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957Y1 - 조립식 마루판 - Google Patents

조립식 마루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957Y1
KR930007957Y1 KR2019910005243U KR910005243U KR930007957Y1 KR 930007957 Y1 KR930007957 Y1 KR 930007957Y1 KR 2019910005243 U KR2019910005243 U KR 2019910005243U KR 910005243 U KR910005243 U KR 910005243U KR 930007957 Y1 KR930007957 Y1 KR 930007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board
prefabricated
fixing
assembled
jo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5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717U (ko
Inventor
윤석규
Original Assignee
윤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규 filed Critical 윤석규
Priority to KR2019910005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957Y1/ko
Publication of KR9200197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7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9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94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마루판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를 조립결합하여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상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립식 마루판 2, 2' : 마루판체
4a, 4a', 4b, 4b' : 결합요조 6 : 결합부재
8, 8', 8a : 고정요조 18, 18' : 고정대
본 고안은 조립식 마루판, 더욱 상세하게는 동출원인이 1990.6.7자 기출원한 90-8057호(조립 및 분해작업이 용이한 마루판의 결속장치)의 조립수단을 개량한 것에 의해, 마루판체들을 보다 견고하게 조립설치할 수있도록 한 조립식 마루판에 관한 것이다.
동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90-8057호(이하, 단지 선원이라 한다)는, 3개의 판재가 모여 하나의 유닛을 이루는 마루판체들을 받침목 상에서 상호 연결조립함에 있어, 마루판체에 형성한 감입돌조들을 요조에 끼워 맞춤으로써 달성하고 있다. 그러나, 선원에서 조립수단인 감입돌조는 조립판체의 원래 몸체 일부위를 밀링(milling) 가공하므로써 일측으로 돌출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두께의 변화로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감입돌조를 요조에 맞추어 결합시 또는 결합후 감입돌조에 균열이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마루판의 수명이 단축된다고 하는 폐단이 있고, 또 감입돌조가 손상되면 마루판체 자체를 사용치못하게 된다고 하는 폐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소키위하여 개량고안한 것으로, 마우판체의 조립상태를 별도 형성한 조립부재에 의해서 달성함에 의해 마루판체의 조립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잇점을 제공함에 있고, 또 감입돌조를 형성치 않아도 되므로 인한 돌조형성 가공시의 어려움과 번거로움을 배제한 잇점을 제공함과 아울러, 감입돌조에 균열이 가거나 또는 떨어져나가므로 인해 조립판체를 못쓰게 하는 폐단을 제거한 잇점을 제공함에 있다.
즉,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키위한 수단으로, 마루판체의 감입돌조와 요조의 끼워맞춤으로 인해, 받침목상에서 평판상으로 조립구성되게 하는 마루판에 있어서, 마루판체 양측에는 전길이에 걸쳐 결합요조를 형성하고, 그 결합요조내로 분리가능케 끼워 맞출 수 있는 4각판체의 기다란 결합부재를 형성하며, 그 결합부재를 각 마루판체의 결합요조내로 끼워맞추어, 각 마루판체를 받침목 상에서 견고하게 평판상으로 조립배치하고, 상기 받침목의 고정대가 끼워맞추어지는 마루판체 저부의 고정요조는, 그 판체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분리가능케 조립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루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 실시예에 의거 본 고안이 결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개의 마루판체(P)(P')들을 접착하여 하나의 유닛(Unit)으로 형성한 마루판체(2)(2')의 양측부위에는 결합요조(4a)(4b),(4a')(4b')를 각각 형성함과 아울러, 저부에는 마루판체(2)(2')의 길이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되는 고정요조(8)(8')를 형성하였다.
상기 각 마루판체(2)(2')의 일측 결합요조(4a')와 (4b) 또는 (4a)와 (4b')내로는 분해가능케 견고히 끼워맞추어지는 4각판체의 기다란 결합부재(6)를 형성하여, 결합부재(6)에 의해 각 마루판체(2)(2')들을 평판상 마루를 이루게끔 조립되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인(18)(18')은 상기 고정요조(8)(8')에 부리가능케 결합고정시키는 고정대를, (20)은 고정대(18)(18')들이 고정나사(22)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받침목을 각각 표시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먼저 수개의 마루판체(2)(2')들은 고정요조(8)(8')에 의해, 그 고정요조(8)(8')의 간격과 동일간격을 두고 사전에 고정배치한 받침목(20)상에 고정대(18)(18')에 견고하게 결합 고정됨과 아울러, 이어서 이들 판체(2)(2')들은 각 일측에 형성된 결합요조(4a')(4b)또는 (4a)(4b')내로 결합부재(6)를 끼워맞추어 조립함에 의해, 제 2 도 및 제 3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평활한 마루판을 형성케하는 것이다. 이처럼 본고안은 마루판체(2)와 (2')를 상호 결합하여 조립함에 있어, 선출원의 마루판체에 직접 형성한 감입돌조가 요조에 끼워 맞추어지게 하여 실행되었던 것과는 달리, 별도 형성한 조립수단인 결합부재(6)로써 마루판체(2)(2')들을 상호 결합되게하여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마루판이 변형되는 일이 없다.
즉, 제 2 도 및 3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조립매체인 결합부재(6)의 일측 절반은 마루판체(2)의 결합요조(2b)내로, 타측 절반은 마루판체(2')의 결합요조(2a'b)내로 견고하게 끼워맞추어지게 하므로 인해, 각 마루판체(2)(2')로부터 발생되는 결합력 내지는 하중을 결합부재(6)가 골고루 분산되면서 결합케하는 완충역활을 하여 항시 힘의 균형을 유지시키어 주기때문에, 선출원의 감입돌조만이 요조에 워져서 결합되므로 인해 결합력 및 하중이 돌조측으로 집중되어져 돌조의 균열발생원이 되게 하고, 이로 인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 마루판에 변형이 생기게하여 수명단축을 초래케하는 문제가 없게 된다.
또한 각 마루판체(2)(2')에는 결합부재(6)를 맞추기위한 결합요조(4a)(4b), (4a')(4b')들만을 형성하면 되므로, 가공작업의 편리성을 부여하는 특장(特長)도 있는 것이다.
제 4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일실시예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였다. 제 4 도는 마루판체(2)(2')의 저부에 형성한 고정요조(8a)의 설치위치만 다른 것이다. 즉, 상기 일실시예에서의 고정요조(8a)들을 마루판체(2)(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한 것이지만 제 4 도의 실시예는 그 고정요조(8a)들을 마루판체(2)(2')들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게끔 횡방향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고정요조(8a)를 마루판체(2)(2')에 대해 길이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큰 차이는 없으나, 단지 판체(2)(2')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된 고정요조(8)(8')를 가공시에는 결합요조(4a)(4b)들과 같은 방향으로 가공하면 되기 때문에, 제 4 도의 다른 실시예에서 판체시(2)(2')들의 위치를 수시로 바꾸어서 작업해야 되는 등의 작업상 번거로움 없이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편리성만이 있다.

Claims (2)

  1. 마루판체(2)(2')에 직접 형성한 감입돌조와 요조의 끼워맞춤으로 인해, 받침목(20)상에서 평판상으로 조립되게 한 조립식 마루판 구조에 있어서, 마루판체(2)(2')양측에는 전길이에 걸쳐 결합요조(4a)(4b), (4a')(4b')들을 형성하고, 그 결합요조내로 분리가능케 끼워맞출 수 있는 4각판체의 기다란 결합부재(6)를 형성하며, 그 결합부재(6)를 각 마루판체(2)(2')들의 결합요조(4a)(4b), (4a')(4b')내로 끼워맞추어 각 마루판체를 받침목(20)의 고정대(18)(18')에서 견고하게 평판상으로 조립배치하고, 상기 고정대(18)(18')에 결합고정되는 고정요조(8)(8')는 마루판체(2)(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루판.
  2. 제 1 항에 있어서, 마루판체(2)(2')저부의 고정요조(8a)는 그 판체에 대하여 수직방향을 이루게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루판.
KR2019910005243U 1991-04-16 1991-04-16 조립식 마루판 KR930007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5243U KR930007957Y1 (ko) 1991-04-16 1991-04-16 조립식 마루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5243U KR930007957Y1 (ko) 1991-04-16 1991-04-16 조립식 마루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717U KR920019717U (ko) 1992-11-17
KR930007957Y1 true KR930007957Y1 (ko) 1993-11-27

Family

ID=1931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5243U KR930007957Y1 (ko) 1991-04-16 1991-04-16 조립식 마루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95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338A (ko) * 2000-12-16 2001-04-06 김형호 애견·애묘의 보호집
KR100825010B1 (ko) * 2008-02-05 2008-04-25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외벽의 우드 연결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328B1 (ko) * 2001-10-12 2005-03-08 (주)종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내력 및 내수성을 지닌 단위형 목재 마루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338A (ko) * 2000-12-16 2001-04-06 김형호 애견·애묘의 보호집
KR100825010B1 (ko) * 2008-02-05 2008-04-25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외벽의 우드 연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717U (ko) 199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957Y1 (ko) 조립식 마루판
JP2006063747A (ja) デッキ構造
KR102510130B1 (ko)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KR20110000265A (ko) 그레이팅 패널 고정구
KR102221243B1 (ko)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KR950008947Y1 (ko) 천정 판재 조립구
JPS6316084Y2 (ko)
JPS6224667Y2 (ko)
KR200197016Y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CN215888734U (zh) 一种用于装配式墙板的安装装置
KR950008065Y1 (ko) 벽체 콘크리트 거푸집 프레임
JPS6117145Y2 (ko)
FI67479C (fi) Faestorgan saerskilt foer speglar i foerbindelse med spegelkombinationer
JPH10273972A (ja) 鋼製床板および鋼製床板の接合金具
JPH0713370Y2 (ja) モザイクパネル用化粧枠
KR200293135Y1 (ko) 천장판 고정장치
KR970004537Y1 (ko) 경량철골천정틀의 설치구조
JPS6239205Y2 (ko)
JPS6228631Y2 (ko)
KR20230123414A (ko) 내장판 고정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전동차의 내장판 결합 구조
JPH0321616Y2 (ko)
JP2521682Y2 (ja) ユニットルームの側壁の連結構造
JP2569616Y2 (ja)
KR100219885B1 (ko) 벽면 마감재
JP2686716B2 (ja) 製図機の付属部品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