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511B1 - 리파아제 존재하의 글리세리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파아제 존재하의 글리세리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511B1
KR930009511B1 KR1019860000282A KR860000282A KR930009511B1 KR 930009511 B1 KR930009511 B1 KR 930009511B1 KR 1019860000282 A KR1019860000282 A KR 1019860000282A KR 860000282 A KR860000282 A KR 860000282A KR 930009511 B1 KR930009511 B1 KR 930009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ase
fatty acid
mixture
monoglycerides
glyce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0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548A (ko
Inventor
쇼따로 야마구찌
다미오 마세
사또루 아사다
Original Assignee
아마노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아마노 모또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205798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3000951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마노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아마노 모또히로 filed Critical 아마노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6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36Fatty acid esters
    • C12P7/6445Glycerides
    • C12P7/6458Glycerides by transesterification, e.g. interesterification, ester interchange, alcoholysis or acid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36Fatty acid esters
    • C12P7/6445Glycerides
    • C12P7/6454Glycerides by este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0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2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by esterification of fatty acids with glycero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0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4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by esterification of fats or fatty oils
    • C11C3/06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by esterification of fats or fatty oils with glycero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36Fatty acid esters
    • C12P7/6445Glycerides
    • C12P7/6472Glycerides containing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residues, i.e.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in their backb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리파아제 존재하의 글리세리드 제조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글레세리드 성분의 수소 불꽃 이온화 검출기를 사용한 얇은 막크로마토그래피의 분석에 관한 것.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G : 모노글리세리드 1,2-DG : 1,2-디글리세리드
1,3-DG : 1,3-디글리세리드 FA : 지방산
본 발명은 효소를 상용하여 글리세리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와 글리세롤을 리파아제 존재하에 반응시켜서 글리세리드를 합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트리글리세리드가 전혀 또는 거의 함유되지 않은, 주로 모노글리세리드와 디글리세리드로 이루어진 글리세리드를 제조하기 위해서 리파아제로 모노글리세리드 리파아제, 디글리세리드 리파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와 글리세롤을 리파아제 조재하에 반응시킴에 의한 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리파아제는 트리글리세리드 및 디글리세리드가 전혀 또는 거의 함유되지 않고, 주로 모노글리세리드로 이루어진 글리세리드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모노글리세리드 및 디글리세리드는 유화제 및 살균제로 유용하다.
리파아제는 유지류 및 지방산 에스테르를 가수분해시키는 효소이다. 그러나, 특정 조건하에서 리파아제는 가수분해의 역반응인 에스테르화 반응을 유발시키므로 지방산과 글리세롤 또는 지방산과 알코올로부터 글리세리드 또는 에스테르를 합성할 수 있음이 공지되어 있다(J. Gen. Appl. Microbiol., 10, 13∼22,1964 ; Proc. Ⅳ IFS : Ferment. Technol. Today, 315∼320, 1972, Society of Fermentation Technology Japan 발표 ; Biochim. Biophys. Acta, 489, 415∼422, 1977 ; Bull. Tech/Gattefoss e Rep., 76, 34∼36, 1983 ; J. Am. Oil Chem.Soc., 61, 191∼195, 1984 ; 일본국 특허공보 제 7754/1976호, 일본국 특허공보 제 23535/1982호, 일본국 특허공개 제 118094/1984호, 일본국 특허공개 제 118095/1984호, 등). 상기의 선행 기술에서 사용된 리파아제 및 가장 보편적인 리파아제는 소위 트리글리세리드 리파아제라고도 불리는 트리아실글리세롤 리파아제이다. 이러한 리파아제는 각 글리세리드에 대한 특이성은 다르지만, 트리글리세리드뿐만 아니라 디글리세리드 및 모노글리세리드에 대하여 특이성을 갖는다. 이런 트리글리세리드 리파아제의 작용을 이용한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합성된 글리세리드는 통상적으로 트리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및 모노글리세리드의 혼합물이고, 상기 글리세리드가 주로 모노글리세리드와 디글리세리드로 구성되어도, 글리세리드 혼합물내의 모노글리세리드의 함량은 적다.
모노글리세리드 및 디글리세리드는 음식물, 화장품 및 의약품 등에서 유화제로써 널리 사용된다. 유화제로서의 작용 능력에서 모노글리세리드가 디글리세리드보다 월등히 좋고, 트리글리세리드의 존재는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모노라우린, 모노카프린, 등과 같은 특별한 형태의 모노글리세리드는 예를 들면 음식물에 대한 살균제 또는 방부제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유화제로 사용되는 글리세리드는 약 90몰% 이상의 모노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글리세리드의 공지된 제조방법에서, 모노글리세리드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글리세리드 혼합물을 분자 증류 등을 수행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로 모노글리세리드로 구성된 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 및, 유화제 및 살균제로 유용한 주로 모노글리세리드 및 디글리세리드로 구성된 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를 모노글리세리드 리파아제, 디글리세리드 리파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하에 글리세롤과 반응시켜, 트리글리세리드가 전혀 또는 함유되지 않고, 주로 모노글리세리드와 디글리세리드로 구성된 글리세리드를 제조한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라, 트리글리세리드와 디글리세리드가 전혀 또는 거의 함유되지 않고 주로 모노글리세리드로 구성된 글리세리드를 제조하기 위해, 디글리세리드와 트리글리세리드의 생성이 최소화되는 바람직한 조건에서,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를 모노글리세리드 리파아제, 디글리세리드 리파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하에 글리세롤과 반응시킨다.
본 발명의 한 면에 따라, 글리세롤과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를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모노글리세리드 리파아제, 디글리세리드 리파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하에 교반함으로 구성된 트리글리세리드를 거의 함유하지 않은 모노글리세리드 및 디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라, 글리세롤과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를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모노글리세리드 리파아제, 디글리세리드 리파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하에 교반함으로 구성된, 트리글리세리드와 디글리세리드를 거의 함유하지 않은 모노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를 적당한 조건에서 모노글리세리드 리파아제, 디글리세리드 리파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하에 글리세롤과 반응시키면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트리글리세리드 및 디글리세리드가 전혀 또는 거의 없는 글리세리드가 합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리파아제는 글리세롤의 3개의 히드록실기중 어느 1개가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된 모노글리세리드, 글리세롤의 1,2- 또는 1,3- 또는 2,3- 위치의 2개의 히드록실기가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된 디글리세리드, 또는 상기 모노글리세리드와 상기 디글리세리드의 혼합물을 가수분해시킬 수는 있지만, 글리세롤의 3개의 히드록실기 모두가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된 트리글리세리드에는 전혀 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효소이다. 이러한 리파아제의 예로 페니실리움 속(genus)의 곰팡이에 의해서 제조된 모노글리세리드 및 디글리세리드에 대해 특이성을 갖고 있는 리파아제뿐만 아니라, 쥐의 소장, 돼지의 지방조직 등과 같은 동물의 내부기관에서 수득한 모노글리세리드 리파아제 및 디글리세리드 리파아제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페니실리움 속으로부터 수득한 리파아제가 바람직하다. 특히, ATCC 34613의 수탁번호하에 아메리칸 타입 컬쳐 콜렉션(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 기탁되어 있는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Penicillium cyclopioum)에 의해서 제조된 리파아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균주는 ATCC 목록에 기재되어 있고 어느 누구도 이용할 수 있다.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은 트리글리세리드 리파아제를 제조할뿐만 아니라, 모노글리세리드 및 디글리세리드에 대해서 특이성을 갖는 리파아제도 제조한다고 공지되어 있다.(J. BIOCHEM., 87, 205∼211, 1980).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리파아제가 본 발명의 목적에 사용될 수 있다고 제시한 어떤 문헌도 발견할 수 없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리파아제를 제조하기 위해서, 모노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대해서 특이성을 갖는 리파아제를 제조할 수 있는 페리실리움속의 균주를 미생물 배양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배지에서 배양하여, 배양 혼합물에 축적된 리파아제를 수거한다. 배양 혼합물에서 수거한 리파아제를 공지의 정제 수단으로 정제한다 ;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한 리파아제를 순수한 상태로 정제할 필요는 없다. 단지 조(crude) 리파아제가 트리글리세리드 리파아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트리글리세리드 리파아제가 제거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 ATCC 34613에서 수득한 배양 혼합물에 트리글리세리드 리파아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배양 혼합물로부터 조(crude) 효소용액을 크로마토그래피, 특히 바람직하게는 DEAE-세파로스 CL-6B를 사용한 크로마토그래피하면 트리글리세리드 리파아제를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글리세리드 합성의 출발물질로 사용한 지방산 및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C4∼22포화 또는 불포화지방산, 상기한 지방산의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벤질, 아밀, 비닐 및 다른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오토클레이브 방법, 트윗첼(twitchell) 방법, 비누화 등과 같은 물리화학적 방법에 의해서 수득하거나, 또는 트리글리세리드 리파아제를 사용하는 효소 방법에 의해서 수득한 유지류의 가수분해물도 역시 유용하다. 지방산 및 지방산 에스테르는 직쇄 또는 측쇄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지방산의 예로는 스테아르산, 올레인산, 리놀레인산(linoleic acid), 리놀렌산, 팔미트산, 미리소트산, 라우르산(lauric acid), 카프르산(capric acid), 카프릴산(caprylic.acid)카프로인산(caproic acid) 및 이소스테아르산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지방산 에스테르의 예로는 비닐스테아레이트, 비닐팔미테이트, 비닐라우레이트, 및 비닐카프레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의 지방산중 하나 또는 상기의 지방산 에스테르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하에 글리세롤과 20∼55℃의 온도에서 1시간 ∼5일간 교반하면서 반응 혼합물의 수분함량이 30중량% 이하가 되도록 하면서 반응시켜서, 트리글리세리드가 전혀 또는 거의 함유되지 않고, 주로 모노글리세리드와 디글리세리드로 이루어진 글리세리드를 합성한다. 사용한 리파아제의 양은 출발물질로 사용한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에 대한 글리세롤의 비는 몰비로 0.2∼200이 바람직하다. 반응중의 pH 범위는 사용한 리파아제가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 ATCC 34613 리파아제를 사용하는 경우, 확실히 트리글리세리드가 전혀 합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합성된 글리세리드 내의 모노글리세리드와 디글리세리드의 비는 반응조건을 적당히 선택함에 따라서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따라서, 글리세리드 내의 모노글리세리드의 비는 약 50%(몰비) 내지 거의 100%까지 변할 수 있다. 대체로 모노글리세리드만 합성하기 위해서, 반응시간을 1∼50시간, 사용한 리파아제의 양을 출발물질로 사용한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의 몰당 1.3∼3,300 단위 및 출발물질로 사용한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에 대한 글리세롤의 비를 몰비로 0.2∼50 정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경우, 반응 혼합물 내의 물의 양, 반응온도 및 Ph는 상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합성된 글리세리드 혼합물을 석유 에테르 등과 같은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반응 혼합물과 분리시킨후, 진공증류 또는 알칼리 정제하여 지방산을 제거한다. 반응하지 않은 출발물질은 글리세리드 합성의 출발물질로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수득한 글리세리드가 충분히 높은 비율의 모노글리세리드를 함유하고 있으면, 혼합물 그 자체가 유화제 또는 살균제로 사용될 수 있다. 만약 모노글리세리드의 양이 불충분하면 분자 증류 등과 같은 방법으로 모노글리세리드 함량을 증가시킨 후에 목적에 따라 글리세리드를 사용할 수 있다 ;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분자 증류 등과 같은 처리는 불필요하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올레인산과 글리세롤로부터 합성된 글리세리드에 대한 성분 분석의 전형적인 예이다. 올레인산과 글리세롤 사이의 반응 종결후, 반응 혼합물을 석유 에테르로 추출한 다음, 수득한 추출물 내의 조성은 수소불꽃 이온화 검출기(Iatron Laboratories, Inc. 가 제조한 Iatroscan TH-10)를 사용하는 실리카겔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제 1 도에서는 명백하듯이 수득한 글리세리드내의 성분의 대부분은 모노글리세리드(MG, 즉 모노올레인)이다 ; 1,2-디글리세리드(1,2-DG 즉 1,2-디올레인) 및 1,3-디글리세리드(1,3-DG 즉, 1,3-디올레인)은 소량 존재하고, 트리글리세리드(즉, 트리올레인)은 전혀 합성되지 않는다. 제 1 도에서 FA는 반응하지 않은 올레인산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대해 실험과 실시예를 들어서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예정이다. 글리세리드 합성에서 소비된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의 비율(이후부터는 소비율로 표기)의 측정뿐만 아니라 합성된 글리세리드의 분석도 하기와 같이 수행한다. 리파아제의 단위에 대한 정의도 역시 하기에 표시했다.
[합성된 글리세리드의 성분 분석]
반응 혼합물을 석유 에테르로 추출한다. 수득한 추출물 내의 성분을 준비된 실리카겔 얇은 막 플레이트(Whatman co. 제조 PLK 5)에 점적하고, 석유 에테르 : 디에틸 에테르 : 아세트산(80:30:1 부피비)으로 전개시킨후, 반점을 요오드 증기로 검출한다. 한 종류의 글리세리드를 함유한 각 반점을 회수한후, 트리글리세리드 리파아제, 글리세롤 키나아제, 글리세롤-3-포스페이트 옥시다아제 및 과산화효소를 사용한 효소적 트리글리세리드 판정을 위한 조성물(Wako Pure Chem. Ind., Ltd. 제조, 트리글리세리드 G-테스트 Wako)을 상용하여 각각의 특별한 글리세리드를 정량 결정한다. 각 분자종의 비율은 몰%로 표시한다.
[출발불질인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의 소비율]
반응 혼합물을 석유 에테르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 내의 성분을 불꽃 이온화 검출기를 사용하여 앞에서 언급한 얇은 막 트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다. 출발물질인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의 소비율은 수득한 글리세리드 및 반응하지 않은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의 전체 피이크 면적에 대한 수득한 글리세리드의 피이크 면적의 합의 비율로 표시한다.
[리파아제 단위의 정의]
리파아제를 함유한 50mM 인산염 완충액(pH 6.0) 0.4 ml, 글리세롤 5.0g 및 올레인산 0.5g을 혼합한다. 혼합물을 40℃에서 60분간 교반하면서 배양한후, 아세톤과 에탄올(1:1)의 혼합물 20ml을 가해서 반응을 종결한다. 그후, 잔재 올레인산의 양을 0.1 N 수산화나트륨으로 적정하여 결정한다. 상기 반응에서 분당 1미크로몰의 옥살산을 환원시키는데 필요한 리파아제의 양을 1 단위로 정의한다.
[실험 1]
모노글리세리드와 디글리세리드에 대해서 특이성을 갖는 리파아제의 제조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 ATCC 34613을 2% 쌀겨와 1.5% 옥수수 담근액(corn steep liquor)을 함유한 액체 배지(pH 6.0)에 접종시킨후, 26℃에서 2일간 교반 및 통기하면서 배양한다. 이렇게 수득한 배양 혼합물에서 균사체를 여과하여 제거한다. 남은 여과액을 초원심 분리하여 농축시킨다. 수득한 농축물을 파마시아 회사 제품의 DEAE-세파로우스 CL-6B를 사용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존재하는 트리글리세리드 리파아제를 분리 및 제거하고, 정제된 리파아제 제제를 수득한다. 수득한 리파아제 제제는 모노글리세리드와 디글리세리드를 가수분해시키지만, 트리글리세리드에 대해서는 가수분해 활성이 나타내지 않음이 명백하다.
이후에는 리파아제 제제를 사용한다.
[실험 2]
합성된 글리세리드의 성분비와 반응시간 사이의 관계
올레인산 1.77g, 글리세롤 8.0g,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에서 분리한 리파아제를 함유한 용액 0.2ml(3.3 단위) 및 물 0.35ml를 혼합하여 40℃에서 교반하면서 반응시킨다. 반응 시작후, 8,24,48 및 96 시간마다 반응 혼합물의 시료를 수거하여 생성된 각각의 글리세리드 성분비 분석을 수행한다. 표 1에서 기재되었듯이, 수득한 각 글리세리드 혼합물은 단지 모노글리세리드와 디글리세리드로만 구성되고, 트리글리세리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모노글리세리드의 비율은 70% 이상이며, 반응시간이 짧아질수록 모노글리세리드의 함량은 더욱 증가한다.
[ 표 1]
Figure kpo00001
[실험 3]
사용한 리파아제의 양과 합성된 글리세리드의 성분비 사이의 관계
실험 2에서, 사용한 리파아제의 양을 광범위하게 변화시키고 반응을 40℃에서 20 시간 동안 수행한다. 표 2에 기재되었듯이, 리파아제를 소량 사용할수록 합성된 모노글리세리드의 함량은 증가한다.
[표 2]
Figure kpo00002
[실험 4]
(a) 출발물질의 비(지방산 대 글리세롤)와 (b) 합성된 글리세리드의 성분비 사이의 관계
실험 2에서, 올레인산과 글리세롤의 비를 광범위하게 변화시키고 반응을 40℃에서 20시간 동안 수행한다.
표 3에 기재되었듯이, 지방산에 대한 글리세롤의 비가 작아질수록 합성된 모노글리세리드의 함량은 증가한다.
[표 3]
Figure kpo00003
[실시예 1]
올레인산 1.77g, 글리세롤 8.0g 및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에서 분리한 리파아제를 함유한 용액 0.2ml(3.3 단위)를 혼합하여 30℃에서 20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올레인산의 소비율은 47%이다. 생성된 글리세리드를 석유 에테르로 추출하여 성분비를 분석한다. 전체량의 글리세리드 내의 모노글리세리드의 비율은 98.4%이고 디글리세리드의 비율은 1.6%이다. 트리글리세리드는 전혀 검출되지 않는다.
[실시예 2]
올레인산 0.44g, 글리세롤 9.5g 및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에서 분리한 리파아제를 함유한 용액 0.2ml(3.3 단위)를 혼합하여 40℃에서 20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올레인산의 소비율은 0.75%이고, 합성된 글리세리드는 모노글리세리드 88.2%, 디글리세리드 11.8% 및 트리글리세리드 0%로 구성된다.
[실시예 3]
올레인산 1.77g, 글리세롤 8.0g 및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에서 분리한 리파아제를 함유한 용액 0.05ml(3.7 단위), 및 물 0.05ml를 혼합한후, 30℃에서 20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올레인산의 소비율은 23%이고, 합성된 글리세리드는 모노글리세리드 94.9%, 디글리세리드 5.1% 및 트리글리세리드 0%로 구성된다.
[실시예 4]
라우르산 또는 카프르산 1.77g, 글리세롤 8.0g,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에서 분리한 리파아제를 함유한 용액 0.2ml(3.3 단위), 및 물 0.35ml를 혼합하여 40℃에서 20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지방산의 소비율과 합성된 글리세리드의 성분비는 표 4에 기재되어 있다.
[표 4]
Figure kpo00004
[실시예 5]
리놀레인산 1.76g 또는 리놀렌산 1.75g, 글리세롤 8.0g,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에서 분리한 리파아제를 함유한 용액 0.2ml(3.3 단위), 및 1M 매킬바인(McIlvaine) 완충액(pH 6.0) 0.35ml를 혼합하여 440℃에서 20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지방산의 소비율과 합성된 글리세리드의 성분은 표 5에 기재되어 있다.
[표 5]
Figure kpo00005
[실시예 6]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미리스트산, 카프릴산 또는 카프로인산 1.77g, 글리세롤 8.0g,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에서 분리한 리파아제를 함유한 용액 0.2ml(3.3 단위), 및 물 0.35ml를 혼합하여 40℃에서 20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합성된 각 글리세리드 혼합물은 주로 모노글리세리드로 구성된다. 각 글리세리드 혼합물 내에 디글리세리드는 단지 소량 존재하고, 트리글리세리드는 검출되지 않는다.
[실시예 7]
올레인산 1.0g, 팔미트산 1.0g, 글리세롤 8.0g,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에서 분리한 리파아제를 함유한 용액 0.2ml(3.3 단위), 및 물 0.35ml를 혼합하여 40℃에서 20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지방산의 소비율은 28%이고 합성된 글리세리드는 모노글리세리드 94.4%, 디글리세리드 5.6% 및 트리글리세리드 0%로 구성된다.
[실시예 8]
비닐 라우레이트 1.77g, 글리세롤 8.0g 및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에서 분리한 리파아제를 함유한 용액 0.55ml(27.7 단위)를 혼합하여 40℃에서 20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비닐 라우레이트의 소비율은 94%이고, 합성된 글리세리드는 모노글리세리드 96.2%, 디글리세리드 3.8%, 및 트리글리세리드 0%로 구성된다.
[실시예 9]
비닐 카프레이트 1.77g, 글리세롤 8.0g,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에서 분리한 리파아제를 함유한 용액 0.2ml(3.3 단위) 및 물 0.35ml를 혼합하여 40℃에서 20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비닐 카프레이트의 소비율은 91%이고 합성된 글리세리드는 모노글리세리드 95.9%, 디글리세리드 4.1% 및 트리글리세리드 0%로 구성된다.
[실시예 10]
비닐 팔미테이트 1.77g 또는 비닐 스테아레이트 1.95g, 글리세롤 8.0g,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에서 분리한 리파아제를 함유한 용액 0.2ml(9.2 단위) 및 물 0.35ml를 혼합하여 각 혼합물을 40℃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각 반응에서, 지방산 에스테르의 소비율과 합성된 글리세리드의 성분은 표 6에 기재되어 있다.
[표 6]
Figure kpo00006

Claims (12)

  1.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와 글리세롤을 혼합하여, 그 혼합물을 모노글리세리드 리파아제, 디글리세리드 리파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하에서 교반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가 실제로 함유되지 않은 모노글리세리드 및 디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리파아제가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 ATCC 34613에서 제조되고 모노글리세리드 및 디글리세리드를 특이적으로 가수분해시키는 리파아제인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한 리파아제를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 ATCC 34613 배양 혼합물로부터 트리글리세리드 가수분해 리파아제를 크로마토그래피로 제거하여 수득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은 원료 지방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의 몰당 1.3∼3300 단위의 양으로 사용된 모노글리세리드 리파아제, 디글리세리드 리파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하, 20∼55℃의 온도, 1시간∼5일 동안 교반하에서 및 반응 혼합물중의 수분 함량이 약 30중량% 이하에서 수행하고, 원료 지방산 또는 에스테르에 대한 글리세롤의 몰비가 0.2∼200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지방산이 C4∼22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인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지방산 에스테르는 C4∼22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벤질, 아밀 및 비닐 에스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방법.
  7.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와 글리세롤을 혼합하여, 그 혼합물을 모노글리세리드 리파아제, 디글리세리드 리파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하에서 교반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 및 디글리세리드가 실제로 함유되지 않은 모노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리파아제가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 ATCC 34613에서 제조되고 모노글리세리드 및 디글리세리드를 특이적으로 가수분해시키는 리파아제인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사용된 리파아제는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 ATCC 34613 배양 혼합물로부터 트리글리세리드 가수분해 리파아제를 크로마토그래피로 제거하여 수득하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반응은 원료 지방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의 몰당 1.3∼3300 단위의 양으로 사용된 모노글리세리드 리파아제, 디글리세리드 리파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하, 20∼55℃의 온도, 1시간∼50 시간 동안 교반하에서 및 반응 혼합물중의 수분함량이 약 30중량% 이하에서 수행하고, 원료 지방산 또는 에스테르에 대한 글리세롤의 몰비가 0.2∼50인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지방산이 C4∼22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인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지방산 에스테르는 C4∼22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벤질, 아밀 및 비닐 에스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KR1019860000282A 1985-02-06 1986-01-18 리파아제 존재하의 글리세리드 제조방법 KR9300095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546 1985-02-06
JP60021546A JPS61181390A (ja) 1985-02-06 1985-02-06 酵素によるグリセライドの製造法
JP21546/86 1986-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548A KR860006548A (ko) 1986-09-13
KR930009511B1 true KR930009511B1 (ko) 1993-10-06

Family

ID=1205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0282A KR930009511B1 (ko) 1985-02-06 1986-01-18 리파아제 존재하의 글리세리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191217B2 (ko)
JP (1) JPS61181390A (ko)
KR (1) KR930009511B1 (ko)
DE (1) DE3561892D1 (ko)
ES (1) ES8701832A1 (ko)
NL (1) NL860014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6698A (ja) * 1987-05-29 1988-12-02 Lion Corp 高純度モノグリセリドの連続製造方法
DE3854664T2 (de) * 1987-10-14 1996-05-02 Kao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olyol-Fettsäureesters und dadurch erhaltene Glyceridmischung.
DE3743824C2 (de) * 1987-12-23 1997-03-06 Hoechst Ag Verfahren zur enzymatischen Racematspaltung von racemischen Alkoholen mit/in Vinylestern durch Umesterung
US5316927A (en) * 1988-10-04 1994-05-31 Opta Food Ingredients, Inc. Production of monoglycerides by enzymatic transesterification
EP0407959A3 (en) * 1989-07-11 1992-01-02 Lion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polyol fatty acid monoesters
DE3928383C1 (ko) * 1989-08-28 1991-01-24 Henkel Kgaa, 4000 Duesseldorf, De
DE3928382A1 (de) * 1989-08-28 1991-03-07 Henkel Kgaa Verfahren zur herstellung reiner monoglyceride
US5677160A (en) * 1989-10-30 1997-10-14 Henkel Corporation Fat splitting process
US5142072A (en) * 1989-12-19 1992-08-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lective esterification of long chain fatty acid monoglycerides with medium chain fatty acid anhydrides
US5188858A (en) * 1991-01-18 1993-02-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pylene glycol diesters of medium chain and long chain saturated fatty acids useful as reduced calorie cocoa butter substitutes and hard butters
DK166650B1 (da) * 1991-03-15 1993-06-28 Aarhus Oliefabrik As Fedtbaser samt anvendelse af disse i kosmetiske og farmaceutiske emulsionsprodukter
AU706444B2 (en) * 1995-05-31 1999-06-17 Henkel Corporation Improved fat splitting process
US6936289B2 (en) 1995-06-07 2005-08-30 Danisco A/S Method of improving the properties of a flour dough, a flour dough improving composition and improved food products
US6261812B1 (en) 1997-08-18 2001-07-17 Kao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diglycerides
US6025348A (en) * 1998-04-30 2000-02-15 Kao Corporation Oil and fat composition containing phytosterol
JP3720194B2 (ja) * 1998-07-09 2005-11-24 花王株式会社 部分グリセリドの製造法
EP1098988B9 (en) 1998-07-21 2007-10-24 Danisco A/S Foodstuff
US6068997A (en) * 1999-03-01 2000-05-30 Kemin Industries, Inc. Method for the conversion of lecithin into lysolecithin
KR100385625B1 (ko) * 2000-08-08 2003-05-27 일신유화주식회사 고순도 디글리세리드의 분리 및 정제방법
KR20020048464A (ko) * 2000-12-16 2002-06-24 정대원 효소를 이용한 모노글리세리드의 선택적 제조방법
AU2002339115B2 (en) 2001-05-18 2007-03-15 Dupont Nutrition Biosciences Aps Method of preparing a dough with an enzyme
JP3970669B2 (ja) 2001-08-02 2007-09-05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共役脂肪酸含有モノグリセリ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141399B2 (en) * 2002-01-15 2006-11-28 Kao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iglycerides
KR20030088206A (ko) * 2002-05-13 2003-11-19 일신유화주식회사 디글리세리드의 효소적 제조방법
US20050196766A1 (en) 2003-12-24 2005-09-08 Soe Jorn B. Proteins
MXPA05007653A (es) 2003-01-17 2005-09-30 Danisco Metodo.
US7955814B2 (en) 2003-01-17 2011-06-07 Danisco A/S Method
US20050058673A1 (en) 2003-09-09 2005-03-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timicrobial compositions and methods
WO2008090395A1 (en) 2007-01-25 2008-07-31 Danisco A/S Production of a lipid acyltransferase from transformed bacillus licheniformis cells
US7718408B2 (en) 2003-12-24 2010-05-18 Danisco A/S Method
US7906307B2 (en) 2003-12-24 2011-03-15 Danisco A/S Variant lipid acyltransferases and methods of making
GB0716126D0 (en) 2007-08-17 2007-09-26 Danisco Process
GB0405637D0 (en) 2004-03-12 2004-04-21 Danisco Protein
CN101818177A (zh) 2004-07-16 2010-09-01 丹尼斯科公司 脂肪分解酶及其在食品工业中的应用
BRPI0404595A (pt) * 2004-10-26 2006-06-13 Natura Cosmeticos Sa nanoemulsão óleo-em-água, composição cosmética e produto cosmético compreendendo a mesma, processo para preparação da dita nanoemulsão
EP1868686A2 (en) * 2005-03-10 2007-12-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timicrobial pet wipes
US10918618B2 (en) 2005-03-10 2021-02-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of reducing microbial contamination
ATE511838T1 (de) 2005-03-10 2011-06-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ntimikrobielle zusammensetzungen mit hydroxycarboxylsäureestern
EP1858506A2 (en) 2005-03-10 2007-11-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of treating ear infections
EP1935971A1 (en) * 2006-12-18 2008-06-25 Chant Oil Co., Ltd. Partial acyl glyceride based biowaxes, biocandles prepared therfrom and their preparation methods
JP2008220236A (ja) * 2007-03-12 2008-09-25 Taiyo Corp 中鎖および長鎖脂肪酸モノグリセリドの製造方法
JP5586855B2 (ja) * 2009-02-12 2014-09-10 花王株式会社 モノアシルグリセロール高含有油脂の製造方法
FR2945180B1 (fr) 2009-05-07 2013-02-22 Arjowiggins Security Support d'information presentant des proprietes antivirales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FR2967074B1 (fr) * 2010-11-08 2013-06-28 Arjowiggins Security Compositions fluides aptes a former un revetement presentant des proprietes antivirales
CN104131045A (zh) * 2014-08-08 2014-11-05 江西华敏粮油有限公司 一种甘油二酯的制备方法
CA3102464C (en) 2018-06-05 2023-09-05 Dsm Ip Assets B.V.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iglycerid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3535A (en) * 1980-07-17 1982-02-06 Sumitomo Metal Ind Ltd Control process of raw material yard fac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8600148A (nl) 1986-09-01
KR860006548A (ko) 1986-09-13
EP0191217B1 (en) 1988-03-16
DE3561892D1 (en) 1988-04-21
JPS61181390A (ja) 1986-08-14
ES8701832A1 (es) 1986-12-01
EP0191217A1 (en) 1986-08-20
EP0191217B2 (en) 1992-02-19
ES547036A0 (es) 1986-12-01
JPH0412112B2 (ko) 199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9511B1 (ko) 리파아제 존재하의 글리세리드 제조방법
EP0307154B1 (en) Preparation of diglycerides
EP0274798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sters
Macrae et al. Present and future applications of lipases
Jensen et al. Selectivity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lipases (acylglycerol hydrolases)
EP1005517B1 (en) Process for producing diglycerides
Okumura et al. Positional specificities of four kinds of microbial lipases
US6337414B1 (en) Process for producing partial glyceride
Yamaguchi et 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ono-and diacylglycerol lipase isolated from Penicillium camembertii U-150
AU673538B2 (en) Enzymes produced by mutants of geotrichum candidia
Ratledge et al. Oils and fats: production, degradation and utilization by yeasts
US5270188A (en) Preparation of glycerides having a high content of monglycerides with a lipase from Penicillium cyclopium ATCC 34613
Lecointe et al. Ester synthesis in aqueous media in the presence of various lipases
Mitsuda et al. Preparation of an optically pure secondary alcohol of synthetic pyrethroids using microbial lipases
US20050233427A1 (en)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triglycerides of 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presence of enzymes
Mukherjee et al. Enrichment of very-long-chain mono-unsaturated fatty acids by lipase-catalysed hydrolysis and transesterification
JPH11123097A (ja) ジグリセリドの製造法
Tahoun et al. Specificity and glyceride synthesis by mycelial lipases of Rhizopus delemar
JPH0533988B2 (ko)
US7138256B2 (en) Processes for preparing conjugated linoleic acid from conjugated linoleic acid esters
JP2707642B2 (ja) リゾリン脂質の製造法
Kuo et al. Acetylacylglycerol formation by lipase in microaqueous milieu: effects of acetyl group donor and environmental factors
KR100385625B1 (ko) 고순도 디글리세리드의 분리 및 정제방법
JP2006288404A (ja) ジグリセリドの製造法
Ahmed et al. Bacillus tequilensis lipase catalyzed synthesis of different esters for food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