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230B1 - 고소작업차의 안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차의 안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230B1
KR930010230B1 KR1019840000680A KR840000680A KR930010230B1 KR 930010230 B1 KR930010230 B1 KR 930010230B1 KR 1019840000680 A KR1019840000680 A KR 1019840000680A KR 840000680 A KR840000680 A KR 840000680A KR 930010230 B1 KR930010230 B1 KR 930010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ch
work
buoy
rang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0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210A (ko
Inventor
히데끼 미야게
Original Assignee
신메이와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다마까와 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메이와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다마까와 신지 filed Critical 신메이와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40000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0230B1/ko
Publication of KR860000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소작업차의 안전제어장치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상태를 예시하고,
제1도는 고소작업차의 전체에 대한 측면도.
제2도는 유압계통도.
제3도는 선회검출수단의 기구를 표시하는 개략평면도.
제4도는 아우트리거 및 잭 검출수단을 표시하는 안정각의 정면도.
제5도는 제어장치의 전기계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소작업차 4 : 부움
7 : 작업대 11 : 매달아 올리는 장치
12 : 윈치장치 32 : 작업범위제어장치
37 : 압력스위치 38 : 유압파일럿관로
본 발명은 선단에 작업대(作業臺)를 가진 부움이 장착된 고소작업차(高所作業車)에 있어서의 안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에서는, 부움의 선단에 작업대가 장착되어 있고, 이 작업대에 작업자를 태워서 부움을 기복신축하여 작업대를 적당한 공간위치로 이동하면서 각종 작업을 하도록 하고 있으며, 차량의 전도(轉到) 사고등이 발생할 수 있는 작업범위로 부움이 조작되는 것을 규제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고, 또 상기 작업대 근방에 원치장치를 구비한 매달아 올리는 장치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 매달아 올리는 장치의 사용유무에 따라 작업범위를 변경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넓은 작업범위를 확보하여 능률이 좋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원치장치의 사용등을 부움에 작용하는 하중으로부터 검출하도록 한 것은 검출정밀도가 낮아 양호한 규제제어를 할 수 없으며, 또 작업대 근방에 배치된 기기와 차량의 차대위의 기기를 접속하는데에 있어서 전기신호가 부움을 거쳐서 연계되도록 한 것은 부움의 작동에 대해서 그 절연성의 확보에 문제가 있고, 내구성이 면에서도 신뢰성이 부족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선단에 작업대를 가진 부움을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근방에 윈치장치를 구비한 매달아올리는 장치를 설치함과 동시에, 유압 파일럿관로를 통하여 이 윈치장치의 사용을 압력스위치로써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에 의하여 작업범위를 안전측으로 절환함과 동시에, 유압파일럿관로를 통하여 윈치장치의 사용을 불능하게 하는 고소작업차의 안전제어장치를 제공하고, 넓은 작업 범위를 확보하면서 부움조작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져 하는 것이다.
아래에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소작업차(1)의 차체(2) 위에는 선회대(3)가 선회모우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선회제어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고, 선회대(3)의 상단에 부움(4)의 아래쪽 끝이 기복가능하게 피봇지지되어 있다.
부움(4)은 선회대(3)와의 사이에 배치된 기복(起伏) 실린더(5)에 의하여 기복 각도가 제어됨과 동시에, 신축실린더(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그 길이가 가변적인 다단신축식(多段伸縮式)으로 설치되고, 그 선단부움(4a)의 선단에 작압대(7)가 장착되어 있다.
작업대(7)은, 그 연결부재7&a)가 부움(4) 선단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피봇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이 연결부재(7a)와 선단부움(4a) 사이에 종동축의 평형실린더(9)가 배치되어 있고, 이 종동축의 평형실린더(9)는 부움(4)과 선회대(3)와의 사이에 배치된 구동측의 평형실린더(10)에 연계되고, 상기 부움(4)의 기복동작에 대응하여 작업대(7)가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작업대(7)의 연결부재(7a)상에는 매달아올리는 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매달아올리는 장치(11)는 선단에 훅(hook)(12a)을 갖는 와이어(12b)를 차례로 내보내는 윈치모우터(17)를 갖는 윈치장치(12)를 구비하여, 연결부재(7a)상에 선회가능하게 세워서 설치된 선회포스트(13)와, 이 선회포스트(13)의 상단에 피봇(14)으로써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피봇지지된 부움 브래킷(15)과, 이 부움 브래킷(15)에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선단에 작업용부움 헤드(16a)가 고정부착된 작업용부움(16)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선회포스트(13)는 상기 작업대(7)를 연결부재(7a) 주위로 선회작동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수진(首振) 실린더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선회된다.
또, 차체(2)의 전후양측 4개소에는 안정각(安定脚)(19)이 설치되고, 이 안정각(19)은 아우트리거(outrigger) 실린더(20)에 의해서 측방으로 뻗어나오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잭실린더(21)에 의해서 하방으로 신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각기 작업시에 차체(2)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고소작업차(1)에는 제2도의 유압계통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압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먼저, 가압 유체가 공급되어서 각종 작동을 하는 액츄에이터로서는, 부움(4)을 사이에 두고 차체(2)측에, 안정각(19)을 뻗어나오게 하는 아우트리거실린더(20) 및 상하 신축시키는 잭실린더(21)로 이루어진 안정각용 액츄에이터(A)와, 부움(4)을 기복시키는 기복실린더(5), 선회대(3)를 선회시키는 선회모우터(6) 및 부움(4)을 신축하는 신축실린더(8)로 이루어진 부움관련작동용 액츄에이터(B)와, 구동측의 평형실린더(10)가 설치되어 있고, 또 작업대(7)측에는, 매달아올리는 장치(11)의 윈치모우터(17)와 수진실린더(18)로 이루어진 작업대 관련작동용 액츄에이터(C)와, 중동측의 평형실린더(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각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로서, 차체(2)측에는 안정각용 액츄에이터(A)에 대한 안정각용 제어밸브(V1)와, 부움관련작동용 액츄에이터(B)에 대한 기복제어밸브(V2), 선회제어밸브(V3) 및 신축제어밸브(V4)로 이루어진 부움관련 작동용 제어밸브(D)와, 평형실린더(9, 10)에 대한 수평제어밸브(V5)가 설치되는 한편, 작업대(7)측에는 작업대관련작동용 액츄에이터(C)에 대한 윈치제어밸브(V6)와 수진제어밸브(V7)로 이루어진 작업대관련작동용 제어밸브(E)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선단에 작업대를 가진 부움을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근방에 윈치장치를 구비한 매달아올리는 장치를 설치함과 동시에, 유압 파일럿관로를 통하여 이 윈치장치의 사용을 압력스위치로써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에 의하여 작업범위를 안전측으로 절환함과 동시에, 유압파일럿관로를 통하여 윈치장치의 사용을 불능하게 하는 고소작업차의 안전제어장치를 제공하고, 넓은 작업 범위를 확보하면서 부움조작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져 하는 것이다.
아래에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소작업차(1)의 차체(2) 위에는 선회대(3)가 선회모우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선회제어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고, 선회대(3)의 상단에 부움(4)의 아래쪽 끝이 기복가능하게 피봇지지되어 있다.
부움(4)은 선회대(3)와의 사이에 배치된 기복(起伏) 실린더(5)에 의하여 기복 각도가 제어됨과 동시에, 신축실린더(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그 길이가 가변적인 다단신축식(多段伸縮式)으로 설치되고, 그 선단부움(4a)의 선단에 작업대(7)가 장착되어 있다.
작업대(7)는, 그 연결부재(7a)가 부움(4) 선단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피봇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이 연결부재(7a)와 선단부움(4a) 사이에 종동축의 평형실린더(9)가 배치되어 있고, 이 종동축의 평형실린더(9)는 부움(4)과 선회대(3)와의 사이에 배치된 구동측의 평형실린더(10)에 연계되고, 상기 부움(4)의 기복동작에 대응하여 작업대(7)가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작업대(7)의 연결부재(7a)상에는 매달아올리는 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매달아올리는 장치(11)는 선단에 훅(hook)(12a)을 갖는 와이어(12b)를 차례로 내보내는 윈치모우터(17)를 갖는 윈치장치(12)를 구비하여, 연결부재(7a)상에 선회가능하게 세워서 설치된 선회포스트(13)와, 이 선회포스트(13)의 상단에 피봇(14)으로써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피봇지지된 부움 브래킷(15)과, 이 부움 스래킷(15)에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선단에 작업용부움 헤드(16a)가 고정부착된 작업용부움(16)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선회포스트(13)는 상기 작업대(7)를 연결부재(7a) 주위로 선회작동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수진(首振) 실린더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선회된다.
또, 차체(2)의 전후양측 4개소에는 안정각(安定脚)(19)이 설치되고, 이 안정각(19)은 아우트리거(outrigger) 실린더(20)에 의해서 측방으로 뻗어나오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잭실린더(21)에 의해서 하방으로 신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각기 작업시에 차체(2)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고속작업차(1)에는 제2도의 유압계통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압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먼저, 가압유체가 공급되어서 각종 작동을 하는 액츄에이터로서는, 부움(4)을 사이에 두고 차체(2)측에, 안정각(19)을 뻗어나오게 하는 아우트리거실린더(20) 및 상하 신축시키는 잭실린더(21)로 이루어진 안정각용 액츄에이터(A)와, 부움(4)을 기복시키는 기복실린더(5), 선회대(3)를 선회시키는 선회모우터(6) 및 부움(4)을 신축하는 신축실린더(8)로 이루어진 부움관련작동용 액츄에이터(B)와, 구동측의 평형실린더(10)가 설치되어 있고, 또 작업대(7)측에는, 매달아올리는 장치(11)의 윈치모우터(17)와 수진실린더(18)로 이루어진 작업대 관련작동용 액츄에이터(C)와, 종동측의 평형실린더(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각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로서, 차체(2)측에는 안정각용 액츄에이터(A)에 대한 안정각용 제어밸브(V1)와, 부움관련작동용 액츄에이터(B)에 대한 기복제어밸브(V2), 선회제어밸브(V3) 및 신축제어밸브(V4)로 이루어진 부움관련 작동용 제어밸브(D)와, 평형실린더(9,10)에 대한 수평제어밸브(V5)가 설치되는 한편, 작업대(7)측에는 작업대관련작동용 액츄에이터(C)에 대한 윈치제어밸브(V6)와 수진제어밸브(V7)로 이루어진 작업대관련작동용 제어밸브(E)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액츄에이터와 제어밸브에 대한 유압계통은, 가압 유체원으로서, 엔진의 동력에 의하여 동력 취출장치(22)를 통하여 구동되는 탬덤(tandem)펌프(F)의 제1펌프(P1)와 제2펌프(P2)를 구비함과 동시에 전동모우터(23)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3펌프(P3)(비상펌프)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제1펌프(P1)는 안정각용 제어밸브(V1)에 접속되어 이 안정각용 제어밸브(V1)가 아우트리거 실린더(20) 및 잭실린더(21)에 접속되는 한편, 제2펌프(P2) 제3펌프(P3)와 함께 메인솔레노이드 밸브(24)를 통하여, 부움 관련 작동용 제어밸브(D)를 거쳐 작업대 관련작동용 제어밸브(E)에 접속되고, 다시 제1펌프(P1)는 상기 안정각용 제어밸브(V1)를 거쳐 작업대 관련작동용 제어밸브(E)에 제2펌프(P2)와 합류접속되어 있다.
또한 부움관련 작동용 제어밸브(D), 즉 기복제어밸브(V2), 선회제어밸브(V3), 신축제어밸브(V4)는 각각 제어부(25,26,27)(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여, 이 제어부(25 내지 27)를 통하여 기복실린더(5), 선회모우터(6) 및 신축실린더(8)에 접속되고, 한편 작업대관련작동용 제어밸브(E) 즉 윈치제어밸브(V6) 및 수진 제어밸브(V7)는 각각 대응하는 윈치모우터(17) 및 수진실린더(18)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각 제어밸브의 조작에 의하여 부움(4)의 선회, 기복 및 신축(부움관련작동)이 행하여짐과 동시에, 매달아올리는 장치(11)에 있어서의 윈치장치(12)의 작동 및 수진(작업대 관련작동)이 행하여지는 것이다.
한편, 작업대(7)에는 부움관련작동, 즉 부움(4)의 선회, 기복 및 신축을 원격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28)가 설치되어 있고, 이 조작부(28)와 부움관련작동용 액츄에이터(B)의 각 제어밸브(V2,V3,V4)의 각 제어부(25,26,27)는 부움(4)을 거쳐 광섬유케이블(29)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광섬유케이블(29)의 작업대(7)측의 끝에는, 발광기(30)(증폭기)가 접속되고 차체(2)측의 끝에는 수광기(31)(증폭기)가 접속되어, 조작부(28)로부터의 조작신호가 상기 각 제어부(25 내지 27)에 입력되어 원격조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유압계통에 대하여 부움(4)의 조작범위, 즉 작업대(7)의 작업범위를 규제하는 작업범위 제어장치(3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작업범위 제어장치(32)는 부움 관련작동용 제어밸브(D)의 제어부(25 내지 27)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메인 솔레노이드 밸브(24)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 이 작업범위에 제어장치(32)에는 선회대(3)의 선회상태를 검출하는 선회검출수단(33), 안정각(19)의 아우트리거 실린더(20)가 뻗어나온 상태를 검출하는 아우트리거 검출수단(34), 잭 실린더(21)의 신장상태를 검출하는 잭검출수단(35) 및 윈치장치(12)의 사용의 유무를 검출하는 윈치작동 검출수단(36)으로부터의 각 검출신호가 입력되고 이 작업범위 제어장치(32)는 이들의 검출신호에 대응하여 작업범위의 안전한계를 넘는 방향의 부움관련작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작업범위 제어장치(32)는 윈치장치(12)에 의해서 물체를 매달아 올리고 있는 사용시에는 작업범위를 축소측(안전측)으로 제어하는 것이고, 또 안정각(19)이 뻗어나온 길이에 연동하여 뻗어나온 길이가 짧을 때에는 작업범위가 좁게 되도록 제어하는 것에 대응하여, 윈치장치(12)이 사용시에는 안정각(19)이 뻗어나온 길이가 일정이상 축소된 상태와 동등한 좁은 작업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축소측으로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윈치작동검출수단(36)은 전기 절연성 재료에 의하여 부움(4)을 경유하여 윈치장치(12)의 사용을 검출하는 것이며, 윈치제어밸브(V6)를 통하여 윈치모우터(17)에 공급되는 유압을 검출하는 압력스위치(37)로 구성되며, 이 압력스위치(37)는 차체(2)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은 유압파일럿 관로(38)를 통해 부움(4)을거쳐 전해지며, 윈치장치(12)를 사용함에 따라 윈치모우터(17)에 가압유체가 공급된 상태를 압력스위치(37)의 닫힘에 의하여 검출하는 것이다.
더욱이, 작업대 관련 작동용 제어밸브(E)에는 제1 및 제2펌프(P1,P2)의 가압유체가 합류하여 공급되기 때문에, 부움관련작동용 액츄에이터(B)의 작동에 의한 유압 저하가 없고, 윈치장치(12)의 사용의 검출이 정확하게 행하여 진다.
또, 솔레노이드밸브(39)를 통하여, 윈치모우터(17)에 대한 가압유체를 제어하는 시이퀀스 밸브(40)를 개폐제어하는 파일럿 가압유체가 공급되도록 되어있다.
선회검출수단(33)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대(3)에 설치된 선회측의 2종류의 제1스위치(S1) 및 제2스위치(S21,S22)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스위치(S1)는 차체(2) 위에 설치된 반원호상 제어부(솔레노이드)(39a)과의 접촉의 유무에 의하여 선회중심을 지나는 차체축을 경계로 하여 우측선회위치(G)와 좌측선회위치(H)로 구분하여 검출하는 것이다. 또, 제2스위치(S21,S22)는 차체(2) 위에 좌우양측에 설치된 짧은 원호상 제어부(솔레노이드)(40a)과의 접촉의 유무 및 접촉순서에 의하여 전방구역(J), 후방구역(K), 우방구역(L), 좌방구역(M)으로 구분하여 검출하는 것이다.
상기 아우트리거 검출수단(34)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리미트스위치(LS1,LS2)로써 이루어지고, 아우트리거 실린더(20)가 2/3 뻗어나온 상태 및 완전히 뻗어나온 상태로 각각 뻗어나오면, 각 리미트 스위치(LS1,LS2)가 순차로 검출작동하는 것으로, 아우트리거 실린더(20)가 2/3 뻗어나온 상태 미만에 있을때는 양 리미트스위치(LS1, LS2)는 작동하지 않는다. 또 잭검출수단(35)은 잭실린더(21)가 신장되면 검출작동하는 리미트스위치(LS3)로 이루어져 있다.
작업범위 제어장치(32)에는, 제5도의 전기회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41), 상기 윈치작동 검출수단(36)의 압력스위치(37), 선회검출수단(33)의 제1스위치(S1) 및 제2스위치(S2(S21,S22)), 아우트리거 검출수단(34)의 제1 및 제2리미트스위치(LS1,SL2), 잭검출수단(35)의 제3리미트스위치(LS3),릴레이(R1 내지 R6) 및 그 릴레이 스위치(r1 내지 r6), 키프릴레이(KR) 및 그 릴레이 스위치(Kr), 개폐스위치(SW1,SW2), 전(全) 작업범위 검지회로(42), 2/3 작업범위 검지회로(43), 1/3 작업범위 검지회로(44) 및 상기 유압계통의 메인솔레노이드밸브(24)용의 솔레노이드(24a)와 각 부움관련 작동용의 제어밸브(V2,V3,V4)의 각 제어부(솔레노이드)(25a,26a,27a) 및 솔레노이드 밸브(39)의 제어부(솔레노이드)(39a)가 적절한 위치에 배선 접속되어 있다. 각 작업범위 검지회로(42,43,44)는 부움(4)의 신장량과 기복각도에 의하여 결정되는 작업범위를 검지하는 것으로서, 부움(4)이 미리 설정된 각 작업범위(순차적으로 좁게된다)내에 위치하고 있으면 신호를 발하여 릴레이(R1,R2)를 여자(勵磁)하는 것이다. 또, 메인 솔레노이드밸브(24)는 솔레노이드(24a)가 여자되면 절환하여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기름을 후단으로 인도하여 부움관련 작동을 조작가능하게 한다.
한편 각 작업범위 검지회로(42,43,44)가 설정된 작업범위밖으로 부움(4)이 조작되면, 릴레이(R1,R2)의 비여자(非勵磁)에 의하여 각 제어밸브(V2,V3,V4)의 제어부(25a 내지 27a)에 제어신호가 입력되며, 부움관련작동용 액츄에이터(B)의 특정방향으로의 작동, 즉 신축실린더(8)의 신장동작, 기복실린더(5)의 기울이는 동작 및 선회모우터(6)의 일방향선회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전원(41)과 전작업범위 검지회로(42)와의 사이에는 제1스위치(S1), 제1리미트스위치(LS1) 및 제2리미트스위치(LS2)가 차례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이 제2리미트스위치(LS2)의 비작동접점이 2/3 작업범위 검지회로(43)에, 제1리미트스위치(LS1)의 비작동 집점이 1/3 작업범위 검지회로(44)에 및 제3리미트스위치(LS3)의 비작동 접점이 메인솔레노이드 밸브(24)의 솔레노이드(24a)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다시 제1리미트스위치(LS1)와 제2리미트스위치(LS2), 및 제2리미트스위치(LS2) 와 전작업범위 검지회로(42)와의 사이에는 각각 키프릴레이(KR)의 닫힘에 의하여 여자되는 릴레이(R4)의 릴레이 스위치(r4)가 배지되어 있고, 이 릴레이 스위치(r4)의 평상시 열림 접점(여자시에 닫힌다)는 순차로 2/3 작업범위검지회로(43), 1/3 작업범위 검지회로(44)에 접속되어 있어서, 각 작업범위검지회로(42,43,44)는 릴레이(R1, R2)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릴레이(R1,R2)의 릴레이 스위치(r1,r2)(평상시 열림 접점)는 각각 전원(41)과 부움관련 작동용의 각 제어부(25a,26a,27a) 및 솔레노이드밸브(39)의 제어부(39a)와 전원(41)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전원(41)에는 제2스위치(S2), 릴레이(R3)가 직렬로 접속되어 부움(4)이 소정의 영역(전방구역 J,후방구역 K,우방구역 L,좌방구역 M)내이면, 릴레이(R3)를 여자하여 릴레이스위치(R3)를 닫도록 되어있으므로 그 영역내에서의 선회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전원(41)에는 병렬관계에 있는 압력스위치(37)와 개폐스위치(SW1)를 통하여 릴레이(R5)가 접속되고, 그리하여 상기 어느하나의 스위치(37,SW1)의 닫힘에 의하여 릴레이(R5)가 여자되어 릴레이스위치(r5)가 닫히면, 키프릴레이(KR)의 동작용 솔레노이드(ST)를 여자시켜 릴레이 스위치(Kr)를 닫고, 릴레이(R4)를 여자시키도록 되어있다.
한편, 별개의 개폐스위치(SW2)의 닫힘에 의하여 릴레이(R6)가 여자되어 릴레이스위치(r6)가 닫히면 복귀용 솔레노이드(RT)가 여자되어 릴레이 스위치(Kr)를 열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작업범위 제어장치(32)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안정각(19)이 아우트리거 실린더(20)에 의하여 어느 하나가 뻗어나온 상태로 조작되어 있어도, 잭 실린더(21)가 전부 신장되어 있지않은 경우는, 차체(2)가 완전히 지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되어 잭용 리미트스위치(LS3)가 작동하지 않으며, 메인솔레노이드밸브(24)의 솔레노이드(24a)가 여자되지 않아 가압유체는 탱크로 환류되어, 부움 관련작동용 제어밸브(D) 및 조작부(28)를 조작하여도 부움(4)은 작동하지 않는다.
또, 잭실린더(21)의 신장상태에 있어서, 메인솔레노이드밸브(24)가 작동하여 아우트리거 실린더(20)가 2/3 뻗어나온 길이 이상으로 조작되지 않았을 경우에 아우트리거용 리미트스위치(LS1)는 작동하지 않으나, 1/3 작업범위 검지회로(44)에 전원(41)을 릴레이 스위치(r4)를 통하여 통전하므로, 1/3 작업범위내에서 부움관련 작동을 행할 수가 있다.
계속해서, 아우트리거 실린더(20)가 순차로 뻗어 나온 상태로 조작되면, 아우트리거용 리미트스위치(LS1,LS2)는 그 뻗어 나온 길이에 따라서 작동하고, 1/3, 2/3 및 전작업범위 검지회로(44,43,42)에 순차적으로 신호가 출력되며, 부움(4)의 조작위치 설정작업 범위내에 있을 때에는 각 작업범위검지회로(42 내지 44)로부터 제1 및 제2릴레이(R1, R2)로 신호가 출력되어 이것을 여자작동함으로써 릴레이 스위치(r1,r2)가 닫히고, 부움관련작동용 제어밸브(D) 또는 조작부(28)에 의한 부움관련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상태에 있어서, 부움(4)의 신장, 기울임, 혹은 선회 작동에 의하여, 부움(4)이 설정작업범위 밖으로 이동하고자 하면, 해당하는 작업범위 검지회로(42 내지 44)에서 신호가 출력되지 않고, 제1 및 제2릴레이(R1,R2)에 대한 여자가 정지하여, 그 릴레이 스위치(r1,r2)가 닫히고, 각 제어부(25a 내지 27a)에서 제어신호(규제신호)가 출력되어 그 이상의 부움(4)의 신장, 기울임 및 선회동작 즉 작동범위 밖으로 부움(4)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작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때에 작업범위내에 부움(4)이 되돌아가는 방향의 단축, 기립 및 선회동작은 조작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선회방향의 판별은 선회검출수단(33)의 제1스위치(S1), 제2스위치(S2) 의 검출작동에 대응하여 행하여짐과 동시에, 선회위치에 대응한 측의 아우트리거 실린더(20)에 뻗어나온 길이에 대응하여 좌우구역 또는 전후 구역에서 작업범위를 변경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안정각(19)의 상태 및 선회위치에 따른 작업범위 규제 제어에 대하여, 상기 윈치작동검출수단(36)에 의하여 윈치장치(12)의 사용이 검출되면 유압 파일럿관로(38)를 통하여 압력스위치(37)가 닫혀져서 제5릴레이(R5)가 여자되고, 그 릴레이스위치(r5)가 절환작동하여 키프리레이(KR)의 동작단자(ST)에 신호가 입력되어, 제4릴레이(R4)를 닫으므로, 제2리미트스위치(LS2)의 전작업범위 검지회로(42)와의 접속을 2/4 작업범위 검지회로(43)로, 제1리미트스위치(LS1)의 2/3 작업범위검지회로(43)와의 접속을 1/3 작업범위검지회로(44)로, 즉 축소측으로 각각 절환 접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윈치장치(12)의 사용할 때에는 아우트리거 실린더(20)의 신장상태가 1단계 짧는 경우의 작업범위로 축소 규제됨과 동시에, 시이퀀스밸브(40)에 의해서 윈치모우터(17)에 대한 가압유체의 공급이 차단되어 윈치장치(12)의 사용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 작업범위를 넘는 부움작동시에는 제1 및 제2릴레이(R1,R2)의 비작동에 의하여 각 제어부(25a,26a,27a)에 규제 신호가 출력되어, 작업범위를 넘는 방향의 부움(4)의 조작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부움(4)이 상기 1단계 짧은 경우의 작업범위내에 들어가면, 개폐스위치(SW2)를 닫으므로써 릴레이(R6)가 여자되어 릴레이스위치(r6)를 닫고, 키플리레이(KR) 의 복귀용 솔레노이드(RT)를 여자하여 릴레이스위치(Kr)를 열어서 릴레이(R4)가 소자(消磁)되어, 상기 작업범위내에서 윈치장치(12)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안정각(19)이 뻗어나온 길이 및 윈치장치(12)의 사용에 따라서 작업범위를 자동적으로 절환하여 작업의 안성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 윈치장치(12)의 사용을 유압파일럿관로(38)에 의한 유압신호로서 전기절연성재료에 의해 부움(4)을 경유하여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절연불량등에 의한 오검출(誤檢出)이 생기는 일이 없고, 그 내구성이 향상되었다.
더욱이, 랜덤펌프(F)를 채용하고, 윈치모우터(17)에 제1 및 제2펌프(P1, P2)로부터의 가압유체를 합류공급함으로써, 복수의 펌프구조를 간략화함과 동시에 윈치장치(12)의 사용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의 변형예를 포함하고 있다. 즉, 윈치장치(12)의 사용시에 작업범위를 축소측으로 규제하는 것은 상기 안정각(19)이 뻗어나온 길이에 연동시키는 것외에 적절하게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전자(電子) 회로등으로써 작업범위를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움의 선단에 장착한 작업대 근방에 윈치장치를 구비한 매달아올리는 장치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윈치장치의 사용을 부움의 유압파일럿관로를 통하여 압력스위치로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에 의하여 작업범위를 안전측으로 절환함과 동시에 유압파일럿 관로를 통하여 윈치장치의 사용을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넓은 작업범위를 확보하면서 부움 조작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선단에 작업대(7)를 구비한 부움(4)을 장착하고, 상기 작업대(7) 근방에 윈치장치(12)를 구비한 매달아 올리는 장치(11)를 설치한 고소작업차(1)에 있어서, 상기부움(4)의 신축상태와 기복상태에 따라 작업범위를 검지하며, 상기 매달아 올리는 장치(11)를 사용하는 경우와 상기 매달아 올리는 장치(1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안전작업범위에 대응되게 구성된 복수의 작업범위검지회로(42,43,44)와, 윈치제어밸브(V6)를 통해 윈치모우터(17)에 공급되는 유압을 검출하는 압력스위치(37)로 구성된 윈치작동 검출수단(36)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윈치장치(1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범위검지회로(42,43,44)를 상기 압력스위치(37)에 의한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매달아 올리는 장치(11)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정된 안전작업범위에 대응하는 작업범위검지회로 절환함과 동시에, 시이퀀스밸브(40)에 의해서 상기 윈치모우터(17)에 대한 가압유체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윈치장치(12)의 사용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안전제어장치.
KR1019840000680A 1984-02-14 1984-02-14 고소작업차의 안전제어장치 KR930010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0680A KR930010230B1 (ko) 1984-02-14 1984-02-14 고소작업차의 안전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0680A KR930010230B1 (ko) 1984-02-14 1984-02-14 고소작업차의 안전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210A KR860000210A (ko) 1986-01-27
KR930010230B1 true KR930010230B1 (ko) 1993-10-15

Family

ID=19232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0680A KR930010230B1 (ko) 1984-02-14 1984-02-14 고소작업차의 안전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02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210A (ko) 198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44318A (ja) 建設機械の作業機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SU539518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ключени подъемных механизмов с шарнирно-сочлененной стрелой
KR930010230B1 (ko) 고소작업차의 안전제어장치
US10870969B2 (en) Hydraulic system for working machine
JPH0812296A (ja) 高所作業車の作動制御装置
JPH083797Y2 (ja) ソレノイドバルブの作動不良検出装置
JP4201152B2 (ja) 車両の油圧回路
KR100238847B1 (ko) 콘크리트 펌프트럭의 붐안착용 안전장치
KR840001307A (ko) 유압셔블의 유압회로
JPS61294031A (ja) 掘削機の油圧回路
JP6520092B2 (ja) クレーンの操作装置
JPS59114298A (ja) 高所作業車の作業範囲規制装置
JP2003013912A (ja) 作業用車両の安全装置
KR200389671Y1 (ko) 휠로더의 붐하강 충격저감장치
CN220791628U (zh) 一种高空车液压系统
JP4925575B2 (ja) 作業車両の安全回路
KR19990060980A (ko) 아웃트리거 장치의 제어시스템
JP3707935B2 (ja) 油圧ショベルのブームシリンダ用油圧回路
JPS606595A (ja) 高所作業車の安全制御装置
RU1791344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вода стрелы крана в транспортное положение
JPH0854005A (ja) 油圧式建設機械における油圧ポンプの容量制御装置
JPS6137700A (ja) 高所作業車の制御装置
JPS6147799B2 (ko)
JP2002020091A (ja) 作業用車両の安全装置
JP2000255998A (ja)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におけるリフトシリンダ用油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