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976B1 - 자동급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976B1
KR930007976B1 KR1019910008605A KR910008605A KR930007976B1 KR 930007976 B1 KR930007976 B1 KR 930007976B1 KR 1019910008605 A KR1019910008605 A KR 1019910008605A KR 910008605 A KR910008605 A KR 910008605A KR 930007976 B1 KR930007976 B1 KR 930007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automatic
bushing
roller
fee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8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2806A (ko
Inventor
정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8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976B1/ko
Publication of KR920022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2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9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급지장치
제 1 도는 종래 자동급지 기구의 정면도.
제 2 도는 종래 자동급지 기구의 요부분리 사시도.
제 3 도는 종래 기술의 또다른 자동급지 기구의 정면도.
제 4 도는 종래 기술의 또다른 자동급지 기구의 요부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 자동급지 기구의 정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 자동급지 기구의 요부분리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자동급지 로울러 110 : 부싱
120 : 급지기어 130 : 이송로울러
본 발명은 모사전송기등에 있어서 전송하고자 하는 여러장의 원고지를 낱장씩 정확하게 분리하여 원고지마다 일정한 시간적 차이를 두고 자동급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고지 급지방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사전송기는 원고급지부에 다수매의 원고를 셋팅한 상태에서 전송신호가 출력하면 셋팅된 원고중 최하단의 원고로부터 순차적으로 원고의 상을 스캐닝하여 외부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쌓여진 원고를 순차적으로 급지하기 위한 장치로 종래에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장치가 사용되었다.
즉, 여러장의 원고지(9)가 자동급지부에 적재되어 낱장 분리하여 급지하기 위한 자동급지로라(1)가 프레임(3)에 지지되어 있고, 외부동력원(도시하지 않음 모터)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급지기어(6)가 받아 급지로라축(2)에 전달하는 과정에 회전력을 끊었다 연결했다. 하는 스프링클러치(5)가 있으며 상기 스프링클러치(5)는 부싱(4)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자동급지로라(1)와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원고지를 이송시켜주는 이송로라(7)도 프레임(3)에 지지되어 있으며 원고지를 이송시킴에 있어 이송로라(7)에 가압하는 핀치로라(12)는 별도의(도시하지 않음)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송로라(7)의 끝에는 이송기어(8)가 고정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받아 이송로라(7) 에 전달했다. 이러한 상태로 자동급지부내의 자동급지로라(1)위에 원고지(9)가 급지되면 기어(6), (8)의 동기 회전은 먼저 급지기어(6)의 원통부(6a)와 부싱(4)의 원동부(4b)에 스프링클러치(5)가 회전가능한 방향으로 밀착되어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급지기어(6)가 회전력을 스프링클러치(5)와 부싱(4)을 통하여 자동급지로라(1)를 A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의해 원고지(9)가 자동급지로부터 급지되어 원고지(9)의 선단부부터 독취부에 독취되면서 이송로라(7)에 도착하면 원고지(9)는 인장력을 받고 있는 상태로 되는데 이것은 이송로라(7)가 자동급지로라(1)보다 회전속도가 빨라 두 로라간의 속도차에 의한 것이다, 이로인해 자동지급지로라(1)의 축(2)위의 부싱(4)과 이송로라(7), 급지기어(6) 간에는 위상진행차(△θ)가 발생하며, 이 위상진행차(△θ)는 자동급지로라(1)에 대한 급지기어(6)와의 속도차에 의한 것으로 스프링클러치(5)의 외측단(5b)이 급지기어(6)의 노치부(4a)에 끼어 있는 동시에 내측단(5a)은 부싱(4)의 노치부(4)에 걸쳐 있어서 부싱(4)측의 위상 진행으로 발생한 A방향으로의 회전으로 하여금 스프링클러치(5)를 풀게함으로 스프링클러치(5)내에는 토르크의 일부가 흡수, 축적된다.
자동급지로라(1)에 대한 급지기어(6)의 노치부(6b)에 끼어있는 동시에 이러한 작용으로 원고길이에 대한 적합한 위상 진행이 이루어져서, 원고지의 뒤끝이 자동급지로라(1)를 빠져 나올때까지 그 위상진행차(△θ)가 잔류하게 되므로 자동급지로라(1)위에 후속원고가 급지되는바, 자동급지로라(1)의 축(2)과의 사이에서 위상진행차(△θ)만큼 A방향으로 회전축이 회전하더라도 스프링클러치(5)와 각 원동부(4b), (6a)간의 틈새가 없어질 때까지 밀착되어 A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스프링클러치(5)를 통해 부싱(4)과 회전축을 경유 자동급지로라(1)에 그대로 전달되며 그리하여 후속원고의 급지가 이행되어, 원고지와 원고지 사이의 간격이 이 위상 진행차(△θ)를 길이로 환산한 거리만큼 떨어져서 이송로라(7)까지 이송되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원고 급지장치는 회전을 제어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스프링클러치(5)가, 자동급지로라(1)의 축(2)위의 부싱(4)과 급지기어(6)의 회전속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진행차(△θ)만큼 풀리게 됨에 따라 스프링클러치(5)내에는 도르크가 축적되게 된다. 이때의 이 도르크는 자동급지로라(1)의 이송로라(7)와 같은 속도로 회전하게 하는 것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는 원고지(9)의 길이가 길수록 더욱 더 심한 방해작용을 하게 된다. 이 때문에 원고지와 원고지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어려우며 경우에 따라서는 원고지 사이의 간격이 작아 독취부를 감지해주는 감지센서가 원고지 다음으로 뒤따라가는 원고지를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 장치를 사용하게 되었다.
도시되지 않은 원고급지 레버의 자동급지부로부터 낱장씩 분리하여 급지하는 자동급지로라축(11)은 프레임(3)에 지지되며, 상기 급지로라축(11)에 설치되는 급지로라(10)는 일측이 급지로라축(11)의 홈(11a)에 탄성편(14b)가 탄지되며 타측은 θ의 각도만큼 홈(30)이 파여진 슬리브(14)에 바깥쒸움되어 일착고정되며 상기 슬리브(14)는 급지로라축(11)에 회동되게 일치됨과 동시에 스프링핀(13)에 의하여 슬리브(14)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으로된 장치는 자동급지부(도시하지 않음)에 최초의 원고지(9a), 다음 원고지(9b)가 자동급지로라(10)위에 놓여지면 원고지 검출센서(도시하지 않음)의 검출신호에 따라 자동급지로라(1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의 회전동력은 외부로부터 받아 급지기어(6)에 전달되어 급지기어(6)가 A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프링클러치(5)가 급지기어(6)와 부싱(4)에 밀착되며 급지로라축(11)를 회전시켜주며, 급지로라축(11)이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핀(13)이 급지로라 슬리브(14)의 노치(14a)에 걸려 급지기어(6)와 같은 속도로 회전 하면서 최초의 원고지(9a)를 급지시키게 된다. 이렇게 자동급지로라(10)에 의해 원고지(9a)가 한매씩 급지 되면서 급지된 원고지(9a)는 이송로라(7)의 회전속도로 끌리게 되어 원고지(9a)는 팽팽하게 인장력을 받고 있는 상태가 되는데 이것은 이송로라(7)가 자동급지로라(10)보다 회전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따라서 이송로라(7), 이송기어(8), 급지로라슬리브(14)는 같은 속도로 회전하며, 급지되어(6)에 연결동력을 전달하는 스프링클러치(5), 부싱(4), 급지로라축(11)은 같은 속도를 회전하나 이송로라(7), 이송기어(8), 급지로라슬리브(14) 속도보다 느리게 회전하게 된다. 이로인해 급지로라축(11)과 급지로라슬리브(14)간에는 위상진행차(△θ)가 발생하여 급지로라축 (11)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된(13)이 아래걸림노치(14a)에 서 위걸림노치(14b)쪽으로 가까워지며 이는 원고지(9a)뒤끝이 자동급지로라(10)상의 급지로라슬리브(14)를 빠져 나올때까지 위상진행차(△θ)가 잔류하게 되어, 후속의 원고지(9b)가 급지되기 전까지 급지로라슬리브(14)는 도시하지 않은 마찰판에 접촉하여 회전이 정지되어 있다.
그리하여 위상진행차(△θ)가 0에 가까워지면 축 동력을 계속받아 일정하게 회전을 하고 있는 급지기어(6)에 의해 스프링클러치(5), 부싱(4)를 통하여 회전하는 급지로라축(11)위의 스프링핀(13)이 급지로라슬리브(14)의 위걸림노치(14b)의 위걸림노치(14b)에 위치할 때 비로소 자동급지로라(14)가 회전하면서 후속원고지(9b)를 급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최소원고지(9a)가 자동급지로라(10)를 빠져 나간후 후속원고(9b)가 급지되기전까지의 원고지간의 간격은 이송로라(7)와 자동급지로라(10)의 속도차 만큼 일정하게 떨어지게 된다. 또한 규정원고지 이상의 원고지 길이가 길어지면 급지로라축(11)과 급지로라슬리브(14)간의 위상차(△θ)가 커지게 되어 급지로라슬리브(14)내의 걸림노치간의 각이 θ이상이 되어 급지로라축(11)과 급지로라슬리브(14) 사이의 자유회전이 안되게 되면 이때는 급지로라축(11)과 급지로라슬리브(14)는 일체형처럼 같은 회전속도를 갖게 된다. 이때는 급지기어(6)와 급지로라축(11)상의 부싱(4)와의 속도차에 의한 것으로 스프링클러치(5)의 외측단(5b)이 자유로이 급지기어(6)과 밀착되어 있는 동시에 내측단(5a)은 부싱(4)의 노치부(4a)에 걸쳐 있어서 부싱(4)측의 위상진행으로 발생한 A방향의 회전으로 스프링클러치(5)를 풀리게 하여 급지기어(6)와 급지로라축(11)과의 또다른 위상차(△θ)를 발생시키면서 무한대로 긴 원고지의 경우에도 이송로라(7)와 같은 속도로 자동급지로라(10)가 회전하면서, 원고지를 급지시킨다.
만약 이상과 같이 긴 원고지의 급지가 끝나면 위상차(△θ)만큼 A방향으로 급지로라축(11)이 회전하여 스프링클러치(5)와 기어(6)의 원통부 및 부싱(4)의 원통부간의 틈새가 없어질때까지 밀착되어 A방향으로의 회전력은 스프링클러치(5)를 통해 부싱(4) 및 급지로라축(11)에 전달되어 스프링핀(13)이 급지로라슬리브(14)의 아래걸림노치(14a)에서 위걸림노치(14b)에 걸려 앞서 설명한 바와같은 워상차(△θ)가 0이될 때 비로소 다음 원고지를 급지시키게 된다. 즉 무한대로 긴 원고지가 자동급지로라(10)를 통과하면 최대 위상차가 △θ에 △θ만큼 커져서 다음 원고지와의 간격은 표준원고지가 자동급지로라(10)를 통과할 때 보다 크게 벌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구성상의 복잡함으로 인하여 기기를 소형경량화하는데 어려움을 가져옴과 동시에, 기기의 원가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들에게 보다 간편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량된 기술 및 장치를 고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원고를 정확하게 독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기기를 소형, 경량화하여 사용에 편리함을 제공함은 물론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로부터 제품의 구매력을 높이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되지 않은 원고급지 레버의 자동급지부로부터 낱장씩 분리하여 급지하는 자동급지로울러(100)는 축(101)에 의해 프레임(104)에 고정설치되고, 일측면에 걸림턱과, 경사면을 갖는 다수개의 걸림돌기(111)를 형성한 부싱(101)이 동일축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부싱(110)의 걸림돌기(111)에 걸리도록, 대향하는 일측면에 걸림턱(122)과, 경사면(123)을 갖는 걸림편(121)을 구비한 급지기어(120)가 상기 축(101)에 헐겁게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자동급지부(도시하지 않음)내에 자동급지로울러(100)위에 원고지(150)가 급지되면 도시하지 않은 동력원으로부터 급지기어(120)와, 이송로울러(130)는 회전하게 된다. 이때 급지기어(120)는 축(101)상에서 공회전되어지게 되며, 상기 급지기어(120)의 일측면에 걸림턱(122)과 경사면(123)을 형성한 탄성을 갖는 걸림편(121)을 형성하고 있어, 급지기어(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걸림편(121)의 걸림턱(122)이, 회전축(101)에 고정 설치되어져, 대향하는 면에 경사면과, 걸림턱을 갖는 1개 이상의 걸림돌기(111)을 구비한 부싱(11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급지기어(120)의 걸림턱(122)과, 부싱(110)의 걸림턱이 서로 맞닿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동일축(101)상에 설치된 자동급지로울러(100)가 A방향으로 급지기어(120)와 같은 속도로 회전하면서 최초의 원고지(150)를 급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동급지로울러(100)에 의해 원고지(150)가 한매씩 급지되면서 급지된 원고지(150)는 독취부에 독취되면서 이송로울러(130)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로울러(130)에 도달된 원고지(150)는 이송로울러(130)의 회전속도로 끌리게 되어 원고지(150)는 팽팽하게 인장력을 받고 있는 상태가 되는데, 이것은 이송로울러(130)가 자동급지로울러(100)보다 회전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따라서, 이송로울러(130), 이송기어(131), 자동급지로울러(100), 부싱(110), 회전축(101)은 같은 속도로 회전하며, 급지기어(120)의 연결동력은 상기한 이송로울러(130) 이송기어(131) 자동급지로울러(100), 부싱(110), 회전축(101)의 속도보다 느리게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급지기어(120)와, 부싱(110)간에 위상진행차(△θ)가 발생하여 급지기어(120)의 걸림턱(122)과, 부싱(110)의 걸림턱이 서로 떨어진 상태로 회전하다가 원고지(150)가 자동급지로울러(100)상을 빠져 나올때까지 위상진행차(△θ)가 잔류하게 되어, 후속원고지가 급지되기전까지 도시하지 않은 마찰판에 접촉하여 회전이 정지되어 있다가, 위상진행차(△θ)가 0에 가까워지면 일정한 회전을 하고 있는 급지기어(120)에 의해 급지기어(120)의 걸림턱(122)이 부싱(110)의 걸림턱에 걸리게 되어 부싱(110)을 통하여 회전축(101)과 자동급지로울러(100)가 회전하면서 후속원고지를 급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최초원고지(150)가 자동급지로울러(100)를 빠져 나간후 후속원고지가 급지되기전까지의 원고지간의 간격은 이송로울러(130)와 자동급지로울러(100)의 속도차만큼 일정하게 떨어지게 된다.
또한 규정원고지 이상의 원고지로 인하여 위상치(△θ)의 범위 0〈△θ〈90를 벗어나면 자동급지로울러(100)에 의해 부싱(110)의 위상차(△θ)가 커지게 되며, 부싱(110)에 형성된 걸림돌기(111)의 경사면에 의해 급지기어(120)에서 탄성을 갖도록 된, 걸림편(121)의 경사면(123)이 맞닿음과 동시에 걸림편(121)이 변위 “0”만큼 연동하여 무한대로 긴 원고지의 경우로 이송로울러(130)와 같은 속도로 자동급지로울러(100)가 회전하면서 원고지(150)를 급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무한대로 긴 원고지(150)가 자동급지로울러(100)를 통과하더라도 일정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부싱(110)의 걸림돌기(111)에 의해 후속원고지(150)를 일정한 간격에 의해 급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자동급지장치는 간단한 구성을 갖도록함은 물론 원고지를 정확한 간격으로 급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단순한 구성을 가지므로써, 기기를 소형경량화시킬 수 있을뿐 아니라, 부품의 단순화로 기기의 생산원가를 최초화시켜, 사용자들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기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모사전송기 및 복사기 등과 같이 급지기어에 부싱을 사용하여 이송로울러와 같은 회전속도로 구성하여 원고지를 이송하는 장치가 부착된 기기에 있어서, 원고지 자동지급지로울러(100)는 급지로울러축(101)에 부싱(11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부싱(110)은 일측면에 일정 각도로 위치하도록 된 1개 이상의 걸림돌기(111)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111)에 맞닿도록 급지기어(120)의 일측면에 걸림편(121)에 의하여 원고 자동급지로울러(100)가 구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121)은 급지기어(120)의 일측면에 일체로 탄성을 갖도록 하여 끝단에 걸림턱(122)과, 경사면(123)로 갖는 1개 이상의 걸림편(12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111)는 부싱(110)의 일측면에서 급지기어(12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걸림턱과, 경사면을 갖는 1개 이상의 걸림돌기(11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지장치.
KR1019910008605A 1991-05-27 1991-05-27 자동급지장치 KR930007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8605A KR930007976B1 (ko) 1991-05-27 1991-05-27 자동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8605A KR930007976B1 (ko) 1991-05-27 1991-05-27 자동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2806A KR920022806A (ko) 1992-12-19
KR930007976B1 true KR930007976B1 (ko) 1993-08-25

Family

ID=19314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8605A KR930007976B1 (ko) 1991-05-27 1991-05-27 자동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9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591B1 (ko) * 1998-07-15 2001-10-27 구자홍 현금자동지급기의지폐급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2806A (ko) 199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378B1 (ko) 자동급지 장치
EP0137381B1 (en) Paper feeding device
JP2521303B2 (ja) 自動給紙装置
US5209465A (en) Sheet feeding apparatus
US6354584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940001964B1 (ko) 자동 급지 장치
KR19980083323A (ko) 복합기의 자동 급지장치
US5163666A (en) Self-adjusting closed-loop friction feeder
KR930007976B1 (ko) 자동급지장치
US6279893B1 (en) Automatic sheet feed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4060232A (en) Controlled slip paper separator
US5678815A (en) Sheet feeder
US6024357A (en) Document sheet feeding mechanism
KR940005696Y1 (ko) 복사기기의 용지 공급장치
JP2733319B2 (ja) 原稿搬送読取装置
KR0136430Y1 (ko) 팩시밀리의 원고 이송장치
EP0376308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JP3369285B2 (ja) 給紙装置
JPH0577951A (ja) 給紙装置
KR930007233Y1 (ko) 자동 급지 장치
JPH0212850B2 (ko)
JPH0212849B2 (ko)
KR970001867Y1 (ko) 팩시밀리의 급지장치
KR940005472Y1 (ko)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소형기기의 용지급지장치
KR20080004357U (ko) 복사기의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