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343Y1 - 증폭기의 잡음제거회로 - Google Patents

증폭기의 잡음제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343Y1
KR930008343Y1 KR2019910012107U KR910012107U KR930008343Y1 KR 930008343 Y1 KR930008343 Y1 KR 930008343Y1 KR 2019910012107 U KR2019910012107 U KR 2019910012107U KR 910012107 U KR910012107 U KR 910012107U KR 930008343 Y1 KR930008343 Y1 KR 930008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power
resistor
terminal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2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734U (ko
Inventor
백동철
김귀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2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343Y1/ko
Publication of KR9300037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7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3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26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noise generated by amplify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6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polarisation voltage or current, e.g. gliding Class 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72Noise reduction and elimination in amplifie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증폭기의 잡음제거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증폭기의 블럭도이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증폭기의 잡음제거회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증폭기 20 : 제2증폭기
30 : 제1안정화수단 40 : 지연수단
50 : 제2안정화수단 60 : 통로수단
D1, D2 : 다이오드 R1 …R11 : 저항
C1, C2, C3 : 콘덴서 Q1, Q2, Q3 : 트랜지스터
X, Y : 정전류원
본 고안은 두개 이상의 증폭기로 조합 구성된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차단시에 출력장치에서 발생되는 비트(beat)성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제거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폭회로에 있어서 두개 이상의 증폭기로 구성하는 것은 한번의 증폭으로는 신호가 충분한 크기의 에너지를 갖도록 할 수 없기 때문에 두개 이상의 증폭기를 구비하며, 원하는 크기의 에너지를 갖도록 신호를 증폭해서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기 위함이다.
종래의 증폭기에 대해서 제 1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구성을 살펴보면, 오디오신호입력단자(5)는 제1증폭기(10)의 신호입력 단자와 연결하고 제1증폭기(10)의 신호출력단자는 제2증폭기(20)의 신호입력단자와 접속한다. 제 2증폭기(20)의 신호출력단자는 오디오신호출력단자(15)와 접속하고 신호출력단자(15)는 스피커(도시하지 않음)와 다른 기능을 가진 예로 기록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연결한다. 그리고 전원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유입하기 위한 전원입력단자(25)가 있고 상기 전원입력단자(25)는 저항(R11)을 통과하여 제 2 증폭기(20)의 전원입력단자와 접속하다. 상기 저항(R11)과 제2증폭기(20)사이의 접점을 통과하는 콘덴서(C3)가 있고 상기 콘덴서(C3)의 다른 일측은 기저전원(GND)인 제2전원(Vcc)과 접속된다. 그리고 전원입력단자(25)는 저항(R11)과 콘덴서(C3)를 통과하며 제1증폭기(10)의 전원입력단자와 접속한다.
상기 제 1 도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파워 온(Power On)시에 전원공급원에서 전원입력단자(25)로 유입된 전원이 저항(R11)과 콘덴서(C3)에 의해 안정화되어 제1증폭기(10)이 전원입력단자와 제2증폭기(20)의 전원입력단자로 거의 동시에 공급된다. 이때 오디오 신호원은 제1증폭기(10)의 신호입력단자로 유입되어 적당한 레벨까지 증폭되어 출력단자를 통해 제2증폭기(20)로 전달된다. 제2증폭기(20)의 신호입력단자로 유입된 오디오신호는 한번 더 증폭되어 입력신호보다 큰 신호가 출력장치로 출력된다.
전원을 오프시키는 순간, 즉 전원이 하이논리상태에서 로우논리 상태로 떨어지는 순간에 입력단자(25)로 유입되는 전원에 비트싱 잡음성분이 포함되어 거의 동시에 제1증폭기(10)와 제2증폭기(20)로 유입되어 순간적으로 비트(beat)성분을 갖는 원하는 신호와의 잡음으로서 스피커 또는 이어폰등과 같은 출력장치에서 "픽"하는 음, 즉 비트성 잡음이 발생된다. 특히 이어폰으로 출력할때나 스피커의 출력을 높게 했을 경우에는 전원차단시에 귀에 상당한 충격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차단시에 발생되는 순간적인 비트성 잡음을 제거하는 증폭기의 잡늠제거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싱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출력장치를 구비한 증폭회로에 있어서 신호입력원으로부터 유입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부와, 상기 제1증폭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해서 상기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제2증폭부와, 전원입력원과 상기 제1, 2증폭부 사이에 접속하여 각 증폭기로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안정화수단과, 상기 제1안정화수단과 제1증폭부 사이에 접속하여 전원을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수단과, 전원차단시에 제1증폭부의 바이어스전압을 바이패스(by pass)시키기 위한 통로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증폭기의 잡음제거회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먼저 구성을 설명한다. 전원입력단자(25)는 저항(R11)과 접속하고 저항(R11)의 다른 일측은 접속점(A)와 연결한다.
2사이의 접점을 통과하여 콘덴서(C3)가 접속하고 콘덴서(C3)의 다른 일측은 기저전원(GND)인 제2전원(Vcc)과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접속점(A)를 사이에 두고 다이오드(D2)의 양극단과 저항(R10)이 접속한다.
저항(R10)은 제2증폭기(20)의 전원입력단자와 접속하고 저항(R10)과 제2증폭기(20)사이의 접점을 통해 콘덴서(C2)가 접속하고 콘덴서(C2)의 다른 일측은 기저전원(GND)인 제2전원(Vcc)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접속점(A)을 경유하는 다이오드(D2)의 음극단은 저항(R9)과 접속하고 상기 저항(R9)은 라인(L)을 통해 저항(B3)과 접속한다. 라인(L1)을 통과하여 콘덴서(C1)가 접속하고 콘덴서(C1)의 다른 일측은 기저전원(GND)인 제2차원(Vcc)과 접속되어 있다. 상기 라인(L1)을 통과하여 직렬접속된 저항(R7, R8)이 있고 저항(R8)의 다른 일측은 기저전원(GND)인 제2전원(Vcc)과 접속되어 있고 그 사이에 또 다른 접속점(N)이 있다. 라인(L1)을 통과하는 저항(R6)이 있고 저항(R6)은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과 접속하며 에미터단은 정전류원(Y)와 접속하여 지거전원(GND)인 제2전원(Vcc)과 연결되어 있고 베이스단은 접속점(N)을 경유하는 오디오 신호원 입력단자(5)와 접속하고 콜렉터단은 제1증폭기(10)의 오디오신호 출력단자로서 제2증폭기(20)의 오디오신호 입력단자와 접속한다. 라인(L1)을 통과하여 저항(R5)이 연결되고 상기 저항(R5)은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과 접속하며 에미터단은 접점을 통해 정전류원(Y)과 접속되어 기저전원(GND)인 제2전원(Vcc)과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과 접속하고 저항(R4)을 사이에 두고 라인(L1)과 연결한다.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은 정전류원(X)과 접속하여 기저전원(GND)인 제2전원(Vcc)과 접속되어 있다. 라인(L1)을 통과하여 병렬 접속된 저항(R3, R2)이 있고 그 사이에 접속점(M)이 있다.
접속점(M)을 가운데 두고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과 저항(R1)이 접속하고 저항(R1)의 다른 일측은 기저전원(GND)인 제2전원(Vcc)과 연결된다. 상기 저항(R2)은 다이오드(D1)의 양극단과 접속하고 음극단은 접속점(A)와 연결한다. 그리고 제2증폭기(20)의 신호출력단자는 오디오신호출력단자(15)와 접속한다.
이하 본 고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파워 온(Power On)시에 전원공급원에서 전원이 전원입력단자(25)로 유입된다. 제1안정화수단(30)은 저항(R11)과 콘덴서(C3)에 의해 입력전원보다 안정된 전원을 접속점(A)에 인가하고 접속점(A)에 인가된 전원은 제1증폭부와 제2증폭부로 공급된다. 지연수단(40)은 상기 접속점(A)에 인가된 전원을 유입하므로써 다이오드(D2)가 도통되고 저항(R9)과 콘덴서(C1)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RC) 만큼 일정시간 지연시켜 안정화된 전원을 저항(R3)을 통해 접속점(M)에 인가한다. 이때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은 저항(R1, R3)에 의해 결정된 바이어스 전압이 형성되고 접속점(M)에 인가된 전압은 트랜지스터(Q1)을 온(ON)시키고 정전류원(X)는 부하임피던스가 변하여도 부하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트랜지스터(Q1)를 안정화시킨다. 정전류원(X)와 저항(R4)에 의해 트랜지스터(Q2)의 고정바이어스가 결정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온(Turn on)됨으로써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Turn off)상태가 된다.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는 저항(R7, R8)에 의해 결정된 바이어스 전압이 형성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2)와 차동증폭회로 구성인 트랜지스터(Q3)는 턴온(Turn on)되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으로 오디오신호가 입력되어 적당한 레벨까지 증폭되어 콜렉터단으로 출력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의 출력이 제1증폭기(10)의 출력이며 출력된 신호는 제2증폭기(20)의 입력단자로 유입된다. 상기 접속점(A)에 인가된 전원은 제1증폭기(10)의 지연수단(40)으로 전원이 공급될때와 거의 동시에 제2증폭기(20)의 제2안정화수단(50)으로 공급된다.
제2안정화수단(50)은 저항(R10)과 콘덴서(C2)에 의해 안정화된 전원을 제2증폭기(20)의 전원입력단자로 유입한다. 전원이 공급되면 제1증폭기(10)에서 적당한 레벨까지 증폭되어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유입하여 다시 증폭하고 출력단자를 통하여 오디오신호출력단자(15)로 공급한다. 상기 오디오신호는 출력장치로 출력된다.
전원을 오프시키는 순간 입력단자(25)로 유입되는 전원에 비트성 잡음성분이 포함되어 제1안정화수단(30)으로 전달되고 제1안정화수단(30)의 콘덴서(C3)에서 방전되는 전원과 함께 전속점(A)이 인가된다. 그리고 지연수단(40)에서도 비트성 잡음성분이 포함된 전원을 콘덴서(C1)의 충전 전원과 함께 방전하여 접속점(M)에 인가한다. 이때 접속점(A)에 인가된 전원은 시정수(RC)의 크기에 의해 접속점(M)에 인가된 전원보다 극히 적은 전압을 갖게 되므로 다이오드(D1)은 도통된다. 그러므로 접속점(A)에 인가된 바이오스전원은 통로수단(60)의 저항(R2)과 다이오드(D1)을 통해 제1안정화수단측으로 뮤트된다. 즉 이렇게 해서 트랜지스터(Q1)은 오프상태가 되고 따라서 저항(R4)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으로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트랜지스터(Q2)가 턴온(Turn on)상태가 되며 자동적으로 차동증폭회로 구성인 트랜지스터(Q3)는 턴오프(Turn off)상태가 되므로서 제1증폭부가 동작을 하지 않게 되어 공급전원차단시에 발생되어 입력단자를 통해 유입되던 비트성 잡음이 제거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음향증폭기의 잡음제거회로는 전원차단시 제1증폭부의 바이어스전원을 제1안정화수단쪽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스피커나 이어폰과 같은 출력장치에 충격을 주지 않아 음향기기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2)

  1. 출력장치를 구비한 음향기기에 있어서, 신호입력원으로부터 유입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부와, 상기 제1증폭부의 출력을 한번 더 증폭하여 상기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제2증폭부와, 전원입력원과 상기 제1, 2증폭부사이에 접속하여 각 증폭기로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안정화수단과, 상기 제1안정화수단과 제1증폭부 사이에 접속하여 전원을 지연 시키기 위한 지연수단과, 전원차단시에 제1증폭부의 바이어스전압을 바이패스 시키기 위한 통로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의 잡음제거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통로수단은 제1안정화수단측으로 향한 단방향성 소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의 잡음제거회로.
KR2019910012107U 1991-07-30 1991-07-30 증폭기의 잡음제거회로 KR930008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2107U KR930008343Y1 (ko) 1991-07-30 1991-07-30 증폭기의 잡음제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2107U KR930008343Y1 (ko) 1991-07-30 1991-07-30 증폭기의 잡음제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734U KR930003734U (ko) 1993-02-26
KR930008343Y1 true KR930008343Y1 (ko) 1993-12-20

Family

ID=19317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2107U KR930008343Y1 (ko) 1991-07-30 1991-07-30 증폭기의 잡음제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3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734U (ko) 199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96008A (ja) 光電流増幅用広帯域増幅器
US4509101A (en) Protection circuit for switching power amplifier
EP1928087B1 (en) Variable gain amplifier circuit
US5818301A (en) Power amplifier arrangenment of a plural power supply switching type
US7579878B2 (en) High gain, high speed comparator operable at low current
US4821000A (en) Audio output amplifier
US4063185A (en) Direct coupling type power amplifier circuit
KR900008757B1 (ko) Btl 전력증폭회로
KR930008343Y1 (ko) 증폭기의 잡음제거회로
KR950003136B1 (ko) 전력증폭장치
JPS5844803A (ja) 11/2ポ−ルオ−デイオ電力増幅器
JP3178494B2 (ja) Mosfet電力増幅器
JPH03283804A (ja) 音響増幅器
US4199797A (en) Protective circuit for amplifier circuits
TWI770828B (zh) 放大電路
JP2001284969A (ja) 電力増幅器
JPH0145150Y2 (ko)
KR900009628Y1 (ko) 오디오 앰프 보호회로
JPH0513048Y2 (ko)
JP3365936B2 (ja) 増幅回路
JP3281852B2 (ja) 増幅回路の保護回路
JPS6231523B2 (ko)
TW202215774A (zh) 放大電路
JPH06125227A (ja) バッテリー内蔵オーディオ装置及びオーディオ信号増幅回路
KR860003483Y1 (ko) 전원개폐시의 충격 잡음 제거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