 1 내지 3개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치환체(특히 바람직한 치환체는 메틸, 에틸, 메톡시, 메틸티오,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 불소, 염소 또는 니트로이다)를 포함하는 페닐을 나타내거나, R1및 R2가 이들이 결합되는 질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1 내지 3개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치환체(특히 바람직한 치환체는 메틸, 에틸 및 페닐이다)를 포함하는 구조식의 헤테로사이클릭 환을 나타내는 방법.
    Figure kpo00018
    의 헤테로사이클릭 환을 나타내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반응을 희석제의 존재하에서 수행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반응을 산 수용체 및 촉매의 존재하에서 수행하는 방법.
KR1019860001034A 1985-02-16 1986-02-14 5-클로로-1,3,4-티아디아졸-2-일옥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방법 KR930011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505425.5 1985-02-16
DE19853505425 DE3505425A1 (de) 1985-02-16 1985-02-16 5-chlor-1,3,4-thiadiazol-2-yloxy-acetam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450A KR860006450A (ko) 1986-09-11
KR930011685B1 true KR930011685B1 (ko) 1993-12-18

Family

ID=6262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1034A KR930011685B1 (ko) 1985-02-16 1986-02-14 5-클로로-1,3,4-티아디아졸-2-일옥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096483A (ko)
EP (1) EP0192117B1 (ko)
JP (1) JPH0768229B2 (ko)
KR (1) KR930011685B1 (ko)
AT (1) ATE56964T1 (ko)
BR (1) BR8600639A (ko)
DE (2) DE3505425A1 (ko)
DK (1) DK71586A (ko)
HU (1) HUT39968A (ko)
PH (1) PH23449A (ko)
ZA (1) ZA8611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84703D1 (de) * 1987-07-23 1993-11-11 Bayer Ag Halogenierte Thiadiazolyl-oxyessig-säureamide, Verfahren und Zwischenprodukte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Herbizide.
DE3821600A1 (de) * 1988-06-27 1989-12-28 Bayer Ag Heteroaryloxyessigsaeure-n-isopropylanilide
DE4438178A1 (de) * 1994-10-26 1996-05-02 Bayer Ag N-Methyl-N-isopropyl-heteroaryloxyacetamide
DE19509044A1 (de) * 1995-03-14 1996-09-19 Bayer Ag Fluorthiadiazolyloxyacetamide
CN101437890B (zh) * 2006-05-09 2012-10-03 J·J·森诺豪斯 增容化的聚合物加工助剂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1415D1 (en) * 1978-05-20 1982-01-28 Bayer Ag Heteroaryloxy-acetamid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herbicides
DE3060330D1 (en) * 1979-04-06 1982-06-09 Bayer Ag Azolyloxy-acetamid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herbicides
US4255575A (en) * 1979-05-04 1981-03-10 Richardson-Merrell Inc. 2-Hydroxy-5-(1-hydroxy-2-piperazinylethyl)-benzoic acid derivatives
DE2946524A1 (de) * 1979-11-17 1981-06-11 Bayer Ag, 5090 Leverkusen Azolyloxy-carbonsaeure-n-oxy-am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herbizide
DE3018075A1 (de) * 1980-05-10 1981-11-12 Bayer Ag, 5090 Leverkusen Mittel zur regulierung des pflanzenwachstums,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DE3109582A1 (de) * 1981-03-13 1982-10-28 Bayer Ag, 5090 Leverkusen N-(2,2,2-trifluorethyl)-n-alkyl- azolyloxyessigsaeuream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herbizide sowie neue zwischenprodukte zu ihrer herstellung
DE3218482A1 (de) * 1982-05-15 1983-11-17 Bayer Ag, 5090 Leverkusen Substituierte 5-trifluormethyl-1,3,4-thiadiazol-2-yloxyessigsaeuream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herbizide
US4645252A (en) * 1986-04-10 1987-02-24 Mike Riley Animal dropping tool
DE3821600A1 (de) * 1988-06-27 1989-12-28 Bayer Ag Heteroaryloxyessigsaeure-n-isopropylanil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71586D0 (da) 1986-02-14
HUT39968A (en) 1986-11-28
ATE56964T1 (de) 1990-10-15
JPH0768229B2 (ja) 1995-07-26
ZA861106B (en) 1986-09-24
DE3505425A1 (de) 1986-08-21
EP0192117A3 (en) 1987-08-26
DE3674427D1 (de) 1990-10-31
US5096483A (en) 1992-03-17
PH23449A (en) 1989-08-07
EP0192117A2 (de) 1986-08-27
JPS61189279A (ja) 1986-08-22
EP0192117B1 (de) 1990-09-26
DK71586A (da) 1986-08-17
KR860006450A (ko) 1986-09-11
BR8600639A (pt) 1986-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8342A (en) Herbicidal N-isopropylheteroaryloxyacetanilides
KR920009883B1 (ko) 6-클로로벤즈아졸릴옥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방법
JPH0143751B2 (ko)
JPH0635455B2 (ja) 置換された5−トリフルオロメチル−1,3,4−チアジアゾ−ル−2−イル−オキシ−酢酸アミド類、そ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除草剤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KR920005414B1 (ko) 5-할로게노알킬-1, 3, 4-티아디아졸-2-일옥시아세트 아미드의 제조방법
KR930009789B1 (ko) 4,5-이치환된 1,3-티아졸-2-일옥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방법
US4465504A (en) Herbicidally active novel N-(2,2,2-trifluoroethyl)-N-alkyl-azolyloxyacetic acid amides and intermediates therefor
US4309538A (en) Preparation of 4-amino-6-tert.-butyl-3-alkylthio-1,2,4-triazin-5(4H)-ones
JPH0369906B2 (ko)
KR930011685B1 (ko) 5-클로로-1,3,4-티아디아졸-2-일옥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방법
US4384881A (en) Herbicidally active novel benzazol-2-yloxyacetanilides
JPH0245403A (ja) ジフルオロメチル‐チアジアゾリル‐オキシアセトアミドの選択除草剤としての使用
US4402731A (en) Herbicidally active novel substituted tetrahydropyrimidinones
CA1093093A (en) Chloromethanesulphonic acid anilides and their use as herbicides
US4659366A (en) 2-(alkoximinoalkoxycarbonyl)-phenylsulphonylurea herbicides and fungicides
US4058525A (en) 4-Amino-5-thione-1,2,4-triazines
US4447258A (en) 3-Dimethylamino-4-methyl-1,2,4-triazin-5(4H)-ones and herbicidal compositions
US4328340A (en) Preparation of 4-amino-6-tert.-butyl-3-alkylthio-1,2,4-triazin-5-(4H)-ones
KR920008821B1 (ko) 벤조디설탐의 제조방법
US4391629A (en) 2-Pyridyloxyacetanilides and their use as herbicides
KR960012199B1 (ko) 6-클로로벤족사졸릴-옥시아세트아닐리드
CA1292230C (en) 3-substituted 1-(2-halogenoalkoxy-benzenesulphonyl)-3- heteroaryl-(thio)ureas
US4402732A (en) Herbicidally active dihalogenated imidazolecarboxylic acid amides, compositions and use
KR960016125B1 (ko) 할로겐화 티아디아졸릴-옥시아세트아미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제초제
CA1176262A (en) Pyrazole derivative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herbic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