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004B1 - 광섬유 캐니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섬유 캐니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004B1
KR930009004B1 KR1019900701931A KR900701931A KR930009004B1 KR 930009004 B1 KR930009004 B1 KR 930009004B1 KR 1019900701931 A KR1019900701931 A KR 1019900701931A KR 900701931 A KR900701931 A KR 900701931A KR 930009004 B1 KR930009004 B1 KR 930009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bobbin
thermal expansion
canister
coeffic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1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700191A (ko
Inventor
알.마이어즈 제임스
Original Assignee
휴즈 에어크라프트 캄파니
원다 케이.덴슨-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즈 에어크라프트 캄파니, 원다 케이.덴슨-로우 filed Critical 휴즈 에어크라프트 캄파니
Publication of KR910700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700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0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7Bobbins;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5/00Wound packages of filamentar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0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out flanges, e.g. cop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50Methods of making reels, bobbins, cop tubes, or the like by working an unspecified material, or sever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광섬유 캐니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광섬유 캐니스터의 사시도이고 ;
제 2 도는 광섬유의 부분사시도이고 ;
제 3 도는 광섬유배출중에 있는 광섬유 캐니스터의 사시도이고 ;
제 4 도는 광섬유가 감겨 있고 도해를 명료히 하기 위해 광섬유팩이 부분적으로 절개된 상태로 도시한 제 1 도 캐니스터의 사시도이고 ;
제 5 도는 등방성물질로 제조된 보빈상에 감긴 광섬유에 반복된 열변화가 가해지는 중에 온도감소의 영향을 예시한 것으로, 제 1 도의 평면 5-5를 따라 절취한 사시도이고 ;
제 6 도는 제 5 도에 도시된 캐니스터의 측면도이고 ;
제 7 도는 합성물질로 제조된 보빈 평면도이고 ;
제 8 도는 보빈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합성물질의 확대 사시도이고 ;
제 9 도는 보빈을 형성하는 합성물질에 대한 일치 배향을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고 ;
제 10 도는 보빈을 형성하는 합성물질에 대해 이차 배향을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고 ;
제 11 도는 등방성 보빈상에 형성된 합성물질내에서 발생한 몰입현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광섬유의 사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섬유를 배출에 앞서 지지시키는 보빈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는 광비임을 통과시키되 내부 전반사를 이루게 처리한 광학적으로 순수한 유리섬유가닥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섬유 내로 입사된 광의 대부분은 그 섬유의 길이가 수백미터에 이르더라도 섬유의 타단부에서 수신된다. 광섬유는 통신분야에서 전도가 유망한데, 그 이유는 광섬유를 통해 많은 양의 정보를 전송시키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금속선을 통해 전송되는 전기신호에 비해 신호의 질적인면에서 각종 형태의 외부적인 영향을 적게받기 때문에, 그외에도, 유리섬유는 중량이 가벼울 뿐만 아니라, 아주 흔한 물질인 이산화 규소로 제조되기 때문이다.
전형적으로, 유리섬유는 굴절율이 서로 다른 두개의 유리체를 하나는 내부에 하나는 외부에 위치시켜 형성한 모재 또는 단일의 합성물에 내부전반사를 이루게 하는 피복체를 피복시켜 형성한 모재를 준비하고, 이어서 그 모재를 인발, 압출, 또는 그외의 방법을 사용하여 섬유로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광섬유는 차후 유리가 굵힘 또는 그외의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완층 피막으로 지칭되는 중합체 층으로 피복된다. 유리 광섬유는 전형적인 형상을 갖는 경우, 예를 들어 칫수면에서 약 125마이크로미터의 직경을 가지며, 중합체 완충피막이 피복된 경우에는 약 250마이크로미터의 직경을 갖는다.
이와 같이 매우 미세한 광섬유의 경우, 손상 또는 응력이 발생하게 되면 광전송 특성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손상 또는 응력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광섬유의 취급이 중요한 연구과제인 것이다. 전형적으로, 광섬유는 소위 "보빈"으로 지칭되는 대체로 원통형 또는 테이퍼진 원통형의 물체상에 감겨지게되고, 이때 감겨지는 광섬유는 서로 측방향으로 나란히 인접하게 위치되는 다수의 권회부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하나의 층을 이루게 된다. 한개의 층이 형성되면, 다시 그위에 다른 하나의 광섬유 층이 형성되고, 이에따라 하나의 층을 이루게 된다. 한개의 층이 형성되면, 다시 그위에 다른 하나의 광섬유 층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는데, 이와 같이 하여 감겨진 광섬유 배열은 "섬유 팩(pack)"으로 지칭되며, 보빈과 그에 감겨진 광섬유로 구성되는 최종조립체는 "캐니스터(canister)"로 지칭된다. 이와 같이 감겨진 광섬유가 추후에 사용될때는 광섬유는 풀림작업에 의해 캐니스터로부터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의 풀림속도는 적용분야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경험에 비추어, 광섬유를 캐니스터로부터 고속으로 배출시키는 경우에는 접착제를 사용해 섬유팩들을 함께 유지시켜 광섬유 권회부들을 캐니스터상에서 제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게 해야만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접착제는 권회부 및 섬유층이 캐니스터에 감져질때 그리고 그 권회부 및 층이 배출될때, 그에 인접한 권회부들을 각각 제위치에 유지시켜 주게 되는데, 만일 이러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게되면 광섬유의 배출이 균일하게 그리고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중배출(두개 이상의 층들이 동시에 배출되는 현상), 걸림(snag), 또는 다른 비정상적인 현상이 발생하여 광섬유가 캐니스터로부터 배출되는 중에 손상되거나 심하면 끓어질 수도 있다.
보빈에 감겨진 광섬유팩들중 일부에서는 표면상의 주름질, 광섬유 권회부에 이탈 및 느슨해짐, 그리고 섬유팩의 표면으로부터 보빈의 표면까지 하방으로 연장되는 접착제의 균일발생등과 같은 결함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러한 비정상적인 현상은 캐니스터들 사용에 앞서 일정시간 보관하는 경우 캐니스터가 소정 온도범위의 열변화를 반복적으로 받게 될때 특히 두드러지게 된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시 캐니스터로부터 광섬유가 불균일하게 배출되고, 이에 기인하여 광섬유가 파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호전송에도 크나큰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캐니스터의 광섬유팩에서 관찰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함에 대해 설명이나 해결책이 있지 않았으며, 비정상적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도 전혀없었다. 따라서, 광섬유팩에서의 비정상적인 현상을 방지시켜, 사용시 광섬유가 캐니스터로부터 매끄럽게 배출될 수 있게 할 필요성이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켜줄 뿐만 아니라, 그에 연관하여 이점도 제공해 준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사용시 광섬유의 배출결함을 유발시킬 수 있는 비정상적인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광섬유 캐니스터와, 그러한 캐니스터의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을 제공해 주는데, 이 캐니스터는 현존하는 합성물질을 새롭게 이용하여 제조되며, 동일길이의 광섬유가 감겨있는 기존의 캐니스터에 비해 경량으로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캐니스터는 미리 선택된 광섬유의 길이 방향 열팽창계수와 일치되는 원주방향 열팽창 계수를 갖고 상기 광섬유의 직경방향 열팽창 계수와 일치하는 보빈 길이에 따른 축방향의 열팽창계수를 갖는 보빈과, 그 보빈에 감겨진 광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캐니스터의 제조방법은 광섬유의 길이에 평행한 길이방향의 열팽창 계수와 광섬유의 길이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직경방향의 열팽창계수를 갖는 광섬유를 공급하는 단계와, 광섬유의 상기 길이방향 열팽창 계수와 일치하는 원주방향 열팽창계수를 갖는 광섬유를 공급하는 단계와, 광섬유의 상기 길이방향 열팽창 계수와 일치하는 원주방향 열팽창계수를 갖고 광섬유의 직경방향 열팽창 계수와 일치하는 보빈 길이에 따른 축방향의 열팽창 계수를 갖는 보빈을 제조하는 단계와, 그 보빈상에 광섬유를 감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존 캐니스터의 섬유팩에서 관찰되는 비정상적인 현상들은 대부분 보빈과 섬유팩 간의 열팽창이 일치하지 않는 것에 기인한다. 종래의 보빈들은 정상적인 다결정 형태를 가질때 열팽창에 관련해 본질적으로 등방성을 이루는 기계 가공된 알루미늄과 같은 물질로 제조되어 왔다. 여기서, "등방성"이란 하나의 물질이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성질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알루미늄은 약 23ppm/℃(즉, 23×10-6in/in·℃)의 등방성 열팽창 계수를 갖는다.
보빈에 감겨진 광섬유는 측정방향에 따라 변화하는 열팽창 특성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형적인 광섬유는 중앙에 위치하는 유리체와, 그 유리체를 보호하도록 그 유리체의 외부에 피복된 중합체 완충피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섬유의 길이 방향으로의 열팽창 계수는 본질적으로 유리의 열팽창 계수로 되며, 거의 0이다. 그러나, 광섬유에 대해 수직인 방향, 즉 직경방향으로의 열팽창 계수는 매우 큰데, 그 이유는 직경방향으로의 팽창이 구속을 받지 않는 중합체 완충피막의 열팽창 계수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직경방향의 열팽창 계수는 전형적으로 70 내지 110ppm/℃(즉, 70 내지 110-6in/in·℃)이다.
광섬유팩이 일차온도에서 대체로 원통형의 등방성 알루미늄 보빈상에 권치된 후 온도가 감소하게 되면, 보빈은 광섬유 팩보다 원주방향으로 더욱 수축하게 되고, 이에 따라 광섬유의 권회부들이 장력을 잃게 된다. 한편, 보빈의 축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는 광섬유팩이 보빈보다 더욱 수축되고, 이에 따라 광섬유팩에서 인장응력이 발생되는데, 이 인장응력은 보빈과 광섬유팩 간의 계면부근에서 최대로 된다. 이 응력은 섬유들 사이에 존재하는 접착제를 통해 전달된다. 그 응력이 접착제의 인장응력을 초과하게 되면 광섬유팩의 표면으로부터 보빈에 이르는 광섬유팩의 두께 방향으로 균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몇몇 종래의 캐니스터에서 관찰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캐니스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알루미늄보빈은 그 주위의 광섬유팩보다 빠른 속도로 원주방향으로 팽창하게 되고, 이에 따라 광섬유팩의 장력이 증가하게 된다. 온도상승시 보빈의 길이축에 평행한 방향에서는, 알루미늄이 광섬유팩보다 서서히 팽창하고, 이에 따라 광섬유팩에서 압축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 또는 다른 직교이방성 물질로 구성되는 기존의 보빈을 사용하는 캐니스터에서는 온도 변화에 따라 각종 응력발생이 야기되고, 이에 따라 광섬유팩의 배열 또는 기하학적형상이 혼란하게될 뿐만 아니라 보빈으로부터 광섬유가 배출되는 중에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광섬유팩의 열팽창 계수와 보빈의 열팽창 계수간의 차이로 인해 광섬유팩에서 비정상적인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을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등방성 보빈의 형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해 주고 있다. 본 발명의 보빈은 직교이방성의 열팽창 계수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특징에 의한 광섬유 캐니스터는 최소한 일부가 직교이방성 물질로 형성되는 보빈과, 그 보빈상에 감겨진 광섬유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빈의 열팽창 계수는 광섬유의 길이 방향에서 관찰되는 작은 열팽창 계수와 일치하게 원주방향으로 작은 열팽창 계수를 갖는다. 보빈은 또한 광섬유를 가로지르는 축방향에서 그 방향으로의 광섬유팩의 비교적 큰 열팽창 계수와 일치하게 큰 열팽창 계수를 갖는다. 이 결과, 광섬유팩은 원주방향으로 느슨하게 되지 않으며, 축방향으로 큰 인장응력 또는 압축응력 상태에 있게 되지 않는다. 광섬유팩은 감겨질때 보빈에 부착되는데, 오랜기간의 보관후에도 그리고 반복적인 열변화를 받게 되더라도 감길때의 완전무결함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직교이방성 보빈은 고유적으로 직교이방성 열팽창 특성을 갖는 합성물질을 이용하는 경우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대표적인 합성물질로는 일방향 조직을 갖는 구조섬유를 중합체 또는 플라스틱 기질내에 함입시켜 구성한 것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물질은 전형적으로 구조섬유에 대해 평행한 방향에서는 비교적 작고 구조섬유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는 아주 큰 열팽창 계수를 갖는다. 캐니스터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사용되는 두가지의 섬유형태간에 명확한 구분이 있어야 한다. 즉, 구조섬유는 보빈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기질내에 함입되는 것이며, 광섬유는 보빈상에 감기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특징에 따른 광섬유 캐니스터는 원주방향과 축방향을 갖고 있으며 최소한 일부분이 그의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는 구조섬유가 기질내에 함입된 합성물질로 형성되는 원통형 보빈과, 그 보빈상에 감긴 광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보빈을 형성하는 합성물질은 유리, 수정, 케블러(kevlar), 흑연, 또는 탄소이며, 기질은 통상 에폭시 또는 페놀릭과 같은 비금속성 중합체이다. 본문에서 언급되는 "대체로 원통형"이란 완전한 원통형 뿐만 아니라, 약간의 각도로 테이퍼진 원통형도 포함하는 것이다. 완전한 원통형 및 약간 데이퍼진 원통체는 모두 축방향과 원주방향을 갖는다고 할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광섬유 물질과 배출조건을 조화시킬 수 있도록 보빈 구조를 변형시킨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여러 다른 형태를 갖는 직교이방성 물질들을 함께 사용하여 특정 조합의 열팽창 특성을 얻게 할 수도 있다. 주관심사는 보빈쉘의 여러 다른 동평면 방향에서 보빈의 열팽창 계수와 광섬유팩의 열팽계수를 일치시키는 것이 있다.
본 발명은 광섬유 캐니스터 기술의 중요한 진전을 이루게 해준다. 보빈의 열팽창 계수와 광섬유의 열팽창 계수를 일치시키게 구성된 본 발명의 캐니스터는 보관중에 반복된 열변화를 받게 되더라도 안정되며, 결함도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어, 그 결과 광섬유의 배출이 부르럽고, 번거럽지 않게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상세한 설명]
제 1 도에는 광섬유(22)의 캐니스터(20)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캐니스터(20)는 대체로 원통형의 보빈(24)과, 그 보빈(24)상에 감겨진 광섬유(22)로 구성되어 있다. 보빈(24)은 원통형 쉘로 구성되는 원통체 일수있으며, 또는 원통체와 유사한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약간의 각도로 테이퍼진 데이퍼 원통체일 수 있다. "대체로 원통형"이란 용어는 본문에서 상기 두 기학학적 형상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제 1 도에 도시된 보빈(24)은 테이퍼진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즉, 이 원통체의 일단의 제 1 직경(26)은 타단의 제 2 직경(28)보다 크게 되어 있다. 원통체의 테이퍼 각도는 바람직하게 광섬유(22)의 배출에 도움을 줄수 있는 약 2도로 되어 있다.
보빈(24)의 기준 골격은 대체로 원통형 형상에 관련하여 정의할 수 있다. 축방향(30)은 원통체 또는 테이퍼 원통체의 축(32)에 평행하다. 원주방향(34)은 보빈(24)의 몸체를 형성하는 원통형 쉘(36)에 대해 접선을 이루고, 축(32)에 대한 수직을 이루는 평면상에 위치한다.
제 2 도에는 광섬유(22)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광섬유는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갖고 동심적으로 배치된 서로다른 두개의 광유리 층들로 형성된 유리코어(38)와, 그 코어(38)를 광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마손 및 다른 형태의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코어(38)위에 피복되는 중합체 완충층(40)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섬유(22)에 대한 기본골격은 광섬유(22)의 원통형 형상으로부터 정의할 수 있다. 즉, 길이방향(42)은 광섬유(22)의 길이에 평행하며, 직경방향(44)은 광섬유(22)에 대해 수직을 이룬다. 따라서, 직경방향(44)은 길이방향(42)에 대해 수직을 이룬다.
제 3 도에는 보빈(234)으로부터 광섬유(22)를 풀어내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으며, 제 4 도에는 광섬유팩의 다층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광섬유(22)는 다수의 권회부(46)가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게 감겨진다.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배출시 권회부(46)들을 보빈(24)의 소경단부쪽으로 일련적으로 배출되게 된다. 권회부(46)들은 제 4 도(또한, 제 1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층의 층(48)으로 배열되어 있다. 광섬유(22)의 제 1 층은 보빈(24)상에 미리 감겨있는 와이어 베이스(50)상에 감겨지며, 그에 후속되는 광섬유층들이 이미 형성된 층위에 겹지게 감겨진다. 이와 같이, 하여, 보빈(24)상에는 틈새 또는 그외의 비정상적인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끔 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긴밀하게 감긴 20개 또는 그 이상의 갯수로된 층(48)이 존재하게 된다. 광섬유(22)의 권회부(46)와 층(48)들은 총칭하여 제 1 도 및 제 1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섬유팩(52)으로 지칭된다. 광섬유팩(52)의 권회부(46)와 층(48)들은 접착제(54)에 의해 함께 접합된다.
일반적으로, 물질의 열팽창 계수는 그 물질에 관한 기준골격내에서의 측정 방향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열팽창 계수는 물질의 측정가능한 성질로서, 단위 온도 변화에 대한 단위 길이당 물질의 길이 변화로서 정의된다.(열팽창의 단위는 in/in·℃ 또는 ppm/℃이다.) 광섬유(22)의 열팽창 계수는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갖는 유리코어(38)와, 그 유리 코어(38)보다 높은 열팽창 계수를 갖는 완충체(40)의 존재에 의해 결정된다. 열팽창계수는 길이방향(42)으로는 0에 가까운 정도로 작은데, 그 이유는 코어(38)가 완충체(40)의 길이 변화(자유상태에 있을때)를 구속시키기 때문이다. 직경방향에서, 코어(38)는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갖기 때문에 거의 열팽창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완충체(40)의 팽창을 구속하지도 않게 된다. 따라서, 직경방향에서 광섬유(22)의 열팽창 계수는 비교적 크게 되며, 측정결과 79 내지 110in/in·℃였다. 이러한 특성은 광섬유팩(52)에 부여되며, 이에 따라 광섬유팩의 열팽창 계수는 원주방향(34)에서는 작으나, 축방향(30)에서는 비교적 크게 된다.
종래의 보빈들은 알루미늄과 같은 다결정 금속으로 제조되었기 때문에, 열팽창 계수가 등방성으로 되어있고, 이에 따라 모든 방향에서 열팽창 계수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알루미늄의 열팽창 계수는 축방향 및 원주방향에서 모두 약 23in/in·℃이다.
그리하여, 광섬유팩의 열팽창 계수와 그러한 광섬유팩이 감겨있는 종래의 보빈의 열팽창 계수가 상당히 다르고, 이에 따라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된 종류의 결함이 발생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종래 보빈의 원주방향 열팽창 계수는 광섬유팩의 원주방향 열팽창 계수보다 훨씬 크게 되어 있고, 그 결과 캐니스터가 보관시 반복적인 열변화를 받는 중에 냉각되면, 보빈은 광섬유팩보다 급속하게 수축하여, 제 6 도에서 도해의 목적을 위해 과장된 상태로 도시된 초기 틈새(56)로 되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광섬유 팩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즉, 광섬유(22)의 장력이 없어지게 되며, 수축이 더해지면 광섬유팩과 보빈사이에 눈에 보일 정도의 반경 방향 틈새가 나타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의 보빈의 축방향 열팽창 계수는 축방향(32)에 따른 광섬유팩의 축방향 열팽창 계수보다 훨씬 작게 되어, 냉각중 광섬유팩에 축방향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인장응력은 접착제를 통해 가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접착제에 손상이 발생되며,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열(58)이 발생되게 된다.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접착제와 완충제는 모두 점점 경화되어 유연성이 적어지게 되며, 보빈(24)과 광섬유팩(52)의 열팽창율의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기계적인 응력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작아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낮은 온도에서는 균열이 형성되는 경향이 증가하게 된다. 알루미늄 보빈을 사용한 경우에는 광섬유팩의 전두께에 걸쳐 연장되는 균열(58)을 관찰할 수도 있었다. 열팽창에의해 발생된 응력들은 제 1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광섬유팩에 권회부의 융기 또는 몰입등과 같은 여러 다른 형태의 비정상적인 형상을 발생시킨다. 광섬유팩에서의 이러한 결함은 광섬유팩의 기하학적 형상을 붕괴시킬 수 있고, 제 3 도에 도시된 방식으로 광섬유가 배출될때 광섬유가 절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직교이방성 보빈(60)(보빈(24)의 특정형태)을 제공하는데, 이의 적합한 형태는 제 7 도에 도시되어 있다. 본문에서 언급되는 "직교이방성"은 물질의 열팽창 계수가 방향마다 다르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직교이방성 보빈(60)에서는 원주방향(34)의 열팽창 계수가 0에 가까울 정도로 작아, 광섬유(52)의 원주방향 열팽창 계수와 일치된다. 축방향(30)에서의 직교이방성 보빈(60)의 열팽창 계수는 훨씬 크게 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최대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광섬유팩(52)의 열팽창 계수 정도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부 이점들은 보빈의 열팽창 계수가 광섬유팩의 열팽창계수와 정확히 일치되지 않는 경우에도 제공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접착제와 완충제가 일부 응력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형적으로, 보빈의 열팽창 계수는 구조 물질의 제한에 기인하여 축방향에서 광섬유팩의 열팽창 계수보다 낮게 될 것이다. 직교이방성보빈(24)과 광섬유팩(52)의 열팽창 계수를 원주방향 및 축방향에서 모두 보다 더 가깝게 일치시키면 시킬수록, 캐니스터의 보관 및 반복적인 열변화시 캐니스터의 안정성을 보다 크게할 수 있다.
직교이방성 보빈(60)은 바람직하게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질(66)에 구조섬유(64)를 함입시켜 구성되는 합성물질(62)로 제조한다. 구조섬유(64)는 바람직하게(그렇다고 꼭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유리, 수정, 케블러, 흑연, 또는 탄소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기질(66)은 에폭시 또는 페놀릭과 같은 중합체이다. "섬유"들은 광섬유팩 및 직교이방성보빈(60)에서 모두 볼 수 있는 것이므로, 혼돈을 피하기 위해서는 명백히 구분시킬 필요가 있다. 광섬유팩(52)의 "섬유"는 광섬유(22)이며, 직교이방성 보빈(60)의 "섬유"는 구조섬유(64)로서, 광섬유(22)는 유리이며, 구조섬유(64)는 유리, 케블러, 탄소 또는 다른 형태의 섬유이다. 광섬유(22)에 사용되는 유리는 광학적인 면에서 양질의 것이며, 광섬유(22)의 코어(38)는 항상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갖는 두개의 유리층으로 구성된다. 구조섬유(64)는 유리라하더라도 광학적인 면에서 양질의 것이 아니며, 광섬유(22)의 코어에 사용된 이중층 형상을 갖고 있지도 않다. 구조섬유(64)로 사용된 물질의 대부분은 열팽창계수가 기질(66)로 사용된 물질보다 낮게되어 있는데, 꼭 그러할 필요는 없다. 일례로, 케블러는 약 60in/in·℃의 횡방향 열팽창계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합성물질(62)내의 모두든 구조섬유(64)들을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합성물질은 경화시 고유적으로 직교이방성을 이루어, 구조섬유(64)에 평행한 방향, 즉 섬유방향(68)에서의 열팽창 계수가 섬유방향(68)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교차 방향(70)에 평행한 방향에서의 열팽창 계수보다 훨씬 작게되어 있다. 방향(68)과 방향(70)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내에서의 다른 방향의 열팽창 계수는 상기 두 열팽창 게수들의 사이값을 갖는다.
합성물질(62)은 직교이방성 보빈(60)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섬유방향(68)은 보빈의 원주방향(34)에 대해 약간의 편향각도(A)를 이루게 배향된다. 제 9 도 및 제 10 도에는 편향각도의 차이가 도시되어 있다. 즉, 제 9 도의 경우 편향각도(A)는 비교적 크게 되어 있으며, 제 10 도의 경우에는 아주 작게 되어 있다. 어떤 사전선택된 섬유 물질에 대한 광섬유(22) [즉, 광섬유팩(52)]의 열팽창 계수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직접 측정에 의해 결정되면, 합성물질(62)의 물질의 종류와 배향을 선택하여 보빈(60)의 열팽창 계수를 최적의 방식으로 광섬유팩(52)의 열팽창 계수와 일치, 또는 근접시킬 수 있게 된다. 대부분의 경우, 원주방향 열팽창 계수들은 가깝게 일치시킬 수 있으나, 축방향 열팽창 계수들은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등방성 알루미늄 보빈과 비교할때 열팽창 계수의 차이를 감소시킨 것에 따라 이점이 제공되며, 완벽한 일치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완충제와 접착제가 열에 의해 발생된 응력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개선된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직교이방성 보빈(60)은 시판하는 합성물질(62)을 사용하고, 당해 기술분야에서공지된 그리고 상기 합성물질(62)의 제조자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처리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섬유감기 기술이 이용되는데, 이러한 기술로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중에서 선택한 프로프레그 로빙(prepreg roving) 방식에 대해 설명하겠다. 보빈(60)의 요구되는 내면의 형상을 갖는 맨드릴이 준비되는데, 이 맨드릴상에는 프리프레그 로빙이란 물질이 임의의 요구되는 패턴, 간격, 밀도, 배열, 편향각도(A)를 갖게 감겨지게 된다. 프리프레그 로빙은 요구되는 구조섬유(64)의 가닥들로 구성되는데, 이 구조섬유(64)의 물질은 액체 단량체 기질물질 및 경화촉진제를 함침시킨 후, 취급을 위해 부분적으로 경화시킨 것이다. 프리프레그 로빙은 최종제품이 요구되는 직교이방성 열팽창 계수를 갖도록 일부층들에서는 일방향으로 그리고 다른 층들에서는 다른 방향으로 감겨진다. 제 9 도와 제 10 도에는 감김 방향이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섬유들은 보빈의 원주방향에 대해 다른 피치 또는 다른 편향각도(A)로 배향되어 있다. 편향각도(A)에 따라 횡방향 및 길이방향에서의 보빈의 열팽창계수가 결정된다. 프리프레그 로빙이 맨드릴상에 감겨진 후에는, 소정 압력하에서 가열을 행하여 단량체의 경화를 완료한다. 그 결과로 얻어진 합성물질은 제 8 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합성체는 높은 온도까지 상승되더라도, 광섬유팩의 열변형 상태에 영향을 끼치지 않게 되는데, 그 이유는 그 시점에서는 광섬유팩이 아직 보빈(60)상에 감겨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합성체의 경화후, 맨드릴은 기계가공 또는 미끄러뜨림의 의해 경화된 합성물질의 내부로부터 제거된다. 맨드릴이 제거되면, 나머지 보빈(60)은 완전히 직교이방성 물질로 제공된다.
최종 제조단계는 보빈(60)상에 광섬유(22)를 감는 것이며, 이에 따라 캐니스터의 제조가 완료되는 것이다. 감기 작업중에 주의 할것은 광섬유의 권회부들간의 겹침, 권회부들간의 틈새, 그리고 기타 감기상 발생되는 결함을 방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빈상에 감겨지는 광섬유 팩의 열팽창 계수와 가깝게 일치되는 열팽창계수를 갖는 직교이방성 보빈으로 구성되는 캐니스터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캐니스터의 보관중에 발생될 수 있는 열변화동안, 틈새, 균열, 몰입, 융기 및 기타의 결함들이 종래의 등방성 알루미늄 보빈을 사용했을 때 보다 상당히 감소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최초에 얻어진 광섬유이 감겨진 기하학적 형상의 완전무결함이 유지되며, 광섬유의 배출시 치명적인 광섬유 절단의 발생이 거의 없게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21)

  1. 광섬유 캐니스터(20)의 제조방법으로서, 광섬유(22)의 길이에 평행한 길이방향(42)의 열팽창 계수와 광섬유(22)의 길이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직경방향(44)의 열팽창계수를 갖는 상기 광섬유(22)를 제공하는 단계와 ; 상기 광섬유(22)의 상기 길이방향 열팽창 계수와 일치하는 원주방향(34) 열팽창 계수를 갖고 상기 광섬유(22)의 직경방향 열팽창계수와 일치하는 보빈 길이에 따른 축방향(30)의 열팽창 계수를 상기 보빈(24)을 제조하는 단계와 ; 상기 보빈(24)상에 상기 광섬유(22)를 감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섬유 캐니스터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24)의 상기 원주방향 열팽창 계수가 상기 광섬유(22)의 상기 길이방향 열팽창 계수와 거의 동일한 광섬유 캐니스터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24)의 상기 측방향 열팽창 계수가 상기 광섬유(22)의 상기 직경방향 열팽창 계수와 거의 동일한 광섬유 캐니스터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24)이 최소한 부분적으로 직교이방성물질로 제조되는 광섬유 캐니스터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단계는 중합체 기질(66)내에 구조섬유(64)를 보강시켜서 된 합성물질(62)로부터 보빈(60)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섬유 캐니스터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섬유(64)는 유리, 수정, 케블러, 흑연 및 탄소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한 물질로 형성되는 광섬유 캐니스터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24)은 전체가 중합체 기질내에 구조섬유를 보강시켜서 된 합성물질로 제조되는 광섬유 캐니스터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단계는 ; 맨드릴(24)상에 합성물질 로빙(64)을 감는 단계와 ; 상기 로빙(64)을 경화시켜 경화된 합성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섬유 캐니스터의 제조방법.
  9. 제 1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광섬유 캐니스터(20).
  10. 광섬유 캐니스터(20)로서, 최소한 일부가 직교이방성 물질로 형성된 보빈(24)과 ; 상기 보빈(24)상에 감긴 광섬유(22)로 구성되는 광섬유 캐니스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이방성 물질은 중합체 기질(66)내에 구조섬유(64)를 함입시켜서 된 합성물질(62)인 광섬유 캐니스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섬유(64)는 유리, 수정, 케블러, 흑연 및 탄소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물질로 형성되는 광섬유 캐니스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이방성 물질은 기질(66)내에 구조섬유(64)를 함입시켜서 된 합성물질(62)이며, 상기 구조섬유(64)는 상기 보빈(24)의 표면에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배향되는 광섬유 캐니스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24)은 원주방향 및 축방향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이며, 상기 구조섬유(64)들은 최소한 일부가 상기 보빈(24)의 원주방향 및 축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배향되는 광섬유 캐니스터.
  15. 광섬유 캐니스터로서, 사전 선택된 광섬유(22)의 길이방향 열팽창 계수와 일치하는 원주방향 열팽창 계수를 갖고 상기 광섬유(22)의 직경방향 열팽창 계수와 일치하는 보빈 길이에 따른 축방향의 열팽창 계수를 갖는 보빈(24)과 ; 상기 보빈(24)에 감긴 광섬유(22)로 구성된 광섬유 캐니스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24)의 상기 원주방향 열팽창 계수는 상기 사전 선택된 광섬유(22)의 길이방향 열팽창 계수와 거의 동일한 광섬유 캐니스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24)의 상기 축방향 열팽창 계수는 상기 광섬유(22)의 상기 직경방향 열팽창 계수와 거의 동일한 광섬유 캐니스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24)은 최소한 일부가 기질내에 구조섬유를 함입시켜서 된 합성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구조섬유는 상기 보빈(24)의 표면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광섬유 캐니스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24)은 대체로 원통형이며, 상기 구조섬유는 최소한 일부가 상기 보빈의 원주방향 및 축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배향되는 광섬유 캐니스터.
  20. 광섬유 캐니스터로서, 원주방향과 축방향을 갖고 있으며 최소한 일부분이 그의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는 구조섬유가 기질내에 함입된 합성물질로 형성되는 대체로 원통형의 보빈(60)으로서, 상기 구조섬유는 유리, 수정, 케블러, 흑연 및 탄소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기질은 비금속성으로 되어 있는 상기 보빈(60)과 ; 상기 보빈(60)상에 감긴 광섬유(22)를 포함하는 광섬유 캐니스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로 원통형의 보빈은 테이퍼진 원통체로 된 광섬유 캐니스터.
KR1019900701931A 1988-12-30 1989-12-04 광섬유 캐니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930009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292,210 1988-12-30
US07/292.210 1988-12-30
US07/292,210 US4995698A (en) 1988-12-30 1988-12-30 Fiber optic canister having orthotropic, controlled thermal expansion bobbin
PCT/US1989/005397 WO1990007464A1 (en) 1988-12-30 1989-12-04 Fiber optic canister having orthotropic controlled thermal expansion bobbi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canis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700191A KR910700191A (ko) 1991-03-14
KR930009004B1 true KR930009004B1 (ko) 1993-09-18

Family

ID=23123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1931A KR930009004B1 (ko) 1988-12-30 1989-12-04 광섬유 캐니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995698A (ko)
EP (1) EP0402459B1 (ko)
JP (2) JPH03503044A (ko)
KR (1) KR930009004B1 (ko)
AU (1) AU619654B2 (ko)
CA (1) CA2004858C (ko)
DE (1) DE68909778T2 (ko)
ES (1) ES2020072A6 (ko)
IL (1) IL92922A (ko)
NO (1) NO177384C (ko)
WO (1) WO19900074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1789A (en) * 1990-07-11 1993-05-18 Hughes Aircraft Company Optical cable composite-material bobbin with grooved base layer
US5155788A (en) * 1990-08-29 1992-10-13 American Telephone & Telegraph Company Optical fiber disposed in and decoupled from a reinforcing member
JP2514483B2 (ja) * 1991-07-01 1996-07-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コイル
US5181270A (en) * 1991-08-09 1993-01-19 Hughes Aircraft Company Optical fiber canister
RU94027291A (ru) * 1991-11-25 1996-06-20 Ханивелл Инк. (Us)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ая катушка, способ ее намотки и многослойная катушка
US5179612A (en) * 1991-12-19 1993-01-12 Hughes Aircraft Company Optical fiber canister with ablative coating
US5161208A (en) * 1991-12-19 1992-11-03 Hughes Aircraft Company Optical fiber canister and process with overcoat adhesive layer to prevent dispensing end breaks
US5371593A (en) * 1992-08-31 1994-12-06 Litton Systems, Inc. Sensor coil for low bias fiber optic gyroscope
IL104839A (en) * 1993-02-24 1997-02-18 Israel State Optical fiber dispenser
IL105380A0 (en) * 1993-04-14 1997-02-18 Israel State Optical fiber controlled flying object
IL105876A (en) * 1993-06-01 1997-01-10 Israel Stat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obbins
US5492281A (en) * 1993-10-04 1996-02-20 Corning Incorporated Base layer of coated glass fiber for a bobbin
JP3002095B2 (ja) * 1994-08-10 2000-01-24 リトン 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低バイアス光ファイバジャイロスコープ用センサコイル
US5545892A (en) * 1994-09-01 1996-08-13 Litton Systems, Inc. Gyro sensor coil with low-friction hub interface
US5552887A (en) * 1995-04-07 1996-09-03 Andrew Corporation Fiber optic rotation sensor or gyroscope with improved sensing coil
US5594829A (en) * 1995-06-07 1997-01-14 Lostracco; Gregory Optical fiber dispenser with thermal expansion accommodation layer
DE19528347C1 (de) * 1995-08-02 1996-11-07 Daimler Benz Aerospace Ag Wickelkörper
KR100194421B1 (ko) * 1996-01-29 1999-06-15 윤종용 광섬유증폭기
FR2747202B1 (fr) * 1996-04-09 1998-06-19 Aerospatiale Bobine de fibre optique, notamment pour engin fibroguide
IL120512A (en) * 1997-03-24 2002-04-21 Rafael Armament Dev Authority I compare to fiber optic tank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m
US5993934A (en) * 1997-08-06 1999-11-30 Eastman Kodak Company Near zero CTE carbon fiber hybrid laminate
US9119705B2 (en) 1998-06-08 2015-09-01 Thermotek, Inc. Method and system for thermal and compression therapy relative to the prevention of deep vein thrombosis
US20050143797A1 (en) * 2003-07-18 2005-06-30 Thermotek, Inc. Compression sequenced thermal therapy system
GB2339195A (en) * 1998-07-08 2000-01-19 Pirelli General Plc Take up apparatus for drawn optical fibre comprising two rotating bobbins
DE19858462C1 (de) * 1998-12-18 2000-08-10 Lfk Gmbh Spulenkörper zum schnellen Abwickeln eines Lichtwellenleiters und Ausgabevorrichtung für Lichtwellenleiter
EP1393332A4 (en) * 2001-05-11 2006-08-23 Fibersense Technology Corp TRAPPY SPOOL FOR FIBER OPTICAL CHAIN
US7074709B2 (en) * 2002-06-28 2006-07-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calized doping and/or alloying of metallization for increased interconnect performance
KR100496451B1 (ko) * 2002-12-11 2005-06-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섬유 권취용 스풀
IL154025A0 (en) * 2003-01-19 2003-07-31 Rafael Armament Dev Authority Fiber guiding helical ring
US8128672B2 (en) 2006-05-09 2012-03-06 Thermotek, Inc. Wound care method and system with one or both of vacuum-light therapy and thermally augmented oxygenation
US8574278B2 (en) 2006-05-09 2013-11-05 Thermotek, Inc. Wound care method and system with one or both of vacuum-light therapy and thermally augmented oxygenation
US8100956B2 (en) 2006-05-09 2012-01-24 Thermotek,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thermally augmented wound care oxygenation
US8778005B2 (en) * 2003-07-18 2014-07-15 Thermotek, Inc. Method and system for thermal and compression therapy relative to the prevention of deep vein thrombosis
KR100680103B1 (ko) * 2004-02-02 2007-02-2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US10016583B2 (en) 2013-03-11 2018-07-10 Thermotek, Inc. Wound care and infusion method and system utilizing a thermally-treated therapeutic agent
USD679023S1 (en) 2004-07-19 2013-03-26 Thermotek, Inc. Foot wrap
US10765785B2 (en) 2004-07-19 2020-09-08 Thermotek, Inc. Wound care and infusion method and system utilizing a therapeutic agent
GB2428665A (en) * 2005-08-04 2007-02-07 Deva Composites Ltd Fibre-reinforced polymeric winding core
US20100210982A1 (en) * 2006-04-11 2010-08-19 Niran Balachandra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gmental Gradient Compression
USD662214S1 (en) 2007-04-10 2012-06-19 Thermotek, Inc. Circumferential leg wrap
US8758419B1 (en) 2008-01-31 2014-06-24 Thermotek, Inc. Contact cooler for skin cooling applications
EP3202453B1 (en) * 2011-04-26 2018-10-24 Thermotek, Inc. Wound care system with one or both of vacuum-light therapy and thermally augmented oxygenation
US10512587B2 (en) 2011-07-27 2019-12-24 Thermo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p thermal treatment
EP2841121B1 (en) 2012-04-24 2020-12-02 Thermotek, Inc. System for therapeutic use of ultra-violet light
US10300180B1 (en) 2013-03-11 2019-05-28 Thermotek, Inc. Wound care and infusion method and system utilizing a therapeutic agent
WO2015070144A1 (en) 2013-11-11 2015-05-14 Thermotek, Inc. Method and system for wound care
KR200483884Y1 (ko) * 2016-02-19 2017-07-06 고유석 방적기용 보빈
CN108381942B (zh) * 2018-04-28 2023-06-27 哈尔滨玻璃钢研究院有限公司 一种含注入层的复合材料绕线轴成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58186A (fr) * 1965-05-25 1966-03-04 Rhodiaceta Tube-support auto-rétractable pour enroulements de fils rétractables
GB1159044A (en) * 1966-09-01 1969-07-23 Nihon Senshoku Kikai Kabushiki Heat-Contractible Bobbin.
AU410052B2 (en) * 1966-12-14 1971-01-28 Sonoco Products Company Forming tube for glass fibers
AU433184B2 (en) * 1967-02-08 1973-02-27 Sonoco Products Company Forming tube for glass fibers
US4182500A (en) * 1978-07-20 1980-01-08 Corning Glass Works Optical waveguide shipping spool
IT8353304V0 (it) * 1983-05-11 1983-05-11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Tamburo per l avvolgimento di materiale in corso di filatura
DE3443336A1 (de) * 1984-11-28 1986-05-28 Frisch Kabel- Und Verseilmaschinenbau Gmbh, 4030 Ratingen Vorrichtung zum abziehen eines lichtwellenleiters aus einem angetriebenen, rotierenden teller
US4752043A (en) * 1985-11-04 1988-06-21 U.S. Holding Company,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winding a precision optical fiber coil
JPH01275377A (ja) * 1988-04-27 1989-11-06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高速繰り出し用光ファイバ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04858C (en) 1994-04-19
CA2004858A1 (en) 1990-06-30
NO177384C (no) 1995-09-06
JPH03503044A (ja) 1991-07-11
EP0402459A1 (en) 1990-12-19
US4995698A (en) 1991-02-26
EP0402459B1 (en) 1993-10-06
JPH0744739U (ja) 1995-11-28
ES2020072A6 (es) 1991-07-16
IL92922A (en) 1993-01-31
NO903692L (no) 1990-08-22
KR910700191A (ko) 1991-03-14
DE68909778T2 (de) 1994-02-10
WO1990007464A1 (en) 1990-07-12
AU5027490A (en) 1990-08-01
DE68909778D1 (de) 1993-11-11
JP2533395Y2 (ja) 1997-04-23
NO177384B (no) 1995-05-29
AU619654B2 (en) 1992-01-30
NO903692D0 (no) 1990-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9004B1 (ko) 광섬유 캐니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US4196965A (en) Connecting method of optical fiber with plastic clad
KR960006114B1 (ko) 복합 보빈의 제조 방법
US5181270A (en) Optical fiber canister
US20110091174A1 (en) Flat Drop Cable with Center Strength Member
US5109456A (en) Optical fiber unit
US9453979B2 (en) Multi-core optical fiber tape
JPH0559056B2 (ko)
US5205510A (en) Optical fiber bobbin with stress-reducing sleeve
US5220632A (en) Preparation of an optical fiber canister
FR2537048A1 (fr) Lame de matiere plastique renforcee de fibres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CA2176614C (en) Optical fiber dispenser with thermal expansion accommodation layer
US4685241A (en) Graphite fiber fishing rod
KR100311743B1 (ko) 복합물 제조를 위한 와이어 선형물 및 그의 제조 방법
US5492281A (en) Base layer of coated glass fiber for a bobbin
JP4431351B2 (ja) 耐圧容器製造方法
JPH05229018A (ja)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成形法による筒状積層体の製造方法
JPH09203496A (ja) 高圧タンクの製造方法
JPS6315734A (ja) 繊維強化樹脂製筒状体
JPH0453793B2 (ko)
TW202408965A (zh) 光纖素線、及光纖帶之製造方法
JPS604163Y2 (ja) 光伝送線路
EP0867739A1 (en) Bobbin for optical fiber canist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