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213B1 - 단열방음 블록 - Google Patents

단열방음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213B1
KR930010213B1 KR1019910002962A KR910002962A KR930010213B1 KR 930010213 B1 KR930010213 B1 KR 930010213B1 KR 1019910002962 A KR1019910002962 A KR 1019910002962A KR 910002962 A KR910002962 A KR 910002962A KR 930010213 B1 KR930010213 B1 KR 930010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insulation
layer
concrete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2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6673A (ko
Inventor
전상국
Original Assignee
전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국 filed Critical 전상국
Priority to KR1019910002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0213B1/ko
Publication of KR920016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6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열방음 블록
제1도는 본 발명의 블록을 나타낸 일예시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블록을 나타낸 일예시도로서 일부를 절결한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블록내부에 매설되는 골격판체와 보강철선을 발췌한 일예시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블록내부에 매설되는 골격판체의 예시사시도.
제5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블록을 조립하여 쌓는 조적과 정을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블록본체 11 : 수평배관로
12 : 수직배관로 13 : 접합체 흡수공간부
20, 20-1 : 콘크리트층 30 : 단열재층
31 : 수직끼움요부 32 : 수직끼움돌출부
33 : 수평끼움요부 34 : 수평끼움돌출부
40 : 골격판체 41 : 배관용 구멍
42 : 결속용 구멍 43 : 하층받침편
50 : 보강메쉬
본 발명은 아파트 또는 일반 주택 및 건물 등에 있어서 단열방음 벽체를 간편하게 조적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 단열방음 블록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와 단열재를 이용하여 단열방음 블록을 일체로 성형함에 있어서 양측부에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고 그 사이의 중앙부에는 단열재층을 형성하도록 블록본체를 성형하되, 배관용 구멍과 결속용 구멍을 가지며, 양단부에는 웨이브형 절곡부를 형성한 수개의 골격판체를 상기 블록 본체의 내부에 매설하여, 콘크리트층과 단열재층이 일체로 결속되어 견고하게 결합 성형되도록 한 단열방음 블록이다.
본 발명의 단열방음 블록은 블록본체의 양측부는 콘크리트층이며, 중앙부는 단열재층을 이룬 상태로 일체화되어 블록이 다중구조를 이루며, 그 내부에 매설되어 콘크리트층과 단열재층을 단일화되게 결합하는 골격판체에 의해 블록자체의 강도가 증가되고, 또한 조적성이 우수하여 건물 등의 벽체를 조적시공시 단열성, 방음성이 우수하고 시공 작업시간의 단축과 공사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시공후 다중구조에 의한 단열방음 효과에 의해 내, 외기의 온도전달을 차단하여 내벽체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이슬맺힘)을 완벽하게 방지하고 방수성도 증대되는 것이다.
종래에 건물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벽돌이나 블록을 이중으로 쌓고 중간부에 단열재를 삽입 내장시킨 다음, 벽체의 양면을 미장처리하였던 것으로, 이러한 종래의 벽체 시공방법은 벽돌이나 블록으로 외벽을 축조한 후 외벽의 내측에 단열재를 설치하고, 다시 단열재의 내측에 내벽을 축조한 다음, 외벽의 벽면에는 대리석이나 화강암 등의 석재나 타일로서 방수 및 외장처리하고, 내벽의 벽면에는 타일을 부착하거나 또는 미장처리하므로서 벽체를 완성하는 복잡한 시공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많은 공사기간과 시공상의 하자 발생율 증가와 많은 인력 및 비용이 소요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높은 벽체면을 바로 완성할 수 없고 접합 모르타르의 양생후 재시공하여야 되며, 단열재를 설치하는 공정과 미장처리 등의 작업공정이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고 많은 작업인원이 소요되고, 특히 모서리 부분의 시공상의 많은 난이도로 인하여 완벽한 단열시공이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벽돌 내면에 미리 단열재를 매설하므로서 단열재를 별개로 시공하는 공정을 생략하도록 한 방안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벽돌은 단열재를 벽돌내에 매설되게 성형할 때 물성이 다른 벽돌과 단열재를 일체화시키는 데 제작성의 어려움이 많고, 벽돌의 성형후 강도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시공시에 단열재의 설치 시공과정은 생략할 수 있을지라도 방수 시공상의 과정이나 단열성, 방음성 저하와 내벽 및 외벽의 내,외장 시공은 별도로 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에 현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적시공하면서도 높은 강도를 유지하며, 단열 및 방음, 방수효과가 우수하고, 콘크리트층의 외면에 내,외장재를 부착 성형시에는 별도의 내,외장시공이 필요없는 조립식 단열방음 블록을 제공하고져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블록본체를 성형 제조함에 있어서 콘크리트층와 단열재를 이용하여 블록본체의 중앙부에 일정 두께의 단열재층을 갖도록 하고 양측부에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게끔 일체로 성형하되, 배관용 구멍과 결속용 구멍을 가진 골격판체를 블록본체의 단열재층에 매설하여 콘크리트층과 단열재층이 골격판체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일체화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층와 단열재를 이용하여 단열방음 블록을 일체로 성형 제조함에 있어서, 플라스틱류, 유화소재 혼합콘크리트층 등의 유기질 콘크리트층 또는 자연골재 및 인조골재 콘크리트, 발포콘크리트층 등의 무기질 콘크리트층로서 양측부에 콘크리트층 (20)(20-1)을 형성하고, 상기 양측부에 형성된 콘크리트층(20)(20-1)의 중앙부에는 스티로폴, 아이소핑크, 폴리우레탄, 각종 유화수지류 등의 유기질 또는 퍼얼라이트, 석면, 유리섬유, 석고보드 및 혼합소재류 등의 무기질 단열재층(30)이 형성되게끔 블록본체(10)를 일체로 성형하되, 콘크리트층(20)(20-1)과 단열재층(30)의 결속은 물론, 강도증가를 위하여 수개의 골격판체(40)를 블록본체(10)의 내부에 매설하고, 단열재층(30)에는 상,하면에 수직끼움요부(31)와 수직끼움돌출부(32)를 형성하여 양측면에는 수평끼움요부(33)와 수평끼움돌출부(34)를 형성하였으며, 상기 골격판체(40)는 중앙부에 배관용 구멍(41)을 형성하고, 그 주연부에는 수개의 결속용 구멍(42)을 형성하며, 상하측 단부에는 하중 받침편(43)을 절곡형성하고, 상기 단열재층(30)에 골격판체(40)의 배관용 구멍(41)을 관통하도록 수평배관로(11)와 이에 연결관통하는 수직배관로(12)를 형성하였으며, 콘크리트층(20)(20-1)과 단열재층(30)의 연접부분에는 접합체 흡수공간부(13)를 형성하여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음 블록이다.
상기와 같이 성형제조되는 단열방음 블록은 블록본체(10)의 내부에 매설되는 골격판체(40)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관용 구멍(41)에 의해 블록본체(10)의 단열재층 (30)에 각종 전선관이나 배수관 등의 관체 매설용의 수평배관로(11)와 수직배관로 (12)를 형성하며, 골격판체(40)의 배관용 구멍(41)의 주연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속용 구멍(42)에 의해 단열재층(30)이 골격판체(40)와 일체로 결속되어 견고하게 성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골격판체(40)의 측면부에서는 보강메쉬(50)의 고정홈부(44)를 다수개 형성하여서 콘크리트층 (20)(20-1)의 내부강도를 증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그 실시에 있어서 블록본체(10)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층 (20)(20-1)을 각종 플라스틱류, 유화소재 혼합콘크리트층류 등의 유기질 재료 또는 자연골재 및 인조골재콘크리트층, 발포콘크리트층, 퍼얼라이트 경량콘크리트층 등의 무기질 재료 등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성형할 수 있으며, 단열재층(30)은 스티로폴, 아이소핑크, 폐, 재생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각종 유화수지류 등의 유기질 재료 또는 퍼얼라이트, 석면, 유리섬유, 석고보드 및 혼합소재류 등의 무기질 재료 등에서 임의로 선택 성형할 수 있는 것이고, 골격판체(40)는 스텐레스강, 철강, 알루미늄합금류 등의 금속재료 또는 플라스틱수지류, 그래파이트(Graphite), 각종 강화섬유, 탄소섬유 등의 유기질재료 또는 각종 타일소재, 세라믹소재, 점토 등의 무기질재료 등에서 임의로 선택 성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그 실시에 있어서, 상기 골격판체(40)를 단열재층과 같은 파쇄가 용이한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배관로(11)의 형성을 생략하고 시공시에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즉시 배관로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실시에 있어서 특히, 블록본체(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단열재층 (30)을 신발류 제조업체에서 나오는 폴리우레탄 등의 산업쓰레기류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는 범국가적인 쓰레기 줄이기 운동에 일익을 담당하는 효과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골격판체(40)를 탄소섬유류인 케브라섬유, 카본섬유 등의 가벼운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도율도 저하되지만 경향화와 강도 증대를 꾀할 수 있는 것이며, 그 형태도 임의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블록전체의 형태도 필요에 따라 "ㄱ"자형, "T"자형, "+"자형 등으로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실시에 있어서 콘크리트와 단열재를 이용하여 단열방음 블록을 성형하되, 콘크리트층과 골격판체로서만 블록을 성형한 후, 이를 조적한 다음 공간부에는 액체발포 단열재를 충입하여 경화시키는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블록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단열방음 블록은 이를 조적시 첨부도면 제5도 내지 제8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벽체를 시공하고져 하는 지면의 상측에 다중구조의 단열방음 블록(10)를 차례로 쌓아서 조적하되, 수직으로 조립시에는 블록(10)를 차례로 쌓아서 조적하되, 수직으로 조립시에는 블록(10)의 접합체 흡수 공간부에 접합용 시멘트 몰탈을 바르고 하측 블록(10)의 수직끼움요부(31)와 상측블록(10)의 수직끼움돌출부(32)를 제5도 및 제6도에서와 같이 끼워서 조립하여 상하측의 블록이 양측의 콘크리트층(20)(20-1)은 물론, 중앙의 단열재층(30)이 연접되게 조적되어 상측 블록(10)의 자중 또는 시공함에 의해 상기 상, 하측 블록(10)의 측면 사이에서 밀착되어 공간부를 밀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콘크리트층(20)(20-1)의 상면과 측면에는 접합 모르타르(80)를 도포하여서 상,하측 블록(10)이 긴밀하게 밀착 조적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실시에 있어서 블록본체(10)의 양측부에 형성된 콘크리트층 (20)(20-1)의 외면에 별도의 내,외장재를 부착하여서 일체로 성형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내,외장재가 건물 벽체의 하중으로만 작용치 않고 벽체의 강도증가를 얻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단열방음 블록은 경량이면서도 강도가 크고 조립성이 좋은 단일의 블록이 다중구조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단열성과 방음성 및 방수성이 뛰어나며, 또한 보온성도 우수하여 각종 건물등의 벽체를 시공시 종래의 레미콘공법에 의해 거푸집을 조립하고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공정을 거쳐서 내,외장재를 부착하므로서 각종 자재의 운반 및 보관과 작업상의 번거로움은 물론, 그에 따른 많은 소요비용의 지출, 그리고 오랜 기간의 공사기간등을 감안하면 거푸집의 설치기간 정도의 단기간에 시공이 완성되는 경제적인 것이며, 또한 벽돌이나 블록공정에 의한 다중벽제의 시공시 동일 콘크리트재료, 동일 두께의 시공작업에 따른 공기가 15~20배 정도 빠르고, 시공후 벽체의 강도도 25~30% 정도 증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단열방음 블록은 실험에 의하면 단열효과는 실내, 외 기온의 열전도를 98%이상 차단하는 효과가 있으며, 방음효과 역시 종래의 통상적인 벽체가 사람음성의 중간높이인 70~80DB정도면 벽체의 반대편에서 소리가 들리는 정도이나, 본 발명의 단열방음 블록은 10DB이하로 방음효율이 증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단열방음 블록으로 건물의 벽체를 시공시에는 기존의 벽돌이나 블록으로 벽체를 시공하는 것에 비하여 벽의 두께를 얇게 시공하면서도 단열성, 방음성은 물론, 자세하중을 줄이면서 강도의 증가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내부공간의 활용도가 증대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콘크리트와 단열재를 이용하여 단열방음 블록을 일체로 성형함에 있어서, 양측부에 콘크리트층(20)(20-1)를 형성하고 그 사이의 중앙부에는 단열재층(30)을 형성하도록 블록본체(10)를 일체로 성형하되, 콘크리트층(20)(20-1)과 단열재층(30)의 결속은 물론, 강도증가를 위하여 수개의 골격관체(40)를 블록본체(10)의 내부에 매설하고, 단열재층(30)에는 상,하면에 수직끼움요부(31)와 수직끼움돌출부(32)를 형성하며, 양측면에는 수평끼움요부(33)와 수평끼움돌출부(34)를 형성하였으며, 상기 골격판체(40)는 중앙부에 배관용구멍(41)을 형성하고, 그 주연부에는 수개의 결속용 구멍 (42)을 형성하며, 상하측 단부에는 하중받침편(43)을 절곡 형성하고, 상기 단열재층 (30)에 골격판체(40)의 배관용 구멍(41)을 관통하도록 수평배관로 (11)와 이에 연결관통하는 수직배관로(12)를 형성하였으며, 콘크리트 (20)(20-1)과 단열재층(30)의 연접부분에는 접합체 흡수공간부(13)를 형성하여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음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골격판체(40)의 측면부에는 보강메쉬(50)의 고정홈부(44)를 다수개 형성하여서 콘크리트층(20)(20-1)의 내부강도를 증대할 수 있도록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음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10)의 양측부에 형성된 콘크리트층 (20)(20 -1)의 외벽을 벽재, 천정재 및 바닥재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음블록.
KR1019910002962A 1991-02-23 1991-02-23 단열방음 블록 KR930010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2962A KR930010213B1 (ko) 1991-02-23 1991-02-23 단열방음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2962A KR930010213B1 (ko) 1991-02-23 1991-02-23 단열방음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673A KR920016673A (ko) 1992-09-25
KR930010213B1 true KR930010213B1 (ko) 1993-10-15

Family

ID=1931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2962A KR930010213B1 (ko) 1991-02-23 1991-02-23 단열방음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02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755B1 (ko) * 2007-07-24 2009-05-25 주현철 목재구조 건축용 벽체블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755B1 (ko) * 2007-07-24 2009-05-25 주현철 목재구조 건축용 벽체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673A (ko) 1992-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3238B2 (en) High performance, reinforced insulated precast concrete and tilt-up concrete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0701440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a low density wall panel with interior surface finished
KR100759368B1 (ko)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US20080104913A1 (en) Lightweight Concrete Wall Panel With Metallic Studs
US20050081484A1 (en) Hybrid insulating reinforced concrete system
EA000420B1 (ru) Легкий элемент конструкции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зданий и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зданий с его применением
KR950001912B1 (ko) 단열방음 블록 및 그 시공방법
JP3621048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外断熱建築物
KR930010213B1 (ko) 단열방음 블록
KR200396362Y1 (ko)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 및 파이프덕트 벽체구조
KR20180092477A (ko) 프리캐스트 내,외벽을 갖는 조립식 벽체
GB2079813A (en) Prefabricated building block and a building composed of such blocks
KR20000050637A (ko) 샌드위치형 콘크리트 패널
RU2194131C2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панель
KR102581937B1 (ko) 건식 난방 패널용 슬래브의 시공방법
US10633859B2 (en) Building element of mineral wool and fiber-reinforced plastic
FI61066B (fi) Skivkonstruktion
KR101073526B1 (ko) 외기와 접하는 욕실벽에 부착되는 조립식 난방단열유니트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34341Y1 (ko) 건축물의 내외부면용 경량복합패널 및 경량복합패널조립체
JP3652406B2 (ja) 地下室の断熱材の取付方法
KR100354717B1 (ko)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KR100730239B1 (ko)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 및 파이프덕트 벽체구조 및 그시공방법
RU13907U1 (ru) Крупнопанельный жилой дом и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RU163417U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KR20010083516A (ko) 건축용 단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