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522B1 - 초점유리프레임을 가진 제판카메라 및 초점유리프레임 - Google Patents

초점유리프레임을 가진 제판카메라 및 초점유리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522B1
KR930009522B1 KR1019910000327A KR910000327A KR930009522B1 KR 930009522 B1 KR930009522 B1 KR 930009522B1 KR 1019910000327 A KR1019910000327 A KR 1019910000327A KR 910000327 A KR910000327 A KR 910000327A KR 930009522 B1 KR930009522 B1 KR 930009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opening
sides
film hold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0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743A (ko
Inventor
가즈요시 곤도
바라 쇼오지 고마츠
Original Assignee
다이닛뽕스쿠린 세이소오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아키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닛뽕스쿠린 세이소오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아키라 filed Critical 다이닛뽕스쿠린 세이소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4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58Baseboards, masking frames, or other holders for the sensitive material
    • G03B27/60Baseboards, masking frames, or other holders for the sensitive material using a vacuum or fluid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323Copying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rojection-Type Copi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초점유리프레임을 가진 제판카메라 및 초점유리프레임
제 1 도는 종래의 제판카메라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제판카메라의 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Ⅲ-Ⅲ 방향의 사시도.
제 4 도는 가스 스프링의 일부 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판카메라의 주요부의 사시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제판카메라의 사시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일부 확대 사시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제판카메라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판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판카메라의 조작성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제판카메라의 초점 유리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제판카메라 예를 들면 종형 제판카메라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는 초점유리 프레임은 도시되지 않은 종형 프레임의 머리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프레임(2)을 포함한다. 프레임(2)의 전면에는, 조작판넬(6)이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2)은 그의 상면에 장방형의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정면에서 본 개구부의 우측에는, 반투명인 초점유리(104)가, 좌측에는 필림흡착판(105)이 설치되어 있다.
초점유리(104)는, 도시되지 않은 힌지(hinge)에 의해 프레임(2)의 상면에 부착되어져 있다. 초점유리(104)는, 화살표(111)에 따라서 회동할 수 있다. 필림흡착판(105)은 초점유리(104)와 같은 모양으로 힌지에 의해 프레임(2)의 상면좌단에 부착되어져 있다. 필림흡착판(105)은, 화살표(110)에 따라 회동할 수 있다. 필림흡착판(105)에는 손잡이(19)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2)의 우측부에는, 원고의 농도를 측정하는 때에 이용되는 작업대(48)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대(48)의 상면에는, 농도를 측정할 때에 사용하는 빛을 발하기 위한 발광창(17)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대(48)의 상면에는 또한, 측광탐침(18)이 설치되어 있다. 발광창(17)과 측광탐침(18)은 농도계(7)를 구성한다. 프레임(2) 하부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렌즈가 주름상자(8)를 경유하여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제판카메라는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
우선 초점유리(104)가 프레임(2)의 개구부상에 놓여진다. 도시되지 않은 렌즈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원고의 광학상을 초점유리(104)의 표면에 투영한다. 상이 양호하게 형성된 것을 확인한 후, 조작자는 초점유리(104)를 회동해서 개구부를 개방한다. 조작자는 안전광의 아래에서 필림흡착판(105)에 필림을 흡착 보지시킨다. 조작자는 손잡이(19)를 잡고서 필림흡착판(105)를 회동시켜 이전에 초점유리(104)가 있던 위치로 보낸다. 조작자는 그 후 조작반(6)을 조작해서 광원을 발광시켜 필림을 노광시킨다. 노광후, 조작자는 다시 손잡이(19)를 잡고서 필림흡착판(105)을 회동시켜 프레임(2)의 개구부를 개방시킨다.
상술과 같이 종래의 제판카메라에 있어서는 초점유리(104)와 필림흡착판(105)의 한쪽이, 선택적으로 프레임(2)의 개구부에 놓여져 상의 상태의 확인과 노광이 행하여진다. 그러나, 종래의 제판카메라에는 아래와 같은 결점이 있다.
종래의 제판카메라에 있어서는 초점유리(104)와 필림흡착판(105)이 프레임(2)의 좌우에 각각 회전해서 돌출한다.
초점유리(104)와 필림흡착판(105)은 프레임(2)의 개구부와 같은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제판카메라를 설치할 때에는 큰 면적을 요한다. 필림흡착판(105)의 앞끝은 필림흡착판(105)이 열려진 상태에서는 프레임(2)의 좌측부에서 상당히 떨어져서 위치한다. 손잡이(19)도 프레임(2)의 좌측부에서 멀리 위치한다. 특히 대형의 제판카메라의 경우, 손잡이(19)에 손을 옮겨 가기가 곤란해서, 제판카메라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없다.
제판카메라가 대형화하면, 필림흡착판(105)도 대형화 한다. 따라서, 필림흡착판(105)은 보다 무겁게 된다. 필림흡착판(105)의 무게 중심은 프레임(2)의 좌측부에서 더욱 멀어지게 된다. 필림흡착판(105)을 회동시키는데에 필요한 힘은 필림흡착판(105)의 무게와 필림흡착판(105)의 무게중심과 프레임(2)의 좌측부와의 사이의 거리와의 곱에 비례한다. 그 때문에 제판카메라가 대형화하는데 따라서 제판카메라의 조작성이 매우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제판카메라 및 그와 같은 제판카메라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는 초점유리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보다 적은 설치면적 밖에 필요로 하지 않는 제판카메라 및 그와 같은 제판카메라에 있어서 이용되는 초점유리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용이하게 필림흡착판을 움직이게 할 수 있는 제판카메라와 그와 같은 제판카메라에 있어서 사용되는 초점유리 프레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대형화해서도 비교적 적은 힘으로 움직일 수 있는 필림흡착판을 가지는 제판카메라 및 그와 같은 제판카메라에 있어서 사용되는 초점유리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제판카메라는 원고를 보지하기 원고지지대와 ; 원고지지대에 의해 보지된 원고의 상을 결상면에 투영하기 위한 렌즈와 ; 결상면을 규정하는 거의 장방형의 개구부를 가지고, 렌즈와 개구부와의 사이를 커버함에 의해서 렌즈와 개구부와의 사이에서 광차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과 ; 프레임의 개구의 제 1 의 부분을 남겨서, 제 1 의 부분 이외의 제2부분만을 덮는 폐쇄위치와,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프레임에 부착되어, 렌즈에서 투영된 빛을 받음에 의해, 그 표면에 원고의 상을 형성해서 초점이 맺히는 상태의 확인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초점유리와 ; 감광성 필림을 흡착하기 위한 제 1 의 면 및 제 2 의 면을 가지는 필림흡착판과 ; 필림흡착판을 제 1 의 면에 의해 개구부의 거의 전면을 덮는 폐쇄위치와, 제 2 의 면에 의해서 개구부의 제 1 의 부분만을 덮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회전축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를 포함한다.
초점유리는 개구부의 전면을 덮는데 충분한 크기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그 때문에 초점유리를 종래 것과 비교해서 가볍고 적게할 수 있다. 초점유리의 조작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의 초점유리가 프레임에서 돌출하는 길이는 적게되기 때문에 이 제판카메라의 설치면적은 적게 된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필림흡착판의 회전축은 폐쇄위치의 초점유리에 의해서 덮혀져 있지 않는 부분의 중앙에 설치된다. 회전축이 프레임의 끝부분보다 중앙에 근접해 있기 때문에 프레임 바깥에 돌출하는 필림흡착판의 길이는 종래보다 적게 된다. 필림흡착판을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설치면적일 적은 제판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필림흡착판은 장방형이고, 단변보다도 중앙근접의 서로 대향하는 2점에서 회전가능하게 보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제판카메라의 경우와 비교해서 회전축으로부터 필림흡착판의 가장 먼점이 회전축에 보다 가까워지게 된다. 그 때문에, 필림흡착판을 회전축 주위로 돌릴때의 힘이 종래보다 적게 되고, 보다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제판카메라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초점유리 프레임은 ; 결상면을 규정하는 거의 장방형의 개구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 개구부의 미리 정해진 제1의 부분을 남겨서, 개구부의 제 1 의 부분이외의 제 2 의 부분만을 덮는 폐쇄위치와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프레임에 부착되어, 제판카메라의 렌즈에서 투영된 빛을 받게됨에 의해, 그 표면에 원고의 상을 형성하기 위한 초점유리와 감광성 필림을 보지하기 위한 제 1 의 면 및 제 2 의 면을 가지는 필림보지판과, 필림보지판을, 제 1 의 면에 의해 개구부의 거의 전면을 덮는 폐쇄위치와, 제 2 의 면의 일부에 의해 개구부의 제 1 의 부분만을 덮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이외 목적, 특징, 형태와 잇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행하여지는 본 발명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진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 1 의 실시예에 관한 종형 제판카메라의 사시도이다. 제 2 도를 참조하면, 이 종형제판카메라는 L자형 베이스프레임(1)과, 베이스프레임(1)의 머리부에, 거기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초점유리 프레임(3)과, 프레임(3)의 아래쪽으로 승강가능하게 프레임(1)에 부착된 렌즈받침대(9)와, 렌즈받침대(9)의 아래쪽으로 승강가능하게 프레임(1)에 설치된 원고받침대(10)을 포함한다.
초점유리 프레임(3)은 장방형의 개구(20)을 가지는 프레임(2)과, 프레임(2)의 전면에 설치된 조작반(6)과, 개구(20)의 우측단의 프레임(2)의 상면에, 한쌍의 힌지(21)에 의해 부착된 초점유리(4)와, 프레임(2)의 상면에, 한쌍의 힌지(2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필림흡착판(5)과, 프레임(2)의 우측면상부에 설치되어 원고의 농도를 측정할 때에 사용되는 작업대(48)와, 원고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농도계(7)를 포함한다. 농도계(7)는 작업대(48)에 설치된 발광창(17)과, 작업대(48)상에 놓여진 측광탐침(18)을 포함한다. 필림흡착판95)의 끝부분의 전면에는, 손잡이(19)가 설치되어 있다.
렌즈받침대(9)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렌즈와, 복수매의 색필림(23)을 가지는 필터수용장치(24)이 설치되어 있다. 렌즈받침대(9)와 초점유리 프레임(3) 하면은 주름상자(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주름상자(8)와 프레임(2)은 렌즈를 투과한 빛의 광로를 둘러싸는, 광차폐 공간을 규정하고 있다. 렌즈를 교환함에 의해, 촬영배율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고받침대(10)는, 베이스프레임(1)에 승강이 자유롭게 부착된 원고대(11)와, 원고대(11)상에 원고를 압착해서 보지하기 위한 원고압착유리판(12)과, 원고대(11)에 암(13)을 경유하여 고정된 한쌍의 반사조명용 광원(14)과 원고대(11)의 하면에 장착된 도시되지 않은 투과조명 광원을 포함한다.
원고받침대(10)는 소망 배율로서 원고를 촬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도시되 있지 않는 자동초점기구에 의해 렌즈받침대(9)와 동시에 위치 결정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제판카메라의 초점유리 프레임(3) 각부에 대해서 제 3 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3 도에 있어서는 제 2 도의 작업대(48) 및 농도계(7)가 생략되어 있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제 3 도를 참조하면, 초점유리 프레임(3)은, 조작반(6)이 배치되어 있는 전면에서 보다 프레임(2)의 우측부근에 한쌍의 힌지(21)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초점유리(4)와, 프레임(2)의 좌측부근에 한쌍의 힌지(2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필림흡착판(5)을 포함한다. 초점유리(4)와 필림흡착판(5)은 회동되어서 선택적으로 결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초점유리(4)의 횡방향의 길이는 개구(20)의 우측의 하반부를 차지하는 크기(AlxB)로 선택되어져 있다. 초점유리(4)는 정면에서 보아 프레임(2)의 우측상면에 한쌍의 힌지(21)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져 있다. 초점유리(4)의 프레임(2)의 안쪽 방향의 길이 B는 개구(20)와 거의 같거나 또는 약간 적은 칫수를 가지고 있다.
초점유리(4)의 칫수가 이와 같이 선택되어져 있는 것은 원고의 상이 개구(20)의 중앙부에 관축중심을 놓고서 축대칭으로 결상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결상면의 중앙부에서 우측 절반에서 상의 형성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또한 렌즈받침대, 원고받침대의 위치를 조정해서 상의 형성상태를 변경해서 확인교정할 수 있다.
초점유리(4)는, 반드시 개구(20)의 칫수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데에 충분한 정도의 크기일 필요는 없다. 초점유리(4)는 촬영을 위한 빛의 광축중심 부근까지 개구(20)을 덮을 수 있으면 실용상 충분하다.
종래, 초점유리의 회동반경은 개구(20)의 횡방향의 길이 A와 같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제판카메라의 초점유리(4)에 있어서는 그의 회동반경(R1)이 개구(20)의 횡방향의 길이 A의 절반정도의 길이 A1에까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초점유리(4)의 회전이 용이하게 되고, 이 제판카메라의 설치면적도 감소할 수 있다. 필림흡착판(5)의 칫수는, 개구(20)의 전면을 차지하는 크기AxB와 같도록 선택되면 된다.
필림흡착판(5)은, 이 제판카메라의 정면에서 보아 프레임(2)의 중앙 약간 좌측부근에 힌지(25)를 경유하여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져 있다. 힌지(25)에 의해 규정된 필림흡착판(5)의 회동축 Z는, 개구(20)의 초점유리(4)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 부분 A2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회동축 Z는 필림흡착판(5)의 단변의 한쪽에서 R2의 거리에, 또 다른 한쪽에서 거리 R3로 취해져 있다. 단, R2〉R3이다. 또 거리 R3는 전술과 같이 A2/2와 거의 동등하다.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회전축이 필림흡착판(5)의 단변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그의 회전반경은 R2+R3였다. 한편, 본 실시예에 관한 제판카메라에 있어서는 필림흡착판의 회전반경의 최대는 R2이고, 종래의 회전반경 R2+R3보다도 적다. 이에 의해, 필림흡착판(5)을 회전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필림흡착(5)의 무게중심위치도 회동축 Z에 보다 접근할 수 있다. 손잡이(19)를 잡고 필림흡착판(5)을 회동시킬 때에 필요한 힘은, 전술과 같이 필림흡착판(5)의 무게와 회동축 Z에서 필림흡착판(5)의 무게중심까지의 거리와의 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판카메라에 있어서는 필림흡착판(5)을 보다 적은 힘으로서 회동시킬수가 없다.
또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개방위치에서의 필림흡착판(5)의 길이(R2+R3)의 거의 전부가 프레임(2)의 좌단에서 좌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판카메라에 있어서는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도 필림흡착판(5)은, 길이 RS-R3 정도밖에 프레임(2)의 좌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필림흡착판(5)의 회동을 위해 필요한 프레임(2)의 좌측의 공간의 길이는, 2R3(=A2)정도로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제판카메라의 설치면적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제 3 도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제판카메라는 또한 필림흡착판(5)의 회동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가스 스프링(16)을 포함한다. 필림흡착판(5)의 배면에는 핀(15)이 설치되어 있고 그 앞끝에 가스 스프링(16)의 일단이 부착되어 있다. 가스 스프링(16)의 다른 단은 프레임(2)의 상면에 설치된 스리트(29)중에 삽입되어 프레임(2)내의 미리 정해져 고정된 점에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 4 도를 참조하면 가스 스프링(16)은 실린더(31)와 실린더(31) 내에 삽입된 피스톤로드(33)의 선단에 부착된 피스톤(32)와, 실린더(31)의 개구부와 반대측에 설치된 부착부(36)와, 피스톤 로드(33)의 피스톤(32)과 반대측의 끝부분에 설치된 부착부(34)와, 실린더(31)의 개구부를 봉지하기 위한 씰(37)과, 실린더(31)의 내부 공간에 봉입된 오일(38)을 포함한다. 실린더(31)의 내부공간은 피스톤(32)에 의한 A실(39), B실(40)로 분할되어 있다. A실(39), B실(40)은 피스톤(32)에 형성된 구멍(35)에 의해 연동하고 있고, 고압가스로서 채워져 있다. 부착부(36)는 팬(15)(제 3 도)에 부착부(34)는 프레임(2)내의 미리 정해진 고정점에 제각기 부착된다. 가스 스프링(16)의 부착부(36)는, 화살표(41)로서 나타낸 방향에 따라서 움직일 수 있다. 실린더(31)내에 봉입된 가스에 의해 가스 스프링(16)은 부착부(36)의 변위에 대해서 스프링과 같은 모양으로 힘을 가한다. 따라서, 다시 제 3 도를 참조하면 필림흡착판(5)의 회전은, 가스 스프링(16)이 없는 경우보다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제판카메라의 조작성이 보다 향상한다.
제 3 도, 제 4 도에 나타난 가스 스프링(16)은, 필림흡착판(5)의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같은 모양의 기능을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 도에 그의 주요부가 나타난 제판카메라에 있어서는 제 3 도에 있어서 가스 스프링(16)에 대신해서, 회동축 Z와 동축상에 필림흡착판(5)에 고정되어, 앞단에 있어서 필림흡착판(5)의 회동측 Z로부터의 거리가 짧은 쪽이 단변측으로 굽혀진 L자형의 암(26)과 암(26)의 앞단에 부착된 바란스 웨이트(27)을 포함한다. 바란스 웨이트(27)는 필림흡착판(5)의 무게중심을 회동축 Z측에 보다 보다 접근하게 한다. 그 때문에 필림흡착판(5)을 회전할 때에 필요한 힘은, 암(26), 바란스 웨이트(27)가 없는 경우와 비교해서 감소한다.
제 5 도에 있어서, 제 3 도와 동일 부품에는 동일의 참조부호 및 명칭이 부여되어 있다. 그러한 칫수, 기능도 양도면에 있어서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이들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가스 스프링(16)(제 3 도)과 같은 모양의 기능은 더욱이 다른 수단에 의해서도 실현할 수 있고, 제 6 도, 제 7 도는 그와같은 다른 수단의 하나의 예이다. 제 6 도를 참조하면, 이 제 3 의 실시예의 제판카메라가 제 3 도에 나타난 것과 다른 것은 제 3 도의 가스 스프링(16)을 대신해서, 필림흡착판(5)의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판스프링등을 포함한 힌지(28)를 포함하는 것이다. 제 6 도와 제 3 도에 있어서 동일 부품에는 동일 참조부호 및 명칭이 부여되어 있다. 이들의 기능도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제 7 도를 참조하면, 힌지(28)는 프레임(2)의 상면에 설치되어 필림흡착판(5)의 측면에 설치된 축(4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42)를 포함한다. 축(44)의 선단에는 스리트가 형성되어 있다. 축(44)의 스리트는, 필림 흡착판(5)이 프레임(2)의 상면과 평행하게 될 때에, 프레임(2)의 상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힌지(28)는 또한 프레임(2)의 상면의 필림흡착판(5)의 회전축의 연장선상에 설치되어, 프레임(2)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갭(46)을 가지는 스프링 누름(43)과, 한쪽끝이 축(44)의 스리트에, 다른 끝이 스프링 누름(43)의 갭(46)에 제각기 삽입된 판스프링(45)을 포함한다.
판스프링(45)은 필림흡착판(5)이 프레임(2)에 대해서 수직으로 서있을때(필림흡착판(5)이 중립위치에 있을 때)에는, 축(44)에 대해 힘을 미치지 못한다. 그런, 판스프링(45)은 필림흡착판(5)이 다른 위치에 있을 때에는, 필림흡착판(5)을 중립위치에 되돌아가도록 축(44)에 대해 토크(torgue)를 부여한다. 따라서, 필림흡착판(5)을 회동축 Z주위에 회전시킬 때, 필림흡착판(5)에는 상시 필림흡착판(5)을 중립위치로 되돌리려는 힘이 더해진다. 필림흡착판(5)을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역으로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제각기 회전시킬 때, 필림흡착판(5)의 회전을 개시시키기 위한 힘과, 필림흡착판(5)의 회전을 멈추기 위한 힘 쌍방 모두 종래보다 적게 된다. 따라서 본 제판카메라는 대단히 조작성이 좋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제1-제 3 의 실시예에 기초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제 8 도를 참조하면, 제 8 도에 주요부가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제 4 의 실시예에 대한 제판카메라는 제 3 도에 나타난 초점유리(4)에 대신해서 프레임(2)의 상면에 스라이드할 수 있게 부착된 초점유리(54)를 포함하고 있다.
초점유리(54)의 칫수는 제 2 도, 제 3 도에 나타난 것과 동일하게 선택되어 있다. 이와같은 제판카메라에 의해서도, 제1-제 3 의 실시예에 의해 설명된 제작 카메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그외에 있어서는 제 8 도에 나타난 장치와 제 2 도, 제 3 도에 나타난 장치와는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이 제판카메라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이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의 실시예중에서는 종형제판카메라가 예로서 열거되었다. 그러나, 본 출원에 관한 제판카메라 및 초점유리 프레임은, 예를들면 횡형의 저상식(低床式) 혹은 현수식(懸垂式)의 제판카메라에 대해서도 매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가스 스프링(16)(제 3 도), 암(26) 및 바란스 웨이트(27)(제 5 도), 힌지(28)(제 6 도)등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그러한 것들이 없어도 종래의 제판카메라와 비교해서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고, 또한 설치면적도 적게 만든 제판카메라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이 자세하고 분명하게 기술되었으나 이는 설명과 예제일 뿐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22)

  1. 원고를 보지하기 위한 원고 보지수단(10)과 ; 상기 원고 보지수단(10)에 의해 보지된 상기 원고의 상을 미리 정해진 결상면상에 투영하기 위한 상투영수단(9)과 ; 상기 결상면을 규정하는 거의 장방형의 개구부(20)를 가지며, 상기 투영수단(9)과 상기 개구부(20) 사이를 커버하는 것에 의해, 상기 투영수단(9)과 상기 개구부분(20)와의 사이에 광차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광차폐 수단(2)과 ; 상기 개구부(20)의 미리 정해진 제 1 의 부분(A2XB)을 남겨서, 상기 개구부분(20)의 상기 제 1 의 부분(A2XB)이외의 제2부분(A1XB)만을 덮는 폐쇄위치와, 상기 개구부분(20)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광차폐수단(2)으로 부착되어 상기 투영수단(9)에서 투영된 빛을 받는 것에 의해, 그의 표면에 상기 원고의 상을 형성하기 위한 상형성 부재(4,54)와 ; 감광성 필림을 보지하기 위한 제 1 의 면 및 제 2 의 면을 가지는 필림 보지수단과 ; 상기 필림 보지수단을 상기 제1면에 의해 상기 개구부의 거의 전면을 덮는 폐쇄위치와, 상기 제 2 의 면을 일부에 의해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제 1 의 부분(A2XB)만을 덮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회전축(Z)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상기 광차폐 수단(2)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을 포함하도록한 제판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장방형은, 서로 평행한 제 1 의 한쌍의 변 및 서로 평행한 제 2 의 한쌍의 변에 의해서 규정되고, 상기 개구부(20)의 상기 제 1 의 부분(A2XB)과 상기 제 2 의 부분(A2XB)은 상기 제 1 의 한쌍의 변에 평행한 선분에 의해 분할되도록한 제판카메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림 보지수단의 상기 회전축(Z)은, 상기 제 1 의 한쌍의 변에 평행한 상기 선분과, 상기 제 1 의 부분(A2XB)측의 상기 제 1 의 한쌍의 변의 한쪽과의 사이의 중앙에, 상기 제 1 의 한쌍의, 변과 평행으로 설치되게한 제판카메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림 보지수단은, 서로 평행한 한쌍의 장변 및 서로 평행한 한쌍의 단변들에 의해 규정된 장방형의 필림 보지판(5)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개구부분(20)의 상기 제 2 의 한쌍의 변의 쌍방에 따라서 상기 광차폐 수단(2)상에 제각기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Z)을 규정하여 상기 회전축(Z)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상기 필림보지판(5)의 상기 한쌍의 장변의 각각을 지지하기 위한 필림 보지판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필림 보지판 지지수단의 각각이 상기 제 1 의 한쌍의 변에 평행한 상기 선분과, 상기 제 1 의 부분측(A2XB)의 상기 제 1 의 한쌍의 변의 한쪽과의 사이의 중앙에 설치되게한 제판카메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림보지판 지지수단은, 상기 필림보지판(5)을 상기 단변의 한쪽에서 미리 정해진 제 1 의 거리(R2)에서의 상기 장변의 각각에서 회전가능하게 보지하기 위한 수단(25)을 포함하게한 제판카메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림보지수단은, 상기 회전축(Z) 주위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 1 의 수단(16)을 포함하게한 제판카메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수단(16)은, 상기 필림보지수단의 상기 회전축(Z)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필림보지수단의 무게중심위치를 상기 회전축(Z)에 근접시키기 위한 중량을 붙는 수단(26,27)을 포함하게한 제판카메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수단(16)은, 상기 필림보지수단을 상기 필림보지수단의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필림 보지수단의 상기 개방위치와의 사이의 미리 정해진 회전위치로 향하여 힘을 가하기 위한 힘을 가하는 수단(28)을 포함하게한 제판카메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부재(4)를, 상기 개구부(20)의 상기 제 1 의 한쌍의 변중 상기 제 2 의 부분(A1XB)에 가까운 부근의 상기 광차폐 수단(2)상에, 상기 제 1 의 한쌍의 변과 평행한 축주위에, 상기 상형성 부재(4)의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상형성 부재(4)의 상기 개방위치와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수단(21)을 포함하게한 제판카메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부재(54)를, 상기 개구부분(20)의 상기 제 1 의 한쌍의 변중 상기 제 2 의 부분(A1XB)에 가까운 쪽으로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상형성 부재(54)의 상기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스라이드를 가능하게 보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게한 제판카메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부재(4)가 덮은 상기 개구부(20)의 상기 제 2 의 부분(A1XB)의 면적은 상기 개구부(20)의 면적의 거의 절반이 되도록 한 제판카메라.
  12. 원고를 보지하기 위한 원고 보지수단(10)과, 상기 원고 보지수단(10)에 의해 보지된 상기 원고의 상을 미리 정해진 결상면상에 투영하기 위한 상투영수단(9)과를 가지는 제판카메라에서 사용되는 초점 유리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결상면을 규정하는 거의 장방형의 개구부(20)를 가지는 프레임(2)과 ; 상기 개구부(20)의 미리 정해진 제 1 의 부분(A2XB)을 남겨서, 상기 개구부(20)의 상기 제 1 의 부분(A2XB)이외의 제 2 의 부분(A1XB)만을 덮은 폐쇄위치와, 상기 개구부(20)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프레임(2)에 부착되어, 상기 투영수단(9)에서 투영된 빛을 받는 것에 의해 그 표면에 상기 원고의 상을 형성하기 위한 상형성부재(4,54)와 ; 감광성 필림을 보지하기 위한 제 1 의 면 및 제 2 의 면을 가지는 필림보지수단과 ; 상기 필림보지수단을 상기 제 1 의 면에 의해 상기 개구부(20)의 거의 전면을 덮는 폐쇄위치와, 상기 제 2 의 면의 일부에 의해 상기 개구부(20)의 상기 제 1 의 부분(A2XB)만을 덮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회전축(Z)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2)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을 포함하도록 한 초점유리 프레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방형은 서로 평행한 제 1 의 한쌍의 변 및 서로 평행한 제 2 의 한쌍의 변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개구부(20)의 상기 제 1 의 부분(A2XB)과 상기 제 2 의 부분(A1XB)은, 상기 제 1 의 한쌍의 변에 평행한 선분에 의해 분할되게한 초점유리 프레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림보지수단의 회전축(Z)은, 상기 제 1 의 한쌍의 변에 평행한 상기 선분과 상기 제 1 의 부분(A2XB)측의 상기 제 1 의 한쌍의 변의 한쪽과의 사이의 중앙에 상기 제 1 의 한쌍의 변과 평행하게 설치되게한 초점유리 프레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림보지수단은 서로 평행한 한쌍의 장변 및 서로 평행한 한쌍의 단변에 의해 규정되는 장방형의 필림보지판(5)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개구부(20)의 상기 제 2 의 한쌍의 변의 쌍방에 따라서 상기 광차폐 수단(2)상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Z)을 규정하여, 상기 회전축(Z)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필림보지판(5)의 상기 한쌍의 장변의 각각을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필림보지판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필림보지판 지지수단의 각각은, 상기 제 1 의 한쌍의 변에 평행한 상기 선분과, 상기 제 1 의 부분(A2XB)측의, 상기 제 1 의 한쌍의 변의 한쪽과의 사이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초점유리 프레임(3).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림보지판 지지수단은, 상기 필림보지판(5)을 상기 단변의 한쪽에서 미리 정해진 제 1 의 거리(R2)에서의 상기 장변의 각각에서 회전 가능하게 보지하기 위한 수단(25)을 포함하게 한 초점유리 프레임.
  17. 제 12 항에 있어서, 필림보지수단은, 상기 회전축(Z) 주위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 1 의 수단(16)을 포함하는 초점유리 프레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수단(16)은, 상기 필림보지수단의 상기 회전축(Z)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필림보지수단의 무게중심위치를 상기 회전축(Z)에 근접하기 위한 무게붙이기 수단(26,27)을 포함하는 초점유리 프레임.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수단(16)은, 상기 필림보지수단을 상기 필림보지수단의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필림보지수단의 상기 개방위치와 중간의 미리 정해진 회전위치로 향해서 힘을 가하기 위한 힘을 가하는 수단(28)을 포함하도록한 초점유리 프레임.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부재(4)를, 상기 개구부(20)의 상기 제 1 의 한쌍의 변중 상기 제 2 의 부분(A1XB)에 가까운 쪽 부근의 상기 광차폐 수단(2)상에, 상기 제 1 의 한쌍의 변에 평행한 축주위에 상기 상형성부재(4)의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상형성부재(4)의 상기 개방위치와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수단(21)을 포함하도록한 초점유리 프레임.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부재(54)는, 상기 개구부(20)의 상기 제 1 의 한쌍의 변중 상기 제 2 의 부분(A1XB)에 가까운 쪽에 상기 상형성부재(54)의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와의 사이에 스라이드 가능하게 보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도록한 초점유리 프레임.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제 2 의 부분(A1XB)의 면적은 상기 개구부의 거의 절반의 면적이 되도록한 초점유리 프레임.
KR1019910000327A 1990-01-16 1991-01-11 초점유리프레임을 가진 제판카메라 및 초점유리프레임 KR930009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0002977U JP2512068Y2 (ja) 1990-01-16 1990-01-16 製版カメラの撮影架
JP2-2977 1990-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743A KR910014743A (ko) 1991-08-31
KR930009522B1 true KR930009522B1 (ko) 1993-10-06

Family

ID=11544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0327A KR930009522B1 (ko) 1990-01-16 1991-01-11 초점유리프레임을 가진 제판카메라 및 초점유리프레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05216A (ko)
EP (1) EP0441133A3 (ko)
JP (1) JP2512068Y2 (ko)
KR (1) KR9300095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5979A (en) * 1995-06-07 1998-03-10 Julich; Harry Method and implementing sub-assemblies and assembly to flatten photographic film during picture-taking
CN113375564B (zh) * 2021-05-27 2023-02-07 孟飞 一种水工环地质裂缝测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5336A (en) * 1964-03-17 Movable vacuum platen for reproducing apparatus
US3077141A (en) * 1960-09-27 1963-02-12 Robertson Photo Mechanix Inc Valve control means for a vacuum back
US3295408A (en) * 1964-06-16 1967-01-03 Multiprint Inc Optical apparatus for adjusting copyto-image ratios in graphic arts photography
US3424530A (en) * 1965-10-22 1969-01-28 Nuarc Co Photographic machine
US3594079A (en) * 1968-07-18 1971-07-20 Icp Inc Book copier with movable carrier
US3717411A (en) * 1971-04-15 1973-02-20 Dick Co Ab Reversible copyboard for electrostatic copying machine
JPS4856146A (ko) * 1971-11-13 1973-08-07
US3998546A (en) * 1975-05-05 1976-12-21 Filminiature Systems, Inc. Multi-image reproducing apparatus
CH659331A5 (de) * 1982-10-01 1987-01-15 Sinar Ag Schaffhausen Teil einer photographischen kamera bildende einrichtung.
US4618255A (en) * 1984-06-18 1986-10-21 Dainippon Screen Mfg., Co., Ltd. Process camera apparatus
DK154988C (da) * 1984-09-03 1989-05-29 Eskofot As Sugekassette
US4591251A (en) * 1985-04-08 1986-05-27 Cubic Corporation Process camera adapter
DE3629749A1 (de) * 1986-09-01 1988-03-10 Safouh I Naamani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filmabzuegen
EP0367234B1 (en) * 1988-11-01 1994-01-19 Hirakawa Kogyosha Co., Ltd. Process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12068Y2 (ja) 1996-09-25
EP0441133A3 (en) 1992-03-04
KR910014743A (ko) 1991-08-31
EP0441133A2 (en) 1991-08-14
JPH0394533U (ko) 1991-09-26
US5105216A (en) 199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32351B2 (ja) 写真焼付機のトリミング装置
US4609270A (en) Camera with interchangeable taking lenses
KR930009522B1 (ko) 초점유리프레임을 가진 제판카메라 및 초점유리프레임
US4757353A (en) Apparatus for setting regions to be trimmed on an original picture in a photographic printer
JP3231356B2 (ja) データ写し込み装置を備えたカメラ
US1808274A (en) Projection printer
EP0138972A1 (en) Folded optical large format photomicrographic camera system
DE68923333T2 (de) Bildlesegerät.
US2729141A (en) Image superimposition projection devices
US5640631A (en) Finder system of a single lens reflex camera
US4208102A (en) Enlargement lens mount
US4310240A (en) Photographic apparatus with movable lens
US4119372A (en) Microfiche inspection apparatus
US3288022A (en) Photoreproduction device
US2492836A (en) Apparatus for instantaneous photography in relief at variable distances
US4588275A (en) Photographic apparatus
JP3165303B2 (ja) カメラの露光画面切替え装置
US1272190A (en) Photographing apparatus.
JPS5936252B2 (ja) 立体写真作製方法及びその装置
JP2728893B2 (ja) 透過原稿投影装置
JP2691747B2 (ja) 原稿照明装置
US2487913A (en) Lens supporting and focusing mechanism for motion-picture cameras
JP3752036B2 (ja) ファインダの視野枠切換装置
JPS6333207Y2 (ko)
JPH0540319A (ja) 立体撮影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