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096B1 - 비디오 프로젝터의 액정패널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프로젝터의 액정패널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096B1
KR930009096B1 KR1019910001516A KR910001516A KR930009096B1 KR 930009096 B1 KR930009096 B1 KR 930009096B1 KR 1019910001516 A KR1019910001516 A KR 1019910001516A KR 910001516 A KR910001516 A KR 910001516A KR 930009096 B1 KR930009096 B1 KR 930009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plate
adjusting
fixing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253A (ko
Inventor
장경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1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9096B1/ko
Publication of KR920015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프로젝터의 액정패널 조정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 조정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 2 도는 동 장치의 수직조정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관련부위를 발췌하여 나타낸 개요평면도.
제 3 도는 동 장치의 틸트조정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관련부위를 발췌하여 나타낸 개요평면도.
제 4 도는 동 장치의 수평조정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관련부위를 발췌하여 나타낸 개요평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조정판 20 : 제 2 조정판
30 : 제 3 조정판 40 : 고정판
110 : 수직조정봉 210 : 틸트조정봉
310 : 수평조정봉 140, 150 : 수직고정나사
260, 270 : 틸트고정나사 330 : 수평고정나사
본 발명은 액정패널을 가지는 비디오 프로젝터(video projector)의 액정패널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직, 수평 및 틸트조정이 가능한 비디오 프로젝터의 액정패널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프로젝터는 적, 녹, 청의 3색광을 포함하는 백색 광원으로부터 그 3색광을 분리하고, 분리된 광을 각각 비디오신호가 인가되는 전용 액정패널에 투과시키고, 이를 다시 합성하여 줌렌즈를 통해 스크린에 투영시킴으로써 칼라화상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따라서 상기 분리된 3색광이 각각의 전용 액정패널의 중심을 지나서 다시 합성되고 그 합성된 광이 줌렌즈에 정확히 도달하게 하는데는 그 액정패널의 상, 하, 좌, 우 및 기울기등의 조정이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액정패널을 단순한 브라켓에 설치하여 왔기때문에 액정패널을 교환수리하거나 또는 사용중 재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그 액정패널과 브라켓을 본체로부터 완전분해시켜야 하는 번거러움은 물론 그 조정작업이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브라켓의 지지구조를 개량하여 상하방향의 수직조정, 좌우방향의 수평조정 및 회전방향의 틸트조정이 가능하고 또한 간단한 소도구, 예컨대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본체외부에서 간단히 조정가능한 그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정패널을 가지는 비디오 프로젝터의 액정패널 조정장치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 3 조정판 ; 고정판 ; 상기 제 1 조정판을 상기 제 2 조정판에 대하여, 상기 제 2 조정판을 상기 제 3 조정판에 대하여, 그리고 상기 제 3 조정판을 상기 고정판에 대하여, 상호 다르고 각각 상하, 좌우 및 회동방향 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한 제1, 제2 및 제 3 조정수단 ; 및 상기 제 1 조정판을 상기 제 2 조정판에, 상기 제 2 조정판을 상기 제 3 조정판에, 그리고 상기 제 3 조정판을 상기 고정판에,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해체가능한 제1, 제2 및 제 3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액정패널이 상기 제 1 조정판에 설치되어 수직, 수평 및 틸트조정되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 조정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액정패널(P), 제1, 제2 및 제3 조정판(10)(20)(30), 고정판(40) 및 각 조정 및 고정수단의 부재들을 나타낸다.
여기서 액정패널(P)은 제 1 조정판(10)의 러그(11)에 체결고정되며, 그 제 1 조정판(10)은 액정터널(P)의 수직조정을 위한 제 1 조정수단에 의하여 상하이동 되어지도록 제 1 고정수단과 함께 상기 제 2 조정판(20)에 지지되며, 그 제 2 조정판(20)은 틸트조정을 위한 제 2 조정수단에 의하여 회동되어지도록 제 2 고정수단과 함께 상기 제 3 조정판(30)에 지지되며, 그 제 2 조정판(20)은 틸트조정을 위한 제 2 조정수단에 의하여 회동되어지도록 제 2 고정수단과 함께 상기 제 3 조정판(30)에 지지되며, 그리고 그 제 3 조정판(30)은 수평조정을 위한 제 3 조정수단에 의하여 좌우이동되어 지도록 제 3 고정수단과 함께 상기 고정판(40)에 지지된다. 한편 그 고정판(40)은 도시하지 않은 비디오 프로젝터 본체내에 고정장착된다.
수직조정을 위한 제 1 조정수단은, 제 2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조정판(20)의 연장부(21)에 공회전 조작되도록 지지되고 나사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조정봉(110)과, 그 나사부(111)의 진행방향으로 이동되어지는 이송자(120) 및 그 이송자(120)와 연결되는 가동단부(131)와 상기 제 2 조정판(20)에 피봇지지되는 고정단부(132) 및 상기 제 1 조정판(10)과 연결되는 관절부(133)를 가지는 V절링크(130)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조정판(10)이 상하이동 되어질 수 있도록 수직장공(12)을 형성하여 가이드 고정부재(50)에 지지시킨 구성으로 된다.
틸트조정을 위한 제 2 조정수단은, 제 3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3 조정판(30)의 연장부(31)에 공회전 조작되도록 지지되고 나사부(211)가 형성되어 있는 틸트조정봉(210)과, 그 나사부(211)의 진행방향으로 이송되어지는 이송자(220)와, 그 이송자(220)와 연결되는 가동단부(231)와 상기 제 3 조정판(30)의 일측 수평장공(32)에 유동적으로 끼워진 유동단부(232) 및 상기 제 2 조정판(20) 일측에 피봇지지된 관절부(233)를 가지는 일측 V절링크(230)와, 상기 제 3 조정판(30)의 타측 수평장공(33)(34)에 각각 유동적으로 끼워진 양측의 유동단부(241)(242) 및 상기 제 2 조정판(20) 타측에 피봇지지된 관절부(243)를 가지는 타측 V절링크(240), 및 양측 V절링크(230)와, 상기 제 3 조정판(30)의 타측 수평장공(33)(34)에 각각 유동적으로끼워진 양측의 유동판부(241)(242) 및 상기 제 2 조정판(20) 타측에 피봇지지된 관절부(243)를 가지는 타측 V절링크(240), 및 양측 V절링크(230)(240)의 한 유동단부(232)(242)를 연결하는 연결대(250)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조정판(20)이 회동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양측 V절링크(230)(240)의 관절부(232)(243)를 잇는 수평선상의 중간지점에 원공(22)을 형성하여 상기한 가이드고정부재(50)에 지지시킨 구성으로 된다.
그리고 수평조정을 위한 제 3 조정수단은, 제 4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40)의 연장부(41)에 공회전 조작되어지도록 지지되고 나사부(311)가 형성되어 있는 수평조정봉(310) 및 그 나사부(311)의 진행방향으로 이송되어지고 상기 제 3 조정판(30)에 고정설치된 이송자(320)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조정판(30)이 좌우 이동되어지도록 수평장공(35)을 형성하여 상기한 가이드 고정부재(50)에 지지시킨 구성으로 된다.
다음, 상기 제 1 조정판(10)을 상기 제 2 조정판(20)에 고정시키기 위한 해제가능한 제 1 고정수단은, 제 2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의 수직고정나사(140) (150)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조정판(10) 양측에 수직장공(13)(14)을 형성하여 그 수직고정나사(140)(150)가 각각 그 수직장공(13)(14)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조정판(20)에 체결되는 구성으로 된다.
상기 제 2 조정판(20)을 상기 제 3 조정판(30)에 고정시키기 위한 해제가능한 제 2 고정수단은, 제 3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의 틸트고정나사(260)(270)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조정판(20) 양측에 상기원공(22)을 중심으로 하는 호형장공(23) (24)을 형성하여 그 틸트고정나사(260)(270)가 각각 그 양측 호형장공(23)(24)을 관통하여 상기 제 3 조정판(30)에 체결되는 구성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조정판(30)을 상기 고정판(40)에 고정시키기 위한 해제가능한 제 3 고정수단은, 제 4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고정나사(330)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조정판(30)에 수평장공(36)을 형성하여 그 수평고정나사(330)가 그 수평장공(36)을 통해 상기 고정판(40)에 체결되는 구성으로 본다.
이하에,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액정패널 조정장치에 의한 각 조정기능을 설명한다.
1) 수직조정
제 2 도에서, 양측의 수직고정나사(140)(150)가 풀려 있는 상태에서 제 2 조정판(20)의 연장부(21)에 지지된 수직조정봉(110)을 회전시키면, 그 수직조정봉(110)의 나사부(111)에 결합된 이송자(120)가 그 나사부(111)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 또는 우방향으로 이동되어지고, V절링크(130)가 고정단부(132)를 중심으로 회동되어지는 것에 의하여 그의 관절부(133)를 변위시킨다. 이때 그 관절부(133)의 변위에는 수직성분이 있고, 또한 제 1 조정판(10)의 이동방향이 수직장공(12) 및 그에 끼워진 가이드 고정부재(50)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그 제 1 조정판(1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로써 액정패널(P)의 상하 위치가 조정되는 것이다. 그 조정작업을 마친 후 상기 양측 수직고정나사(140)(150)를 죄어주면 그 제 1 조정판(10)이 상기 제 2 조정판(20)에 고정된다. 그러나 그 제 1 조정판(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상하방향과 다른 회동방향으로 움직여질 수 있다.
2) 틸트조정
제 3 도에서, 양측 틸트고정나사(260)(270)가 풀려 있는 상태에서, 제 3 조정판 (30)의 연장부(31)에 지지된 틸트조정봉(210)을 회전시키면, 그 틸트조정봉(210)의 나사부(211)에 결합된 이송자(220)가 그 나사부(211)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 또는 우방향으로 이동되어지고, 일측 V절링크(230)가 펼쳐지거나 꺾여 지거나 하여 그의 관절부(233)를 상 또는 하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동시에 연결대(250)에 의하여 그 일측 V절링크(230)와 연결되어 있는 타측 V절링크(240)가 다른 방향의 같은 동작으로 연동되어 그의 관절부(243)를 하 또는 상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이때 상기 관절부 (233)(243)와 연결된 제 2 조정판(20)의 이동방향이 그 관절부(233)(243)를 잇는 수평선상의 중간지점에 형성된 원공(22) 및 그에 끼워진 가이드 고정부재(50)에 의하여 회동방향으로 제한되므로 그 제 2 조정판(2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이로써, 그 제 2 조정판(20)의 기울기가 조정되는 것인데, 상기에서와 같이 제 1 조정판(10)이 그 제 2 조정판(20)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해서 상기 액정패널(P)의 틸트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그 조정작업을 마친 후 상기 양측 틸트고정나사(260) (270)를 죄어주면 그 제 2 조정판(20)이 상기 제 3 조정판(30)에 고정된다. 그러나 그 제 2 조정판(2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상하 및 회동방향과 각각 다른 좌우방향으로 움직여질 수 있다. 아뭏튼 상기한 수직조정 및 틸트조정에 의하여 상기 액정패널(P)의 상, 하 및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3) 수평조정
제 4 도에서, 수평고정나사(330)가 풀려 있는 상태에서, 고정판(40)의 연장부(41)에 지지된 수평조정봉(310)을 회전시키면, 그 수평조정봉(310)의 나사부(311)에 결합된 이송자(320)가 그 나사부(311)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되어진다. 그러면 그 이송자(320)가 상기 제 3 조정판(30)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의 수평장공(35)에 가이드고정부재(50)가 지지되어 있으므로 그 제 3 조정판(30)이 곧바로 좌 또는 우방향으로 이동되어진다. 이로써 그 제 3 조정판(30)의 좌우위치가 조정되는 것인데, 상기에서와 같이 제 2 조정판(20)이 그 제 3 조정판(30)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제 1 조정판(10)이 그 제 2 조정판(20)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해서 상기 액정터널(P)의 수평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그 조정작업을 마친 후 상기 수평고정나사(330)를 죄어주면 그 제 3 조정판(30)이 상기 고정판(40)에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상기한 수직, 수평 및 틸트조정에 의하여 액정패널(P)의 상, 하, 좌, 우 및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액정패널의 조정작업을 함에 있어서, 몇개의 조정봉과 나사를 풀거나 죄는 정도로 미세하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고, 드라이버등의 간단한 소도구를 사용하고 또한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로 조정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디오 프로젝터를 비롯하여 액정패널 또는 그와 같은 평판표시소자를 가지는 각종 제품에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용,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10)

  1. 액정패널을 가지는 비디오 프로젝터의 액정패널 조정장치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 3 조정판 ; 고정판 ; 상기 제 1 조정판을 상기 제 2 조정판에 대하여, 상기 제 2 조정판을 상기 제 3 조정판에 대하여, 그리고 상기 제 3 조정판을 상기 고정판에 대하여, 상호 다르고 각각 상하, 좌우 및 회동방향 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한 제1, 제2 및 제 3 조정수단 ; 및 상기 제 1 조정판을 상기 제 2 조정판에, 상기 제 2 조정판을 상기 제 3 조정판에, 그리고 상기 제 3 조정판을 상기 고정판에,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해제가능한 제 1, 제 2 및 제 3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액정패널이 상기 제 1 조정판에 설치되어 수직, 수평 및 틸트조정 되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프로젝터의 액정패널 조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정수단이, 나사부(111)를 가지며 회전조작되도록 설치되는 수직조정봉(110)과, 그 나사부(111)의 진행방향으로 이송되어지는 이송자(120), 및 그 이송자(120)과 연결되는 가동단부(131)와 피봇지지되는 고정단부(132) 및 상기 제 1 조정단과 연결되는 관절부(133)를 가지는 V절링크(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상기 제 1 조정판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수직조정기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프로젝터의 액정패널 조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정수단이, 나사부(211)를 가지며 회전조작 되도록 설치하는 틸트조정봉(210)과, 그 나사부(211)의 진행방향으로 이송되어지는 이송자(220)와, 그 이송자(220)와 연결되는 가동단부(131)와 유동단부(232) 및 상기 제 2 조정판의 일측에 피봇지지되는 관절부(233)를 가지는 일측 V절링크(230)와, 양측의 유동단부(241)(242) 및 상기 제 2 조정판의 타측에 피봇지지되는 관절부(243)를 가지는 타측 V절링크(240), 및 그 양측 V절링크(230)(240)의 한 유동단부(232)(242)를 연결하는 연결대(2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상기 제 2 조정판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틸트조정기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프로젝터의 액정패널 조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조정수단이, 나사부(311)를 가지며 회전조작되도록 설치되는 수평조정봉(310), 및 그 나사부(311)의 진행방향으로 이송되어지고 상기 제 3 조정판에 고정설치되는 이송자(3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상기 제 3 조정판의 좌우위치를 조정하는 수평조정기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프로젝터의 액정패널 조정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수단이, 양측의 수직고정나사(140)(150)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조정판 양측에 수직장공(13)(14)을 형성하여, 그 양측의 수직고정나사(140)(150)가 각각 그 수직장공(13)(14)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조정판에 체결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프로젝터의 액정패널 조정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수단이, 양측의 틸트고정나사(260)(270)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조정판 양측에 소정의 호형 장공(23)(24)를 형성하여, 그 양측의 틸트고정나사(260)(270)가 각각 그 호형 장공(23)(24)을 관통하여 상기 제 3 고정판에 체결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프로젝터의 액정패널 조정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4 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고정수단이, 수평고정나사(330)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조정판에 수평장공(36)을 형성하여, 그 수평고정나사(330)가 그 수평장공(36)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판에 체결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프로젝터의 액정패널 조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조정판과 상기 고정판이, 상호 면접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프로젝터의 액정패널 조정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 3 조정판이 하나의 가이드 고정부재에 각각 선택적으로 상하이동, 회동 및 좌우이동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프로젝터의 액정패널 조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고정부재가, 볼트(15)와 너트(52) 및 상하 스프링와샤(53) (54)의 조합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프로젝터의 액정패널 조정장치.
KR1019910001516A 1991-01-29 1991-01-29 비디오 프로젝터의 액정패널 조정장치 KR930009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1516A KR930009096B1 (ko) 1991-01-29 1991-01-29 비디오 프로젝터의 액정패널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1516A KR930009096B1 (ko) 1991-01-29 1991-01-29 비디오 프로젝터의 액정패널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253A KR920015253A (ko) 1992-08-26
KR930009096B1 true KR930009096B1 (ko) 1993-09-22

Family

ID=19310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1516A KR930009096B1 (ko) 1991-01-29 1991-01-29 비디오 프로젝터의 액정패널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90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253A (ko) 199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5307B1 (ko) 액정프로젝션장치
CN1224863C (zh) 投影仪镜子位置调节装置
KR930009096B1 (ko) 비디오 프로젝터의 액정패널 조정장치
KR100373934B1 (ko) 액정 빔 프로젝터용 액정 얼라인 장치
JP2001525948A (ja) Lcdプロジェクター
CN208334218U (zh) 一种幅面可调线阵相机机构和视觉检测系统
CN208984909U (zh) 一种对组压接装置
KR20040024376A (ko)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US4482224A (en) Compensation device at projectors with exchangeable and vertically movable lenses
KR940002569Y1 (ko) 액정 프로젝터의 컨버젼스 조정장치
JPH05281507A (ja) 液晶ビデオプロジェクタ
JPH0754222A (ja) 延伸フレーム
KR20020038677A (ko) 화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조정 메카니즘
KR200216149Y1 (ko) 다기능 영사기 스탠드
JPS635321Y2 (ko)
KR100283763B1 (ko) 프로젝션 티브이의 컨보젼스 조정장치
JPH08122599A (ja) 液晶プロジェクタにおける液晶パネルのアライメント調整方法
CN2739673Y (zh) 双光机支架
KR890004980Y1 (ko) 프로젝션 테레비젼의 모의 투사장치
KR930000689Y1 (ko) 액정 투사기의 위치 보정장치
JPH0722936Y2 (ja) 液晶tvプロジェクター
KR200235597Y1 (ko) 엘씨디패널의위치조절장치
KR100347179B1 (ko) 액정 빔 프로젝터용 액정 얼라인 장치
KR19990000037U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용 액정소자 모듈의 조정스크류
KR0118346Y1 (ko) 액정프로젝션텔레비젼의 액정위치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